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희경 소설집 《타인에게 말 걸기》
작가 은희경의 중단편 소설 9편을 담은 소설집으로, 세상과의 교섭에 심리적 장애를 겪고 있는 구성작가 영신의 갈등과 타자와의 단절된 여성상을 그린 <열쇠>를 비롯하여 <그녀의 세 번째 남자>, <연미와 유미> 그리고 그녀의 데뷔작이자 신춘문예 당선작인 〈이중주〉등을 엮었다.
은희경
은희경은 1959년 전라북도 고창에서 태어나 숙명여대와 연세대 대학원 국문과를 졸업했다. 199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중편소설 〈이중주〉가 당선되었고, 같은 해 첫 장편소설 〈새의 선물〉로 문학동네 소설상을, 1997년 첫 소설집 〈타인에게 말 걸기〉로 동서문학상, 1998년 단편소설 〈아내의 상자〉로 이상문학상, 2000년 단편소설 〈내가 살았던 집〉으로 한국소설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장편소설로는 〈마지막 춤은 나와 함께〉, 〈그것은 꿈이었을까〉, 〈마이너리그〉, 소설집 〈행복한 사람은 시계를 보지 않는다〉등이 있다.
잠이 안 올 때 싱글몰트 위스키를 마시고 기분 좋은 날에는 혼자 단맛이 적은 레드 와인을, 친구들과는 생맥주로 폭음하기도 한다. 우울한 날엔 마시지 않기로 하고 있지만 유연하게 대처한다. 정장이 안 어울린다는 핑계로 청바지와 미니스커트를 즐겨 입는다. 하이힐을 신고도 웬만한 등산에 지장이 없다. 만리장성을 포함, 하프 마라톤을 여러 번 완주했지만 조금이라도 폐를 끼치는 존재가 될까봐 여럿이 함께 하는 운동은 하지 못한다. 동료들이 재미삼아 ‘개그 소녀상’을 줄 만큼 농담을 좋아하는데 사회적 교양을 저버리기까지는 조금 시간이 걸린다. 글을 쓰기 위해 자주 낯선 곳에 가고, 도착하면 맨 먼저 커피집과 산책로를 알아본다.
나무와 나무이름에 관심이 많지만 집에 화분은 두지 않는다. 3시간의 여유가 있으면 영화를 보고, 3일이면 여행계획을 짠다. 유럽도시 카페와 로키산맥 캠핑장을 좋아한다. 개콘과 소지섭, 못 밴드와 키비를 좋아하고, 예쁜 사람들을 편애한다. 무신경하고 무례한 사람들은 좋아하지 않는다. 평소에 쇼핑을 즐기지 않기 때문에 급히 물건을 비싸게 산다. 정교하거나 독창적인 물건을 좋아하며 마음에 안 드는 건 갖지 않기 때문에 가진 게 별로 없다. 좋아하는 사람들과 술 마시며 여행계획을 짤 때가 가장 즐겁다고 한다. 마음에 드는 소설을 썼을 때는 빼고... [출처-인터넷 교보문고]
― 목차
- 그녀의 세 번째 남자
- 특별하고도 위대한 연인
- 연미와 유미
- 짐작과는 다른 일들
- 빈처
- 열쇠
- 타인에게 말 걸기
- 먼지 속의 나비
- 이중주
- 해설 황종연/나르시시즘과 사랑의 탈낭만화
- 작가의 말
은희경 소설의 매력은 소설의 서사 진행과정 중 독자들 옆구리를 치듯 불쑥 인생에 대한 단상을 날리는데 있다. 그녀의 소설을 흔히 사랑소설 혹은 연애소설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은희경은 “궁극적으로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의 상투성’과 그로 인해 초래되는 진정한 인간적 소통의 단절”이라고 한다. 그녀를 따라 다니는 또 하나의 평가는 ‘냉소적’이라는 것이다. 그녀는 사랑과 인간에 대해 환상을 깨고 싶어 한다. 그녀는 “사랑의 가장 커다란 병균은 사랑에 대한 환상”이다고 말한다. 그녀는 사랑에 관한 이 치명적인 환상을 없애기 위해 사랑을 상대로 위악적인 실험을 벌이고 있는 것이다. [다음의 북어워드]
“어느 날 그녀는 깨달았었다. 그와 그녀, 그들처럼 사랑하면서 더 이상 서로에 대해 알 것이 없는 사람들은 누구나 결혼해 있다는 것을. 사랑은 서로 마주보는 것이 아니라 함께 같은 방향을 바라보는 것이다. 그 말은 그녀가 중학교 때나 좋아했던 어떤 프랑스 소설가의 말이었다. 그러나 그 말이 서로를 애증에 차서 노려보게 될 즈음이면 이제 슬슬 아이를 낳고 집을 장만하는 일상의 길로 함께 접어드는 것이, 언젠가는 끝나기 마련인 사랑에 종말로 향해가는 가장 바람직한 수순이라는 뜻인 줄은 몰랐었다.”(56쪽-〈그녀의 세 번째 남자〉중에서)
“내게 소설 쓸 시련을 주고 게다가 그렇게 해서 씌어진 소설이 제대로 시련을 반영했는지 채찍질까지 아끼지 않았던 두 사람의 독설가에게 감사드린다. 문학동네 식구들에게도 이 시련을 통해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 그리고 부모님과 가족들, 그들의 배려가 없었다면 아마 이 책이 나오기까지 훨씬 많은 시간이 걸렸을 것이다. 함부로 쏜 나의 화살들, 내 손가락을 찢고 어디로 가 박힐는지.”
(359쪽 작가의 말 중에서)
발행된 지가 꽤 오래되기는 했지만 은희경이란 여류작가의 소설을 틈틈이 읽으면서 사랑의 의미와 깨알 같은 이야기 전개를 보았다. 작품 해설에서 황종연은 “은희경의 중단편에서는, 《타인에게 말 걸기》에서 특히, 그러하듯이 우리 시대 개인들이 처한 실존적 정황과 한 점 환상 없이 대면하려는 어떤 냉철한 이미지 같은 것이 느껴진다. 그녀의 지성은 공동체적 삶에 대한 향수나 사해동포의 이념에 전혀 훼방을 받지 않으며, 단자화된 개인들이 이루는 삭막한 현실의 핵심을 곧바로 관통한다. 그녀는 사람사이의 끈끈한 유대가 사랑과 결혼이라는 가장 친밀하고 사사로운 영역에서조차 사라졌음을 지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상실을 벌충하려는 어떠한 낭만적 기획도 꿈꾸지 않는다. 그녀의 소설에서는 오히려 삶의 산문성을 담담하게 수락하는 태도가 소중한 삶의 덕목이 되곤 한다.고했다. 참 적절한 평가라는 생각이 든다.
코로나19로 모두 마음고생이 심하고 사는게 힘드리라 생각된다. 내 인생에서도 이런 상황은 처음 겪는다. 이럴 때일수록 서로 배려하고, 사랑하면서 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