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비름에 얽힌 이야기
옛날, 아버지를 여의고 나이 많은 어머니와 세 아들이 함께 사는 집이 있었다.
맏아들과 둘째 아들은 장가를 들어 가정을 꾸렸지만 막내아들은 아직 총각이어서
늘 쓸쓸하게 지냈다. 늙은 어머니는 막내아들이 혼자 지내는 것이 안쓰러워
민며느리를 들이기로 했다. 그래서 중매쟁이를 통하여 가난한 집 처녀를 돈을 주고 사서
막내아들의 민며느리로 삼았다. 그런데 늙은 시어머니와 큰 동서는 이제 열네 살밖에 안 된
어린 며느리가 마음에 들지 않아 심하게 구박했다.
다 헤어진 옷을 입히고 먹다 남긴 음식을 주었으며 힘들고 어려운 일만 시켰다.
그뿐 아니라 걸핏하면 막내며느리한테 욕을 하고 때리기까지 했다.
“거지같은 게 일은 안하고 게으름만 피워.”
“글쎄 말이 예요.”
그러나 둘째 동서는 마음씨가 착하여 막내며느리가 울고 있으면 위로해 주기도 하고
맛있는 음식이 있으면 몰래 남겨 두었다가 주기도 했다.
그런데 그해 여름 이질이 유행하여 많은 사람이 죽었다.
이질은 설사에 피가 섞여 나오는 병으로 불쌍하게도 막내며느리도 이질에 걸리고 말았다.
막내며느리가 배가 아프다면서 앓는 것을 본 큰 며느리가 시어머니한테 가서 말했다.
“어머니, 저 거지 같은 애가 이질에 걸렸나 봐요.
그대로 두면 우리한테 옮을지도 모르니 일찌감치 내쫓아 버립시다.”
“돈 주고 사온 며느리인데 내쫓아 버리면 너무 아까우니 좀 더 두고 보다가 병이 나으면 또 부려먹지.”
시어머니는 막내며느리를 밭에 있는 움막으로 보냈다.
막내며느리는 너무 슬펐다.
남편은 아직 어려서 아무 것도 몰랐고 어디 기댈 곳도 하소연할 곳도 없었다.
“이렇게 살면 뭐 하나, 차라리 죽는 게 낫지.” 밭 옆에는 마침 우물이 하나 있었다.
막내며느리가 우물에 뛰어들어 죽으려고 하는 순간 둘째 며느리가 급히 달려와 말렸다.
“동서, 죽으면 안 돼. 아직 살아야 할 날이 얼마나 많은데 죽으면 어떻게 해.
앞으로 좋은 날이 올지 어떻게 알아. 자, 내가 죽을 쒀 왔으니 이걸 먹고 힘을 내.
그리고 며칠 기다려. 내가 의원한테 가서 약을 지어 올게.”
둘째 며느리의 위로에 막내며느리는 마음을 고쳐먹고 밭에 있는 움막에서 살기로 했다.
그러나 약을 지어 오겠다던 둘째 며느리는 여러 날이 지나도 오지 않았다.
배가 고프고 지친 막내며느리는 밭둑에 있는 풀을 뜯어서 삶아 먹으며 허기를 달랬다.
그런데 며칠 동안 풀을 뜯어먹고 나니까 배도 아프지 않고 설사도 멈췄으며 몸이 가뿐해졌다.
“야! 병이 다 나았다. 이제 집으로 돌아가야지.” 막내며느리는 기뻐하며 집으로 돌아갔다.
그런데 집에 오니 어찌된 일인지 대문에 삼베 조각이 걸려 있는 게 아닌가.
조금 있으니까 막내며느리의 남편이 상복을 입고 나왔다.
“아니 어찌 된 일이예요?”
“어머니와 큰 형수님이 이질로 돌아가셨소. 그리고 둘째 형수님도 이질로 앓아누워 있소.
그런데 당신이 아직 살아 있다니 어찌 된 거요?”
“밭에 있는 풀을 뜯어먹고 병이 나았어요.”
막내며느리는 곧 앓고 있는 둘째 며느리한테 갔다.
“네가 아직 살아 있다니. 내가 이 꼴이 되어서 너에게 약을 가져다주지 못했구나.
정말 미안하다.”
“형님, 저는 밭에 있는 풀을 뜯어먹고 병이 나았으니 제가 그 풀을 뜯어 올게요. 그걸 먹으면 나을지도 몰라요.”
막내며느리는 들에 나가 그 풀을 뜯어서 끓여 둘째 며느리에게 갖다 주었다.
과연 그 풀을 먹고 나니 둘째 며느리의 병이 나았다.
이질을 낫게 한 그 풀의 잎 모양이 말의 이빨을 닮았다고 해서 사람들은 이름을 마치현(馬齒 )이라 불렀다.
마치현을 우리말로는 쇠비름이라고 부른다.
파이 서비스가 종료되어
더이상 콘텐츠를 노출 할 수 없습니다.
자세히보기
첫댓글 쇠비름이 어떤 풀이었나 무척 궁금했는 데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알게 되어 너무 기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