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폐결절 solitary pulmonary nodule, SPN
-
- 정의
폐결절은 폐 내부에 생긴 지름 3cm 미만의 작은 구상 병변으로 보통 1개만 있어서 고립성 폐결절이라고도 한다. 병변의 크기가 지름 3cm 이상일 때는 결절이 아닌 종양 또는 혹이라고 부른다. 보통 무증상인 관계로 건강 검진 시 흉부 X선이나 CT 촬영을 통해 발견된다. 최근에는 CT가 보편화되면서 이전에는 발견되지 못했던 1cm 미만의 간유리음영(ground-glass opacity)을 보이는 병변도 고립성 폐결절에 준하여 임상적인 접근을 하고 있다.
- 원인
폐결절을 보이는 전체 성인의 약 35% 정도는 악성 종양이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비흡연자이면서 35세 미만의 경우에 발견된 폐결절이 악성일 확률은 극히 낮다. 결절이 악성 종양인 경우 그 조직형이 선암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결핵에 의한 육아종과 감별 진단을 요하는 경우가 많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추가적인 병력을 조사하고 진단적 검사를 시행해야 한다. 양성 결절인 경우는 감염에 의한 육아종(granuloma)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10% 정도는 과오종(hamartoma)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증상
폐결절은 정의상 무증상 상태에서 발견된다.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라면 기침, 가래, 호흡 곤란 등의 일반적인 폐질환의 증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
- 진단
폐결절이 발견되면 우선 과거 2년 이상 경과된 시점에 찍은 흉부 X선 촬영 결과가 있는지부터 확인해야 한다. 확인 결과 결절의 크기에 변화가 없다면 아무런 처치 없이 정기적으로 경과를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절의 크기가 증가한 경우라면 바로 수술로 제거해낼지를 고려해 볼 수 있다. 과거 방사선 사진이 없는 경우에는 폐결절이 악성 종양일 가능성이 얼마나 높으냐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가 이루어진다. CT 촬영 후 조직 검사를 시행하거나, 악성 종양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PET검사를 시행하기도 한다.
- 검사
1)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CT) 일반 흉부 X선 촬영에서 확인된 폐결절의 감별 진단을 위해 필수적으로 시행한다. 양성 종양인 육아종이나 과오종의 경우 비교적 특징적인 방사선학적 소견을 보이므로 CT를 통해 어느 정도 감별이 가능하다. 그러나 육아종에서 보이는 특징적인 소견인 석회화가 있더라도 그 양상이 결절의 가장자리에 있거나 부분적인 경우, 또 결절의 가장자리가 방사형으로 뻗어나가는 경우, 조영제 주사 후 조영 증강 소견이 보이는 경우 등은 악성 종양의 가능성을 시사하므로 조직 검사나 수술적 치료를 요한다.
2) 조직 검사 기관지 내시경 검사, 경피적 세침 흡인 검사 등의 방법이 있다. CT 검사에서 폐결절이 악성으로 의심되는 경우 병변의 위치에 따라 검체를 얻는 방법이 다르다. 폐의 중심부나 기관지 근처에 위치한 경우 기관지 내시경 검사를 통해 조직을 얻어내고, 폐의 말초부에 결절이 위치하는 경우에는 경피적 세침 흡인 검사를 통해 검체를 확보하여 결절에 대한 조직학적 진단을 내리게 된다.
3)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검사 방사선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표적 장기 병변의 악성도를 기능적으로 보여주는 검사이다. 뇌를 제외한 전신을 관찰할 수 있으며, 폐결절이 악성인 경우 주변 림프절 전이 및 원격 전이의 여부를 함께 보여주기 때문에 추후 치료 방법 선택의 지침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치료
폐결절이 임상적으로 악성 결절인 것으로 강하게 의심되면 조직 검사에서 암세포가 발견되지 않았더라도 수술적 절제를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전 조직 검사 없이 바로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가장 흔한 폐선암의 경우에는 작은 크기의 결절 상태에서도 이미 원격 장기(폐에 인접해 있지 않은 장기)에 전이가 된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일반적인 수술 전 검사들 이외에도 폐암의 전이 진단에 필요한 검사들을 추가로 확인한 후 수술의 범위나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안전하다.
최근에는 진단과 동시에 치료적 목적으로 시행되는 수술적 방법으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이 개흉 수술 대신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복강경 수술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술에 따른 합병증을 줄이고 입원 경과를 단축시킨다는 장점 때문에 널리 쓰이고 있다.
- 경과/합병증
대개 무증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크기가 커지지 않는다면 추적 관찰만 한다. 악성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검사의 과정에서, 특히 조직검사가 필요한 경우 그와 관련된 기흉이나 출혈, 감염 등의 합병증이 초래될 수 있다.
- 예방방법
폐결절이 임상적으로 악성 결절인 것으로 강하게 의심되면 조직 검사에서 암세포가 발견되지 않았더라도 수술적 절제를 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전 조직 검사 없이 바로 수술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가장 흔한 폐선암의 경우에는 작은 크기의 결절 상태에서도 이미 원격 장기(폐에 인접해 있지 않은 장기)에 전이가 된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일반적인 수술 전 검사들 이외에도 폐암의 전이 진단에 필요한 검사들을 추가로 확인한 후 수술의 범위나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안전하다.
최근에는 진단과 동시에 치료적 목적으로 시행되는 수술적 방법으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video-assisted thoracoscopic surgery, VATS)’이 개흉 수술 대신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는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는 복강경 수술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술에 따른 합병증을 줄이고 입원 경과를 단축시킨다는 장점 때문에 널리 쓰이고 있다.
- 관련질병
결핵 , 폐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