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산부 치료에 쓰이는 약물은 비교적 안전하다고 보고되었다 할 지라도 신약보다는 과거로부터 오랜 기간 동안 안전하다고 평가받은 약물을 투여하기를 권장합니다.
|
미국 FDA category 분류 |
|
미국 FDA에서는 태아에 약물이 미치는 영향을 카테고리 A (가장 안전한 경우)부터 카테고리 X (태아에 대한 기형발생 가능성 있으므로 사용 금지)까지 다섯 가지 카테고리로 구분하였습니다. |
|
Category A |
인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임신 초기에 태아에 대해 위험을 증명할 수 없는 경우(임신 말기에도 위험의 증거가 없는 경우)로서 태아에 해를 주는 것과 거리가 먼 경우 |
Category B |
동물실험에서 태아에 대한 위험이 나타나지 않았거나, 인체를 대상으로는 확실하게 증명되지 않은 경우. 동물실험에서 유해한 영향을 나타냈으나, 임신 초기의 여성에서 증명이 안된 경우(임신 말기 위험의 증거는 없음) |
Category C |
동물실험에서 태아에 유해한 영향(기형, 태아사망 등)을 나타냈으나 인체에 대한 실험결과가 없는 약물, 또는 인체나 동물에 있어서의 연구가 아직 없는 약물(태아에 대한 위험성 보다 엄마 몸 에 대한 유익성이 클 경우에만 사용) |
Category D |
태아에 대한 위험이 증명되었으나 산모에 사용함으로써 얻는 이익이 태아에 대한 위험보다 큰 경우(임부의 생명이 위급한 경우나 다른 약물로 효과가 없는 경우에만 부득이하게 사용) |
Category X |
인체와 동물 모두에서 태아의 기형이 증명된 약물 (임산부, 가임 여성에게 금기) | | |
|
|
기형 가능 약물 예시 (teratogens) |
|
기형을 유발하므로 산모에게 꼭 필요한 약물이 아니라면 임신 중 피해야 할 약물들의 예시입니다. ( )는 FDA 분류입니다. |
|
 |
테트라사이클린(Tetracycline) - 항생제 (D) |
|
|
|
 |
이소트레티노인 (Isotretinoin) - 비타민 A 유도체, 여드름 약 (X) |
|
|
|
 |
메칠 수은 (Methyl mercury) (X) |
|
|
|
 |
에탄올 (Ethanol) (D) - 음주 |
|
|
|
 |
탈리도마이드 (Thalidomide) - 항암제 (X) |
|
|
|
 |
카르바마제핀(Carbamazepine) - 항전간제 (D, 두개안면기형, 손톱기형) |
|
|
|
 |
리튬 (Lithium) - 정신신경용제 (D, 심장기형) |
|
|
|
 |
발프로산 (Valproic acid) - 항전간제 (D, 중추신경계기형) |
|
|
|
 |
와파린 (Warfarin) - 혈액응고저지제 (X, 안면기형, 중추신경계기형) |
|
|
|
 |
페니토인 (Phenytoin) - 항전간제 (D, 두개안면기형, 사지기형, 성장장애) |
|
|
|
 |
비타민 A (Vitamin A) - (비타민제) (X 두개안면기형, 심장기형, 중추신경계 기형) |
| | |
|
위 약물 중 항전간제 및 몇 의약품은 환자 및 태아의 보호를 위하여 의료진의 판단 하에 투여 가능할 수 있습니다.
|
|
임신 중 주의해야 하는 약물과 FDA 분류 |
|
임신 시 약물을 복용해야 할 경우는 전문의의 충분한 설명과 자세한 상담을 거친 후 계획을 세운 후 복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복용하는 동안 및 사후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해야 합니다. |
|
 |
진통/해열제 : 아스피린 (Aspirin) (D) (C) |
|
|
|
 |
항응고제 : 와파린 (Warfarin) (X)
|
|
|
|
 |
항경련제 : 페니토인 (Phenytoin) (D), 카르바마제핀 (Carbamazepine) (D), 발프로산 (Valproic acid) (D), 페노바르비탈 (Phenobarbital) (D) |
|
|
|
 |
혈당강하제 : 인슐린 (Insulin) (B 또는 C, 인슐린 종류에 따라 달라짐) 당뇨 관리가 잘 이루어 지지 않거나 적절한 치료를 하지 못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저혈당 및 고혈당은 기형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의료진의 판단 하에 인슐린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
|
|
|
 |
항생제 :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아미카신 (amikacin) (D), 겐타마이신 (gentamycin) (D), 토브라마이신 (tobramycin) (D), 네오마이신 (neomycin) (D), 카나마이신 (kanamycin) (D)], 테트라사이클린 (Tetracycline) (D) (B) |
|
|
|
 |
심장약 : 베타차단제류 (Beta-blockers), 아테놀올 (atenolol) (D), 프로프라놀올 (propranolol) (C) |
|
|
|
 |
비타민 : 비타민A (Vitamin A) (X), 이소트레티노인 (Isotretinoin) (X) |
|
|
|
 |
기타 : 알코올 (Alcohol) (D), 흡연 (매일 10개피 이상 흡연 시 자궁 내 발육부전, 미성숙, 유산 등의 빈도가 증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