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김광수경제연구소포럼
 
 
 
카페 게시글
_경제현안 [질문] 하이퍼 인플레이션 상황에서의 대처법은?
케이 추천 0 조회 1,498 08.09.03 10:21 댓글 11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08.09.04 09:58

    첫댓글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정의 따라 다르겠지만, 10%정도의 인플레이션이라고 한다면 가능성은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경우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화폐 구매력이 떨어지니까 금리도 같이 오르겠지만 (정부에서는 올리지 않으려 하겠지만) 화폐의 가치하락을 상쇄하는 데도 부족할 겁니다. 이 경우 금, 달러등이 유리할 것 같긴하지만 개인이 실제로 투자해서 수익을 얻기는 쉽지않을 것 같습니다. 부동산은 실물이기는 하지만 대개 대출을 받아 구입하므로 채권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금리가 오르게 되면 하락할 가능성이 클 것 같습니다.. 인플레이션 상황인데도 정부가 금리는 올리지 않으려 할테니 이래 저래 당분간은 환율이 오를 일밖에 없겠군요

  • 08.09.03 14:51

    수 100%의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확실하다면 원화를 빌려서 금이나 달러를 사놓으라는 군요..^^

  • 08.09.03 19:48

    아르헨티나가 74년부터 76년사이 인플레이션이 450%에 달했답니다. 그리고다시 82년말부터 또 2년간 이때는 거의 1000%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했지요. 먼저 대출은 전혀 없어야 합니다. 금리도 폭등할텐데 대출금이자는 무슨 수로 갚지요? 금이나 달러를 사 놓는다구요? 그럼 무슨 돈으로 먹고 삽니까? 1달에 생활비 1백만원 쓰는 사람이 생활비가 400만원, 1000만원 든다는 얘긴데요.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의 것들만 지출하도록 해야하고 현금보유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나라 환율급등하면 전기 가스 수도 교통 요금도 모두 상승할 것입니다. 민영화된다면 더 많이 오르겠지요. 방법이 없습니다. 그런 인플레이션이 오지 않도록 해야만 합니다.

  • 08.09.03 22:38

    현금을 보유하면 된다면 간단한데 가치가 떨어지니 문제지요.. 그래서 가치를 보존할 수 있는 금이나 달러로 보유하는 것이 나을 것 같다는 얘기입니다. 저도 배우는 중이니 논리적으로 틀린 부분이 있으면 지적 부탁드립니다. ^^

  • 08.09.03 22:06

    본 경제현안 게시판 372번 억스님의 글 참조해 보시길.....

  • 08.09.04 09:42

    372번은 좋은 글이긴하지만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대한 글은 아닌것 같습니다만... 님 글대로 수100%의 하이퍼 인플레이션의 경우에 현금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면 휴지가 될 것 같은데요.. 금리가 오른다 한들 이런 상황에서는 화폐가치의 하락을 따라 갈 수 없습니다. (아르헨티나나, 독일 등 다른 나라의 예를 보면 그렇다는 거죠..) 따라서 (그럴 가능성은 거의 없겠지만) 만약 이렇게 된다면 대출해서 다른 안전자산에 투자해 놓는 것이 더 나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그리고 나서 원화가치가 휴지가 되고 나면 원화 대출을 안전자산을 팔아서 갚는 거죠..

  • 08.09.04 09:36

    참고로, 일반적으로 달러를 매입해서 수익을 내기는 쉽지 않습니다. 현재 환율이 급등한 상태에서 추가로 long position을 잡기는 좀 부담스럽기도하고, 다른분들도 말씀하셨다시피 수수료가 상당하기 때문에 (정확히는 매도가와 매수가 차이가 크기 때문입니다만), 약간 움직이는 정도로는 수익을 얻기기 쉽지 않습니다. 이런 문제 때문에 선물환을 하게 되는데, 개인이고 FX 거래 경험이 없다면 본인의 포지션의 방향이 맞는다고 해도 수익을 내기가 상당히 어렵습니다. 최근에 선물환을 해야 한다고 얘기하시는 분들이 있던데, 개인적으로는 말리고 싶습니다.

  • 08.09.03 23:31

    전 엔지니어라 경제에 깊이 있는 지식은 없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의 개념구분도 모호합니다. 다만 그런 상황이 발생할 경우 사실 중산층과 서민이 선택할 만한 선택지가 거의 없다는 뜻이지요. 금이나 다른 자산가치 보호수단으로 투자할 만한 여력을 가진 사람이 얼마나 될 것이며, 그 금액이 얼마정도나 될까요? 저축해둔 전재산을 금으로 대체한다? 몇년 버틸 수 있을까요? 아르헨티나 인플레 1000%를 언급했지만 사실 1983~89년 5000%였습니다. 살아남을 수 있겠습니까? 우리에게 이런일이 생기지 않도록 막아야 합니다.

  • 08.09.04 09:33

    예.. 맞습니다. 정부가 하는 일들이 마음에 들지는 않지만 그렇게까지 만들 사람들은 아니라고 믿고 싶습니다. 이런일은 생기지 않도록 막아야지요...^^

  • 08.09.04 20:46

    제대로 님 글처럼.. 아버지가 그 당시 이민 문제로 직접 부에노스 아이레스에 답사를 갔습니다.. 가격표가 업습니다. 시시때대로 가격이 오릅니다.. 온리 US$ 애니타임 웰컴이었습니다. 아무리 딸라가 종이 쪼가리 된다해도 한국 \ 보다는 항상 가치가 있습니다. 한가지 가치 없을때는 고물로 팔때 무게가 덜 나갈때 입니다.

  • 08.09.04 20:47

    그당시 먼저 이민간 사람들이 지금은 무조건 이민 반대한다고 오늘 죽을지 내일 죽을지 모르는 경제 위기라고 적극 반대하였습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