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례절차 와 순서(葬禮節次와順序)
1. 유 언(遺言)
병자가 위독 상태에 빠지면 가족들은 침착하고 조용히 병자가 자손들에게 남기고 싶은 말, 가훈, 재산상의 처리 등을 대답하기 쉽게 묻고 그 대답을 기록 또는 녹음, 또는 여러 사람이 지켜 보는 가운데서 다른 사람이 대리로 받아 써도 된다. 이것이 바로 유언이다.
2. 임 종(臨終)
운명(殞命)이라고도 하는 임종은 숨지는 순간이므로 이때는 집 안팎을 깨끗이 치우고 정침(正寢)(시신을 모실 아늑한 방이나 자리)으로 옮겨 옷을 벗기고 새옷으로 갈아 입힌 다음 가족들도 옷을 갈아 입고 병자의 팔과 다리를 주무르며 운명을 기다린다.
3. 수 시(收屍)
운명하게 되면 당황하지 말고
가. 솜 또는 백지(한지)로 귀와 코를 막는다.
나. 눈을 감기고 턱을 받쳐 입을 다물게 한 뒤 머리를 높이 괸다.
다. 시체가 굳어지기 전에 손발을 고루 주물러서 펴고 자세를 바르게 하고 백지로 얼굴을 덮는다.
라. 두 손을 배위로 올려놓되 남자는 왼손을 위로하고 여자는 오른손을 위에 올려놓는다.
마. 백지 또는 베로 자세가 어그러지지 않게 손과 발을 묶는다.
바. 나무판(屍床)위에 시신을 옮겨 뉘우고 홑이불로 덮은 다음 병풍이나 가리개로 가린다. 그 앞에 고인의 사진을 모시고 양쪽에 촛불을 밝히 고 중앙에 향을 피운다. (제10항 설전 참조)
4. 발 상(發喪)
초상(初喪)을 알리고 상례를 시작하는 절차로서 검소한 옷으로 갈아입고 근심하며 애도하되 통곡은 삼간다.
謹弔(근조)라는 등을 달거나, 喪中(상중), 忌中(기중) 喪家(상가)라 써서 문밖 또는 길목에 붙인다.
5. 상제(喪制) 와 복인(服人)
가. 고인의 배우자와 직계자손은 상제가 된다.
나. 맏아들이나 맏손자는 주상(主喪)이 되고 복인(服人)의 범위는 8촌 이내의 친족으로 하고 복인들 중 남자상(喪)에는 흰 두루마기를 입으며 부상(父喪)이면 좌단(左袒 왼편소매)을 끼지 않고 어깨에 엇매며여자 상제들은 흰 옷을 입는다.
다. 상주는 고인의 장남이 되는 것이 원칙이며, 장남이 사망했으면 장손 이 상주가 되며, 장손이 없으면 차손이 승중(乘中)하여 상주가 된다.
라. 차손도 없을 경우에는 근친자가 상례를 주관한다.
6. 호 상(護喪)
가. 주상을 대신하여 장례에 대한 모든 절차를 주관하는 사람을 말한다.
나. 친지나 친척중에 상례에 밝고 경험이 많은 사람으로 정한다.
다. 호상은 장례에 관한 안내, 연락, 조객록(부의록), 사망진단서(법의,병 의원에서 발급하며,노환일때는 통,반장의 인후증명도 가능하다) , 사 망신고, 매장 허가신청(관할 읍,면,동사무소) 준비서류(사망진단서,
주민등록증) 등을 처리 할 수 있는 사람으로 정한다.
7. 장 일(葬日)
장일은 부득이한 경우를 제외 하고는 3일장으로 한다.
8. 부 고(訃告)
가. 가정의례준칙에는 인쇄물에 의한 개별 고지는 금지되어 있다.
나. 전화, 구두 또는 사신으로 장일과 장지(葬地)를 명확히 알린다.
9. 염(殮)과 습(襲)
습염은 입관하기 전에 시체를 깨끗이 닦고 수의(壽衣)를 입히고 입관(入棺)할 때까지의 절차로서 염습 또는 염이라고도 한다. 염은 소염(수의를 입히는 절차로서 사망 이튼날) 대염(사망 이튼날 오후 입관 할때까지의 절차)으로 나누어 한다. 순서는 먼저 소염으로 습의를 준비하고 향나 무 삶은 물(香湯水) 또는 쑥을 삶은 물로 시신을 정결하게 씻을 때 남자 는 남자가 씻기고 여자는 여자가 씻기는데 시신의 옷을 벗기고 홑이불 로 가리고 씻은 다음 시신을 시상(屍床)에 옮겨 방에 모신다.
※ 목욕 준비물
(1) 물그릇 둘- 시신의 위쪽과 아래쪽에 놓는다.
(2) 새 솜과 새수건 세벌 - 시신의 머리, 윗몸, 아랫몸을 닦는 것으로 각각 놓는다.
(3) 주머니 다섯 개 - 목욕후 머리카락과 좌우손톱, 발톱을 깍아 넣을 주머니.
(4) 빗 - 남녀 공용
시자는 목욕시킨 후 수건으로 씻고 머리에 빗질을 한다. 손톱, 발톱 을 잘라서 준비한 주머니에 넣었다가 대염(大殮)을 한 뒤에 이불속에 넣는다. 목욕한 물과 수건,빗은 마당에 구덩이를 파서 묻는다.
다음은 대염을 하는데 염은 장의사 또는 상조회사와 협의 시행한다.
10. 설 전(設奠)
설전이란 고인을 생시와 같이 섬기는 마음으로 올리는 것인데 술, 포,과일을 영정 앞 탁자위에 놓고 술을 딸아서 올린다. 이와 같이 염습이 끝날 때 까지 매일 한번씩 올리는데 절을 하지 않는다.
11. 입 관(入棺)
가. 염습이 끝나면 입관을 한다.
나. 입관할 때는 시신과 관벽 사이의 공간을 벽지나 마포, 휴지 또는 톱밥 등으로 꼭꼭 채워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다. 홑이불 을 덮고 천판을 덮어 은정(나무못)을 박는다.
라. 관 위에는 “ 직함(職銜) 본관(本貫) 000(이름)의 구(柩) ” 라고 쓰고 여자의 관에는 “ 유인(孺人) 본관(本貫)00t씨(氏)의 구(柩) ”라고 쓰 는 관상명정(棺上銘旌)을 꼭 써 둔다.
마. 입관이 끝나면 관 밑에 나무토막을 깔고 안치한 다음 관보로 덮고 결관(結棺)해 두는데 결관바(외울베)를 사용 한다.
바. 관(棺)은 병풍으로 가려둔다.
12. 성복(成服)과 성복제(成服祭)
가. 성복이란 정식으로 상복을 입는다는 뜻이다.
나. 성복을 한 후에는 성복 제사를 올리며 제사방법은 기제사에 준한다.
다. 전통 상복인 굴건제복을 할수도 있지만 제도의 간소화를 추구 하는 현시대를 감안하면 흰색이나 검정색의 한복, 또는 검정 색 양복을 입는 것이 옳을 것이다.
라. 신발은 흰고무신 또는 짚신(상주), 양복에는 검정색 구두, 흰색 치마저고리에는 흰색 고무신을 신는다.
13. 상 식(上食)
염습이 끝나면 아침 식사 시간에는 아침상식을 올리고 저녁 식사 시간에 저녁상식을 올리는데, 제물(祭物)은 메 와 갱(국), 술, 과일(대추,밤,배,곳 감,사과) 포, 식혜를 올리고 기제사와 같은 방법으로 지내나 축문은 읽지 않는다. 상식이 끝나면 모두 치우고 술과 과일만 남긴다.
14. 조 상(弔喪)
조상은 원칙적으로 성복후에 하여야 한다.
조객은 영구를 향하여 곡하고 두 번 절한 다음 다시 상주에게 절하고 인사 한다. 조상 할 때는 누구나 소복을 하거나 양복일 경우는 검정 색 양복을 입는다.
* 부의봉투 문구
근조(謹弔) 부의(賻儀) 조의(弔儀) 향촉대(香燭代)
15. 장지(葬地) 와 장일(葬日)
사망 이튼날 상주는 집사를 데리고 가서 묘지자리를 정하고 네 모서리에 말뚝을 세우고 친척이나 누구 한 사람을 시켜 후토제(后土祭)를 지내게 하고 장지(葬地)의 제반 준비를 할 수 있도록 준비 한 다음 돌아와 가족 친지와 상의하여 발인 날짜와 시간을 정한다. 장일은 부득이 한 경우를 제외하고 사망한 날로부터 3일째 날로 한다.
16. 발 인(發靷)
영구가 장지로 출발하는 절차인데 영구를 상여 또는 영구차에 옮겨 모시고 견전(遣奠)(발인제)을 지낸다.
상여 또는 영구차가 묘지까지 이르는 도중 노제(路祭)를 지내기도 한다. 이때에 조상하지 못한 조객들은 조상한다.
17. 하관(下棺) 과 성분(成墳)
○ 山 神 祭 (산신제)
상주의 친지 중에서 상주를 대신하여 산신제를 지낸다 제수를 마련하여 축문을 읽고 묘소의 보호를 의뢰하는 제사를 올리는 것이다
산신 제수 음식은 상가 집에서 만들지 않는다 깨끗해야 하기 때문에 밖에서 만들어 가야 한다
상여가 장지에 도착하기 전에 장지에서 일하는 일꾼을 '산역꾼'이라 한다.
산역꾼과 지관은 장지 근처의 바위나 개울가에 가서 술, 과일, 어포를 차려 놓고 오늘 이산에 손님이 들어오니 산신께서는 손님을 잘 보살펴 달라'고 빌면서 산신제(山神祭)를 지낸다.
○ 個 土 祭 (개토제)
광정을 파기전에 재일먼저 제를 지낸다 광정을 팔자리에 제수를 차리고 제를 지낸다 토지 신 에게 올리는 예다
묘를 쓸 자리에 명태를 막대기나, 삽에 묶어 꽂아 세우고, 그 주위에 술을 뿌리고는, 개토제(開土祭)를 지낸다.
하관 하기전에 선산 제일 윗대조에 먼저 고사(告事)제를 지낸다음 하관을 하며 하관이 끝나면 관을 깨끗이 씻고 구의(柩衣)와 명정 (銘旌)을 관에 반듯하게 덮는다. 합장일 경우에는 남좌여우로 한다.그리고 상주는 삽으로 깨끗한 흙을 떠서 관의 상하 좌우에 “ 취토! 취토! 취토! “ 하고 세번 외치면서 흙을 던진다. 흙을 채울때는 한자 쯤 채우고 다진다.
달고 팀이 있으면 달고를 하면서 계속 다진다. 그위에 지석을 묻고 성분(成墳)한다. 봉분을 완성한 후 성분제(成墳祭)를 올린다. 성토제를 평토제라고도 한다
○ 平 土 祭 (평토제)
성분역사가 완전히 끝나지 않더라도 백관에게 뒷일을 맞기고 평토제를 지낸후 상주는 혼백을 모시고 귀가한다 집에 도착하면 안상주 들은 대문 밖으로 나와서 혼백을 맞이하여 안. 박상주가 마주 읍곡(揖哭)하고 혼백을 빈소에 모신다
18. 반곡
장례가 끝난 뒤 상주 이하가 요여를 모시고 귀가하면서 곡하는 것을 말한다. 집 대문이 보이면 다시 곡을 한다. 집사는 영좌를 미리 만들어 놓았다가 상주가 집에 도착하면
축관으로 하여금 신주를 모시게 하고 신주 뒤에 혼백함을 모신다. 그러면 상주 이하가 그앞에 나아가 슬피 곡을 한다.
장지에서 혼백을 다시 집으로 다시 모셔오는 것을 반혼(反魂)이라 한다.
18. 우 제(虞祭)
가. 초 우(初虞)
초우는 장례를 마치고 돌아온 그날 저녁에 영좌에 혼백을 모시고 정식 제례로 기제사와 같은 방법으로 지낸다.
나. 재 우(再虞)
초우제를 지낸 다음날 아침에 재우 제를 지낸다.제사 지내는 방법은 초우제와 같다.
다. 삼 우(三虞)
삼우제는 재우제를 지낸 다음날 묘소(墓所)에 가서 묘의 성분 (成墳) 상태를 살펴보고 간소한 제수를 진설하여 제를 올린다.
제사 지내는 방법은 초우와 같다.
19. 졸곡제(卒哭祭)
삼우제를 지낸 뒤에 지내는 제사이며 사람이 죽은지 석달(90일) 만에 오는 첫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을 택하여 지내는 제사
이다. 현대(現代)에는 귀천이 없이 석달만에 지내지만 고례(古例)에 의하면 대부(大夫)만이 석달만에 지내고 사(士)이하는 한달
만에 지낸다. 제사방법은 초우제와 같다.
20. 소 상(小祥)
초상을 치른지 만 1년이 되는 날 지내는 제사이다. 현대에는 생략하는 제도이다.
21. 대 상(大祥)
소상이 지난지 1년, 즉 사망후 만 2년만에 대상을 지낸다. 현대에 는 생략하는 제도이다.
22. 탈 상(脫喪)
상기(喪期)가 끝나 복(服)을 벗는 절차이다.
부모(父母), 조부모(祖父母), 배우자(配偶者)의 상기(喪期)는 사망한
날로부터 100일(졸곡제)까지를 원칙으로 하고, 기타(其他)의 경우에 는 장일(葬日)까지로 한다. 상기(喪期)중 신위를 모셔두는 궤연(? 筵)은 설치하지 않으며 탈상제(脫喪祭)는 졸곡제(卒哭祭)를 겸하여 올리기도 하며 뱡법은 기제(忌祭)에 준하여 올린다
장례절차 및 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