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문(三門)
|
팔단(보리심)
|
세부 내용
|
설법주
|
전(前)석문
|
청보리심
|
- 보리심을 청함(보리심을 배우기 위한 준비과정)
- 정구업진언 ~ 계청
|
석가모니
부처님
|
보살문
(대비주를 통해서 무량한 공덕을 만들고 그것을 통해 어떤 소원을
이루고자 하는지를 바램)
|
권보리심
|
- 관세음보살, 보리심, 무애대비심과 대비주를 끝없이 찬탄
- 계수문
> 광본천수경 전체의 인연담을 요약
> 관세음보살과 무애대비심(보리심), 다라니를 찬탄
> 계수관음대비즈 ~ 소원종심실원만
|
관세음보살
|
원보리심
|
- 보리심을
갖고 싶은 마음을 관세음보살께 서약
- 십원육향, 염불
- 나무대비관세음
원아속지일체법
> 나무대비관세음
: 관세음보살과 약속하겠다.
> 원아속지일체법
: 일체법을 안다 à 일체지자(붓다)가 된다
빨리 부처가 되겠다(천수경의 밀교적 특징)
- 원보리심을
갖는 것 만으로도 격이 범부에서 보살로 변한다.
|
행보리심
|
- 대비주
독송
- 대비주를
독송하며 보리심을 실천하는 행보리심이 된다.
|
복보리심
|
- 번뇌를
항복 받는 보리심
- 광대심과
제일심을 계약하고 실천에 대한 보리 결계, 보리심 옹호, 보리참회를 한다.
- 참회행법
|
후(後)석문
(관세음보살
42수 진언)
|
증보리심
|
- 보리심의 도약과 증득(단계가 올라 가는 것)
> 보살의 수행단계는 52단계
> 초지보살은 41번째 단계
- ‘대비주를 정성스럽게 7송이든 21송이든 읽으면 원하는 세속적인 소원을 이루고 출세간의
보리에 대한 소원이 있으면 보리를 증득한다.’ à 보리가 도약 à 초월적인 증득 à 준재행법
|
석가모니
부처님
|
출보리심
|
- 보리심을 증득한 그 자리에서 나와 더 앞으로 나아가라.
머무름 없는 보리심의 실천을 강조
- 여래십대발언문, 사홍서원
|
무상보리
|
- 위없는 보리심에 초점을 맞춤
- 나무상주 시방불
- 나무상주 시방법
- 나무상주 시방승
- 최초의 청보리심으로 순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