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라디보스톡 주변의 그라스키노 유적에서는 고구려와 발해의 토기, 불상 등이 출토되었고, 연해주의 수도인 하바로브스크(흑룡강과 중국 국경이 만나는 곳에 있는 큰 도시) 주변의 코르사코브스키 고분군 112호 고분에서 고구려의 금동불상이 출토되었고, 같은 고분군에서 고구려식 화살촉이 다량 출토되기도 했다.
연해주는 무엇보다 과거 일본에 항거한 독립운동의 기지로, 조선사람들이 대거 건너가 살았다. 이들을 고려인이라 불렀는데, 이들의 간략한 역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1860년 연해주 포세트 지역 한인 13가구 최초 기록
· 1863년 한인 연해주 이주 시작
· 1867년 185가구 999명
· 1869년 한반도 북녘 대기근으로 이주 급증. 1만 명 급증
· 1902년 한인 이민자 수 32,380명
· 1905년 을사 보호 조약 이후 의병 기지화
· 1908년 의병 건수 1,451건 참가 인원 6만 9천 8백여 명. 연해주 총독의 해로 의병 활동 만주 이동
· 1910년 경술국치 후 한인 이민 급증
· 1914년 교민 수 6만 3천 명으로 신한촌 건설 (블라디보스토크)
· 1918년 4월 일본군 연해주 점령
· 1922년 10월 일본군 연해주 철수, 친일 거류 민단 5천 명과 함께 귀국
· 1923년 재소 한인 공식 10여만 명 거주. 실지 25만 명 이상 거주
· 1932년 연해주 한인 학교 380개. 잡지 등 6종, 신문 7종,
· 1937년 9월 21일 -11월 15일. 스탈린의 고려인 강제 이주 정책에 따라 한인들 전원 중앙아시아(6천㎞) 강제 이주당함.
그런데 강제이주당한 이들이 소련의 붕괴를 기화로 해서 다시 연해주로 돌아오고 있다. 그런데 이들이 다시 연해주로 돌아오는 것에 대해서 러시아에서 심각하게 우려하고 잇는 것이다. 그 배후에 한국이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중앙아시아에 간 고려인 가운데 타지키스탄 과 우즈베키스탄에 살던 사람들은 대부분 연해주로 재이주해왔고, 1990년 이후 약 3만명 정도가 되돌아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공식적인 주민 등록을 하지 않은 숫자를 포함한다면 그보다 더 많은 수의 고려인이 연해주로 이주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중앙아시아의 민족주의와 경제적 위기. 언어의 문제, 정치 사회적 불평등 문제 등이 계속 존재하는 한 고려인의 주로 연해주 지방으로 계속 재이주가 이뤄질 것이라는 것은 일반적인 전망이다.
이들을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버려진 한국인으로 놔둘 것인가.
우리는 이들과 다시 만나야 한다. 이들에게도 연변동포, 재미동포와 같이 대우하고 이들과 다시 만나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