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交流의 關門 山東-동아시아 실크로드 이야기 (4-2)

(49) 山東과 古代 韓半島의 交流
*漢四郡: BC 108∼BC 107년 前漢의 武帝가 衛滿朝鮮을 멸망시키고 그 故地에 설치한
樂浪郡, 臨屯郡, 眞番郡, 玄菟郡 등 4개의 行政區域.

(50) 동아시아 航路의 開拓과 發展

(51) 동아시아 航路의 開拓과 發展, [道里記]의 沿岸航路
*烏骨江: 고구려 때 鴨綠江
*浿江(大同江): 古朝鮮 때는 烈水, 고구려 때에는 浿江, 高麗 中期 이후부터 大同江이라고
칭하였다. (*浿: 강 이름 패)
*烏牧島: 平北 宣川郡 지역의 섬
*長口鎮: 黃海道 豊川(松禾郡의 옛 地名)
*唐恩浦: 京畿 華城郡 지역

(52) 동아시아 航路의 開拓과 發展, 古代 동북아시아 航路
*全北 扶安 竹幕洞
바다와 관련된 독립된 祭祀遺跡이 있으며, 4세기 중반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祭祀가
이루어진 곳으로, 全北 西海岸 일대에서 본격적으로 발굴 조사된 최초의 제사유적이며,
三國時代 이후의 祭祀樣相을 단계적으로 살펴 볼 수 있는 과정을 검토할 수 있는 유적이다.
특히 現代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水聖堂祭로 보아 이 지역에 살던 사람들이 航海의
안전과 風魚, 마을의 無事泰平 등을 빌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19세기 중반부터는 독립된
건물로 ‘水聖堂’이라는 祭堂을 갖고 제사 지낸 것을 알 수 있다.

(53) 청자 네 귀 달린 항아리[靑釉 四系罐] (*罐: 두레박 관)
-濰坊市 臨朐縣 海浮山 壁畵墓 -後漢(東漢)시대 -山東博物館
(*濰: 강 이름 유 *坊: 동네 방 *朐: 멍에 구)

(54) 청자 두 귀 달린 항아리[靑釉 雙耳 盤口壺]
-濰坊市 臨朐縣 海浮山 壁畵墓 -後漢(東漢)시대 -山東博物館

(55) 청자 호랑이모양 변기[靑釉 虎子] -西晉(AD 265~316)時代 -山東博物館

(56) 청자 네 귀 달린 항아리[靑釉 四系 盤口壺] -西晉時代 -山東博物館

(57) 청자 접시[靑釉 盤] -南北朝(AD 221~589)時代 -山東博物館

(58) 청자 구절판[靑釉 九格盤] -南北朝 時代 -山東博物館

(59) 청자 네 귀 달린 병[靑釉 四系 盤口壺]
-隋(AD 581~618) -山東博物館

(60) 청자 두 귀 달린 병[靑釉 盤口 雙耳壺]
-濟寧市 曲阜市 八里鋪 -隋(AD 581~618)時代 -山東博物館 (*鋪: 펼 포)

(61) 청자 네 귀 달린 항아리[靑釉 四系 蓋罐](앞 왼쪽) - 청자 세 귀 달린 항아리
[靑釉 三系罐](앞 오른쪽) - 청자 네 귀 달린 항아리[靑釉 四系 蓋罐](뒤)
-隋 -山東博物館 (*蓋: 덮을 개)

(62) 청자 굽다리 접시[靑釉 高足盤] -隋 -山東博物館

(63) 청자 잔[靑釉 碗] -隋 -山東博物館 (*碗: 사발 완)

(64) 새로운 바닷길이 열리다.

(65) 彩色瓷器의 登場과 海外貿易의 擴大

(66) 韓半島 出土 中國 唐代 瓷器
=慶州 雁鴨池 出土 [청자대접(靑瓷 碗)] (왼쪽) (*雁: 기러기 안 *鴨: 오리 압)
=慶州 朝陽洞 出土 [당삼채 뼈항아리(唐三彩 三脚附 骨壺)] (*脚: 다리 각)

(67) 韓半島 出土 中國 唐代 瓷器
=慶州 皇龍寺址 出土 [백자항아리(白瓷 壺)] (왼쪽)
=傳 慶州 出土 [청자 첩화 인물무늬 주전자(靑瓷 貼花 注子)] (*貼: 붙일 첩)
=益山 彌勒寺址 出土 [청자 꽃잎모양 대접(靑瓷 花形 碗)] (*碗: 사발 완)

(68) 彩色 瓷器

(69) 難破船 黑石號에서 발견된 中國 瓷器
=장사요의 아랍 풍 대접[長沙窯 阿拉伯風 碗](왼쪽) (*窯: 기와 굽는 가마 요)
=백자 녹색 획화 용머리 손잡이 항아리[白釉 綠彩 劃花 龍首執壺] (오른쪽)
*劃花: 중국 도자기 장식법의 일종으로, 胎土로 모양을 빚은 뒤 釉藥을 바르기 전에
器面에 線彫로 문양을 표현하는 技法. (*彫: 새길 조)
*胎土: 도자기의 몸체를 구성하는 점토.

(70) 말 탄 여성 석용[石雕 女驥俑] (*雕: 독수리 조 *驥: 천리마 기)
-濟南市 歷城區 唐冶新區 -唐(618~907) -山東博物館

(71) 황유 무사 도용[黃釉 武士俑] -唐 -山東博物館

(72) 황유 손잡이 달린 항아리[長沙窟 黃釉 斑彩 執壺]
(*窟: 굴 굴 *斑: 아롱질 반)
-唐 -濟南市 市中區 靑年橋 일대 -山東博物館

(73) 황유 손잡이 달린 항아리[長沙窟 黃釉 斑彩 執壺]
-濟南市 일대 -唐 -山東博物館

(74) 녹채 항아리[綠彩 壺] -濟南市 歷下區 千佛山 일대 -唐 -山東博物館

(75) 녹채 합[綠彩 粉盒] (*盒: 합 합) -濟南市 歷下區 康復醫院 二號墓 -唐 -山東博物館

(76) 唐三彩
*鉛釉: 납이 들어 있는 잿물.
*鎭墓獸: 무덤을 수호하는 목적으로 무덤 속에 놓아두는 神像.
*陶俑(土俑): 예전에, 殉葬할 때 사람 대신 무덤 속에 함께 묻던, 흙으로 만든 허수아비.

(77) 삼채 동이[三彩 盉] (*盉: 양념그릇 화) -濟南市 章句區 濟南工學院 -唐 -山東博物館

(78) 삼채 접시[刻花 三彩 盤] -濟南市 東關工業學校 -唐 -山東博物館

(79) 삼채 봉황모양 병[三彩 單把壺] (*把: 잡을 파)
-濰坊市 靑州市 益都縣 -唐 -山東博物館 (*濰: 강 이름 유)

(80) 백자 손잡이 달린 항아리[白釉 執壺]
-濰坊市 靑州市 益都縣 일대 -唐 -山東博物館

(81) 흑유 손잡이 달린 항아리[黑釉 雙系執壺]
-淄博市 臨淄城 姚王莊 -唐 -山東博物館 (*淄: 검은빛 치)

(82) 청자 사발[靑釉 碗] -唐 -山東博物館 (*碗: 사발 완)
- 韓中 交流의 關門 山東-동아시아 실크로드 이야기 (4-3)에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