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란역사문화공원 배향 인물(안)
2019. 2. 16
강덕룡(姜德龍) 1560-1627 본 진주. 진주성전투 시 군기관리 진주 주부, 의병 317 (용사일기) 갑병수선. 함창현감 12전 12승
강언룡(姜彦龍) 1545- 1613. 본 진주. 의령, 삼가, 합천 수복 유공 삼가 의병 (용사일기) 병기 다스림. 유곡가찰방, 좌승지추증, 의령 德林祠 제향, 의령 충익사 경내 기공비
곽재우와 17 의사
군관 曺士男, 기찰 沈紀一 , 치병 姜彦龍, 전군 許彦深, 돌격장
權鸞, 선봉장 沈大承, 수병장 吳澐, 영장 尹鐸, 의병장 郭再祐
도총 朴思齊, 수병장 李雲長, 선봉장 裵孟伸, 독후장 鄭演, 조군 鄭晊, 전향 盧錞, 군기 許子大, 복병 安起宗, 군관 朱夢龍
곽율(郭𧺝) 1531-1593 본 현풍. 현풍 소례 출생. 초계가수 조식 문인. 의병 (용사일기) 임란위훈록 1-181(경상대 김해영) 도동서원 별사 봉안, 현풍 화산서원 경덕사에 제향. 저 예곡문집
곽재우(郭再祐) 1552-1617 (경상대 김해영, 최석기) 망우당전서.
곽준(郭䞭) 1551-1597 거창 의병, 자여찰방(용사일기), 안음현감. 임란위훈록 1-209(김해영) 충렬공, 신도비명 우복 찬 황암사, 예연서원 배향. 소레마을 앞 12정려각. 존재선생기념사업회, 현풍 화산 소재 불천위묘 成仁齋
권사악(權士諤) 1556-1612 경주 안강 이제(里弟) 의병 위훈록 1-323 B 권응수, 권응전, 권응평, 권응생의 당숙. 중앙도서관 매와실기 온라인 제공. 선무원종공신 3등
권응수(權應銖) 1546-1608 영천 의병, 의병대장 (용사일기) 임진위훈록 1-465 선무공신 2등 가선대부 화산군 시호 忠毅
12세손 임진란정신문화선양회 이사 권상석
12세손 영남대 교육학박사 권상진
권응평(權應平) 1557-1612 영천 의병 임진위훈록 1-523
百義祠(실명 의사 42위 및 무명 제의사)
권춘란(權春蘭) 1539-1617 호 晦谷 전 현감 의병
기효근(奇孝謹) 1542-1597 본 행주. 남해현령. 통정대부 선무공신3등 皆伯君
김대명(金大鳴) 1536-1593 본 울산. 풍기군수. 학봉 도소모장 삼음. 진주 大覺祠 제향. 의병 소모관(용사일기)
김락(金洛) 1545-1604 본 청풍. 산음현감 거쳐 통정대부 추증 이조판서. (용사일기)
김면(金沔) 거창 의병도대장(용사일기) 경상우병사 위훈록 2-41
김시민(金時敏) 357 진주목사 관군 (용사일기) 위훈록 2-255
김연(金演) 1552-1592 본 경주. 경주성 수복 전투 전사(장계)
밀양 古川祠 제향. 학봉 장계로 자손 공역 면제
김종무(金宗武) 1548-1592 본 선산. 사근도찰방. 전사(장계)
김준민(金俊民) ?-1593 본 상산. 합천가수, 거제현령(용사일기) 증 형조판서, 충민사 제향
김찬(金瓚) 1543-1599 본 안동. 시호 효헌. 도체찰부사 양곡지원
김해(金垓) 1555-1593. 본 광산 전 검열 의병 대장(용사일기) 위훈록 2-683
김호(金虎) 1534-1592 본 경주. 부산첨사역임. 의병도대장. 순조 1년 南岡祠 제향. 위훈록 2-715 (月菴문집- 주사호 글 중)
노순(盧錞) 1551-? 본 신창. 영변부사. 초계출신, 남명문인. 원류소 제출, 삼가, 군량수송 의병(용사일기)
노흠(盧欽) 1527-1602 본 광주. 남명문인. 삼가출생. 임란활동으로 별제, 찰방 등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음. 삼가 古巖書院 제향. 저서 光州盧氏世稿
류복립(柳復立) 1558-1593 본 전주. 묵계
류숭인(柳崇仁) 1565-1592 본 문화. 함안 관군, 함안군수 경상병사 (용사일기)
류종개(柳宗介) 1558-1592 본 풍산 안동 재산, 소천 전투 전사(용사일기) 경현사 제향. 참의 추증
문려(文勵) 1553-1605 본 남평. 정인홍 문인. 합천 의병 호 雪溪
문위(文緯) 1554-1631 본 남평. 조식, 오건, 정구 문인. 거창 의병(용사일기) 사헌부 감찰, 고령현감. 김면과 고령에서 함께 싸움.
저서 모계집
민여운(閔汝雲) ?-1593 본 여흥. 전라도 태인에서 창의. 2차 진주성 전투 시 전사. 전 주부 의병, 좌승지 추증
박사제(朴思齊) 1555-? 본 죽산 삼가 의병, 도총(용사일기), 의령현감(임시). 봉사 노흠, 생원 권양, 권제 등과 창의. 삼가 윤탁, 곽재우 군사와 합류
박성(朴惺) 1549-1606 본 밀양. 裵紳 수학, 정구 사사.
현풍 의병(용사일기), 무곡차사원 322 군량과 구황곡 조달차 전라도 행. 위훈록 3-445 (朴永完 선양회 이사) 저 대암선생집. 송담서원
박이문(朴而文) 1544-1598 본 순천 경릉참봉. 좌승지 증직 초유사 유임운동 원류소
박이장(朴而章) 1547-1622 본 순천 전 좌랑, 성주 의병, 군량과 구황곡 조달차 전라도 행 322 (용사일기) 대사성, 대사간. 성주 청천서원 제향
박진(朴晉) 1560-1597 본 밀양. 밀양부사, 경상병사 (용사일기) 시호 毅烈 위훈록 3-553
박정완(朴廷琬) 1543-1613 본 고령, 의병 활 화살 준비 김면과 고령, 현풍지역에서 왜적과 싸움. 개산포, 무계전투 승리로 거창현감, 안음현감
배설(裴楔) 1551-1599 본 성주 경상우수사 함천군수, 선산부사 위훈록 3-765
배용길(裵龍吉) 1556-1609 본 흥해. 예문관검열, 사헌부감찰, 충청도도사. 김해를 대장으로 추대, 부장으로 활약. 저서 금역당집. 위훈록 3-797
변혼(卞渾) ?-1626 본 초계 거창 의병 문경현감, 거제현령, (용사일기) 전우와 함께 창의. 위훈록 4-135
서예원(徐禮元) ?-1593 본 이천. 김해부사 374 진주목사 (용사일기)
성수경(成守慶) ?-1593 본 창녕. 진주 판관, 병조판서. 감사 지시로 조총 및 火箭 제조. 진주 충열사, 창녕 勿溪서원 제향 (용사 일기) 319. 위훈록 4-255
성안의(成安義) 1561-1629 본 창녕 소모관 제주목사, 우부승지 의병 (용사일기) 저서 부용당선생일고, 창녕 연암서원, 물계서원 제향 위훈록 4-271 성익창(선양회 이사)
성천희(成天禧) 1553-? 본 창녕. 가장 의병(용사일기), 소모관 성안의, 곽찬과 창의 의병활동, 별장 조열과 창녕 탈환. 웅천현감, 훈련원정 임명됨. 병조참의 추증, 선무원종공신1등
손인갑(孫仁甲) ?-1592 본 밀양 합천가수(장) 초계의 마진전투 순국(용사일기)
신경립(辛敬立) 1558-1638 안동 진사 의병
신방즙(辛邦楫) 1556-1592 본 창녕. 한강 문인. 영산소모관 동생 辛邦櫓, 형 辛邦柱. 의병(용사일기)
신초(辛礎) 1549-1618 본 영산 저 문암집. 천성만호 현풍현감(가수), 보성군수 시호 忠壯
신해(申海) 1549-? 본 적성. 하양 의병장 (용사일기)
심기일(沈紀一) 1545-? 본 청송. 곽재우 의병 가담, 정암진 전투 큰 공. 병조판서 추증. 정호 배 검색(용사일기)
심대승(沈大承) 1556-1606 본 청송. 훈련원판관, 군자감정. 좌승지증직. 의령 의병 선봉장(용사일기), 진주대첩 시 성 밖 후원
안기종(安起宗) 1556-1633 본 탐진. 군자감 판관. 병조참의 추증.삼가 의병, 유곡 설복(용사일기)
여대로(呂大老) 1552-1619 본 성주. 합천군수. 남명문인. 鏡陽祠 제향. 의병, 지례현감 (용사일기) 위훈록 4-669
오운(吳澐) 1540-1617 본 고창. 저 죽유집. 동사찬요. 상주목사, 경주부윤. 영주 山泉서원 제향. 의령 소모관 (용사일기)의병 모집, 軍器 제조 및 재물 출연. 위훈록 4-705
오장(吳長) ?-1616 본 함양. 저 思湖集. 정언, 경성판관. 산청 西湖祠 제향. 父 오건. 산음 의병 (용사일기)
원사립(元士立) 1569-? 본 원주. 신묘별시 무과. 병사 및 초유사 군관
윤경남(尹景男) 1556-1614 본 파평. 현감, 대사헌 추증, 합천 김면의병 군관. 선무원종공신3등, 생가 거창 남하면 양항리소재. 유품 거창군청 소장, 저서 영호실기. 문위, 정온, 곽준과 교유
윤선(尹銑) 1559-1637 본 파평. 저 秋潭集 도승지, 이조참판, 예조참판, 성균관대사성, 우참찬. 삼가 학유(용사일기). 군수 장영
윤안성(尹安性) 1542-1615 본 파평 남원부사, 전라도 관찰사. 저 冥觀遺稿 양곡지원 (용사일기)
윤언례(尹彦禮) 본 파평. 윤선의 아버지, 증 이조판서. 삼가 군량지원 321(용사일기)
윤탁(尹鐸) 1554-1593 본 파평. 삼가대장(代長) 의병(용사일기). 훈련원부정. 박사겸, 박사제, 노순, 조계명과 의병 활동. 병조판서 추증, 삼가 구연서원 제향, 촉석정충단 병향.
이광악(李光岳) 1557-1608 본 廣州 곤양군수, 경기방어사, 선무공신3등. 시호 忠壯 관군 (용사일기) 위훈록 5-209
이광악(李光岳) 1557(명종 12)∼1608(선조 41).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진지(鎭之). 군수 호약(好約)의 아들이다.
1584년(선조 17)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을 거쳐 1592년 곤양군수(昆陽郡守)가 되었는데, 때마침 임진왜란으로 왜병이 영남일대에 쳐들어오자 선봉으로 장병을 격려하여 대비하였다.
그 뒤 적이 대군을 이끌고 진주성을 포위하여 목사 김시민(金時敏)은 고립되고 대세가 위급해지자, 당시 거창에 있던 초유사(招諭使) 학봉 김성일(金誠一)의 명령으로 좌익장(左翼將)이 되어 성안에 들어가 김시민과 합세하여 성을 사수하였다. 김시민이 적탄에 맞아 쓰러지자 그를 대신하여 총지휘관으로 싸워 대승을 거두고 적을 격퇴시켰다.
1594년 의병대장 망우당 곽재우(郭再祐)의 부장으로 함께 동래에 갔으나 적이 나오지 않으므로 돌아왔다. 이후 100여 차례의 싸움에서 항상 선봉으로 적의 예봉을 꺾어 우군의 사기를 북돋우었고, 특히 활을 잘 쏘아 화살 하나에 반드시 3, 4명을 죽였다고 한다.
1598년 전라도병마절도사로서 명나라군대와 합세하여 금산·함양 등지에서 왜군을 무찌르고 포로가 된 본국인 100여명과 우마 60여필을 탈환하였다.
그뒤 훈련원도정을 거쳐 1604년 경기방어사가 되어 선무공신(宣武功臣) 3등으로 광평군(廣平君)에 봉해졌다.1607년 함경남도병마절도사가 되었다.
시호는 충장(忠壯)이다
이눌(李訥) (A)1569-1599 본 청안 저서 낙의재유집 선무원종공신1등
(B) ?-? 본 태안 무과
이달(李達) 1561-1618 본 함안. 양산군수, 동지중추부사, 퇴계문인? 道山서원 제향. 곽재우, 최강 등과 진주성 전투 외곽 지원. 고성 의병장 (용사일기)
이대기(李大期) 1551-1628 본 전의. 저서 백령지, 雪壑謏聞, 만원서, 초계 의병(용사일기), 형조정랑, 영덕현령, 함양군수. 초계 淸溪서원 제향
이대윤(李大胤) 1532-? 본 전주 좌랑 의병소도유사 겸 모량장 양곡 기증(용사일기)
이로(李魯) 1544-1598 본 고성. 文殊山人 함양 의병, 사저관 319. 위훈록 5-367 저 四姓綱目 龍蛇日記 文殊志 송암문집. 형조좌랑, 비안현감, 정언. 시호 貞義
이방좌(李邦佐) 1538-? 본 경주 선조9년 무과 식년시 병과, 칠원현감 관군
이승(李承) 1552-1596 본 전주 자 善述 호 晴暉堂 퇴계·남명 문인. 성주 의병 위훈록 5-477 5-483 -485 표 김면과 창의
연락처 李起運 경북대 교수, 청휘당공파 종회장
이온수(李蘊秀) 1558-1619 본관 경주 영천 의병 위훈록 5-621
다음 블로그 야촌 (이재훈) http://blog, daum.net/009448/16143456 가은 이온수 장군 행장 5-624
이원춘(李元春) ?-1597 전라도 구례현감, 병조참의, 남원 충열사 제향
이종인(李宗仁) ?-1593 본 개성 김해부사 진주 관군
이찬종(李纘宗) 1554-? 본 예안 1588년 무자 식년시 무과 을과 2위 율포권관 관군 (용사일기)
이홍우(李弘宇) 1535-1594 본 광산 성주 의병 위훈록 6-249
이원정 찬 행장, 허목 찬 묘도비명. 성주 회연서원 鄕賢祠 제향. 고령 성산면 鳳陽院祠에 두 형과 함께 배향
임계영(任啟英) 1528-1597 본 장흥 진보현감, 해주목사, 순창목사 전라도 의병(박광전, 김익복, 문위세 등과 보성에서 창의) 저서 삼도실기 위훈록 6-299
임흘(任屹) 1557-1620 본 풍천 안동의병 안동재산, 소천 전투 (용사일기) 위훈록 6-343 저서 임란일기, 용담잡영, 금관록.
관 동몽교관, 박승임, 조목, 정구 문인. 연락처 任忠彬 선양회 이사
장윤(張潤) 1552-1593 본 목천 관 사천현감 전라도 의병 임계영의 부장, 사천현감, 진주목사, 증 의정부좌찬성, 병조판서, 시호 忠毅 진주 창열사, 순천 정충사 제향 위훈록 6-453. 연락처 張太鉉 목천장씨대종회장
전우(全雨) 1548-1616 본 전주 합천 거주 전치원의 아들, 사축서별제, 중림도찰방, 사헌부 지평 추증
전우(全雨) 1548(명종 3)∼1616(광해군 8) 초계
본관은 완산(完山). 자는 시화(時化), 호는 수족당(睡足堂), .
아버지는 치원(致遠)이며, 초계(草溪)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순진하고 효우를 돈독히 하여 문장에도 능했으며 글씨 또한 뛰어났다. 산수를 사랑하여 정자를 짓고 `수족당(睡足堂)`이라 편액하니 제갈공명(諸葛孔明)의 "초당서수족(草堂書睡足)"이란 글에서 따온 것이다. 오봉(五峯) 이호민(李好閔), 자암(紫巖) 이민성(李民宬), 대암(大庵) 박성(朴惺), 부사(浮査) 성여신(成汝信), 무민당(无悶堂)
박연(朴絪) 등의 명사들과 친교 하였다.
임진란때에 부친을 모시고 의병을 이끌고 적을 무찔렀으며, 이러한
공으로 사축서별제(司畜署別提)와 중림도찰방(重林道察訪)이 되었다.
사후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의 증직(贈職)을 받았으며 초계의
도계서원(道溪書院)에 제향되었고
저서로는 수족당집(睡足堂集)이 있다
정경세(鄭經世) 1563-1633 본 진양 예조판서, 이조판서, 대제학. 상주 의병(소모관) (용사일기) 우복집, 상례참고 위훈록 6-589
정기룡(鄭起龍) 1562-1622 본 진주 상주판관 경상좌병사, 삼도수군통제사. (용사일기) 시호 忠毅 상주 충렬사 제향 위훈록 6-675
정담(鄭湛) 1552-1634 본 영일 저서 영천복성일기 의병 위훈록 6-717
정대임(鄭大任) 1553-1594 영천 의병 영천 창대서원 제향 위훈록 6-741
정득열(鄭得悅) 1565-1592 사천현감 관군 (용사일기) 시호 忠壯 증 병조판서
정방준(鄭邦俊) 1557-? 본 초계 합천 의병 저서 금오산성수축일기 위훈록 6-791
정세아(鄭世雅) 1535-1612 본 영일 영천 의병 아들 宜藩 영천성 수복 (용사일기) 環丘서원 부자제향, 시호 剛義 위훈록 7-11
정유명(鄭惟明) 1539-1596 본 초계 정온의 父 원류소
정의번(鄭宜藩) 1560-1592 본 영일 경주싸움 전사, 호조정랑 추증 (학봉장계로) 좌승지 가증, 정려, 영천 環皐祠 제향
정인홍(鄭仁弘) 1535-1623 본 서산 합천 의병(용사일기) 제용감정 성주목사, 영의정 내암집 위훈록 7-117
제말(諸沫) 1552-1593 본 칠원 성주목사, 시호 忠毅 관군 위훈록 7-209
조경남(趙慶男) 1570-1641 자 善述, 호 山西, 산서병옹, 주몽당주인, 본관 한양. 난중잡록 저자 周浦서원 제향
조경형(曺慶亨) 단성 한후장 의병
조사남(曺士男) 1560-1592 본 창녕 군관 364 의령 곽재우 휘하 의병(용사일기) 砥山전투순국
조순걸(趙舜傑) 직산현리 초유사 군관(용사일기)
李亨, 金景郁, 曺彦男, 李好信 의령사람 전사(사료초존) 선조실록25년8월 7일 기사
조열(曺悅) 창녕 별장 의병(용사일기) 위훈록 7-287
조응도(趙凝道) 1555-1597 본 함안 고성가현령, 무과급제 의병 (용사일기) 병조참의 추증
조응인(曺應仁)1556-1624 합천 의병, 정인홍 참모(용사일기) 대구도호부사(교지 합천군 삼가면 일부리 799-1 조병용 소유 교지). 봉서정과 도촌 별묘(합천군 봉산면 암곡리) 연락처 합천사랑 조찬용 010-2837-4263 합천삼가 曺門
조정(趙靖) 1555-1636 상주 의병, 상주상황 보고 (용사일기) 위훈록 7-343
조존도(趙存道) 김천찰방, 군량과 구황곡 조달 차 전라도 행 322 (용사일기)
주몽룡(朱夢龍) ?-? 본 능성 김산군수 3룡장군 시호 武烈 태인 충렬사, 진주 平川서원 의령 충익사 배향 372 의령 의병
주사호(朱士豪) 1538-1614 본 신안 언양현감 경주 의병 소모관(도대장 김호, 소모유사 최신린) 위훈록 7-449
최강(崔堈) ?-? 본 전주 무과급제, 고성 의병장, 고성 道山서원 제향
최경회(崔慶會) 1532-1593 본 해주 전라도 의병 위훈록 7-519
최계(崔誡) 1567-1622 본 경주 만경현령 대구의병장(장계), 동생 崔認, 조카 崔東輔와 함께 최씨3충, 대구 平川祠 제향
최계(崔誡) 1567년(명종 22)∼1622년(광해군 14).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사훈(士訓), 호는 태동(苔洞).
내금위 종옥(宗沃)의 아들이다.
1591년(선조 24) 무과에 급제하여 만경현령을 지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대구에서 의병을 규합하여 전공을 세웠다. 광해군 때에는 대북파의 전횡이 심하여지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여 선영 아래에 집을 짓고 은거하였다.
동생 인(認), 조카 동보(東輔)와 함께 ‘최씨삼충(崔氏三忠)’으로 불렸다.
병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대구 평천사(平川祠)에 제향되었다.
학봉집
*임시로 차임한 대구(大丘)의 의병장 최계(崔誡)에게 유시하는 체문
초유사가 효유하는 일이다.
얼핏 듣건대, 대구부의 완악한 백성들이 혹 왜노에게 가서 그들의 향도(嚮導)가 되어 노략질을 한다고 하니, 몹시 통분스럽다. 각 지방의 유사(有司)들은 선적(善籍)과 악적(惡籍)을 작성하여 비치해 두되,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토벌한 사람은 선적에 기록하고, 엎드려 숨어 있으면서 나오지 않는 사람은 악적에 기록하라. 그리고 왜적에게 가서 그들의 향도가 된 자는 하나하나 별도로 기록하며, 그들을 체포하거나 죽일 수 있으면 위에 보고하지 말고 형벌을 시행하라. 이상의 문건은 한 건은 도(道)로 올려보내고 한 건은 그곳에다 비치하여 뒷날에 상을 주고 벌을 줄 때 증빙으로 삼을 수 있게 하라.
엎드려 숨어 있으면서 나오지 않은 자는 일이 안정된 뒤에 극형에 처한 다음, 그 집안 사람들은 모두 추쇄(推刷)하고 전민(田民)과 재물(財物)을 적몰(籍沒)하고 우마(牛馬)는 전사들에게 먹이라. 백성들을 진정시키는 데 힘써서 그들로 하여금 소요를 일으키지 말게 하라.
여러 사람들을 소모(召募)하는 유사(有司)로 차임하니, 모두 한마음으로 협력하여 흩어진 군졸들을 불러모아 큰 공을 세우기를 도모하라. 만약 죽음을 두려워하거나 겁을 내어 엎드려 숨은 채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향중(鄕中)에서 엄하게 벌을 가해 그들로 하여금 직임을 다하게 하라. 서로 간에 비록 작은 감정이 있더라도 화합하기를 힘써서 위급한 난리를 구제하라.
최문병(崔文炳) ?-1599 본 영천 자인 충현사 제향 위훈록 7-577
崔臣隣 1550- 진사 소모유사
최억남(崔億男) 1559-? 본 탐진 전라도 의병. 위훈록 7-621
최인제(崔仁濟) 1560-1592 본 영천 생원 경주싸움 전사(장계, 용사일기)
경주성 전투 시 전사자
생원 崔仁濟, 鄭宜藩, 교생 金演, 李得麟, 李好仁, 李榮根, 李順福, 李之馣, 柳復興, 田億疇, 봉사 李得龍, 참봉 韓得義, 田興霽, 품관 孫應睍, 李日將, 柳元傑, 李廷芬(17명)
최진립(崔震立) 1568-1636 본 경주 의병 동생 崔繼宗과 함께 의병, 경주 충렬사, 경원 충렬사 제향. 시호 貞武 위훈록 7-673
최철견(崔鐵堅) 1548-1618 본 전주 저서 몽은집 전라도도사 관 호조참의, 춘천부사 322 양곡지원
하종해(河宗海) 1557-? 본 진양 무과 합천 의병
하혼(河渾) 1548-1620 합천 임란창의기념관. 정인홍, 최영경, 조응인(합천 삼가 曺문, 조찬용 합천사랑 010-2837-4263)
한계(韓誡)?-? 생원 김대명, 정승훈 등과 의병 6백명 모집, 고성 방어
황응남(黃應南) 1556-? 본 회덕 무과 거창(제포만호)관군
대종회 황대식 042-632-7800
이상 108 위
추가
고상안(高尙顔)1553(명종 8)∼1623(인조 1). 문경
본관은 개성. 자는 사물(思勿), 호는 태촌(泰村). 천우(天佑)의 아들이다.
1573년(선조 6) 진사가 되고, 1576년에 문과에 올라 함창현감·풍기군수 등을 지냈다.
40세가 되던 해에 임진왜란이 일어나 왜적이 침입하자, 향리인 상주 함창에서 의병대장으로 추대되어 큰 공을 세웠다.
49세 이후 지례현감·함양군수를 지냈고, 이덕형(李德馨)·이순신(李舜臣) 등과의 서사기록(書事記錄)도 남긴 바 있다.
그 뒤 울산판관을 지낸 후, 벼슬을 그만두고 전원생활을 하였다.
泰村先生文集
書
上鶴峯金先生 誠一○壬辰
島夷猖獗。國事至此。雖此微末賤品。敵愾之心。寧欲無生。何幸吾令公杖鉞南轅。鼓動士氣。鎭撫一道。有足以少挫賊鋒。已極聳動人義膽忠憤。而又况郭公再祐隻手起義。倡率日附。斬獲不少云。令人增感。謂當如何。尙顔亦爲尙,咸士友之所倡起。推爲將任。不揆僭妄。募聚閭里。催督義粮。南首死敵計。其備禦之方。斬獲之策。明以敎我。使之同心戮力。刻期討滅。以淸邦國。千萬伏望。
곽재겸(郭再謙)1547년(명종 2)∼1615년(광해군 7). 산청 단성
본관은 현풍(玄風). 자는 익보(益輔), 호는 괴헌(槐軒).
아버지는 선무랑(宣務郞) 초(超)이다. 작은아버지 월(越)에게 글을 배우다가 김경창(金慶昌)의 문하에 들어가 수학한 뒤 한강 정구(鄭逑)와도 종유(從遊)하였다.
여헌 장현광(張顯光)· 낙재 서사원(徐思遠) 등과 친교가 두터웠으며, 1573년(선조 6) 동강 김우옹(金宇顒)의 추천으로 참봉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초유사(招諭使) 학봉 김성일(金誠一)을 도와 모병(募兵)·모량(募糧) 등 토적활동(討敵活動)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한편, 서사원과 협력하여 직접 의병활동을 펴기도 하였다.
정유재란 때에는 종제(從弟) 재우(再祐)와 함께 의병을 이끌고 창녕(昌寧)의 화왕산성전투(火旺山城戰鬪)에 참전, 왜적을 물리친 뒤 그 공으로 부호군(副護軍)에 올랐다.
난이 끝난 후 향리에서 인재교육으로 여생을 마쳤다
대구의 유호서원(柳湖書院)에 배향되었다.
行狀 입재 정종로 찬
槐軒先生郭公諱再謙字益甫其先苞山人也鼻祖諱子儀高麗金吾衛校尉後五世諱允賢官工曹典書子諱瓊仕本朝判司宰監事子諱得宗義盈庫使子諱安邦世祖朝靖亂功臣錄淸白吏鄕人爲之立祠是於公爲五世祖高祖諱承華進士遊佔畢門從享道東祠曾祖諱瑋中司馬兩試官縣監贈左通禮祖諱之藩丈科司成贈左承旨兩世贈秩皆以公從弟忘憂堂再祐貴也考諱超妣李氏臨瀛大君之子洪陽守玩女也以嘉靖丁未二月十二日生公于玄風率禮里第幼穎悟出人始受字學一聞輒記稍長性好讀書長者雖止之而不輟八歲季父參議公赳登第設閒喜宴人皆爭觀公獨端坐讀書父老許其有遠大志十五與大庵朴公惺再從叔存齋公䞭遊洛川裵公紳之門是年丁先考憂廬墓終制毁幾滅性二十往見溪東全公慶昌溪東贈以近思一部曰此眞子之書也三十拜寒岡鄭先生于檜淵書院講思傳朱書先生歎曰吾之益友也先生於公爲蔥竹舊而公執弟子禮不懈雖在龍蛇搶攘之中時從先生於伽倻侍杖屨唯謹及公臨歿先生執手訣曰吾道孤矣早事擧業累中鄕解而雅志不屑焉遂隱居求志不以功名自期結書社于解顔柳溪之上杜門靜坐諷誦遺經乙酉以東岡金先生薦除健元陵參奉不赴壬辰避寇公山出見招諭使鶴峯金先生論兵事募丁聚糧多設方略於江北要衝之地賊不敢輕犯至翌年春進見唐將劉摠兵綎以其所帶兵屬之助其軍勢冬以事詣都元帥權公慄轅門裨將有勸以酒者公曰主上蒙塵二陵遭變臣子豈忍近酣却不飮乙未還入公山與假將等講軍務暇會慕堂孫公處訥講心經丁酉春倭再動公携義旅赴火旺城與忘憂公誓心抗賊運致兵食道臣以聞特資通政階秋公山城陷公從權將軍應銖追擊倭達城下亂平唯以聚徒設講爲常癸丑患風痺越三年五月二十九日卒享年六十九閏八月十八日葬于達城府北屯基洞卯向之原會者數百人公資性寬仁恬靜寡慾篤志爲學不喜人知九歲以小學童子復生於鄕見稱蓋寒暄金先生常自稱小學童子故人之比儗而期待者此也每讀書常掩卷曰孝悌誠敬外更有何事其事親也色養無違喪致哀祭致嚴以所居遠於先壟築望拜壇每朔望望拜雖病不廢事伯氏如父老年委身救其癘疾不忍暫時離捨繼染幾危而獲安人服其孝友敎子弟爲著十六圖使之朝夕觀省皆推原古賢旨訣而其中自得者爲多前後名賢如月川趙先生旅軒張先生守愚崔公石潭李公樂齋徐公曁一時同志會輒講討吾先祖文莊公莅達府按嶺節也或訪其衡宇或邀諸院學其見推之重如此遊於門者柳沙月時藩徐東皐思選其尤也處心忠厚而於人好惡不苟士有一行則雖寒賤必敬接之德無可取則雖尊貴亦不重也嘗爲硏經洞主與諸生習禮道伯爲造焉公避不見蓋鄙其爲人也平居夙興夜寐正其衣冠手未嘗釋卷充養之久氣像和融襟懷瑩澈使人追想有不覺起敬者存焉公以堂後有槐自號槐軒今上甲辰士林躋享公於柳湖書院夫人永川李氏佐郞杜文之女有二男曰漸死於壬倭婦宋氏隨殉無後曰涌生員生二男長後立贈掌樂正次後昌文科縣監正生二男長民瞻贈參議次民覺云云先生七世孫元澤氏使其子柱南持慕堂所撰墓誌及諸賢信筆來求記行之狀於宗魯曰兩家先誼備載遺事是狀也微子而誰任宗魯自顧非其人而義亦有不敢辭者遂拜受而序次如右以歸之
上之十八年甲寅至月上澣晉陽鄭宗魯撰
곽간(郭趕) 1529(중종 24)∼1593(선조 26).
본관은 현풍(玄風). 자는 원정(元靜), 호는 죽재(竹齋). 사인 지견(之堅)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상산김씨(商山金氏)로 부사 수돈(守敦)의 딸이다.
1546년(명종 1)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1550년 형조좌랑에 임명되었다.
1552년 대동찰방 겸 수은어사(大同察訪兼搜銀御史)로 있을 때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오는 심통원(沈通源)의 짐이 너무 많은 것을 보고 모두 뒤져서 불살라버렸다. 이 사실이 관찰사를 통하여 조정에 보고되어 심통원이 파직당하자, 그의 보복이 두려워 미친 사람 행색으로 가장하고 소(䟽)를 올린 즉시 서울을 떠났다.
그뒤 10여년 동안 피신하여 살았으며, 1566년 다시 성균관전적에 제수되었다. 당시 문정왕후(文定王后)가 불교의 부흥을 꾀하자 이에 반대하는 상소를 하였다가 언관의 자리에서 밀려났다.
그 뒤 공조·형조·예조의 좌랑과 정랑·통례원통례·성균관사성·장악원판사·사제감· 종부시정·영천군수·공주목사·강릉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서사원(徐思遠)과 함께 초유사(招諭使) 학봉 김성일(金誠一)을 찾아가 함께 싸우다가 학봉 김성일이 순직하고 진영이 와해되자 돌아오던 중 졸하였다.
월암사(月巖祠)에 제향되었다.
곽진(郭瑨)1568(선조 1)∼1633(인조 11).
본관은 현풍(玄風). 자는 정보(靜甫), 호는 단곡(丹谷).
아버지는 생원 한(瀚)이며, 어머니는 평해황씨(平海黃氏)로 참봉 언량(彦良)의 딸이다. 송소(松巢) 권우(權宇)의 문인.
25세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학봉 김성일(金誠一)의 초유문(招諭文)을 읽고 그의 둘째형과 함께 의병을 모집, 화왕산성(火旺山城)에 들어가 왜적과 싸웠다.
1601년(선조 34)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그뒤 과거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면서 단공산(丹公山)에 작은 암자를 짓고 《심경 心經》·《근사록 近思錄》·《주서절요 朱書節要》 등을 취하여 위기지학(爲己之學)에 잠심하였다.
1605년에 광릉참봉으로 임명되기도 했으나, 곧 시세에 어긋나 물러났다.
1618년(광해군 10) 아들 영(瓔)이 권신 이이첨(李爾瞻)을 주참하자고 상소하였다가 투옥되어 죽자, 1621년에는 그 자신이 영남유생을 대표하여 이이첨을 탄핵하는 상소문을 써올렸다.
시문에 능했으며, 여헌 장현광(張顯光)· 창석 이준(李埈)· 우복 정경세(鄭經世) 등과 사우관계를 맺었다. 백고리사(白皐里祠)에 제향되었다.
김경근(金景謹)1559(명종 14)∼1597(선조 30). 임진왜란 때의 의병.
본관은 상산. 자는 이신(而信), 호는 대하재(大瑕齋). 단성(丹城: 지금의 경상남도 산청군)출생. 아버지는 진사 준(浚)이며, 어머니는 강양이씨(江陽李氏)로 인배(仁培)의 딸이다. 하항(河沆)에게 수학하였다.
1591년(선조 24)에 장차 왜적이 난을 일으킬 것을 예측하고 방백(方伯)에게 편지로 산성을 수축할 것을 건의하였다가 민심을 동요시켰다는 죄목으로 투옥되었다.
이듬해 왜적이 침입하자 사람들은 모두 그의 선견에 탄복하였다. 조카 응호(應虎)와 함께 인근에 격문을 보내 창의(倡義)하여 적과 싸웠다.
초유사(招諭使) 학봉 김성일(金誠一)이 조정에 포상을 건의하였다.
정유재란 때 성묘하러 가던 중 왜적을 만나 끝까지 항거하다가 피살되었다.
왜적이 그의 의로움에 감복하여 나무에 ‘조선국의사김경근지시(朝鮮國義士金景謹之屍)’라고 써놓았다.
1882년(고종 19) 사헌부감찰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대하재실기 大瑕齋實記》 3권이 있다.
김득추(金得秋) 1562년(명종 17)∼1660년(현종 1). 경주 출신.
본관은 의성. 자는 운서(雲西), 호는 구재(懼齋).
아버지는 부사과(副司果) 건(健)이며, 어머니는 경주김씨로 수문(守文)의 딸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일으켜 영양(永陽)·창암(倉巖)·노항(魯巷) 등지에서 적과 싸워 많은 공을 세웠다.
이때의 공으로 훈련주부(訓鍊主簿)에 임명되었다.
1593년 무과 초시에 합격하여 1595년 훈련판관에 제수되고, 원종이등공신(原從二等功臣)에 기록되었다.
1599년 무과에 급제, 1650년(효종 1) 용양위부사직(龍驤衛副司直)에 오르고, 이듬해 가선대부(嘉善大夫)가 되었다. 저서로는 《구재실기》 1책이 있다.
응와(凝窩) 이원조(李源祚)가 지은 訓鍊判官懼齋金公墓碣銘에
癸巳二月往拜招諭使鶴峯金先生于晉州,先生問討賊方略,公曰,兵要在外愚內智,外弱內强,賊進則我退,賊退則我進, 彼深入我境,求戰不得,以逸待勞,賊可勦滅矣,先生稱嘆,
김령(金靈) 1576~1650
본관은 선산. 자는 옥여(玉汝), 호는 경재(警齋).
아버지는 종부시주부(宗簿寺主簿) 난경(蘭卿)이며, 어머니는 팔거도씨(八莒都氏) 주부 응두(應斗)의 딸이다. 서애 유성룡(柳成龍)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書
* 상 초유사 학봉김선생
김회(金淮) 1578년(선조 11)~1641년(인조 19)
박여량(朴汝樑) 1554년(명종 9)~1611년(광해군 3)
본관은 三陟, 자는 公幹, 호는 感樹齋다
39세 때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학문에만 정진할 수 없어 떨쳐 일어났다. 왜란 초 경상도 일대가 왜군에 의하여 유린되자, 사태수습을 목적으로 鶴峯 金誠一을 경상도 招諭使에 임명하였는데, 감수재는 경상 좌우도로 통문을 보내 학봉을 계속해서 영남지역에 머물도록 하였다. 40세 때 순찰사 金睟와 右兵使 曺大坤이 의병장 忘憂堂 郭再祐(1552~1617)를 모해하므로 疏를 行在所에 올려 김수 등을 목베고 의병장의 伸救을 청하였다. 또 左監司 김성일을 巡察右道에 겸하도록 청하였다. 그리고 體察使 李元翼에게는 固本之策을 올리도록 上書하였고, 支援兵 5천명을 이끌고 참전한 明나라 무장 都督 劉綎에게는 和親을 물리치고 왜구를 멸할 것을 청하였다
소상진(蘇尙鎭)1548(명종 3)∼1592(선조 25).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실보(實甫), 호는 서암(西庵). 보성 출신.
연포만호 규(珪)의 아들이다.
1590년(선조 23)에 사재감주부(司宰監主簿)를 지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관군이 달천(㺚川)에서 패했다는 소식을 듣고 서울로 가던 중 전주에서 학봉(鶴峯) 김성일(金誠一)을 만나 의병을 모집하여 영남으로 가 진보군수 삼도(三島) 임계영(任啓英)의 휘하에서 별장이 되어 항시 홍의(紅衣)를 입고 전투에 나갔다. 성주싸움에서 적과 분전 끝에 전사하였다.
뒤에 예조참의에 추증되고, 보성 정충사(旌忠祠)에 배향되었다.(소씨삼강문)
양황(梁榥)1575(선조 8)∼1597(선조 30). 임진왜란 때의 의병.
본관은 남원(南原). 자는 학기(學器), 호는 진우재(眞愚齋). 홍주(弘澍)의 아들이다.
그는 용모가 준수하고 풍채가 늠름하였다. 어려서부터 문장력이 뛰어났으며 성혼(成渾)에게 수학하였다.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아버지 홍주는 의병을 일으켜 때마침 경상도에서 의병대장으로 활약하고 있는 래암 정인홍(鄭仁弘)에게 합세하려고 하였다.
그때 18살의 어린 나이로 아버지를 설득하여 학봉 김성일(金誠一)의 휘하로 달려가서 크게 용맹을 떨치다가, 다시 가재를 정리하여 많은 화살을 준비한 뒤 해로(海路)로 의주의 행재소에 이르러 헌납하였다.
그때 마침 명장 이여송(李如松)이 군사 5만명을 거느리고 압록강을 건너오니 행재소의 문무백관들이 모두 나아가 그를 환영하였다.
이때 많은 문무백관들 앞에서 그가 이여송을 환영하는 시를 낭독하자 그 유려한 문장력에 모두 놀랐다.
난이 끝나자 그는 다시 파산(坡山)에 있는 정사(精舍)로 돌아가 수학하다가 그곳에서 죽었다.
우배선(禹拜善) 1569년(선조 2)~1621년(광해군 13)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의 의병장.문신.
이정(李瀞)1541(중종 36)∼1613(광해군 5)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여함(汝涵), 호는 모촌(茅村)이다.
부제학 중현(仲賢)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건국원종공신 무(珷)이고, 아버지는 경성(景成)이다. 남명 조식(曺植)의 문인.
1592년(선조 25)에 임진왜란 때 초유사(招諭使) 학봉 김성일(金誠一)의 소모관(召募官)으로 임명되어 함안군수 유숭인(柳崇仁)을 도와 진해, 창원 등지의 왜적을 토벌하여 공을 세워 사근도찰방겸함안의병장으로 임명되었다. 1594년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에 임명되고 이내 단성현감에 임명되었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에는 의령에 침입한 왜군을 격퇴시켜 그 공으로써 통정대부에 승진되었으며, 청주목사, 상주목사, 창원대도부사를 역임하였다. 함안의 도림서원(道林書院), 진주의 대각서원(大覺書院)에 제향되었다.
* 上招諭使金鶴峰
金羅人李瀞,再拜上書于招諭使,閤下我國自受賦以來,列郡望風潰散,無一人禦鋒,皆入山林與雉兔無異,嗚呼,大駕播越,凡爲臣民者,豈敢畏賊遁跡,不殉國家之急乎,宜咸二郡,地勢便利, 可以用兵,而匈盗盡陷之,丹晉二邑,平險兼全僕, 自招兵之日,至于今日夜,執干戈,望北雲,而霑襟其何益乎,國事隻手徒呼,心自摧折,伏願閤下特借精兵二千餉未三百石,則餙奇兵,絶昆泗陸路,以分賊勢,閤下依險守要,與水將李舜臣,以觀其蚌鷸之勢,兩賊之頭,可不日而致也,柰何畏約, 觀勢使賊,自相縱撗也哉,
吳俔 咸陽人號義堂德溪健從弟壬亂與鶴峰金誠一倡義討賊與寒岡鄭逑爲道義交有祭文曰相愛之心相敬之至信乎爲肝瞻相徹之交金石無間之契
이숙(李潚 ; 1550~1615)의 자는 여징(汝澄), 호는 갈촌(葛村)이다. 본관은 재령(載寧)이다. 1576년 (선조 9) 무과에 급제했으나 벼슬길에 나갈 뜻이 없었다. 중형(仲兄) 서촌공(叙村公) 정(瀞)과 더불어 성리학을 강마하고 한강(寒岡) 정선생(鄭先生)이 본군(本郡)에 이임(李任)하여 생도를 모으므로 선생도 거기에서 배웠다. 1591년(선조 24)에 제포만호(薺浦萬戶)가 되어 성을 수축하고 병기를 수리하였다. 이듬해 임진왜란으로 列郡이 파궤(破潰)됨에 주장인 김해(金海) 졸(졸)가 도망하고 없는지라 그 곳에서 죽기보다는 의병을 모아 보국(報國)함이 좋겠다고 여겨 창의(倡義)하였다. 그때 감사(監司) 김수(金睟)는 겁을 내어 출전을 기피하였으므로 곽망우(郭忘憂) 장군(將軍)이 그의 죄를 성토하려는데 감사는 망우장군을 토적이라 무고하려는 즈음이었다. 이에 공이 방백과 곽장군에게 강화(講和)를 시키고 초유사(招諭使) 김학봉(金鶴峯) 선생(先生)의 막하에 있으면서 방략(方略)을 협찬하였다. 난이 끝난 뒤 사퇴하고 다시는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았다. 합천군수(陜川郡守) 재임시에는 정인홍(鄭仁弘) 가족이 세력을 믿고 세금을 포탈하거늘 공이 조금도 가차없이 옥에 가두고 매질하여 모조리 징수하기도 하였다. 정한강(鄭寒岡), 장여헌(張旅軒), 곽망우당(郭忘憂堂) 제현과 함께 교유가 두터웠으며, 졸후(卒後)에 도계사(道溪祠)에 이양졸 복휴(李養拙 休復), 박광서 진영(朴匡西 震英), 조도곡 익도(趙道谷 益道)와 함께 병향(幷享)되었다고 한다
정경달(丁景達) 1542~1602
壬辰倭亂時 倡義하신 先祖님 略史
全致遠 生;서기1527年(中宗22) - 卒;1596年(宣祖29)
公의字는 士毅 號는 濯溪이시며 黃江 南冥 양 선생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서기1564년(명종19) 영남유생들과 더불어 淸溪書院을 창건하셨고 남명 황강 양선생의 묘비문을
갈명 하였으며 서기1574년(선조7) 司圃暑別提. 沙斤道
察訪등 다소 벼슬이 내려졌지만 불취하시고 서기1592년
(선조25) 임진왜란시 초계고을에서 창의하여 의병장이
되어 크게 유공하였으며 후학양성에도 전염하여 무성부원군 尹泂을 비롯한 다수 문인이 배출되었다
서기1702년(숙종28) 淸溪書院에 제향되고 앞서 임진왜란시 공적으로 忠節卓異 贈職事 吏曹判書에 추증되었다 .
全雨 生;서기1548年(明宗8) - 卒;1616年(光海8)
公의字는 時化 號는 睡足堂이시며 부친 濯溪先生의 문인이며 서기1592년(선조25) 임진왜란 발발시 부친을도와
창의에 참여하여 유공한 기록이 선조실록에도 등제되어 있으며 司畜暑別提. 重林道察訪에 제수되고 서울에계시면서 鄭崑壽 李好閔등과 영남동도회를 창계하였으며 앞서
임진왜란시 유공으로 나라에서는 司憲府持平의 증직이
내려지고 서기1855년(철종6) 道溪書院에 제향되었다 .
全霽 生;서기1558年(明宗13) - 卒;1597年(宣祖30)
公의字는 時適 號는 英叟이시며 당숙부 濯溪先生의 문인이며 서기1585년(선조18) 무과에급제하여 僉正으로
兵馬節制都尉를 지내고 서기1592년(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堂叔父을 도와 창의에 참여하여 크게 수훈하시고 이어 영산縣監에 제수되었으며 앞서 임진왜란시 유공으로나라에서는 戶曹參判의 증직이 내려 져서며 서기1855년(철종6) 道溪書院에 제향 되었다
全雯 生;서기1551年(明宗6) - 卒;1592(宣祖25)
公의字는 時若 號는 香齋이시며 부친 濯溪先生 門下에서
修學하시고 武藝에 造詣가있어 19세에 武科에 及第하여
訓練奉事가 되시고 서기1592년(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부친의 麾下에서 많은 戰功을세워 後日 戶曹參議에
追贈 되었다
첫댓글 낙민선생님께 여쭙니다.
임란 공적에 대한 포괄적 사업인지요?
배향 인물의 선정기준은 무엇이며 어느 기관이
선정하시며 언제쯤 시행하는지요?
의성수성장 운암 권희순의 후손
권병찬 배상 010-8563-2599
안녕하십니까. 저는 위에 실린 경상좌도 의병도대장 월암 김호의 15대손입니다.
배향 인물의 선정 기준과 공원의 완공 예정일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찬(金瓚) 1543-1599 본 안동. 시호 효헌. 도체찰부사 양곡지원
의 15대손입니다. 010-3718-0066
달수행님은 이런 것을 왜 저에게 통보를 안해주니껴?
제가 알고 있는 분들도 좀 있습니다.ㅎ
이광악 장군 후손들은 자기할배가 난중일기에 수십번 나오는 것도 모르고 있기에 제가 알려줬습니다만,별로 도움이 안될 것 같군요.저보다 더 모르니...
주몽룡 장군 후손도 제가 좀 알고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