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본동초등학교19,20회
 
 
 
카페 게시글
삶의 이야기 스크랩 카디자 윌리엄스(18) 노숙자 소녀 하버드대 합격- 2009.6.21. 매경 外
하늘나라(홍순창20) 추천 0 조회 664 16.10.29 15:56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하버드대 합격한 美 노숙소녀


"12번 학교 옮겨도 꿈 잃지 않았다"


 기사의 0번째 이미지


미국 노숙자 소녀가 하버드대에 합격해 화제되고 있다.

20일 미국 로스앤젤레스타임스는 카디자 윌리엄스(사진)라는 18세 흑인 소녀가 노숙자보호소와 우범지대 거리를 전전하면서도 강한 의지와 끊임없는 노력으로 하버드대 장학생으로 입학했다고 보도했다.

뉴욕 브루클린에서 14세밖에 안된 어머니에게서 태어난 윌리엄스는 어머니가 집에서 쫓겨난 이후 캘리포니아에 둥지를 틀었다. 어머니와 함께 누울 자리를 찾아 미국 서부 여러 지역 노숙자 쉼터와 값싼 모텔 등을 찾아다녀야 했던 그는 이동 생활로 인해 12학년을 마치는 동안 12곳의 학교를 다녔다.

윌리엄스는 3학년 때 처음으로 시험 성적의 위력을 알았다. 그는 주(州) 단위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뒀고 담임교사가 당시 9세인 그를 영재프로그램에 등록시켰다.

하지만 이후에도 윌리엄스는 어머니를 따라 여덟 번이나 학교를 더 옮겼다. 윌리엄스는 학교를 옮길 때마다 항상 영재프로그램에서 빠지지 않았다.

[박준형 기자]





[빛과 소금] 소녀 노숙자에서 하버드대학 졸업까지 2014.09.16 | 양산시민신문

찬사를 받은 흑인 소녀 카디자 월리엄스가 있다. 그해는 하버드대 사상 최고 경쟁률이었는데 2만9천112명의 입학 지원자 중 7%인 2천46명만 합격했다. 그...



 
↑↑ 강진상 평산교회 담임목사
 

2009년 LA 타임스 일면을 장식하며 온 미국인과 세계인의 감동과 찬사를 받은 흑인 소녀 카디자 월리엄스가 있다. 그해는 하버드대 사상 최고 경쟁률이었는데 2만9천112명의 입학 지원자 중 7%인 2천46명만 합격했다.

그런데 합격자 중 카디자 윌리엄스가 있었다. 노숙생활을 하던 흑인 소녀가 온갖 역경을 딛고 하버드 대학에 합격했다는 사실은 미국 사회에 큰 감동을 주기에 충분했다. 그는 친구들에게 ‘공부 독종’으로 알려졌지만 하버드가 주목한 것은 카디자의 생활이었다.

LA 타임스는 “카디자는 노숙자 홀어머니 밑에서 쓰레기봉투를 덮고 잠을 자고 무료 급식소에서 배를 채우면서도 공부의 끈을 놓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카디자는 지나간 세월을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제 어머니는 14살 때 차가운 쓰레기더미 속에서 저를 출산했습니다. 저는 어머니와 뉴욕 거리를 전전하며 무료급식과 쓰레기를 뒤지며 굶주림을 해소해야 했습니다. 전 아무것도 모르고 길거리에서 키워졌습니다. 값싼 모텔과 노숙자 쉼터를 찾는 일은 굉장히 드물었고 대부분 차가운 길바닥과 냄새나는 뒷골목에서 생활할 때가 많았습니다. 집 주소는 언제나 뉴욕 어느 동네 식당 뒷골목이었습니다. 그렇게 제 이름은 ‘노숙자’가 됐습니다

가진 것 없는 제가 남들과 같아지기 위해서 한 권의 책을 더 읽고 한 번 더 생각하는 방법을 택했습니다. 노숙자가 모여 사는 텐트촌에서 어머니와 저는 두 모녀가 감수해야 할 위험을 참아내며 필사적으로 학교에 다녔습니다. 12학년을 다니는 동안 자그마치 학교를 12번 옮겨 다녀야만 했습니다. 하지만 전 포기할 수 없었습니다. 한 달에 5권의 책을 읽었고 뉴욕의 모든 신문을 정독했습니다. 길바닥은 저에게 세상에서 가장 넓은 공부방이었습니다. 그리고 꿈이 생겼습니다. 대학에 들어가 제 운명을 스스로 바꾸는 꿈. 제 가족이 더는 남들의 비웃음 섞인 시선을 받지 않아도 되는 꿈이었습니다

카디자의 평균 학점은 만점인 4.0에 가까웠지만 이는 하버드에 지원하는 다른 우수학생에 비해 뛰어난 것은 아니었다. 그의 지원서에는 봉사 경력이나 지도력 발휘와 같은 특기사항도 없었다.

그러나 하버드대 입학사정관 줄리 힐든은 그와 면접을 한 뒤 “카디자를 합격시키지 않으면 제2의 미셸 오바마를 놓치는 실수가 될 것”이라며 학교에 강력히 그를 추천했다. 퍼스트레이디인 미셸 오바마가 다른 명문대학 출신임을 빗댄 발언이었다.

그의 합격은 열악한 환경에 굴복하지 않고 꿈을 이루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기 때문일 것이다. 카디자는 2013년 하버드대학을 졸업했고 그가 원했던 교육기술기관 매니저로 사회 첫발을 내딛고 열심히 일하고 있다.

이제 그는 더 이상 노숙자가 아니다. 뉴욕에 아파트도 갖고 있다. 그의 졸업식에는 오프라 윈프리가 초청 연사로 연설했으며 오프라 윈프리는 카디자의 삶에 대해 언급했을 뿐만 아니라 카디자를 토크쇼에도 출연시켰다.

최선의 삶이란 단번에 큰일과 많은 일을 하는 것이 아니다. 핑계하지 않고 남이나 환경을 탓하지 않고 작은 일부터 한 걸음씩 긍정의 마음으로 최선을 다해 사는 것이다

양산시민신문 기자 / mail@ysnews.co.kr입력 : 2014년 09월 16일




하버드대 합격한 노숙 흑인소녀

게시일: 2016. 10. 16.

구독하기: https://goo.gl/bYpZjI
저의 어머니는
14살 때 차가운 쓰레기더미 속에서
저를 출산하셨습니다.
어머니와 전
뉴욕의 거리를 전전했고
무료급식과 쓰레기를 뒤지며
굶주림을 해소했습니다.
전 아무것도 모르고
그렇게 길거리에서 키워졌습니다.
값싼 모텔과 노숙자 쉼터를
찾는 일은 굉장히 드물었고
대부분 차가운 길바닥과
냄새나는 뒷골목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제 집 주소는
언제나 뉴욕 어느 동네의 식당
뒷골목 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좋은글 입니다 : )
좋은글, 감동글, 사랑이야기 등 유익하고 유쾌한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구독 눌러주세요 ^^
좋은글 채널보기: https://goo.gl/D2MZ7q
전체 재생 목록: https://goo.gl/CKC8Om

Kevin MacLeod의 Enchanted Valley은(는)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라이선스(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에 따라 라이선스가 부여됩니다.
출처: http://incompetech.com/music/royalty-...
아티스트: http://incompetech.com/





18시간전 | MBC | 다음뉴스  이진희 기사입력 2016-10-28 20:42

앵커 ▶ 미국의 경기가 서서히 좋아지고 있다 하는데 대표 도시인 뉴욕에는 거리마다 노숙자 천지라고 합니다. 남녀, 연령층도 무관하게 대공황 이후 최대...


◀ 앵커 ▶

미국의 경기가 서서히 좋아지고 있다 하는데 대표 도시인 뉴욕에는 거리마다 노숙자 천지라고 합니다.

남녀, 연령층도 무관하게 대공황 이후 최대치로 많아졌다고 하는데요.

뉴욕 이진희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 리포트 ▶

대형 백화점이 있는 번화가, 유명 공연장과 주요 전철역, 버스 정류장까지 뉴욕 맨해튼 어디에서나 노숙자들은 쉽게 눈에 띕니다.

청년에서 노인까지 연령층도 다양하고 여성들도 적지 않습니다.

[네이던/노숙자]
(오늘 밤엔 어디 가서 잠을 잘 계획입니까?)
"저기 계단에서 자려고요. 거기에선 등이 안 아프더라고요…그래도 힘들어요."

지난 8월까지 집계된 뉴욕시의 노숙자는 6만 천여 명으로, 1930년대 대공황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뉴욕시 공립고등학교 재학생의 7.7%, 10만 5천 명도 노숙자로 파악됐습니다.

지난 2008년 서브프라임 위기 이후 경기가 살아나고 있지만 저소득층은 여전히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 하고 있는 겁니다.

[브라이언 베커/인권 보호 단체 대표]
"수많은 사람이 일자리를 잃었고 뉴욕시 집세가 너무 비싸서 사람들이 감당할 수 없어요."

해가 기울어 저녁 무렵이 되면 노숙자들은 이렇게 밤이슬을 피할 수 있는 곳으로 모여들어 잠자리를 준비합니다.

노숙자 쉼터를 이용하지 않는 건 더럽고 위험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뉴욕주 정부는 앞으로 5년간 우리 돈 11조 원을 노숙자 주택 건설 등에 사용하기로 했지만 우범 지역이 될 것을 우려하는 주민들의 반대도 만만치 않습니다.

뉴욕에서 MBC뉴스 이진희입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