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들이 궁금해 하는 질문
1. 치아홈메우기가 효과가 있는 것인가요?
기존의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을 보았을 때 치아홈메우기를 시행하였을 때 시행하지 않은 것에 비하여 일 년간 78% 의 우식감소를 보였다고 하였으며, 4년 이상에서 결과 비교에서 59%의 감소를 보인다고 하였습니다. 치아홈메우기는 건전한 소와 열구면의 우식의 진행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 충치가 있는 경우 치아홈메우기를 못하나요?
와동을 형성하지 않은 (법랑질에 국한된 충치) 우식증에 치아 홈메우기 술식이 시행된 경우 충치의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그러나 실란트 주변에 미세누출이 있는 경우 충치가 진행 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는 충치가 있는 경우 충치를 제거하고 복합 레진 충전 및 홈메우기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3. 치아홈메우기하면 자주 떨어지는데 계속해야 하나요?
전색제가 잘 유지되고 있을 때 충치 발생 억제효과가 지속될 수 있으며 또한 떨어진 부위와 치아면 사이에 층이 이루어지므로 이 부분은 치태가 쉽게 침착되어 우식이 발생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치아 홈메우기가 떨어졌을 경우 다시 시행하여 주는 것이 원칙입니다. 단, 전색제의 파절이 아닌 장기간의 사용에 따른 마모에 의한 소실은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4. 치아홈메우기와 불소도포의 차이는?
치아 홈메우기는 말 그대로 치아의 씹는 면의 깊은 소와 열구(홈) 부위의 우식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반면 불소도포는 치아표면의 칼슘 성분과 불소가 반응함으로써 일차적으로 불화칼슘이 형성되고, 그 중 일부가 불화인회석으로 변화되어 치아의 탈회를 억제하고 재석회화를 촉진하게 됩니다. 따라서 치아의 넓은 면 (입술면, 혀면, 그리고 인접한 면)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두 술식은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병행하여 시행하는 것이 우식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불소도포를 하면 치아홈메우기는 하지 않아도 되나요?
두 술식은 다른 목적을 가지므로 동일하게 여기면 안됩니다. 다만 불소도포와 치아홈메우기를 동시에 하는 경우 불소도포를 먼저 시행하는 것은 치아 홈메우기의 적용에 방해를 주므로 치아 홈메우기를 먼저 시행할 것을 권장합니다.
6. 치아홈메우기는 영구치에만 하나요?
유치열에서의 우식양상에 있어서 인접면 우식이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씹는 면의 우식 또한 자주 발생하게 되므로 치아 홈메우기가 효과가 없다고 말할 수는 없습니다. 단 치아 홈메우기를 시행하더라도 치아의 인접면 우식증이 발생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첫댓글 좋은 자료에 감사 꾸벅...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