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김광수경제연구소포럼
 
 
 
카페 게시글
_경제현안 평등
qnfrksmsqnfrkdnjs 추천 2 조회 440 16.04.25 02:10 댓글 5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6.04.25 02:23

    첫댓글 경제적 평등 이란 단어가 나오면, 이미 불공평하다는 거겠죠. 무엇보다 경제라는 단어로 인간의 존엄성을 판단하고 평가하게 만드는 사회 교육이 근본적 원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만드는 사회 시스템이구요. 그렇게 만드는 이유가 있게죠. 편히 다스리려면

  • 16.04.25 10:16

    평등은 절대적으로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권리나 인간의 존엄성은 모든 사람이 동일하게 갖게 되고 이때 평등의 개념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경제에서는 공정과 공평의 개념으로 형평성을 이야기합니다. 공정하다는 것은 일종의 스포츠 경기를 통해 생각해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축구경기를 하면 일정한 룰에 따라 경기를 하고 승패가 결정이 됩니다. 누군가는 이기고 누군가는 지게됩니다. 결과가 다르게 됩니다. 하지만 정해진 룰에 따라 정정당당하게 게임을 했다면 승자와 패자가 갈리지만 이 게임에 대해 공정한 게임이었다고 이야기를 하고 평등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라고 이야기하지 않습니다.

  • 16.04.25 10:19

    경제에서 공평하다라는 것은 공정한 것만으로는 완전하지 않기때문에 부차적으로 재조정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노약자나 어린이,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능력이나 노력에 따라 결과를 분배한다고 하면 필요한 만큼의 보상을 받지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런 경우 공동체에서 세금 등의 수단을 통해 비용을 조달해 사회적 약자에게 보상을 추가적으로 분배하고(바로 재분배, 한국에서는 복지라고 말해지는) 이로써 공동체의 구성원이 완전히 같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 균등한 수준(균등의 정도는 기준에 따라 다르다)을 이루게 되고 그런 상태를 공평하다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평등과 공정과 공평의 구분

  • 16.04.25 12:52

    경제적 평등은 어려운 말이죠. 사람의 능력에 따라 노력에 따라 달라질 수 밖에 없는 부분인데요.
    다만 그 누구도 경제적 문제로 공정한 기회를 잃을 정도가 되어선 안된다고 생각해요.
    예를 들어 흙수저기 때문에 차등적인 교육을 받고, 결국 미래의 소득도 낮아지는 상황이 고착화되는 건 문제란 거죠.
    그건 적절한 세금을 걷어서 분배를 함으로써 얼마든지 극복할 수 있는데 돈있는 분들이 모든 걸 쥐락펴락하는 세상에 쉽지 않죠. 투표를 잘 하는 수 밖에는.

  • 16.04.26 07:55

    자유를 추구하면 평등은 사라지지만 평등을 추구하면 더 많은 사람에게 자유가 돌아갈 것입니다. 역설적으로 어차피 절대적 평등은 이뤄질 수 없기 때문에 정부가 아무리 많이 추구해도 문제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적어도 지금 시점엔 세계가 문제가 되는 이유가 자유가 모자라서는 아닌 것 같거든요. ^^ 좋은 하루들 되세요~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