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예화플로리스트
 
 
 
카페 게시글
☆회원자유게시판 스크랩 잉카 마야문명을 멸망케한 붉은노을
칼빈코스트너 추천 0 조회 25 09.12.07 17:18 댓글 1
게시글 본문내용

붉은 노을은 사람들의 가슴에 수많은 생각을 갖게하는 마력이 있습니다.

이 붉은 노을이 인류에게 미친 영향을 사례별로 찾아보면 수없이 많을테지만요

오늘은 제가 아는 사례로 스페인 정복자들에게 멸망한 잉카, 마야문명과 붉은노을의 관계에

대하여  얘기해볼까 합니다. 남아메리카의 해안에 상륙한 스페인 사람들이 인디오들을 점령해나가면서

엄청난 양의 황금에 놀랐습니다. 신전은 물론 도시곳곳에 중요 건축물과 심지어 일반인들이 만들어놓은 신을

상징하는 상징물들은 거의 모두 황금투성이였습니다. 스페인 정복자들은 이 황금을 더 가질 욕심으로 무자비한

학살은 물론 누가 더 먼저 새로운 지역을 점령하느냐의 경쟁이 벌어지고 점점 황금에 눈이 멀어서 급기야 이 붉은

노을을 보고 저기 내륙의 더 깊숙한 곳 어딘가에 황금의 도시가 있어서 그 황금의 도시에 비춘 햇살이 반사되어 저런

황금빛의 노을이 생긴거라고 생각하고 내륙으로 숨어들어간 인디오들을 찾아나선겁니다. 결국은 황금의 땅은 찾지

못하고 잉카마야문명은 완전히 멸망하게되는 결과를 초래했습니다.

이렇게 붉은 노을이지는 이유를 과학적으로 밝혀진바에 의하면요 순전히 먼지 때문이라고 합니다.

학교에서 배운데로 태양빛은 일곱가지 색상을 가지고 있는데요 사람의 눈은 이 일곱가지 색상을 다 식별하지못합니다.

그러나 빛이 물체에 부딪히면 분산되는데요 이런 분산현상이 가장 적게 일어나는 색상이 붉은색이다보니

분산이 많이되는 다른 색상들은 눈에 들어오지 않고 분산이 적은 붉은색만 눈에 들어오는 원리입니다.

그래서 대기중에 먼지나 기타 부유물질이 없으면 빛의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붉은 노을이 아닌 하얀색의

백야현상이 나타나게됩니다. 그런 예는 전혀 오염이 되지않은 북극, 남극지방이 그렇습니다.

즉 극지방은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공기로 인하여 노을이 없다고도 해도 틀린말은 아닙니다. 

 

아무튼 인류는 자연현상의 영향을 무척 많이 받게 되고 그 영향으로 멸망하기도 하고 흥하기도 하였습니다.

미국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가 1961년에 발표한 나비효과라는 이론은 아마존의 밀림에서 나비가 날아가며

일으키는 날개짓 바람이 지구반대편에 도달할때는 점점 다른 바람들과 합해져서 엄청난 폭풍이 된다는 이론입니다.

얼핏 이해가 안갈지도 모르지만요 호수에 돌을 하나 던지면 떨어진 동심원은 작지만 점점 퍼져가면서 결국은 호수가

아무리 넓어도 가장자리까지 도달해야 파장은 없어집니다. 그리고 퍼져가면 갈수록 파장은 점점커지고 세지는거구요.

 

이 사진은 제가 서울외곽순환도로를 운행할때 찍은 사진인데요 앞서말한 나비효과를 도로에서도 만날 수 있는데요

도로가 정체되는 원인은 사고로인한 통행제한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요 실제로 사고도 없고 교통의 흐름을 방해할 만한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도 정체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 이유는 한 사람이 브레이크를 밟는데서 시작됩니다.

운행하다 도로면이 약간 굴곡이 있어서 살짝 브레이크를 밟았습니다. 그러자 뒤에 따라오던 차량은 앞차의

브레이크등을 보고 당연히 브레이크를 밟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 그 다음 역시 같은 브레이크를

밟게 되고 결국은 아무 것도 없는데 교통이 정체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도로를 건설할때는 커브구간의 설계나 교량, 터널 구간을 어떻게 설계하고 배치할 것인가도 중요한

고려사항이며 도로를 포장할때 노면을 굴곡없이 반듯하게 포장하여 차량이 롤리을 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기술입니다.

아무튼 노을을 설명하다 곁가지로 도로이야기까지 하게 되었는데요. 그냥 가십거리로 봐주세요.

 
다음검색
댓글
  • 09.12.08 10:12

    첫댓글 노을이 먼지 때문이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