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비소식이 있어 부랴부랴
어제 서둘러 김장배추 모종을 옮겨 심었습니다
여동생네꺼랑 150포기를 옮겨 심었습니다
올해 배추모종은 100포기기준/ @15,000원/1판
[제일 왼쪽 한골이 김장무우 오른쪽 3골이 배추
왼쪽 무성한 것은 고구마.ㅎㅎㅎ]

[하룻밤사이 비를 머금은 배추모종/넘넘 이쁘요^*^]

며칠전 참깨를 쪄서 말린것
털어 잡물을 제거하고나니 이렇습니다^^
내년 제 앞가림은 될듯 합니다^^

시골에서 어탕이나 김치에 넣어먹는 재피 입니다
산초와는 달리 잘 말린후 검은 속 멸매는 빼내고
껍질만 분쇄기에 넣어 갈아서 향신료로 쓰게 됩니다
산초는 반대로 검은 속알맹이만 가려 기름을 짜서 쓰고
껍질은 버리게 됩니다

제 피 ( 초 피 ) 의 효 능
1. 제피는 운향과의 관엽식물로서 초피, 전피, 지피라고도 하며 중부이남의 나무 숲속 반음지역부터 고산지대까지 분포하며 거창을 비롯하여 함양 산청이 주산지이다.
전 세계적으로 이곳의 제피가 가장 향이 강하고, 품질이 좋은 것으로 정평이나 있어, 이곳 거창에서는 각 가정마다 제피나무 한 두그루씩은 심어 왔으며, 가정의 중요한 향식료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봄철에는 어린잎을 채취해서 짱아치, 김치 및 (추)어탕에 넣어 먹는다.
2. 제피는 산초와 완전히 다르다. 줄기의 가시가 마주나는 것이 제피이며, 어긋나게 나는 것이 산초이다. 맛과 효능, 먹는 방법 또한 다르다.
제피의 열매는 줄기의 중간부분 및 끝부분에도 열리나, 산초열매는 줄기의 끝부분에 달리며 하늘을 향한다.
일제시대때 일본사람들이 제피와 산초를 구분하지 못하여 모두 산초로 부르다보니 많은 사람들이 산초로 알고 있는데 제피와 산초는 확실히 다르다. 산초는 약용으로 많이 쓰이며 잎이 떨떠름해서 좋지 않다.
경상도에서 추어탕과 김치에 많이 넣어먹는 것이 제피이다.
3. 제피의 효능과 사용처로는
한방에서 심복통, 설사, 이질, 위염, 소화장애, 회충구제등의 약으로 쓰이며, 향식료로는 추어탕, 김치, 매운탕 등 각종 찌개나 반찬에 넣어 비린내 제거 및 독특한 향을 내는데 이용되고 있다.
특히, 제피는 균을 죽이는 능력이 탁월하여 암이나 사스, O-157대장균(식중독균)이나, AIDS균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연구되어지고 있다.
*.과피에 매운 맛의 성분인 산슐(sanshool)Ⅰ·산슐Ⅱ·산쇼아마이드(sanshoamid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로 시트로넬랄(citronellal)·펠란드렌(phellandren)·
디펜텐(dipentene)·게라니올(geranial) 등과 탄닌(tannin)·
하이페린 (hyperin)·크산톡실린(xanthoxylin) 등이 들어 있다.
한방에서는 열매의 껍질을 치한(治寒)·거비폐사(袪脾肺邪)·골통(骨痛) 등의
증상에 치료제로 사용하고 회충의 구충제로도 이용한다.
민간에서는 가지를 달인 물에 찹쌀을 넣고 죽을 끓여 이것을 동상부에 붙여서 치료한다.
새잎은 채취하여 음지에서 말린 다음 국 등의 음식에 넣어서 먹고,
열매와 종자는 가을에 채취하여 가루를 내어 향신료로 사용한다.
특히 추어탕을 비롯한 민물고기 요리에 넣어 맛을 돋운다.
또한, 초피나무의 열매에는 강한 방향성 물질이 있어서
소주에 넣으면 프랑스술 페노드와 같은 효과를 내어 향기롭다.
초피나무와 비슷하지만 잎자루 밑 부분에 가시가 1개 달리고 열매가
녹색을 띤 갈색이며 꽃잎이 있는 것이 다르다.
또 잎과 열매에는 초피나무와 마찬가지로 향기가 있으나
훨씬 약하여 향신재료로는 초피나무의 열매나 잎을 쓴다.
생약: 천초, 산초, 촉초
채취시기: 열매가 익어갈 무렵 채취해서 말려서 씨를 빼고 쓴다.
사용부위: 열매의 껍질
약효:건위,정장,구충,해독,소화불량,식체,위하수,위확장,구토,이질,설사,기침,회충구제
열매를 가루를 내어 조미료로 사용하고 껍질은 기름을 내어 식용으로 쓴다.
허약한 몸을 튼튼하게 하는 데는 초피가 매우 탁월한 효험을 보인다.
초피와 초오를 복용하면 겨울에도 추위를 타지 않고
한여름에도 땀이 나지 않게 된다
대머리에는 초피나무 잎을 짓찧어 붙이면 머리카락이 난다고 한다.
탈항을 치료하는 데도 초피를 쓸 수 있다.
여성의 자궁출혈과 자궁염에는 초피 열매를 볶아 가루 내어
한번에 1돈씩 따뜻한 술로 먹는다
첫댓글 감사드립니다..
혹시 애절피는 무슨 나무인지요...
산초 질피 애절피
애절피 에 대해서
설명좀 부탁 드립니다....
애절피? 피나무(보리수과)를 뜻하는듯^^
답글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