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04/22 06:00 하남 감일동에서 백제 최고위층 석실묘 50기 쏟아져 중국 교류 증거 〈청자 계수호〉 〈부뚜막형 토기〉 첫 출토 한성도읍기 백제 역사 구명할 핵심 유적 하남 감일동에서 나온 백제 횡혈식 석실분 하남 감일동 횡혈식 석실분. 벽에 회(灰)가 남아있다 한성도읍기 백제왕성이 확실시되는 서울 풍납토성(사적 제11호)과 약 4㎞ 떨어진 경기 하남 감일동에서 백제 최고위층 무덤 수십 기가 나왔다. 4월22일 하남시와 하남역사박물관에 따르면, 고려문화재연구원(이사장 김병모)이 2015년 11월부터 진행 중인 하남 감일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 부지에서 4세기 중반∼5세기 초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횡혈식석실분(橫穴式石室墳 굴식돌방무덤) 50기가 발견됐다. 조사단은 지금까지 전국에서 확인된 백제 횡혈식석실분은 모두 70여 기로, 서울 인근에서 이처럼 많은 백제 석실분이 나온 것은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이 고분들은 학계에서 「한성도읍기 백제왕릉급 무덤으로 보는 서울 송파구 석촌동, 가락동, 방이동 일대 고분군이 도시 개발로 대부분 파괴된 상황」에서 「당시 백제 건축문화와 생활상, 국제교류 양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최병현 숭실대 명예교수는 『백제 중심부에서 상상도 못한 유적이 나온것』이라며 『한성도읍기 백제는 고분은 망가지고 기록은 소략했는데, 감일동 고분군은 백제사를 구명하고 복원할 수 있는 핵심자료라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감일동에서 확인한 횡혈식 석실분은 크게 4곳에 무리를 이루었다. 경사면에 땅을 파서 직사각형 묘광(墓壙·무덤 구덩이)을 만들고, 바닥을 다진 뒤 길쭉하고 평평한 돌을 차곡차곡 쌓아올린 구조다. 묘광과 돌 사이는 판축기법(흙을 얇은판 모양으로 켜켜이 다져 올리는 방법)을 썼고, 천장은 점차 오므라드는 소위 궁륭식(穹窿式)이다. 일부 무덤은 벽을 마감한 회(灰)가 남았고, 무덤으로 통하는 길인 연도는 대부분 오른쪽에 마련됐다. 무덤 크기는 묘광(墓壙)이 세로 330∼670㎝, 가로 230∼420㎝이고, 석실(石室)은 세로 240∼300㎝, 세로 170∼220㎝다. 높이는 180㎝ 내외다. 무덤간 거리는 약 10∼20m다. 감일동 횡혈식 석실분에서 나온 〈부뚜막형 토기〉 청자(靑瓷) 계수호(鷄首壺) 문재범 하남역사박물관장은 『일부 무덤은 2번 이상 사용한 흔적이 있다. 시신과 껴묻거리를 안치했다가 시간이 흐른 뒤 안쪽으로 밀어넣고 또다시 장례를 치른것 같다』고 말했다. 부장품으로는 풍납토성에서 나오는 토기와 매우 흡사한 직구광견호(直口廣肩壺·아가리가 곧고 어깨가 넓은 항아리)를 비롯해 중국에서 제작된 청자 계수호(鷄首壺 닭머리가 달린 항아리)와 부뚜막형 토기 2점이 출토됐다. 문재범 관장은 『백제 무덤은 신라 무덤과 비교하면 껴묻거리가 많지 않다. 〈공주 수촌리 유적〉에서 흑유(黑釉 흑색유약) 계수호(鷄首壺)가 나온 적은 있지만, 국내에서 청자계수호가 발굴되기는 최초다. 사각뿔에 동그란 구멍을 뚫은것 같은 〈부뚜막형 토기〉도 처음 출토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청자(靑磁)는 당시 중국에서만 만들수 있었고, 〈부뚜막형 토기〉를 무덤에 묻는 풍습도 중국에 있었다. 백제가 중국과 활발하게 교류했음을 알려주는 결정적 증거』라고 주장했다. 권오영 서울대 교수는 『지금으로 치면 〈감일동 고분군〉에는 글로벌화한 사람들이 묻혔다고 볼 수 있다. 일본 오사카(大阪), 나라(奈良)에서 나오는 5세기 후반 백제계 석실분의 원형이라는 생각도 든다』는 의견을 내놨다. 하남시는 석실분 28기가 밀집한 지역을 〈역사공원〉으로 조성하기로 결정했다. 공원 한편에는 이전·복원할 석실분 15기와 유물을 전시할 박물관이 들어선다. 문재범 관장은 『〈감일동 고분군〉은 〈공주 송산리 고분군〉 〈부여 능산리 고분군〉과 이어지는 백제 고분유적』이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백제역사유적지구는 백제가 웅진(熊津)과 사비(泗沘)를 도읍으로 삼았을때 유적을 아우르는데, 세계유산을 한성도읍기 백제유적으로 확장 등재한다면 〈감일동 고분군〉도 포함해야 한다』고 말했다 /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psh59@yna.co.kr 2018/04/22 06:01 하남 감일동 고분군은 백제의 北邙山 4∼5세기 백제 최고위층 공동묘지 『상상도 못한 유적』 혹은 『복권 당첨』 하남 감일동에서 나온 백제 횡혈식 석실분 하남 감일동 석실분에서 나온 〈부뚜막형 토기〉 『4세기 중반부터 5세기 초반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제 석실분이 무더기로 발견된 〈하남 감일동 고분군〉은 왕족과 귀족이 묻힌 백제의 북망산(北邙山)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중국에서 고고학 박사학위를 받은 문재범 하남역사박물관장은 4월 22일 한성도읍기 백제(BC 18∼475) 횡혈식 석실분(橫穴式石室墳 굴식 돌방무덤) 50기가 밀집한 경기 하남 감일동을 북망산(北邙山)에 비유했다. 중국 허난성 뤄양(洛陽) 북쪽에 있는 북망산(北邙山)에는 漢나라 이후 帝王, 貴人, 名士 무덤이 만들어졌다. 사람이 죽으면 묻힌다는 「북망산천(北邙山川)」은 「북망산」에서 유래했다. 하남 감일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 과정에서 나온 백제고분군은 정교하고 치밀하게 건축한 석실분을 제외한 다른 무덤이 없고, 중국에서 제작한 뒤 백제로 건너온 것으로 짐작되는 〈청자 계수호〉(鷄首壺 닭머리가 달린 항아리)와 〈부뚜막형 토기〉가 국내 최초로 출토됐다는 점에서 최고위층 집단묘지라고 할 수 있다. 〈횡혈식 석실분〉은 백제를 대표하는 무덤 양식이다. 직사각형으로 땅을 파서 바닥을 다진 뒤 길쭉하고 평평한 돌을 차곡차곡 쌓고, 한쪽에 무덤방에 드나들 길을 만든 구조다. 〈감일동 고분군〉 조성시기는 백제 전성기를 이끈 近肖古王(재위 346∼375년) 이후와 겹친다. 학계가 이 고분군을 『상상도 못한 유적』 혹은 『복권 당첨』이라고 표현하며 한성도읍기 백제사 비밀을 풀 열쇠로 보는 이유는 한 곳에서 50기에 달하는 한성시대 석실분이 나온 적이 없고, 이 시기 왕성(王城)으로 확실시되는 풍납토성과 매우 가깝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전국에서 확인된 〈한성백제 횡혈식 석실분〉은 모두 70여 기로 알려졌다. 경기도에서는 〈성남 판교 유적〉에서 약 10기가 나왔고, 〈감일동 고분군〉에서 동쪽으로 2㎞ 남짓 떨어진 〈하남 광암동 고분군〉과 〈화성 마하리 고분군〉에서 한두 기가 확인됐다. 그런 희소성이 두드러진 석실분이 50기나 한꺼번에 발견됐으니 흥분할만한 사건임에 틀림없다. 일제강점기 조사에 따르면, 한성도읍기 백제왕릉급 무덤으로 지목되는 〈서울 송파구 석촌동·방이동·가락동 일대 고분〉은 대략 300기에 달했으나, 급격한 도시개발로 대부분 조사도 없이 파괴되고 말았다. 감일동 고분군과 다른 유적 사이의 거리를 보여주는 지도. 붉은색 화살표가 〈감일동 고분군〉 〈감일동 고분군〉은 풍납토성과 4㎞, 〈몽촌토성〉이나 〈방이동고분군〉에서는 약 3㎞ 떨어져 있다. 백제가 초축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그 축조 주체가 백제인지 신라인지 논란이 많은 〈하남 이성산성〉은 3㎞ 거리에 있다. 사비도읍기 백제왕성 자리로 추정되는 〈부여 관북리 유적〉과 왕릉급 무덤이 모인 〈능산리 고분군〉 사이 거리가 대략 3㎞다. 신희권 서울시립대 교수는 『고고학 연구자들은 풍납토성과 몽촌토성 동쪽 강동구 둔촌동과 하남 능선에 백제석실분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감일동 고분군〉 같은 유적이 존재할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그는 『감일동 고분군은 상태가 매우 양호한데다 백제 유물밖에 나오지 않았고 100년 안팎 기간에 집중적으로 조성됐다는 점에서 순수성이 있다. 무덤을 조성한 시기와 나라에 대한 논란이 없다는 점에서 주목할 수밖에 없는곳』이라고 덧붙였다. 최병현 숭실대 명예교수는 『왕성과 가까운 곳에서 대규모 고분군이 나왔다는 점만으로도 의미가 크다. 문헌 사료가 부족한 한성도읍기 백제사를 연구하는데 큰 도움이 되는 유적』이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감일동 고분군〉은 백제와 신라 중 어느 나라가 만들었는지에 관해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방이동 고분군〉 성격을 구명하는 기준점 역할도 할 것으로 보인다. 신희권 교수는 『감일동에 있는 무덤은 향후 한성도읍기 백제석실분의 전형이자 잣대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문재범 관장은 『석촌동, 방이동, 가락동과 달리 하남은 오랫동안 그린벨트로 묶여 개발이 제한된 탓에 석실분이 잘 보존됐다. 논쟁거리인 백제석실분 봉분 형태가 원형인지, 직사각형인지에 대한 단서도 찾을수 있을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psh59@yna.co.kr 2018/04/24 17:24 부여 〈사비백제 왕궁 찾기〉 본격 시작 … 추정지 보상 추진 부여읍 관북리·쌍북리 지역 2020년까지 토지보상 완료 부여 백제왕도 복원 조감도 찬란했던 〈사비백제 왕궁 찾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충남 부여군은 「사비왕궁터」로 추정되는 사적 제428호 관북리 유적지구와 쌍북리 일대 발굴을 위한 토지보상 작업을 본격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보상 지역은 부여읍內 신진마트에서 부여도서관까지 약 22필지와 부여도서관, 부여여고, 쌍북리 주변이다. 郡은 2020년까지 토지보상을 마칠 예정이다. 부여군은 관북리 유적의 원활한 토지보상 추진을 위해 3월19일 주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개최하고, 그동안의 진행상황과 추진방향을 설명했다. 郡은 주민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 사업과정에 반영하고, 투명하게 소통해 민원 발생을 최소화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郡은 쌍북리 지역주민 대상 설명회도 개최하고, 주민이주대책 마련,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함께 토지비축 사업 등을 추진해 그동안 특별보존지구 지정에 따른 각종 규제로 어려움을 겪던 주민 불편을 해소할 방침이다. 토지비축 사업은 부여군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 토지은행에서 돈을 빌려 일시에 자금을 투입, 해당 토지를 사들이고 이 비용을 단계적으로 갚아나가는 방식이다. 또 쌍북리 지역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여도서관, 부여여고 이전을 위해 충남도교육청과 협약해 이전대상지 선정 및 예산확보 등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郡 관계자는 『찬란했던 사비백제 왕도를 찾는 숙원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토지소유자와 관계인의 많은 협조와 관심을 부탁한다』고 말했다 / (부여=연합뉴스) 정찬욱 기자 jchu2000@yna.co.kr 2018/04/26 09:37 정읍 북서쪽 백제석실분 56기 사적 지정 문화재 명칭은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은선리 고분군 a19호분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문화재청은 전북 정읍 북서쪽 영원면 은선리와 덕천면 도계리 일원에 있는 백제 횡혈식 석실분(橫穴式石室墳, 굴식돌방무덤) 50여 基를 국가지정문화재 사적 제543호로 지정했다고 26일 밝혔다. 문화재 명칭은 〈정읍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으로, 이곳은 전북 지역에서 확인된 최대규모 백제 고분군이다. 정읍 영원면 일대에서는 2005년과 2013년 이뤄진 지표조사 결과, 반경 2㎞ 이내 구역에 백제고분 270여 기가 분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그중 은선리와 도계리 접경지역에 밀집한 무덤 56기만 이번에 사적(史蹟)으로 지정됐다. 무덤은 대부분 사비기(泗沘期 AD 538∼660)에 조성됐으나, 일부는 이보다 앞선 웅진(熊津期 AD 475∼538)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돼 웅진기부터 사비기까지 백제고분 축조 양상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수있는 유적으로 평가된다. 유적 주변에는 백제시대에 초축한 성으로 백제지방 행정구역 오방(五方) 중 중방(中方)으로 비정되기도 하는 고사부리성(古沙夫里城 사적 제494호)과 마한계 분구묘(墳丘墓 흙이나 돌로 봉분을 쌓고 그위에 매장시설을 만든 무덤)가 있다. 지정조사단은 보고서에서 『백제석실분이 이처럼 많다면 백제가 정읍 영원면 일대를 중요거점으로 삼았을것』이라며 『육상·수로 교통요지이고, 농사를 짓기좋은 땅이었던 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지정심의에 참가한 문화재위원은 『백제 횡혈식석실분은 보통 지하식인데, 영원면 석실분은 대부분 지상식 구조여서 마한 분구묘 전통이 이어진 측면이 있다. 고사부리성(古沙夫里城)을 통치한 귀족과 관료가 묻혔을 가능성이 크다』고 주장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백제시대 중앙과 지방관계, 정치세력 변천을 연구하는 단서가 될수있는 유적』이라며 『체계적 보존·관리·활용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psh59@yna.co.kr
● 정읍 고사부리성(古沙夫里城) :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산1-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gwancheong&logNo=221195490220 ● 정읍 고사부리성(古沙夫里城)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bogirang&logNo=22120044524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