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를 사회사업 목표라 할 수 있는가?
사회사업가에게 “어떤 일이든 그 일로써 지역사회 공생성을 살려야 합니다.” 하면 자연스럽지만,
“어떤 일이든 그 일로써 당사자의 자주성을 살려야 합니다.” 하면 부담스럽습니다.
① 목표와 원칙을 구분하기
사회사업은 목표하는 바가 있으니, 가까이는 복지를 이루게 하고 궁극적으로는 더불어 살게 합니다.
자주 즉 자기 삶의 주인으로 살게 함을 목표하지는 않습니다.
자주성이나 자주는 사회사업 ‘목표’가 아닙니다.
당사자의 자주성은 모든 사회사업에서 지키고 살려야 할 ‘가치’이고,
당사자의 자주는 그 절차·방식에서 지켜야 하는 ‘원칙’입니다.
그래서 사회사업가는 어떤 사업에서든 복지를 이루는 데 당사자가 주인 노릇 하게 합니다.
그 일에 당사자가 자주케 합니다. 즉 당사자의 자주성을 살려 복지를 이루게 합니다.
사회사업 실무에서 당사자로 자주케 한다거나 당사자의 자주성을 살린다 함은 ‘어떤 복지를 이루는 그때 그 일에 당사자가 주인 노릇 하게 한다’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반찬 사업에서, 반찬 복지를 이루는 그때 그 일에 당사자가 주인 노릇 하게 한다는 겁니다.
자주를 이렇게 당면 과업, 현재 활동에 ‘원칙’으로 적용합니다.
사회사업 목표·이상 또는 사회사업가 본분·책무·사명으로 다루지 않습니다.
전 생애, 전 생활에 걸쳐 자주하는 목표까지 사회사업 소관으로 보지는 않습니다.
이는 당사자를 종합 대상자로 보지 않는 시각과도 맥이 닿아 있습니다.
지금 이 일에서 자주케 하면 향후 다른 일에서도 자주하는 데 도움이 되겠지만, 다른 일에서의 자주까지 과제로 여기지는 않습니다.
지금 이 일을 통해 다른 때 다른 일까지 대처할 항산적 바탕을 만들자 하고, 이 일 후에도 언제 어떤 일에서든 당사자가 자주하길 바라지만,
일부 사업 특히 아동사업에서 이것을 중요한 목표로 설정하기도 하지만,
거기까지 사회사업가 ‘책무’로 보지는 않습니다.
요컨대 당사자의 자주는 복지를 이루는 절차·방식에서 지켜야 하는 원칙이고,
자주성은 복지를 이루는 과정에서 지키고 살려야 할 가치입니다.
이 원칙과 가치를 좇아 지금 이 사업의 목표를 이루기, 사회사업가 책임은 여기까지입니다.
② 사회사업 이상理想과 그 이상以上을 구분하기
자주와 자주성이 그 때 그 일 그 과정의 원칙이요 가치임에 반해
공생과 공생성은 그에서 더 나아갑니다.
공생과 공생성은 그 때 그 일 그 과정의 원칙이요 가치일 뿐 아니라,
언제 어떤 일로든 추구할 목표요 궁극적 이상이며 감당해야 할 책무입니다.
사회사업 개념뿐 아니라 사회사업 이상도 공생, 사회사업 본분도 공생입니다.
사회사업은 사회의 공생을 담당하는 직업이요 사회사업가는 사회의 공생을 담당하는 사람이라 할 만합니다.
약자와 공생하는 사회, 이웃 관계와 인정이 있는 공생 사회, 이는 사회사업 이상입니다.
사회사업가는 이런 사회를 만들 책임이 있습니다.
다만, 사회사업 이상과 책무를 이로써 한정함이 좋겠습니다.
공생하는 사회는 자주할 수 있는 터전이요 또한 정의와 평화의 토대이기도 하니, 공생하는 사회 그 위에 자주·정의·평화 같은 목표를 세울 수 있으나 사회사업은 ‘공생’까지 감당하자는 겁니다.
자주·정의·평화는 모든 사람의 꿈이요 과제이지만 사회사업 목표나 책무로 삼기는 어렵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사회사업 이상과 그 이상의 이상을 구분하자는 말입니다.
2011. 1. 9~
원문 : 자주, 자주성을 사회사업의 목표나 책무라 할 수 있는가? 2011. 1. 9
* 원문의 본문과 꼬리말들을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첫댓글 단기사회사업 기록 가운데
'당사자의 자주성'을 사업의 목표나 목적으로 보는 것 같은 표현이 종종 나옵니다.
그러나 이번 겨울방학 단기사회사업 가운데 '당사자의 자주성'을 목표로 하는 사업은 없습니다.
이번 합동연수 교재인 2018년 6월판 복지요결 40쪽 '자주성의 한계'에서도 이것을 경계합니다.
각 팀의 슈퍼바이저 선생님들께서 잘 설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자주성이나 자주는 사회사업 ‘목표’가 아닙니다. '원칙'이고 '가치'입니다.]
단기사회사업 기록을 살펴, 알기 쉽게 설명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제가 쓴 글도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자주와 자주성. 사회사업의 목표가 아닌 '원칙'이며 '가치' 명심하겠습니다.
공생과 공생성. '원칙'과 '가치'뿐 아니라 목표 이상 책무 명심하겠습니다.
동료들과 학생들과 복지요결을 공부하고 사업에 적용하면 위와 같은 사안들로 함께 고민 한 적 있습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理想과 그 以上을 구분하겠습니다.
이서경 학생과 이 글을 읽었습니다.
"공생하는 사회는 자주할 수 있는 터전이요 또한 정의와 평화의 토대이기도 하니...."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을 물었습니다.
농구 잘하는게 목표(자주. 정의. 평화)라면 키가 크다(공생하는 사회)는 것은 목표를 이루는 좋은 토대가 된다....는 식으로 설명했으나 부족했던 것 같습니다.
구체적 설명...아..
키가 작아도 농구를 잘 할 수 있는데.. ㅎㅎ
공생하는 사회는 자주 정의 평화 (행복)의 터전이자 토대이다?
문자 그대로는 이해가 되지만 깊이 생각하니 생각의 끝이 없이 이어집니다.
@권대익 공생 자주 정의 평화 행복 등 여러 일반 가치와 이상 중에
사회사업에서 감당할 수 있는 목표를 '공생'으로 한정하고 감당하자는 것으로만 이해하면 될까요?
.
아니면
공생 자주 정의 평화 행복 중에 '공생'이 '터전'이자 '토대'라 함은
더 깊은 뜻이 있으신걸까요?
공생하는 사회가 먼저 되어야 자주 정의 평화 행복의 목표를 이룰 수 있다는 뜻일까요?
자주 정의 평화 행복이 공생의 토대가 될 수 있겠지요?
.
모든 사람의 꿈과 과제가 공생 자주 정의 평화 행복 등일진대
사회사업이 감당 할 수 있는 건 '공생'이니
공생이 자주 정의 평화 행복의 터전이자 토대라고 하신거지요?
@권대익 강민지 선생 질문을 생각하다가 생각이 깊어졌습니다.
자주와 자주성은 그 때 그 일 그 과정의 원칙이요 가치이고
공생과 공생성은 사회사업 이상理想이자 목표이다!
한두해 전, 시골팀 수료식을 하면서 제천역 나무 그늘 아래에서 이 설명을 해주셨어요.
다시 이 글을 읽으며
자주는 전 생애, 전 생활에 걸쳐 자주하는 목표까지 사회사업 소관으로 보지 않고
지금 이 일(프로그램)에 한정하여 (그 때 그 일에서) 자주케 한다는 뜻으로 잘 이해했습니다.
보통 당사자의 자주성과 지역사회 공생성을 살려 돕는다, 사회사업한다는 말을 많이 씁니다.
자주성도 공생성도 살려서 돕는다는 의미이지요.
“어떤 일이든 그 일로써 (특정 활동이나 사업을 넘어서서) 당사자의 자주성을 살려야 합니다.”
이렇게 말하면 부담스럽지만
"저는 이 사업을 실천 할 때 당사자의 자주성과 지역사회 공생성을 살려 돕는다."
이렇게 말하면 이 일에서 당사자의 자주성을 돕는다는 의미이니 괜찮겠지요?
메모하며 공부했습니다.
사람이 주체 의식을 가진다는 건 '전 생애, 전 생활'에 걸친 일이라는 설명을 읽으니 목표로 둘수 없음을 분명히 알겠습니다.
그간의 기록에 자주성을 목표로 둔 부분이 없는가 생각했습니다.
쉽게 설명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잘 새겨 실천하고 기록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