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전희룡(全熙龍)
1802년 승문원부정자
1809년 승문원저작
1810년 감찰
1819년 전적
1820년 사직령
◎ 사직령 [ 社稷令 ]
종5품 사직단을 관리하는 책임자
◎ 감찰[ 監察 ]
조선시대 사헌부의 정6품 관직.
◎ 전적[ 典籍 ]
조선시대 성균관의 정6품 관직.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 10월 25일 무진 16/17 기사 1801년 嘉慶(淸/仁宗) 6년
○ 辛酉十月二十五日辰時, 上御熙政堂。 藥房入診, 禮·兵房承旨率文武新恩入侍時, 都提調李秉模, 提調黃昇源, 副提調李翊模, 檢校直閣李始源, 左副承旨鄭東觀, 右副承旨權襈, 記事官金𨩿, 假注書鄭祖榮, 記事官呂東植·金邁淳, 以次進伏訖。 秉模等曰, 日氣甚佳, 聖體, 若何? 上曰, 一樣矣。 秉模等曰, 寢睡·水刺之節, 何如? 上曰, 一樣矣。 秉模等曰, 大王大妃殿氣候, 何如? 上曰, 一樣矣。 秉模等曰, 王大妃殿氣候, 何如? 上曰, 一樣矣。 秉模等曰, 惠慶宮氣候, 何如? 上曰, 一樣矣。 秉模等曰, 嘉順宮氣候, 何如? 上曰, 一樣矣。 秉模曰, 大王大妃殿, 無承候之人, 當使鄭游承候, 而進御養胃湯, 以製入爲敎, 自今日一貼式製入乎? 上曰, 依此爲之。 秉模曰, 惠慶宮進服蔘吉茶[蔘桔茶]停止, 香橘茶, 自今日一貼式製入事, 議定矣。 上曰, 依此爲之, 而榻敎則出去書之, 可也。 秉模曰, 羅蔘今已新捧, 從今以後, 湯劑所入, 當以羅蔘用之, 故敢此仰達矣。 上曰, 依此爲之。 秉模曰, 臘劑所入麝香不足, 當爲別貿取用, 故敢此仰達矣。 上曰, 唯。 仍命秉模等就座。 昇源以監煎次, 先爲退出。 上曰, 新恩入侍。 東觀曰, 新恩入侍事, 命下矣。 使之行禮後登筵乎? 上曰, 唯。 引儀唱引文武新恩, 行四拜禮訖。 尹致鼎·柳季麟·金益耜·朴升用·朴宗慶·成在基·邊始暹·李在嵩·愼必復·金洛龍·尹久東·林東鎭·趙永存·權拚·金啓淵·任弘植·全熙龍·金光鼎·林以存·許臻·成老鎭·南奎采·徐有素·李宗心·孟養大·趙𣚅·孫之亨·權得中·安允昇·徐道裕·洪重緖·金振虎·朴思彦·金履迪, 以次進前, 奏職姓名。 至尹久東, 上敎曰, 故諭善第幾子乎? 久東對曰, 第二子矣。 上敎曰, 年幾何乎? 久東對曰, 四十八歲矣。 至洪重緖, 上敎曰, 年幾何乎? 重緖對曰, 七十九歲矣。 上敎東觀曰, 武科新恩, 則只甲科進前, 乙科以下, 則宣傳官, 於階下問名以奏, 可也。 武甲科李東膺·沈能顯·申錫明, 以次進前, 奏職姓名, 乙科閔晳·李井會·申宅憲·李止敬·金鎭玉, 丙科尹亮烈等, 竝於階下, 以次奏職姓名訖。 引儀唱引文武新恩出。 上敎秉模等曰, 今日勸講, 日勢已晩, 置之, 可也。 仍命退, 諸臣以次退出。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 10월 29일 임신 11/25 기사 1801년 嘉慶(淸/仁宗) 6년
全熙龍에게 관직을 제수함
○ 趙𣚅有頉代, 以全熙龍爲假注書。
승정원일기 1854책 (탈초본 98책) 순조 2년 6월 4일 계묘 24/30 기사 1802년 嘉慶(淸/仁宗) 7년
○ 吏曹啓目, 權知承文院副正字成在基·李在嵩·愼必復·金洛龍·林東鎭·全熙龍·南奎采·徐有素·孟養大·趙𣚅·權得中·金虎振·閔鼎秀·金鐮·金蓍根·徐永輔·洪羲玄·朴聲漢爲等如, 口傳施行, 何如? 判付啓, 依允。
승정원일기 1970책 (탈초본 104책) 순조 9년 8월 27일 을묘 7/17 기사 1809년 嘉慶(淸/仁宗) 14년
吏批의 관원현황
○ 有政。 吏批, 判書金羲淳進, 參判未差, 參議徐有聞牌不進, 同副承旨韓義運進。 以宋冕載爲大司諫, 權丕應爲執義, 朴宗臣爲司諫, 洪義俊爲掌令, 韓兢履爲獻納, 鄭元善爲持平, 沈能稷爲正言, 鄭東元爲繕工副正, 趙鎭衡爲濟用判官, 沈公權爲顯隆園令, 李麒峻爲典籍, 韓永建爲狼川縣監, 承文著作全熙龍, 書題金永默, 以上竝單付。 故學生李章會贈吏參例兼, 故郡守李益培贈吏議, 以上同義禁李好敏本生家兩代。 故收使徐有常贈吏參例兼, 故學生徐行修贈吏議, 以上黃海兵使徐英輔本生家兩代。 故大諫李濟遠贈吏參例兼, 慶州府尹李采考贈職事, 承傳。 以李肇源爲吏曹參判。
승정원일기 1991책 (탈초본 104책) 순조 10년 12월 13일 계사 22/30 기사 1810년 嘉慶(淸/仁宗) 15년
吏批의 관원현황
○ 有政。 吏批, 判書朴宗慶進, 參判·參議未差, 左副承旨金基厚進。 以李存秀爲吏曹參判, 李承達爲正言, 李勉求爲副應敎, 李永錫爲兼同義禁, 金直淳爲掌樂正, 洪秉翼爲典簿, 全熙龍爲監察, 金相休爲通信使, 幼學李克禮今加通政, 侍從臣父加資事承傳, 前縣監呂永喆加資事承傳。
승정원일기 2118책 (탈초본 109책) 순조 19년 7월 17일 정축 7/18 기사 1819년 嘉慶(淸/仁宗) 24년
吏批의 관원현황
○ 有政。 吏批, 判書李存秀進, 參判宋冕載牌不進, 參議未差, 左副承旨趙台榮進。 以曺鳳振爲吏曹參議, 權常愼爲兵曹判書, 李光文爲大司諫, 朴周壽爲輔德, 洪羲臣爲知義禁, 李瀅夏爲司成, 全熙龍爲典籍, 李賢耆爲莊陵參奉, 李應奎爲刑曹參議, 成均博士單洪聖演, 學正單林孝憲, 學諭二單李秉德·崔鳳恒, 故學生李株贈童敎贈職事承傳。
승정원일기 2127책 (탈초본 110책) 순조 20년 4월 4일 기축 22/36 기사 1820년 嘉慶(淸/仁宗) 25년
申在植 등에게 관직을 제수함
○ 以申在植爲吏曹參議, 李彦淳爲司諫, 李禮延爲掌令, 朴宗璜爲持平, 林顔喆爲獻納, 徐英淳爲正言, 鄭基善爲副校理, 徐俊輔爲左尹, 吳翰源爲右尹, 韓耆裕爲戶曹參議, 閔鼎秀爲工曹參議, 李菡甲爲吏曹正郞, 趙璟鎭爲奉常正, 朴彝鉉爲顯陵令, 柳諫爲永陵令, 全熙龍爲社稷令, 徐憙淳爲西學敎授, 南熙爲軍器正, 李寬永爲造紙別提, 李台升爲河陽縣監, 安興世爲重林察訪, 李湜爲祥雲察訪, 義州府尹單金敬淵, 兼持平權敦仁減下, 軍器正趙平錫依定式陞堂上, 學正單白時亨·田齊賢, 學錄趙相玉, 學諭河錫洪。

문과급제자 기록변경 건의[김희룡→ 전희룡(全熙龍)]
순조1년 1801년 식년시 문과급제자중에서 「김희룡」을 「전희룡(全熙龍)」으로 기록 변경하여 주실 것을 건의합니다.
[근 거]
1. 1801년 식년시 합격자 국가기록인 승정원일기에 의함.
승정원일기 1842책 (탈초본 97책) 순조 1년 10월 25일 무진 16/17 기사 1801년 嘉慶(淸/仁宗) 6년
上曰, 新恩入侍。 東觀曰, 新恩入侍事, 命下矣。 使之行禮後登筵乎? 上曰, 唯。 引儀唱引文武新恩, 行四拜禮訖。 尹致鼎·柳季麟·金益耜·朴升用·朴宗慶·成在基·邊始暹·李在嵩·愼必復·金洛龍·尹久東·林東鎭·趙永存·權拚·金啓淵·任弘植·全熙龍·金光鼎·林以存·許臻·成老鎭·南奎采·徐有素·李宗心·孟養大·趙𣚅·孫之亨·權得中·安允昇·徐道裕·洪重緖·金振虎·朴思彦·金履迪, 以次進前, 奏職姓名。 至尹久東,
2. 국조방목
김희룡 기록난에 「一云全」
3. 승정원일기 기록에 의하면 전희룡은 문과급제 후 순차적인 공직생활기록이 일관되게 16건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반면 김희룡은 문과급제 기록은 없고 5건의 기록이 있으며 나머지 9건의 기록은 무관기록과 유학기록이 있습니다. 김희룡은 次上幼學으로 급제로 추측되어지지만, 이는 철종시대 1850년입니다. 1850년 기록은 「1801년 순조시대 식년시」와는 전혀 상관없습니다.
4. 승정원기록으로 볼 때 전희룡과 김희룡의 2명이 공직 생활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중 순조임금때 식년시 과거급제자는 전희룡이며, 공직입문경로를 알 수 없는 김희룡이 있는 것으로 생각이 듭니다.
5. 그러므로 순조1년 식년시 합격자는 전희룡으로 기록변경해 주시기 바랍니다. 그와 연동된 김희룡의 과거급제 기록에 메인에는 전희룡으로 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