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 交流의 關門 山東-동아시아 실크로드 이야기 (4-3)
(83) 百濟의 海上交流
*晉: 魏晉南北朝時代 魏 나라 司馬懿의 孫子인
權臣 司馬炎이 세운 중국 王朝로
西晉(AD 265~316)과 東晉(AD 317~419)으로 구분되며, 都邑은
洛陽이다.
(*懿: 아름다울 의)
*南朝: 중국 南北朝時代 중
5~6세기에 揚子江 下流지역을 점거하고 建康(현 南京)을
國都로
한 4王朝에 대한 총칭으로, 4王朝는 宋(420~479), 齊(479~502),
梁(502~557), 陳(557∼589)을 가리키며, 北朝에
대하여 南朝라고 한다.
(84) [梁職貢圖]의 百濟國使 (*貢: 바칠 공)
(85) [王會圖]의 百濟國使
(86) [番客入朝圖]의 百濟國使
(87) 유약 바른 토기[施釉 陶器] (*釉:
광택 유 *陶: 질그릇 도)
-서울 風納洞 土城(사적 11호) 출토 -百濟 시대 -漢城百濟博物館 소장
(88) 유리구슬[珠玉] -서울 牛眠洞 출토 -百濟 時代 (*眠: 잘 면)
(89) 오수전[五銖錢]
-仁川 永宗島 출토 (*銖: 저울눈 수)
(90) 진식 허리띠꾸미개[晉式 帶金具] (複製)
-서울 夢村土城(사적 297호) 出土 -漢城百濟博物館 소장
(91) 닭 머리모양 항아리[鷄首壺] (복제) (*壺: 병 호)
-忠南 公州 水村里 Ⅱ-4호 무덤 출토
-백제시대 -한성백제박물관
(92) 청자 네 귀 달린 항아리[靑瓷有蓋四耳壺] (복제)
-忠南 公州 水村里 Ⅱ-1호 무덤 출토
-백제시대 -한성백제박물관
(93) 양 모양 청자[羊形 靑瓷] (복제) -江原 原州 法泉里 출토 -한성백제박물관 소장
(94) 중국 청자항아리 바닥편[中國靑瓷 壺底部片]
-서울 風納洞 土城 출토 -百濟시대 -한성백제박물관 소장
(95) 중국 청자편[中國 靑瓷片](왼쪽) – 중국 흑갈유 아가리편[中國
黑褐釉 壺口 緣部片](오른쪽)
– (94)중국 청자항아리
바닥편[中國靑瓷 壺底部片] 바깥쪽 모습 (뒤)
(*褐: 갈색 갈 *緣: 인연 연)
-서울 風納洞 土城 출토 -百濟시대 -한성백제박물관 소장
(96) 목간[木簡] (복제)
-忠南 扶餘 陵山里 절터
출토 -百濟시대 -한성백제박물관
(97) 동전무늬 수막새[錢文圓 瓦當] -서울 風納洞 土城 출토 -백제시대 -한성백제박물관 소장
(98) 삼채 물고기모양 병[三彩 雙魚甁] -唐(618~907)
時代 -山東博物館
斬新한 造形美와 활기찬
色相을 자랑하는 三彩 물고기모양 병이다.
물고기 두 마리가 對稱으로 붙어있으며, 꼬리는 서로 연결되어 圓形의
바닥을 이루고 있다. 분홍빛 胎土에
녹색 釉藥을 입히고 부분적으로
황색 유약을 바른 唐三彩로 祥瑞롭고 和睦하기를 祈願하는 의미를 지닌
最高級 瓷器이다. (*斬: 벨 참 *彩: 채색 채 *甁: 병 병 *胎: 아이 밸 태)
*胎土: 陶瓷器의 원료로 주로 점착성을 가진 微細한 粒子의 집합체이고
일명 高嶺土라고 하며, 주로 硅素, 알루미늄, 鐵
등으로 구성된
2차 粘土를 말한다. (*胎: 아이 배 태 *硅: 규소
규)
*釉藥: 도자기를 제조할 때 成形하여 구운 素地 위에 엷게 피복ㆍ밀착시키기
위해 바르는 유리질의 잿물.
*唐三彩: 당나라 때에, 초록색ㆍ황색ㆍ백색 또는 초록색ㆍ황색ㆍ남색의
세 가지 빛깔의 잿물을 써서 만든 도자기. 무덤에 넣는 그릇으로 많이 썼다.
(99) 노문조 형제 발원 일광삼존상[路文助 兄弟 造像] -돌 -東魏, 544년
하나의 光背에 부처 1尊과 보살 2尊으로 구성된 一光三尊像이다.
光背를 共有하고 있어 屛風式 三尊佛이라고도 한다. 色은 墨玉과 같이
검고 광배에 불꽃무늬와 頭光ㆍ身光을 표현했다. 光背 뒷면에 쓴
‘武定’을 통해 東魏 孝靜帝 때인 544년에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屛: 병풍 병 *墨: 먹 묵)
*光背: 繪畵나 彫刻에서 인물의 聖스러움을 드러내기 위하여 머리나
등 뒤에 光明을 표현한 圓光.
*東魏(AD 534∼550): 중국 北魏가 內亂으로 동서로 분리되었을 때
河北을 중심으로 존속한 王朝. (*魏: 나라이름 위)
*孝靜帝(재위 534~550): 東魏의 유일한 황제로 高歡에 의하여 18세에
東魏의 初代 皇帝로 擁立되었으나 高歡의 아들 高洋에게 제위를
빼앗겼다.
本名 元善見, 諡號 孝靜帝, 年號는 天平이다.
(*擁: 낄 옹 *歡: 기쁠 환 *諡: 시호
시)
(100) 노문조 형제 발원 일광삼존상[路文助
兄弟 造像] 뒷면 刻字
三駕寺[삼가사], 重修 崇福寺碑記[다시
수리한 숭복사비 기록]
武定 2년 10월 壬子 초하루 13일
甲子에 光州 長廣郡 挺縣에서 깨끗하고
바른 마음을 섬기는 부처의 弟子 路文助 3兄弟가 돌아가신 아버지를 위해
像 1軀를 만든다. 돌아가신 아버지가 바로 極樂으로 가시고 부처님을 만나
가르침[法] 듣기를 우러러 바란다. 또 집에 이 같은 복이 이르기를 원한다.
동쪽으로 東山의 頂上에 이르고, 남쪽으로 蓮嶺에 이르며, 서쪽으로 西山의
정상에 이르고, 북쪽으로는 北山의 정상에 이른다.
(*駕: 멍에 가 *挺: 빼어날 정 *軀: 몸
구)
(101) 靑瓷와 白瓷의 時代
(102) 韓半島 近海에서 발견된 10~14세기
中國 陶瓷의 分布 및 推定 航船圖
(103) 흑유 잔[建窯 黑釉 小碗] (*窯:
기와 굽는 가마 요 *碗: 사발 완)
(104) 청백자 대접[靑白釉暗 花碗]
(105) 청백자 국화모양 합[靑白釉
菊花 粉盒] (*盒: 합 합)
(106) 청백자 참외모양 합[靑白釉
瓜棱 粉盒] (*瓜: 오이 과 *棱: 모 릉)
(107) 청자 대롱 달린 병[龍泉窯
靑釉暗花 六口蓋甁] (*甁: 병 병)
(108) 청자 마늘모양 병[龍泉窯
靑釉 蒜頭甁] (*蒜: 마늘 산/선)
(109) 청자 접시[龍泉窯 靑釉
暗花 小盤] (*盤: 소반 반)
(110) 청자 향로[龍泉窯 靑釉
八卦紋爐] (*紋: 무늬 문 *爐: 화로
로)
(111) 山東, 부처의 光明이 닿다.
(112) 장해파 발원 미륵보살 삼존상[三尊像-長海波 造像]
-北齊(550~577)시대
-山東博物館
彌勒菩薩을 本尊으로 한
三尊像이다. 미륵보살은 半跏趺坐에 무언가를
생각하는 모습이며, 양
옆에 弟子들이 서 있다.
이 像은 東魏 때 河南省 曲陽縣과 定縣 일대에서 크게 유행한 素材인
백대리석[白玉]으로 만들어 佛像의 地域交流 樣相을 보여준다.
臺座 銘文의 ‘河淸’은
北齊 武成帝 高湛의 年號로 이 三尊像은 562년에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跏: 책상다리 할 가 *趺: 책상다리 할 부 *湛: 괼
담)
(113) 장해파 발원 미륵보살 삼존상[三尊像-長海波 造像] 刻字 拓本
河淸元年 十二月 廿日 平原縣人
長海波 爲 父母 邊地 眾生敬造玉像 一軀□□□。/
하청원년 12월 20일 평원현 사람 장해파가 부모와 (극락정토의) 변두리에 사는 무리를
공경하여 玉으로 像 1구를 만들어 □□□) [*眾: 무리 중(衆)]
(114) 석조 보살상[菩薩 頭像]
-濰坊市
壽光市 化學工場 -北齊 -山東博物館 (*濰: 강 이름 유)
菩薩像의 머리로 둥근 얼굴에
容貌가 俊秀하며 花冠을 쓰고 있다.
冠 裝飾과 耳目口鼻, 肉髻가
毁損되었다. (*髻: 상투 계 *毁: 헐 훼)
*肉髻:
부처의
정수리에 있는 뼈가 솟아 저절로 상투 모양이 된 것.
(115) 山東佛像의 影響 (1)
山東省 博興 龍華寺址 출토
<金銅佛坐像> (왼쪽) – 서울 뚝섬 출토 <金銅佛坐像>
*五胡 十六國: 304년 劉淵의 건국에서 439년 北魏의 통일까지 중국 華北에 興亡한
五胡(匈奴, 羯, 鮮卑, 氐, 羌) 漢人의 나라
및 그 시대.
(*羯: 불 깐 양 길 *氐: 근본 저 *羌: 오랑캐 강)
(116) 山東佛像의 影響 (2)
山東省 출토 <永安 二年 銘 金銅光背>(왼쪽) – 扶餘 官北里 출토 <金銅光背>
-
韓中
交流의 關門 山東-동아시아 실크로드 이야기 (4-4)에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