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어디까지인가.
노력은 인간이 하고 일은 하늘이 만든다 하였는가.
돈은 개인이 만드는가 하늘이 주는가.
누가 돈은 여자와 같다고 했다.
쫓아가면 달아나고 무심하면 따라오는가.
돈그릇은 하늘이 준다.
큰 그릇을 받은 자 크게 갖고 작은 그릇을 받은 자 작게 갖는다.
억지로 그릇을 키우려 하는 자, 불행을 부른다.
돈은 모래와 같은 것 손으로 많이 쥐어도 어느새 빠져 나간다.
욕심을 부린다고 될 일이 아님을 알아야 현명하다.
돈은 불과 같은 것. 너무 가까이 가면 타서 죽고 너무 멀리 있으면 얼어 죽는다. 알맞은 거리를 만드는 자, 지혜롭다.
가난한 자는 더 가지려는 자,
부유한 자는 남과 비교하지 않는 자,
쉽고 또 쉬운 길을 아무도 쉬이 가지 못하다니,
어렵고 또 어려운 것인가.
사회적 지위란 무엇일까.
기준이 무엇일까.
어느 시점일까.
누가 판단하는가.
남은 날들을 어떻게 꾸려나가야 하는가.
더 그릇을 넓혀야 하는가.
있는 그대로 흐름에 맡겨야 하는가.
아니면 흐름을 미리 당겨서 줄여야 하는가.
잔가지를 쳐내고 새롭게 틀을 잡아 나가야 하는가.
아니면 한 발 뒤로 물러서서 흘러가는대로 지켜보아야 하는가.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어디까지인가.
범위를 넓혀야 하는가 좁혀야 하는가 아니면 그대로 놔두어야 하는가.
하는 데까지 해 볼까 그냥 하늘에 내맡겨 놓을까.
우리가 해온 방법 방향 이대로 좋은가 바꾸어야 하는가.
큰 길은 그대로 가고 골목길은 들어가지 않아야 하는가.
큰 길에 닿아 있더래도 작은 길이면 이제 보지 말아야 하는가.
크고 작은 것은 어떻게 구별해야 하는가.
우리 삶의 하산길에서, 굳이 새로운 것을 시작해야 하는가.
있는 일들을 가지치면서 천천히 느리게 가다듬는 것이 잘 하는 일인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첫댓글 연약한 아녀자,영희에게만 4연속 짐을 지우기 싫어 '맹꽁맹꽁'했음니.
사람의 삶에 오직 하나의 정답만 있다면 너무 힘들고 피곤하고 재미 없겠지? 곰퓨터 고쳤는데 시원치 않아 다시 고치러 왔다. 고만 중단.
이 나이가 되면 모든 길이 확실히 보이고 판단 또한 정확하리라 생각했습니다만....
스무가지 이상의 질문에 자신있게 답할게 없다. 굳이 답을 구하려는건 아니었겠지만 잠시 멈추어 생각해본다는것만으로도 훌륭하다. 그러나 한가지, 하산길? .....친구여 우리 조금 더 머무르다 내려갈 준비하는게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