•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 프로필 이미지
알트루사 상담모임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기후위기(지구온난화) 2장 기후분화는 메뚜기떼를 만들고, 육식은 기후위기를 부른다.
김희정농부 추천 0 조회 88 20.09.29 13:00 댓글 17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20.09.29 13:42

    첫댓글 들을 얘기가 많겠다 싶었습니다. 아무래도 제가 모르는 경험이 많았을 테고요. 이런 경험을 여기에 계속 올려주면 고맙겠어요. 같이 생각해 볼 수 있으니까요. 기후변화 공부하면서 알게 되지만 우리가 사실 같이 알고 고민하고 풀어가야할 일을 모르고 있어 이 사단이 났단 생각이 들거든요. 공부 모임이 끝나도 말이죠. 희정씨만 괜찮다면.

  • 작성자 20.09.29 15:00

    아~ 네 선생님! 틈틈히 공유할께요~
    우선은 제 블로그를 공유할께요~ 요즘에는 글을 잘 못쓰고 있지만, 틈틈히 쓸 글들이 있어요~
    물론 그 때생각과 지금은 달라진 것들도 있겠지만요~ ^^;;;;

    https://similre.tistory.com/entry/%EC%A7%80%EC%97%AD%EC%97%90%EC%84%9C-%EC%B9%9C%ED%99%98%EA%B2%BD%EB%86%8D%EC%82%B0%EB%AC%BC-%EA%B5%AC%EC%9E%85%EC%9D%B4-%EB%8D%94-%EC%96%B4%EB%A0%B5%EA%B5%AC%EB%82%98?category=872762?category=872762

  • 20.09.29 17:48

    사람만 잘 먹고 잘 살아야 하는 것 아니고 모든 생명있는 피조물이 잘 살아야 하고 환경도 건강해야 하는 것이 하나님 뜻인데 사람 중심이어서 문제가 생긴 것임을!!
    현**라는 농구인이 한자리에서 소고기 10인분을 먹으면서 소를 사랑한다고 하더라구요. 광우병이 한창인 때 영국에 있었지요. 그런데 방목하는 스코트랜드에서는 소에게 병이 없었지요. 공장식 사육의 문제예요. 장마에 소를 잃은 분들이 "자식같이 길렀는데.."하는 말에 한심했어요. 자식도 잡아먹나요?

  • 작성자 20.09.30 12:20

    그러게요. ㅠㅠ 전 반대질문들을 하다가 정신이 번쩍들때가 많아요~ㅠㅠ 예를 들어"내 이웃을 내 몸과같이 사랑하라~" 는 말에 "내가 나는 사랑하나??내가 나를 사랑하지 못해 이웃도 사랑못하나???" 뭐 이러면서요~~^^;;;;

  • 20.09.29 18:18

    (전에 김희정 선생님과 통화하면서도 이야기했지만) local food에 대한 고민, 계속됩니다. 계속~~~~

  • 작성자 20.09.30 12:16

    네~ 고민을 많이 해야지요~~^^

  • 20.09.30 09:21

    어제 나눈 이야기에서 농사짓는 분들 이야기 아버지 관련해서 생각되요. 오리친환경 농사지을 때 엄마가 마을사람들이 아빠 미쳤다 얘기한다 전했거든요. 남들처럼 농사짓지 않는다고요. 농사현장에서 사람이 없으니 기계를 쓰는데 그 기계도 사람이 조립하고 쓰는거잖아요. 제가 25살지나 늙은 아버지가 30분도 넘게 여기저기 옮겨가며 기계조립을 힘겹게 하시고 밭을 갈았어요. 기계가 굉장한 '수'가 아니더라고요. 제가 없었음 아마 한시간은 조립하셨을지도요. 무겁고 혼자하기 힘든 농사일이었지요. 그런데도 농사지을까 하는 제게 "농사만으론 먹고살기 힘들어" 하셨고요. 농민농촌의 현실을 제 경험과 연결해서 생각해볼 수 있었어요

  • 20.09.30 09:46

    그리고 사람이 비중상 지구의 5%인데 지구의 30%를 소비한다는 동영상내용도 계속 생각해봅니다. 비중으로 따질 수 없을만큼 인간이 책임져야할 위기앞에 있는 거잖아요. 내가 이렇게 살면서, 위기구조를 살피며, 저의 욕망에 대해서는 우울해하지 않게 되었어요. '아! 내가 이 정도로 바라고 있는게 많았구나!' 그게 악하다는 판단에 괴롭지만, 그 욕구만을 따르지 않을 수 있다 생각되어요. 이 위기 앞에서 같이 어떻게 살려낼까 집중하게 됩니다. 책이 영상보다(?!) 더 잘 읽히는, 작가의 어린시절과 자기 얘기가 있어서 읽기 좋은 책이에요. 알트에서 구입해 같이 읽으면 좋겠어요.

  • 작성자 20.09.30 12:16

    저도 그래요. 2015년도에 사회적경제에 대한 수업을 들으면서 "조작된 욕구"를 처음 인식했어요. 우리가 갖고싶었던 많은 것들이 실제 원했던 것보다 "광고의 힘"인 경우가 많다고 하더라고요. 물건이야기 소비편을 보게되면 그것에 대해 자세하게 나와요. ^^

  • 20.10.03 06:31

    @김희정농부 마음을 전달하지 못하면 물건으로 허전함을 표현하지요.그러면서 소비하게 되고, 광고에 말려들지요.

  • 작성자 20.10.03 10:05

    @문은희 또 누군가는 자신의 욕구를 채우려고 소비하기도 하지요. 마치 유명 연예인이 사용하는 화장품을 하면 같은 피부를 갖지 않을까? 같은 패션을 하면, 똑같이 예뻐지지는 않을까, 등등...모든 어린이들이 공주,왕자가 되는걸 원하지 않을텐데, :"공주님, 왕자님"불러주며 그렇게 꾸며주는 것으로 만족하기도 하고요~ 그게 내 욕구인지, 남의 욕구인지, 구분도 안되게 현란한 광고들이 만들어지고요~ 그래서 마케팅에서 심리학자를 고용해 마케팅한다고 하더라고요~~

  • 20.10.03 10:23

    @김희정농부 실제의 욕구는 소비로 채울 수 없는건데 세상에서 물건으로 채우게끔 하는거죠. 내가 무엇을 바라는지, 내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 사람인지 집중하기 어려웠어요. 소비로 채워나가지 못하는게 실패가 아닐까 하는 내 안에 들어와 있는 가치들 때문에요. '실패'라는 말을 쓸만큼 소비와 성공에 대해 바랐구나 하는 마음을 인정했어요. 세상에서 내가 바랐던게 소비와 성공이였구나 생각되니, 이제 다른 길도 보여요.

  • 작성자 20.10.03 14:10

    @지은 김 와~ 멋지십니다! ^^

  • 20.10.03 17:41

    @김희정농부 결국 자신의 마음이 비어있어서 광고에 넘어가는 거지요. 그럴 수록 부풀려져서 헤어나오지 못하는 거구요. 돌림병으로 술집에 가지 못하고, 놀러다니고 여행 가지 못한다니 우울증 걸린다는 것도 같은 현상이지요. 한가위에 부모님 만나러 가지 말라는데 여행을 간다니! 우리가 모두 헛것에 홀려살고 있지요.

  • 20.10.04 20:06

    충격의 연속입니다. 얼마나 무신경하게 살았는지 놀라고 있어요. 쓰레기없이 장보기를 보다 냉장고없이 일주일 살기라는 동영상도 보게 되었어요. 미니멀리스트 동영상도 보고. 현재 내가 살림하고 사는 걸 보니 어디서부터 손을 봐야할지 대략난감하다 장보기를 최대한 늦춰보기로 했습니다. 냉장고와 냉동고에 무엇이 들어있는지 파악하고 집에 무슨 물건들이 왜 있고 진짜 필요한 것이었는지를 되묻고 이 참에 정리할 건 해봐야겠어요. 광고를 봐서 욕구가 생성되기도 하지만 마음이 허해서 이리저리 쇼핑을 할 때가 많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건강한 마음을 만드는 것이 기후위기와도 연결되어있구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어제 스테인레스 도시락통을 사려다가 찬장을 정리해보니 그 비슷한 것이 있기에 구매를 포기했습니다. 내 삶의 방식이 조금씩 바뀌는 기후위기공부, 좋습니다.

  • 20.10.04 20:10

    알맹이만 구매하려면 수서역에서 집으로 돌아오는 버스로 갈아탈 때 상추, 고구마, 호박잎 등등을 파는 분들께 사면 군더더기 없이 살 수 있음을 알았어요. 장바구니는 매번 들고 다니니 검은 봉다리에 담지 않아도 되더라구요. 모든 걸 그리 살 수는 없지만 하나라도 바꿀 수 있다는 것에 의미를 두려합니다.

  • 작성자 20.10.05 06:39

    와~~ 바로 빈성하고 실천까지 훌륭하십니다!!고맙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