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땅에 귀중한 국보의 역사유적◈
(1) 북한국보 1호 평양성 (平壤城) 고구려는 427년 보다 조건이 유리한 평양으로 수도를 옮겼다. 그러나 고구려의 수도로서는 부족한 점이 있어 고구려는 지난 시기 수도방위의 교훈과 강력하여진 국력에 기초하여 도시 전부를 성벽으로 둘러막은 새 수도용 평양성을 건설하게 되었다 평양성은 북쪽에 금수산이 솟고, 동, 서, 남 세면에 대동강과 보통강이 둘러막아 해자를 이룬 유리한 지대에 자리잡았다. 그 둘레는 약 16km이다. 평양성은 산성과 평지성의 잇점을 종합하여 고구려 사람들이 창안해낸 평산성형식의 새로운 수도성이었다
(2) 북한국보 3호 보통문 (普通門)
(3) 북한국보 4호 대동문 (大同門) 대동문은 고구려 평양성 내성의 동문으로 처음 세워졌다. 947년 중건하였다가 1011년 화재로 파괴된 것을 그후 다시 세웠다가 병자호란 때 또다시 소실되었다. 지금의 문루는 1635년 재건하고 1852년과 그 이후에 보수를 거듭하여 완성한 것이다.
(4) 북한국보 18호 칠성문(七星門) 칠성문은 북한지정 국보 제18호로, 평양시 중구역 경상동에 위치한다. 6세기 중엽에 고구려 평양성 내성의 북문에 처음 세웠다가 1712년 조선시대에 다시 세운 문이다. 이름은 하늘 북쪽에 위치한 북두칠성에서 따 북문이란 뜻으로 붙여진 것이다. 이 성문의 문루는 정면 3칸 7.38m, 측면 2칸 4.36m의 단층건물이다. 문루에는 사방 돌아가면서 흘림기둥을 세웠는데 정면 가운데는 무지개문길을 피하여 조금 넓게 잡았다
(6) 북한국보 10호 대성산성 남문 (大成山城 南門) 평양시 중구역 금수산의 을밀봉에 있는 을밀대는 6세기 중엽 고구려시기에 평양성 내성의 북쪽 장대로 처음 세워진 누정이다. 을밀대란 '윗미르터(윗밀이언덕)'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여기에 '을밀선인'이 자주 하늘에서 내려와 논데서, 또는 '을밀장군(을지문덕 장군의 아들)'이 이 곳을 지켜 싸운데서 온 이름이라는 전설도 있다. 지금의 누정은 1714년에 축대를 보수하면서 고쳐 지은 것이다 을밀대 주위의 아름다운 경치는 '을밀상춘(을밀대의 봄맞이)'으로 일찍부터 백성들의 사랑을 받아 평양8경의 하나로 일러왔다
부여에서 태어났다고 전하는 동명왕(고주몽, 혹은 추모)은 19년 동안 나라를 다스리다가 하늘로 올라갔다고 전하고 있다. 함흥본궁(咸興本宮)은 조선의태조 이성계가 왕이 되기 전에 살던 집으로 뒤에 왕이 된 방과(정종)와 방원이(芳遠:태종)이 이성계는 이곳에서 아들인 태조 방원이 보낸 사신들을 죽이거나 가두곤 했는데 '함흥차사'라는 말은 바로 여기에서 연유한 것이다. 한국전쟁때 일부 파괴되었으나 여러 차례 보수하여 대부분 복구되었다. 풍패루(豊沛樓)는 주위환경과 잘 조화된 2층 다락집이다. 풍패루 앞에는 넓은 연못이 있고 연못 속에는 작은 섬 하나를 만들어 놓았으며 주위에는 나무를 심어 그늘이 지게 하였다. 풍패루에서는 못 가운데 활짝 핀 연꽃을 보는 광경이 매우 훌륭하고, 잔잔한 연못 속에 풍패루의 2층 다락 그림자가 담긴 풍경이 아름답다. (16) 북한국보 18호 함흥성 구천각 (咸興城九千閣) (17) 북한국보 124호 개성 남대문 (開城 南大門) |
|
첫댓글 보기 어려운 북한국보.잘보고 갑니다.
고맙습니다
귀한 사진
즐감하고 갑니다.
귀한 사진 감사합니다.
잘 보고








수고하셨읍니다
북한의 국보, 귀한 자료 감사합니다.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잘 보고감니다,
다행이 보존이 잘 되었네 감사히 관광하고 갑니다
보기어려운 우리조상님들의 발자취를 감사하게 잘보고갑니다.
잘보구 갑니다
감사합니다
북한에도 보존이 잘 되어있는 국보가 많네요 잘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북쪽사람들도 보물은 잘보전되였네요
잘보고 갑니다.
북한땅에 귀중한 국보의 역사유적 작품 감사한 마음으로
즐감하고 나갑니다 수고하여 올려 주신 덕분에
편히 앉아서 잠시 즐기면서 머물다 갑니다 항상 건강 하시기를 기원드립니다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언제나 건강하시고 행복하세요
하루속히 남북 통일이되여야 볼수 귀한국보 잘감상햇습니다....
감사합니다 ..........
북한의 귀중한 국보 역사 유적을 잘보고 갑니다.
나는 1948년도 개성을 유람했다 그때 당시 개성이 남한 땅이였다.기억에 남는것은
선죽교에서 정몽주의 넋이 흐르는 붉은 핏자욱에 물을 부어 보니 더욱 선명하게 핏자욱이 보였다.
나라를 잃은 서러움에 고려충신의 정몽주,그는 아직도 그충신의 흔적을 남기고 있다.
선죽교 사진을 보니 70년의 세월이 너무 억굴했다.6 25로 개성과 해주를 북쪽이 넘겨주게되어 너무 슬프다.
어서 통일이 되어 내 조국의 빛나는 역사 유적을 관람해야 겠다.잘보고 갑니다.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북한 국보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북한땅에 귀중한국보의 역사유적 감상잘하였습니다 감시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북한 땅에 있는 국보 잘 보구갑니다 감사합니다
귀한 자료 즐감,감사합니다.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아름답고 귀한 자료 감사합니다. ^&^
쉽게 볼수 없는 유적 사진을 보게 돼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