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7년 서력 연호 (韓中日) | 대한민국(임시정부) | 독립운동 | 일본·세계 동향 |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1927 丁丑 大韓民國9 中華民國16 昭和2 | 1.7 | 임시의정원 제23회 회의 개회 | 1.12 | 임정, 約憲 개정안을 임시의정원에 제출 | 1.15 | 임시의정원, 約憲草案을 부결하고 約憲起草委員을 새로 선출 | 1.17 | 임정, 직제를 노농위원제로 개정 | | |
고려혁명당 관련기사 대한통의부 이창욱 피착 기사 | 1.2 | 환인현에서 중국 保甲隊의 습격으로 참의부 2중대장 金龍澤 등이 체포되고 車日甫 전사 | 1.초 | 불이 서선농장 소작인, 소작조건 개선과 수리조합비 감액, 개간비 보상을 주장하는 비밀진정서를 645명이 서명하여 평안북도 지사에게 제출 | 1.16 | 한인 공산주의계 여성운동의 조직인 (재)동경조선여자청년동맹 창립 | 1.19 | 신석우 등, 신간회 발기인대회 개최 | 1.20 | 고려혁명당 사건으로 서광훈·오성환·조귀용·장지필 등 형평사 총본부 간부 체포 / 고려혁명당 관계자 87명 피검 | 1.22 | 고려혁명당 관련 간부 체포되어 신의주감옥에 移送(1.27. 起訴됨) | 1.27 | 고려혁명당 8명, 신의주 지방법원 검사국에 送局 | 1.28 | 신민부 중집위원장 金爀 등 11명, 石頭河에서 검거됨 | 1.30 | 대한통의부의 李昌旭, 초산경찰서에 피체 | 1.31 | 일본수평사 중앙위원이며 四國水平社 위원장으로 서울에 도착한 高丸義男, 형평사 총본부 방문, 장지필과 회담 |
| 1. | 중국 武漢·의 민중, 한커우(漢口)의 영국 조계를 탈환 | 1.6 | 中, 지우장(九江)의 영국 조계를 탈환 | 1.20 | 日, 民政·政友·政友本黨 三黨首 회담 | | 영국대사, 日에 상해 공동 出兵을 제의 |
| 2.14 | 吉林 대동공사에서 개최된 안창호 강연회장을 만주군경 100여 명이 포위, 안창호 등 200여 명 검거(21일만에 석방) | 2.15 | 임시의정원, 집단지도체제의 臨時約憲을 통과 | 2.25 | 임시의정원, 大韓民國 新臨時約憲(제3차 개헌)을 통과, 수반제를 없애고 집단지도제로 개편 |
신간회 창립 사진 | 2.1 | 정의부가 정치투쟁에로의 운동방향 번환을 위하여 政友會 해체를 결의 | 2.3 | 金虎門사건의 宋學先, 경성고등법원에서 사형 확정 | 2.상 | 정의부원 文學彬, 盤石縣에서 정의부 소속 헌병대 조직(대장 안홍) | 2.8 | 불이 서선농장, 소작조합 결성하고 공동판매부 설치 | 2.10 | 허헌·김법린, 국제반제국주의대연맹 참석(브뤼셀), 排日결의안을 제출 | 2.12 | 신간회 발기인 총회, 조선민흥회 흡수승인 | 2.15 | 서울 YMCA에서 新幹會 창립(회장 이상재, ~1931) | 2.17 | 고려혁명당원 李東甫, 동대문경찰서에 피체 | 2.19 | 吊京 조선인단체협의회가 26개 단체의 참가로 결성 | 2.21 | 정우회, 통일적 정치투쟁으로의 전환을 위해 해체선언 | 2. | 南京에서 동방피압박민족연합회 결성(회장 김규식) / 오우영·장상중 등에 의해 조선자유노동자조합 설립 |
| 2.7 | 日, ‘大正天皇’의 大喪儀式 | 2.11 | 멕시코정부, 교회재산의 국유화를 명령(외국 목사등을 추방) | 2.21 | 中, 우한(武漢)국민정부 수립, 수반 汪兆銘 | 2.23 | 日, 악법반대전국무산단체협의회 결성 | 2.26 | 日, 憲政會·政友本黨의 제휴 성립 |
이상재 | 3.5 | 大韓民國臨時約憲(제3차 개헌) 공포, 集團指導體制인 국무위원제 채택. 공보 47호 발행 | 3.21 | 상해에서 한국유일독립당상해촉성회 창립 |
상해한인청년회 창립기사 | 3.1 | 金尙爐 등 400여 명, 의주 榮山수리조합출장소 습격, 4명 살상, 방화 | 3.11 | 고려혁명당 鄭伊衡, 동지 6명과 함께 하얼빈에서 피체(4.20 신의주지법에서 정이형 무기징역 언도, 1945.8.17 공주 형무소에서 출옥) | 3.14 | 안동군 풍서농우회원 쟁의 중 경찰에 피검 | 3.19 | 재일 한인단체(19개), 조선인단체협의회 조직 | 3.24 | 상해 일본영사관 폭파사건 피고 張鎭元·崔炳善, 長崎지방법원에서 무기징역 언도 | 3.25 | 6.10만세운동으로 체포된 李炳立·朴河釣·柳冕熙·朴龍圭·李東煥 등 11명, 경성복심원에서 징역 1년을 선고받음 | 3.26 | 상해한인청년회 창립 | 3.30 | 李商在 사망(1850~1927) → 4.7 최초의 사회장 거행(4.21 간도 한인 34개 단체 합동추도식) |
| 3.1 | 日, 전일본농민조합 결성 / 明治節 제정 | 3.14 | 미국, 팬아메리카 항공회사 설립 | 3.24 | 中, 국민혁명군, 난징(南京)을 점령. 영국 영사관 습격당함. 영미 군함, 난징 시내를 포격. 日 南京학살사건 발생 | 3.30 | 日, 은행법 공포 | 3. | 中, 康有爲 사망 / 북벌군, 남경을 점령 |
| 4.1 | 한국노병회 제5회 정기총회 열림 | 4.10 | 國務領 김구 및 內閣, 제3차 개헌에 맞춰 사직 / 在美 歐美委員部 金鉉九, 독립운동 8개년계획 발표 | 4.11 | 대한민국 임시약헌(3차 개헌) 시행, 국무위원제 시작 / 上海 三一堂에서 韓國唯一獨立黨 上海促成會創立總會 개최 | 4 | 관리정부형태를 지향한 대한민국임시약헌(4차) 공포. 집단지도체제인 국무위원제로 개편 |
| 4.1 | 안창호, 재만동포의 산업교육발전을 위해 吉林省 大東門에서 農民互助社를 조직 / 원산지역 아나키스트들, 본능아연맹 결성. 본능아연맹은 아나키즘 선전활동에 주력하면서 공산주의자들에 반대하는 활동을 전개 | 4.10 | 강원도 영월군 상동면 주민, 戶稅인상에 항의, 면사무소 습격 | 4.15 | 新民府·正義府·參議府 대표, 3부 통합과 유일당 조직을 토의하기 위하여 제1회 대표회를 吉林縣 新安屯에서 개최 / 宇垣一成 임시총독 부임 | 4.17 | 京城帝國大學 예과, 6·10만세운동 관계학생 불합격시킴 | 4.20 | 스티븐스를 사살한 張仁煥, 미국에서 출옥 후 귀국 | 4.28 | 신간회 間島지회 설립 | 4 | 安光泉·李英·李珖 등, 조선공산당 야체이카 형성 |
| 4.1 | 日, 병역법 공포 | 4.3 | 日, 漢口에서 중국인과 일본육전대 충돌(한커우 사건) | 4.12 | 中, 상해에서 蔣介石, 반공 쿠데타(4.12 쿠데타) | 4.17 | 日, 若槻禮次郞 내각 총사직 | 4.18 | 中, 蔣介石, 남경에 국민정부를 수립. 공산당 배격(청당)을 선언 | 4.20 | 日, 다나카 기이치(田中義一) 내각 성립 / 中, 蔣介石 南京政府 성립 | 4.22 | 日, 모노토리움 실시 | 4. | 中, 공산당 5전대회(무한) |
| 5.8 | 金星淑 등 170명, 廣東에서 한국유일당 광동촉성회 조직 | | |
조헌영 한용운 | 5.1 | 조선소년운동협회, 어린이날 기념식 거행 | 5.4 | 金堤 노조원 500여 명 파업 | 5.5 | 함흥폭탄사건의 安履賢, 7년만에 출옥 | 5.6 | 형평사 제5회대회에서 결의한 형평사 선언을 경찰이 배포금지 | 5.7 | 신간회 도쿄지회 설립(회장 조헌영) / 경성 又春館에서 장인환 귀국 환영식 거행 | 5.10 | 신간회 全州지회 설립(회장 白龍熙) / 公娼廢止期成會, 朝鮮公娼廢止申請書를 총독에게 제출 | 5.17 | 전남 황룡강유역 농민, 일본인에 의한 수리조합 설치계획에 반대 | 5.19 | 金虎門사건의 宋學先(서울, 1893~1927), 서대문형무소에서 사형 | 5.25 | 신간회 경성북부지회 설치준비위원회 개최 | 5.26 | 참의부원 6명, 평북 초산군에서 밀정 백운기·이공신 사살 / 淑明女學校 생도 400명, 韓人교사 채용증가 요구 및 일제식민지 여성교육에 반발하여 동맹휴학 | 5.27 | 槿友會 창립 | 5.28 | 신간회 咸平지회 설립 / 신간회 부산지회 창립대회 금지령 | 5.30 | 신간회 宣川지회 설립 | 5.31 | 형평사 총본부 상무집행위원 李東煥, 불온한 衡平歌 배포혐의로 경찰에 체포 | 5 | 의열단, 독립촉성에 관한 선언문 발표 / 적기단 단원 정현·엄창범·김창화 등이 안도현에서 활동하다가 중국 보위단에 피체 |
| 5.7 | 日 衆議院, 樞密院彈劾決議案을 가결 | 5.9 | 일본은행특별융통·손실보상법·대만은행구제법 공포 | 5.28 | 日, 중국의 일본인 보호를 명목으로 제1차 山東 출병 | | | | | | | | | | | | | | | | | | | | | | |
근우회 창립 기사 | 신간회 경성지회 창립 | | 6.26 | 임시의정원, 임시정무위원회잠행조례 통과, 李東寧·金朋濬 ·趙完을 政務委員에 임명 |
| 6.4 | 신간회 구례지회 설립 | 6.10 | 신간회 京城지회, 회원 290여 명 방청객 3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종로 기독교청년회관에서 설립(회장 한용운) | 6.14 | 경북유림관 사건의 대표 金昌淑, 상해에서 검거됨 | 6.17 | 元山勞動總聯合 회원 1,700여 명 파업 | 6.18 | 신간회 김천지회, 목포지회 설립 | 6.21 | 무장독립군 崔大鵬, 연루자 李學植·金景錫과 함께 함남 덕원에서 피체 | 6.24 | 독립군 6명, 평북 熙川郡에 출동하여 일경1명 부상입힘 / 신간회 泗川지회 설립 | 6.25 | 신간회 京都지회 설립(회장 金赫) | 6.26 | 독립단원 朴永植·朴郭潤, 간도 왕청현에서 피체 / 백관수·유억겸·김활란, 태평양회의 참석차 하와이 향발 | 6.29 | 신간회 익산지회 설립 |
| 6.1 | 日, 立憲民政黨 결당(총재 浜口雄幸) | 6.27 | 日, 東方會議 개최, 대륙진출정책 토의 | 6. | 中, 張作霖, 북경정부 대원수가 됨 | | | | | | | | |
전협 | 함남에서 피체된 김봉학 등의 관련 기사 신간회 부산지회 설립 기사 | 7.1 | 신간회 해주지회 설립(회장 黃鶴集) | 7.초 | 한국유일독립당무한촉성회 조직 | 7.2 | 예수교 장로로서 3·1운동 때 평남 대동군에서 군중 5천여 명을 인솔, 주재소 방화에 앞장섰던 高志亨(1859~1927) 징역 15년을 언도받고 옥중 순국 | 7.9 | 신간회 함흥지회 설립(회장 韓泳鎬) | 7.10 | 민족대동단 단장 全協, 가출옥중 사망(1878 ~1927) / 신간회 원산지회 설립 | 7.11 | 병인의용대 金碩龍·高俊澤, 신의주지법에서 징역 5년 언도 | 7.14 | 일본경찰 전협 장례식에 조기 만장 및 영결식을 금함 | 7.15 | 國恥기념일에 전국적 총파업을 계획하던 金鳳鶴·李德三·許文機 등 5명, 함남에서 검거됨 | 7.18 | 상주 협동조합운동사 순회강연 중 경찰과 충돌 | 7.19 | 普合團에 가담, 의주·선천·철산·용천 등지에서 군자금 모금, 친일파 처단 등에 활동하던 韓利敬(의주, 1883~1927) 복역 중 옥사 / 전남 소안도 협동조합운동사 순회강연 중 경찰과 충돌 | 7.20 | 정의부 제5중대원 洪學淳·張基千·李明秀·金奉秀, 의주군 가산면에 출동, 밀정 강영화 계승활을 사살 / 신간회, 빈발하는 각급학교 맹휴사건과 관련 학교 당국에 반성을 촉구 | 7.29 | 大震團 단원 金順七, 경성복심법원에서 징역 7년 언도받음 | 7.30 | 신간회 부산지회 설립(회장 金局泰) | 7 | 김교신, 『성서조선』 발행, 조선적 기독교운동 / 조선공산당 일본부 책임비서 金正奎 피체 |
| 7.7 | 日, 「對支政策綱領」 발표, 코민테른 일본 문제특별위원회 『27년 테제』 결정 | 7.15 | 日, 일본공산당, 27년테제 채택 | 7.20 | 日, 山東에 증원군 파병을 결정 | | |
김교신 | 8 | 임정, 임시약헌발효 후 김구내각 해산되고 신임내각 구성 / 주석 이동녕, 국무위원에 김구·오영선·김철·김갑 임명됨 | | |
창의단 사건 공판 결과 기사 | 8.3 | 신간회 동경지회, ‘조선총독폭압정치폭로연설회’ 개최 | 8.10 | 조선노농총동맹, 조선농민총동맹의 규약 수리 | 8.15 | 조선농민사 중앙이사회, 각군에 농민연합회 결성 촉구 | 8.18 | 정의부 제5중대원 홍학순·장기천·김봉수·李元珍, 평북 신의주 식산은행지점 용만금융조합을 습격하여 현금 982원 탈취 | 8.29 | 인천 衫野정미소 여공들, 日人감독의 구타에 항의 동맹파업 | 8.31 | 倡義團사건 피의자 金應先·鄭明玉·金鳳浚·南正·宋岩于, 경성지법에서 징역 4년~1년을 언도 | 8 | 신민부 군정위원회, 국내진공을 위한 작전지도 준비 / 길림성 동도구에서 정의부 제4회 중앙대회 개막 |
| 8.1 | 中, 중공당원, 朱德 등, 남창에서 무장 봉기 | 8.14 | 日, 외무정무차관 森恪, 관동군사령관등과 대련, 여순에서 만주문제를 협의 | | | | |
| 김준연 | 9.1 | 조선프롤레타리아 예술동맹 결성, 강령 채택, 중앙집행위원 선출 | 9.3 | 신간회 대구지회 설립(회장 李慶熙) / 서울청년회의 무력단체 赤雹團 해체 선언 | 9.6 | 조선농민총동맹 분립, 농민단체 128이 분립 찬성 / 광주공립보통학교 전교생 300여 명 조선인 교원 면직에 항의 | 9.8 | 독립군, 평북 초산군 동면에서 일경과 교전 중 전사 / 김연창 등 국내 아나키스트들에 의해 노동자자유동맹 결성 | 9.12 | 정의부원 玄智根, 長春에서 피체 / 대한독립군 募捐隊長 崔成梓·徐丙需, 함흥지법에서 징역7년, 3년을 선고 / 춘천농업학교 3년생 30여 명, 日人교장 배척 동맹휴학 | 9.13 | 조선형평사총본부 제1회집행위원회, 정위단 부흥 등 토의 | 9.17 | 신간회 동경지회회관에서 조선총독 폭압정치 탄핵 관동지방동맹 결성 | 9.19 | 독립군 4명 평북 위원군 밀산면에서 경찰과 교전중 張平雲 전사 | 9.20 | 金俊淵, 조선공산당 책임비서에 선임 | 9.21 | 美의원단 入京 당시 폭탄사건의 全聖澤 등 3명, 8년만에 출옥 | 9.27 | 신간회 본부, 幹事會, 민족유일당 정신에 위배되는 嶺南親陸會·호남동우회 등 지역단체 배척을 결의 / 김일주 등, 한국유일독립당남경촉성회 창립 | 9.29 | 조선공산당 사건 변호인 李仁·許憲 등 6인, 공판부당성에 항의, 변호사 사임 | 9 | 조선노농총동맹, 조선노동총동맹과 조선농민총동맹으로 분리 |
| 9.6 | 中, 무한정부, 남경정부에 합류 / 경성 주재 신임 소비에트 러시아 총영사 이반 안드레비치 착임 | 9. | 日, 보통선거법하에서 府縣會議員 선거 | | | | | | | | | | | | | | | | | | | | |
허헌 | 영천 농민시위 기사 송진우 조병옥 고려혁명당 관련 인물들 | 10.5 | 조선공산당 만주총국 조직부장 崔元澤 등 100여 명 피검 | 10.8 | 창원군 안민리 동척 소작인, 농감 梅田治郞의 횡령을 고소 / 장진홍, 단독으로 일제기관 4개소 연쇄폭파 거사 단행 / 일본 자유법조단 변호사 布施辰治, 조선공산당사건 비밀재판은 불법임을 성명 | 10.12 | 신간회 총무 權泰錫, 비밀결사 혐의로 피체 | 10.16 | 신간회 함안지회 설립 / 조선공산당사건 피고 5명, 종로경찰서 경부 三輪 등을 고문죄로 고소 | 10.17 | 신간회 고성지회 설립 / 신간회 수원지회 설립 | 10.18 | 영천 500여 농민, 담배 밀경 조사반원과 격투 | 10.19 | 정의부 의용군 4명, 평북 구성군 사기면에서 일경과 교전 중 金致福 전사 | 10.20 | 신간회 창원지회 설립 / 신간회 하동지회 설립 | 10.21 | 일본 밀정 洪鍾洛을 암살한 참의부 제1중대 3소대장 文昌淑, 복심에서 사형을 선고받음(사형당함, 1898~1928) / 조선농민총동맹 집회 금지령 | 10.22 | 『동아일보』 사장에 송진우, 편집국장에 김준연 취임 | 10.23 | 황해도 신천군 북부면 동척 소작인, 동척주재소를 습격하고 주재원의 횡포에 항의 / 함남 고원 동양척식회사 소작인 500여 명, 쟁의 돌입 | 10.24 | 언론계 등 각계인사 50여 명 한글반포 481주년 기념식 거행 | 10.25 | 신민부, 한인학교들을 통합하여 海林新昌學校를 설립하고 의무교육제도 채택 | 10.26 | 일본변호사협회, 조선공산당사건 피고인 고문사건 진상규명키로 결의 | 10.27 | 장진강 수력발전소 추진으로 장진군 중남면 수몰지구 농민, 피해 보상을 요구하며 농성 | 10.28 | 부평 소작농민, 쟁의 개시 | 10.29 | 신간회 光州지회 설립(회장 崔興琮) / 진남포 碑石 엡윗청년회 주최로 강연하던 趙炳玉, 경찰에 피검 | 10.31 | 신간회 원주지회 설립(회장 南之薰) / 신간회 대전지회 설립준비위원회 개최 → 일제의 탄압으로 끝내 설립하지 못함 / 고려혁명당사건 예심종결. 15명 유죄결정 / 용산공작소 한인노동자들, 체불임금문제로 동맹파업 | 10 | 전북 옥구 二葉社 농장 소작인, 소작료 불납운동 전개 / 평남 안주에서 서울청년회 주동의 관서 민중운동자대회 개최 |
| 10. | 中, 毛澤東, 강서성 정강산에 혁명근거지를 건설 | | | | | | |
문창숙 사형기사 전북 옥구 이엽사 소작쟁의 | 조성환 장진원 무기 판결 기사 | 11.2 | 참의부원 朴基範과 정의부원 李學松, 신의주지법에서 무기와 7년징역을 각각 언도 | 11.5 | 중앙고보생들, 학생자치전 요구로 동맹휴학 | 11.7 | 정의부 제1중대장 朴用天, 신의주지법에서 징역 10년 언도 / 한국유일독립당촉성회 준비회, 상해에서 개최 / 고원군 동척농장 소작인, 소작료 부당 징수에 대하여 반환 요구 | 11.9 | 장진강 발전소 건설자인 三菱회사가 경찰과 결탁하여 토지매도를 거부하는 농민을 주재소에 감금하고 협박함 / 上海에서 한국독립당관내촉성회연합회 열림 | 11.13 | 革新團員 韓益 등 8명, 간도 용정 부근 小石溝에서 일경과 교전 6명 전사 / 상해에서 『민성』 발행 | 11.14 | 曺成煥·陳德三 등, 상해에서 한국유일독립당촉성회 각지대표연합회 개최 / 韓國唯一獨立黨促成會 各地代表聯合會, 上海 民國路 浸會堂에서 개최 / 京城第一高普 4년생, 韓人교사에 의한 한국역사강의 등 6개항 요구 동맹휴학 | 11.15 | 정의부 協議會派와 신민부 참의부에서 이탈한 간부들 회합 → 11.하 大屯에서 國民府를 조직 | 11.19 | 이천군 용포면 원무릉리 농민, 원래 동유림을 국유화하여 住友회사가 불하 받아 애림조합 결성하는데 분개하여 항쟁 | 11.22 | 경남 하동공립보통학교 100여 명, 日人 교장 배척 동맹휴학 | 11.26 | 전북 옥구군 서혜면 二葉社농장 소작인들, 農組간부 30여 명의 석방을 요구, 시위 → 주재소 습격(28) | 11.30 | 상해일본영사관에 폭탄투척한 張鎭元·崔炳善, 長崎控訴院 항소심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음 | 11 | 만주 독립단원 200여 명 국내잠입, 楚山署 일본경찰 초긴장 / 전북 옥구군 이엽사 농장 소작쟁, 전북 온구 이엽사 농장 소작농민들이 일본인 식민농업회사인 이엽사와 이를 비호하는 일제에 대항하여 투쟁한 농민항쟁 / 金哲, 고려공산청년회 책임비서에 선임 |
| 11.19 | 日, 전국수평사 회원 北原泰作 二等兵, 군대내 차별을 천황에게 直訴 | 11.27 | 이탈리아, 알바니아와 제2차 티라나 조약 조인 | 11. | 中, 광동성 해풍·육풍에 최초의 소비에트를 수립 | | 인도 통치를 위한 사이먼 위원회 설치 |
| 12 | 한국노병회·화동한인학생연합회 등 7단체 이름으로 「재만동포 구축에 즈음하여 재상해 교민에게 호소함」이라는 글 발표 | | | | | | |
오동진 조만식 | 12.1 | 海林 朝鮮民會長을 사살한 신민부 간부 黃永煥, 하얼빈에서 일본경찰에 검거됨 | 12.5 | 신간회 大阪지회 설립(회장 金時赫) | 12.6 | 裡里시민, 중국인의 在萬동포 구축에 분개, 중화배척운동 전개. 중국인 배척운동 전국에 확대 | 12.7 | 천마대장 김용택, 살인강도죄를 적용하여 신의주지법에서 징역 10년 언도 / 淸州 高普生, 日人교장과 교원 배척 동맹휴학 / 창원군 川崎농장 소작인 30여 명, 소작료 불납동맹으로 항쟁 / 황해도 겸이포 三菱제철운수 직공 40여 명, 임금인상 등을 요구하며 동맹파업 | 12.9 | 서울에서 在滿同胞擁護同盟 창립 | 12.10 | 신간회 경성지회 총회 개최 | 12.12 | 봉오동전투에서 활동했던 朴泳(함북 경흥, 1887~1927) 사망 | 12.16 | 정의부위원장 吳東振, 吉林에서 신의주 일본경찰에 검거됨 → 1932.3.9 신의주지법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복역 중 1940년 옥사 | 12.20 | 신간회 평양지회 설립(회장 조만식) | 12.22 | 신간회 청주지회 설립(회장 孫頭秀) | 12.22 | 이홍근·최갑룡을 중심으로 평양 창전리 천도교 강당에서 오치섭의 사회로 관서흑우회 창립대회 개최 | 12.25 | 新民府, 金佐鎭의 軍政派와 朴觀海·崔灝의 民政派로 분열 | 12.27 | 전남 綾州 소작권 피탈 농민들, 소작권피탈자동맹을 결성하고 지주에 대한 항의 운동 전개 / 신간회 회원 2만명 돌파 기념식 | | | 이해 | 천마산대에서 활동한 朴應伯(평북 삭주), 3·1운동에 공헌했던 尹相悅(평남 대동, 1894~1927), 만주지역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 洪碩浩(평북 삭주) 사망 |
| 12.1 | 日, 공산당 확대중앙위원회 개최, 『27년 테제』에 의한 당 건설 논의 | 12.5 | 日·蘇 친선사절로 後藤新平 출발 | 12.10 | 日, 조선총독 齋藤實 사임 / 육군대장 山梨半造 조선총독에 임명(~1929.8.17) | 12.11 | 중공, 광저우(廣州)에서 무장봉기하여 광저우 코뮨 수립 | 12.14. | 영국·이라크간에 조약 조인(영국, 이라크의 자치확대와 1932년 국제연맹 가입을 승인하고 공군기지를 획득) | 12.15 | 중국, 대소 국교 단절을 통고 | 12.23 | 조선총독부, 정무총감 湯淺倉平 해임, 후임에 池上四郞을 임명 | 12.30 | 日, 동경지하철도 개통 (일본 최초의 지하철)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