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ㄱ>
가르틀(gartl, gartel) :
정통파 유대인들이 기도할 때 허리에 두르는 띠를 말한다. 하루에도 몇 번씩 기도를 하므로 아예 종일 두르고 있기도 한다(A-1, 5-55, 6-8).
게오님(Geonim) :
성경 지식이 풍부한 현자(賢者)를 말하며, 랍비시대 중에서도 AD 640~1038년 시기에 바벨론 탈무드를 유대 공동체에 통용시킨 사람들이다(A-1, 6-35, 7-2, 9-9, 11-33).
게토(Ghetto) :
유대인 대학살 당시, 유대인들을 일정한 구역으로 강제로 모아 격리시킨 유대인 집단 거주 지역을 말한다(8-30).
겟(Get) :
유대인의 이혼 서류를 말하며, 법적 효력을 가진다(2-43, 2-44, 5-47). 경문(經文, Tefilin) : 유대인들이 기도할 때에 이마와 팔뚝에 차는 성경 구절, 또는 그것을 넣은 가죽 상자를 말한다(1-25, 4-3, 5-0, 5-16, 5-17, 5-18).
그니자(geniza) :
낡은 종교적인 책이나 물건을 공동묘지에 묻기 전에 임시로 수집해 두는 통을 말한다. ‘은닉처’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3-90).
<ㄷ>
대속죄일(大贖罪日, Yom Kippur) :
‘회개’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하나님께 대한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과 화해하는 날이다. 병자나 유아를 제외한 전 국민이 24시간 동안 금식하며, 가정마다 촛불을 켜 둔다. 가무와 오락뿐 아니라 장례식도 금지되며, 차량 운행도 금지된다. 성경에는 ‘속죄일’로 나오지만, 보통 ‘대속죄일’이라 부른다(A-3, 1-9, 2-14, 3-21, 3-82, 3-83, 5-2, 6-20, 6-37, 7-2, 7-15, 8-2, 9-28, 10-7, 11-0).
대제일(大祭日, The High Holidays) :
유대력 ‘티슈리(티슈레이)’월에 맞이하는 신년과 대속죄일을 말하며, ‘경외의 날들’이라는 표현으로도 쓰인다(3-8, 3-82, 6-4, 7-28, 11-0, 11-10, 12-23).
디아스포라(Diaspora) :
이스라엘 이외의 외국땅에 거주하는 유대인들을 말한다. 신명기 28장 25절의 ‘세계 만국 중에 흩음을 당하고’에서 히브리어 ‘쟈아바’가 헬라어 칠십인역으로 번역될 때 ‘diaspora(흩음)’로 번역된 데서 비롯되었다(A-1, 9-26, 12-26, 12-29, 15-4, 16-7).
<ㄹ>
라그 브 오메르(Lag B'Omer) :
‘바르 코크바’ 전쟁에 참여한 랍비 아키바의 제자들이 전염병에 걸렸다가 33일째 되는 날 병세가 호전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A-3, 2-12, 2-13, 15-0, 15-6).
라디노(Ladino) :
스페인어와 히브리어에 바탕을 둔 중세 히브리어이다. 참고로 독일어와 히브리어에 바탕을 둔 말은 ‘이디쉬’라고 한다. ‘이디쉬’ 참조
라쉬(Rashi) :
11세기의 프랑스의 유대인 지도자 이름이며, Rabbi Shlomo Yitzhaki의 줄임말이다(A-1, 3-32, 5-25, 8-17, 9-28, 11-34).
랍비 아키바(Rabbi Akiba) :
1세기에 로마에 항거하다 순교한 유대교의 위대한 지도자이다(A-1, 2-0, 2-11, 4-7, 7-15, 8-0, 9-50, 15-6). ‘바르 코크바’ 참조
로쉬 하샤나(Rosh Hashana) :
유대력 신년을 말한다(3-83, 11-0, 11-1). ‘신년’ 참조
<ㅁ>
마아리브(Maariv) :
저녁 기도시간(7-5, 8-46)
마짜(Matza, Matzot) :
유월절 기간 중에 먹는 음식으로서 누룩이 들어가지 않은 빵 즉 무교병을 말한다(9-13, 9-22, 9-32, 9-41, 9-42, 9-54).
마카비(Maccabees) :
BC 165년, 헬라 우상 숭배를 강요하는 시리아 왕 안티오쿠스 4세의 통치에 반발하여 ‘유다 마카비’와 그의 사형제가 반란을 일으킨 사건을 말한다. ‘하누카’ 절기와 관련이 있으며, 유다 마카비가 일으킨 반란을 ‘마카비 혁명’, 그가 다스린 시기를 ‘마카비 시대’라고 한다(13-0, 13-3, 13-4, 13-5).
마프티르(maftir) :
안식일에 읽는 마지막 알리야로서 앞사람이 읽은 알리야와 마지막 구절들이 반복되는 특징이 있다(1-27, 6-26, 6-27).
맥추절(麥秋節, Feast of the Harvest) :
시완월 6일로서 첫 열매를 거두는 절기이다. 샤부옷 또는 칠칠절과 동일한 절기이며, 신약시대에는 오순절로도 불린다(10-1, 12-5).
메노라(Menora) :
예루살렘 성전에 등불을 켜던 일곱 촛대 또는 하누카 절기때 사용하는 여덟 촛대를 말한다(6-2, 6-3, 8-16, 13-0, 13-6, 13-9, 13-10, 13-12).
메주자(Mezuza) :
문설주에 붙이기 위해 성경 구절을 쓴 작은 양피지(羊皮紙) 조각, 또는 그것을 담은 상자를 말한다. 유대인들은 문을 드나들 때마다 메주자를 만지면서 율법을 되새기며, ‘문설주’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5-0, 5-20, 5-30, 5-31, 5-32, 5-33, 5-34, 5-37, 5-39, 5-44, 7-11, 13-10).
모헬(Mohel) :
할례(割禮)를 받는 아이의 포피(包皮)를 자르는 사람을 말한다. 외과 의사는 아니지만, 할례를 집례하는 전문가이다(1-5, 1-6, 1-7, 1-8, 1-14, 1-15).
무교절(無酵節, The Feasts of Unloavened Bread) :
니산월 15일부터 7일간 지키는 절기로서 유월절 다음날에 시작된다. 유대교 3대 절기 중의 하나로서 누룩을 넣지 않은 빵을 먹는 것이 특징이다(A-3, 12-5).
무사프(Musaf) :
안식일과 명절 예배 후반부에 드리는 ‘추가 제물’ 예배를 말한다(6-33, 7-4, 7-6, 11-14, 11-18, 12-20).
미니얀(Minyan) :
'카디쉬‘를 낭송할 수 있는 성인 열 명 이상의 ’정족수‘를 말한다(3-22, 3-88, 6-34, 6-36).
미드라쉬(Midrash) :
성경의 주석 또는 교훈적인 설명을 실은 유대교 주석집이다. 성경의 깊은 뜻을 교훈적으로 이끌어 낸 사람은 학사 에스라가 그 기원이며, 13세기에 집대성되었다. ‘미드라쉬 라바(Midrash Rabbah)’ 주석집이 가장 방대하며 Pesikta, Mechilta, Sifra, Sifre 등도 있다(7-25, 8-31, 12-27, 13-7).
미쉬나(Mishna) :
‘탈무드’의 첫 번째 부분으로 유대교 율법에 관한한 토라 다음으로 중요한 책이다. AD 220년 랍비 예후다 하나시가 구전되어 오던 율법과 여러 학파에서 많은 사람들이 논쟁을 통하여 얻은 결론들을 편집한 책이다(A-1, 2-45, 5-8, 6-28, 6-31, 9-27, 9-35, 9-54, 10-1, 11-13, 14-5, 14-7, 15-12).
미크바(Mikva, Mikveh) :
유대인들이 절기나 안식일 전에 목욕할 때 사용하는 정결탕을 말한다(5-54, 6-14).
민하(Mincha) :
오후 기도시간을 말하며, ‘제물’이라는 뜻이다(7-5, 8-35).
<ㅂ>
바르 미쯔바(Bar Mitzva) :
‘율법의 아들’이라는 뜻으로, 유대인 남자 아이가 성장하여 13세가 되면 가지는 성년식을 말한다(A-1, 1-0, 1-26, 1-28, 1-30, 6-8, 6-21, 6-34).
바르 코크바(Bar Kochba) :
AD 135년, 팔레스타인을 점령하고 있던 로마군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킨 유대인 반란군을 말한다. 대다수의 반란군은 랍비 아키바의 제자들이었으며, 전염병으로 인해 패배하고 말았다(2-11, 15-11, 16-13).
바벨론 탈무드(Babylonian Talmud) :
AD 220~470년 사이에 바벨론 아모라임 학자들이 미쉬나를 연구하면서 거기에 주석이나 해석을 추가하여 만든 책이다. 예루살렘 탈무드를 참고로 하였으므로 예루살렘 탈무드와 내용이 크게 다르지는 않다(A-1, 5-51, 14-19).
바트 미쯔바(Bat Mitzva) :
‘율법의 딸’이라는 뜻으로, 유대인 여자 아이가 성장하여 12세가 되면 가지는 성년식을 말한다. 참고로 여자 아이들은 남자 아이들보다 조숙하므로 1년 앞서서 성년식을 가진다(A-1, 1-0, 1-26, 1-28, 6-21, 6-29, 7-24, 8-35).
베두인(Bedouin tribes) :
중동 지방의 사막 또는 반사막(半沙漠) 지역에서 주로 유목을 하면서 살아가는 아랍계 민족을 말한다(2-17, 5-1).
부림절(Purim) :
에스더서에 나오는 유대인 구원의 날을 기념하는 명절로서 아달월 14일과 15일에 지킨다. 가면을 쓰거나 가장행렬(假裝行列)을 벌이는 등 축제 분위기가 이어진다(A-3, 6-20, 11-17, 11-36, 13-14, 13-18, 14-0, 14-1, 14-5, 15-8).
비마(bima) :
회당의 강단 또는 설교단을 말한다(6-0, 6-33).
<ㅅ>
산덱(Sandek, Sandak) :
할례 행사에서 아기를 무릎에 눕혀서 안아 주는 역할을 하는 사람을 말하며, 할례 의식에서 가장 중요한 ‘대부(代父)’ 역할을 한다(1-14, 1-15, 1-16).
산헤드린 공회(-公會, Sanhedrin, the Great Assembly) :
유대인의 최고회의로서 그 기원은 분명치 않으나 헬라 로마시대에 활동이 컸으며 대제사장, 서기관, 장로 등 71명으로 구성되었다. 산헤드린 공회의 대제사장들과 온 공회가 예수를 죽이려고 그 증거를 찾은 적이 있다(마 26:59)(A-2).
샤다이(Shaddai) :
메주자 양피지에 적는 글로써 '이스라엘의 문들을 보호하는 자‘ 즉 ‘shomer daltot Yisrael’이라는 히브리어 첫 글자들(쉰, 달렛, 요드)을 따서 만든 단어이며, 메주자 양피지 앞면에 기록되어 있다(5-22, 5-23, 5-34, 5-35, 5-36, 5-37).
샤베스 고이(Shabbes goy) :
율법을 엄격히 지키는 유대인 커뮤니티에서 안식일에 금지된 일을 대신해 주는 비유대인을 가리키는 ‘이디쉬’이다(8-12).
샤부옷(Shavuot) :
'주(week)‘라는 뜻의 히브리어로서 칠칠절 또는 오순절을 가리킨다(A-3, 10-0, 10-5). ’오순절‘ 참조
샤하릿(Shacharit) :
아침 기도시간을 말한다(6-33, 7-5, 7-30).
성인식(成人式, Confirmation ceremony) :
유대인들의 ‘바르 미쯔바’나 ‘바트 미쯔바’에 해당하는 구미 국가들의 성년식을 말하며, 보통 16세 전후의 나이에 행한다(1-26, 1-27, 1-28, 1-29, 1-30).
세데르(Seder) :
유월절 첫날 저녁에 각 가정에서 열리는 특별한 예배 의식으로서 중간에 식사시간이 포함되어 있다. ‘세데르’는 이러한 순서를 적은 책자를 읽으면서 진행되며, ‘순서’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9-20, 9-23, 9-24, 9-26, 9-28, 9-31, 9-32, 9-33, 9-37).
속죄식(贖罪式, Pidyon Haben) :
유대인 장남은 원래 하나님께 바쳐져야 하지만, 제사장에게 다섯 세겔을 속전(贖錢)으로 내면 그 의무를 면제받는 것으로 간주된다. 속죄식은 그 면제받는 의식을 말하며, ‘장남을 되찾다(피디욘 하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1-0, 1-17, 1-18, 1-19, 1-20, 1-21, 1-22).
속죄일(贖罪日, Yom Kippur) :
이스라엘 백성들이 금식하면서 하나님께 대한 죄를 회개하고 하나님과 화해하는 날이다. ‘대속죄일’ 참조
쇼파르(Shofar) :
행사나 절기때 부는 양각(羊角) 나팔을 말한다(A-1, 11-5, 11-6, 11-11, 11-12, 11-13, 11-14, 11-15, 11-50, 15-1).
쇼헷(Shochet) :
유대인의 훈련된 종교적 도살 전문가를 말한다(4-7, 4-9, 4-33).
수장절(收藏節, Hag Ha-asif) :
‘초막절’을 일컫는 다른 이름으로서 유대인의 추수감사제이다(12-2, 12-5).
수전절(修殿節, Hanuka) :
이방 신상(神像)으로 더럽혀진 예루살렘 성전을 정결케 한 것을 기념하는 날로서, 예수님도 수전절에 예루살렘 성전에 올라가신 적이 있다(요 10:22). ‘하누카’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절기이며, 계절적으로는 성탄절을 앞 둔 겨울이다(13-1). '하누카‘ 참조
수카(Sukka, Sukkot) :
초막절이 되면 유대인들은 지금도 뜰이나 베란다에 초막을 짓고 자녀들과 함께 출애굽 당시의 초막생활을 경험한다. 수카는 이 초막절기에 짓는 초막을 말한다(5-42).
수콧(Sukkot) :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생활 40년을 기념하는 절기 즉 초막절을 말한다. 초막절은 유대인의 3대 절기에 속한다(A-3, 12-1).
슈미니 아쩨렛(Shemini Atzeret) :
초막절 마지막 날을 말한다(A-3, 3-84, 3-86, 10-8, 12-0, 12-21, 12-26, 16-7).
슈히타(Shechita) :
유대 율법에 규정된 방법에 따라 행하는 도살법을 말한다(4-9).
슐로쉼(Sheloshim) :
상을 당한 후 30일 동안의 애도 기간을 말한다(3-36, 3-56, 3-80).
슐한 아루크(Shulchan Aruch) :
16세기 스페인계 학자 요셉 카로가 집대성한 유대율법전으로서 오늘날까지 가장 권위있는 통일법전으로 인정받고 있다(A-1, 1-0, 5-3, 11-28).
쉐마/슈마(Shema) :
‘들으라’라는 뜻으로서 보통 ‘쉐마 이스라엘’이라는 말로 사용되었다(신 6:4)(1-13, 5-6, 5-20, 5-25, 5-32, 7-17, 7-18).
쉬바(Shiva) :
상을 당한 후 처음 7일(쉬바) 동안의 애도 기간을 말한다(3-36, 3-39, 3-43, 3-46, 3-50, 14-6, 15-14).
스파르디 유대인(Sephardic Jews) :
‘스파르디’는 ‘스페인’을 의미하는 히브리어이며, 스파르디 유대인이란 스페인, 포르투갈, 북아프리카, 서남아시아 출신의 정통파 유대인을 지칭하는 말이다(1-3, 1-24, 2-13, 2-36, 3-63, 5-11, 5-15, 5-22, 5-27, 6-33, 7-10, 7-27, 8-30, 9-9, 9-30, 12-20, 12-27).
스피라(Sefira) :
‘유월절’과 ‘오순절’ 사이의 7주간을 말한다(2-11, 9-49, 9-50, 10-5, 15-5).
신년(新年, Rosh Hashana) :
티슈리월 1일로서 유대인들은 1년 동안의 행운과 건강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꿀을 바른 사과를 먹는다. 유대인들은 또한 이 날부터 대속죄일인 10일까지 근신하면서 지낸다(A-1, A-3, 2-14, 3-83, 7-0, 9-28, 11-0, 11-2, 11-5, 11-9, 11-15). ‘로쉬 하샤나’ 참조
심핫 토라(Simchat Tora) :
‘토라를 기뻐하다’라는 뜻이며, 모세가 시내산에서 토라 받은 날을 기념하는 축제를 말한다(A-3, 6-18, 12-0, 12-21, 12-26, 12-29).
<ㅇ>
아멘(Amen) :
정말로’ 또는 ‘그렇게 되기를 바랍니다(신 27:15)’라는 뜻이다. 탈무드에는 ‘주는 신뢰할 수 있는 왕이시다’라는 뜻의 ‘엘 멜렉 네에만’이라는 세 단어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말이라고 기록되어 있다(3-61, 7-0, 7-13, 7-14, 7-15, 7-20).
아미다(Amida) :
‘서서 하는 기도’라는 뜻이다. 회당 기도 중에서 가장 중요한 축복기도로서 이때 회중은 모두 일어선다(5-25, 7-14, 7-16, 7-20, 7-21, 13-16, 14-6).
아슈케나지 유대인(Ashkenazic Jews) :
아슈케나지는 ‘독일‘을 의미하는 히브리어로서 프랑스, 독일, 동유럽 출신의 유대인들을 말한다(1-3, 1-24, 2-4, 2-36, 5-22, 5-27, 6-33, 7-27, 9-9, 12-20, 13-20).
아쩨렛(Atzeret) : ‘집회’라는 뜻이며, 탈무드에서는 칠칠절을 ‘아쩨렛’으로 불렀다(10-0, 10-4, 10-8).
아타라(Atara) :
‘왕관’이라는 뜻이며, ‘탈릿’ 윗부분에 꿰메어 놓은 띠를 말한다. 이 띠는 탈릿의 위와 아래를 분간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5-9, 5-13).
안식일(安息日, Sabbath) :
성경에 근거하여 안식하면서 하나님을 예배하는 날이며 유대인들은 이 날을 아주 소중하게 여기며 기뻐한다. 안식일은 금요일 해질 때 시작되어 다음날 해질 때 끝난다(A-1, 1-19, 2-25, 3-21, 4-32, 5-54, 6-17, 6-20, 8-0, 8-1, 8-2, 8-4, 8-21, 8-31, 9-21, 11-10, 11-32, 13-10, 15-2, 15-13, 16-3).
알리야(Aliya) :
회당에서 토라 또는 축복문을 낭독하는 일 또는 낭독하도록 지명받는 것을 말한다(1-23, 2-8, 3-54, 6-7, 6-19, 6-28, 7-10, 11-47, 12-0). 야르짜이트(Yahrzeit) : 사람이 죽은 날을 기념하는 추도일로서 16세기부터 시작된 유대인 풍습이다(3-75, 8-36).
에봇(Ephod) :
대제사장이 제사장의 일을 할 때 입던 예복을 말한다(6-12).
예루살렘 탈무드(Jerusalem Talmud) :
‘바벨론 탈무드’에 앞서 팔레스타인에 살던 아모라임 학자들이 미쉬나를 연구하면서 거기에 주석이나 해석을 추가한 책이다(A-1, 2-16, 9-20).
예쉬바(Yeshiva) :
유대인들이 토라를 공부하는 토라 학교를 말한다(10-16, 13-19).
오순절(五旬節, Pentecost, Shavuot) :
유대인의 3대 절기인 칠칠절의 다른 이름이다. 유월절 다음날로부터 7주째 되는 날이며, 유대인들은 모세가 시내산에서 토라를 받은 날로 기념하기도 한다(1-30, 2-11, 10-0, 10-5, 10-9, 12-5).
요세푸스(Flavius Josephus) :
AD 66∼73년 사이에 벌어진 제1차 로마항쟁에서 유대군의 갈릴리지구 지휘관으로 활동하다가 요드파트 전투에서 로마군에 투항한 후 방대한 역사적 사실을 기록한 역사가이다. 그의 투항은 비난을 받으나, 그가 기록한 방대한 자료는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전해주고 있으므로 높이 평가받고 있다(3-5, 9-2).
욤 키푸르(Yom Kippur) :
‘속죄일’을 가리키는 히브리어이다(A-3, 3-83, 11-0). ‘속죄일’ 또는 ‘대속죄일’ 참조
월삭(月朔, Rosh Chodesh) :
유대 달력의 매월 첫째날을 말한다(1-23, 1-29, 6-20, 7-6, 10-7, 15-0, 15-1, 15-2).
유대력(-曆, Jewish calendar) :
AD 359년 산헤드린 공회가 만든 달력으로서, 달의 공전을 기준으로 한 음력이면서도 절기와 계절이 연계될 수 있도록 윤달을 둔 것이 특징이다(A-2, A-3, 3-78, 8-1, 8-3, 9-3, 15-3, 16-3, 16-4, 16-5, 16-7).
유월절(逾越節, Pesach, Passover) :
니산월 14일,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탈출하기 직전에 경험한 구원의 사건을 기념하는 절기이다(A-1, A-2, A-3, 4-25, 9-0, 9-1, 9-5, 9-6, 9-12, 9-13, 9-23, 10-5, 16-6). ‘하가다’ 참조
이디쉬(Yiddish) :
독일어와 히브리어에 바탕을 둔 중세 히브리어를 말한다(1-15, 2-8, 2-21, 4-12, 4-29, 5-51, 6-8, 7-30, 8-12, 11-27, 12-17, 13-17, 16-12). 참고로 스페인어와 히브리어에 바탕을 둔 말은 ‘라디노’라고 한다. 이즈코르(Yizkor) : 유대인의 추도 즉 죽은 자들을 기념하는 기도로서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죽은 친족에 대한 사랑을 고백하는 긍정적인 기도문이다(3-77, 3-84, 11-48, 12-27).
<ㅈ>
정결탕(淨潔湯, Mikva) :
유대인들이 절기나 안식일 전에 목욕할 때 사용하는 목욕탕을 말한다(16-14). ‘미크바’ 참조
정족수(定足數, Minyan) :
'카디쉬‘를 낭송할 수 있는 열 명 이상의 성인 숫자를 말한다(16-15, 3-88, 3-22, 6-34, 6-35). ‘미니얀’ 참조
제33일절(Lag B'Omer) :
‘Lag’는 숫자 33을 나타내는 히브리어이며, 유월절로부터 제33일째 되는 날을 말한다. 이 날은 로마군과 전쟁중이던 바르 코크바 반란군에게 창궐하던 전염병이 약하여진 날이므로 좋은 날로 기념된다(A-3, 2-12, 15-0, 15-5, 15-6).
조하르(Zohar) :
유대교 ‘카발라’ 신비주의의 기초 경전으로서 ‘화려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우주의 기원과 구조, 영혼 등 여러 주제를 엮어 만든 여러 권의 책으로서 AD 2세기 랍비 쉬몬 바르 요하이가 신비주의적 관점에서 토라를 풀이한 해설서이다(5-34, 7-12, 10-10, 15-6).
<ㅊ>
초막절(草幕節, Sukkot) :
이스라엘 백성들이 광야생활 40년을 기념하면서 지키는 절기로서 유대인들의 3대 절기에 속한다(A-3, 5-42, 6-31, 7-0, 12-0, 12-1, 12-2, 12-3, 12-23).
초실절(初實節, Chag Ha-bikurim) :
칠칠절의 다른 이름으로서 오순절로도 불렸다. 초실절이라는 이름은 그것이 농업 명절이었음을 알게 해 주며 늦은 봄, 즉 밀을 수확하는 시기에 지키는 명절인 만큼 유대인들은 성전에 추수감사 제물 드리는 일을 빠뜨리지 않았다(10-0).
칠칠절(七七節, Shavuot, Feast of Weeks) :
유월절 다음날로부터 7주만에 맞는 유대인의 3대 절기이며, ‘오순절’이라고도 한다(A-3, 2-11, 9-49, 10-0, 10-1, 10-3, 10-4, 10-5, 10-9, 10-14).
<ㅋ>
카디쉬(Kaddish) :
회당 예배때 낭송되는 ‘애도자의 기도문’을 말한다. 고대시로서 아람어로 기록되어 있다(3-0, 3-22, 3-56, 3-57, 3-88, 4-2, 7-3, 7-14).
카발라(Kabbala) :
유대교 신비주의 철학을 말한다. 이스라엘 북부 갈릴리지방에 있는 Safed(Tsfat 쯔팟)는 카발라의 중심지로 잘 알려져 있다(1-3, 2-34, 3-11, 5-1, 5-34, 5-46, 7-23, 8-22, 8-34, 15-6).
카쉐르(Kasher) :
영어 ‘코셔’에 해당하는 히브리어로서 일반적으로는 정결한 음식을 말한다. 유대인 식사법에 따라 음식을 정결하게 하는 과정을 말할 때에도 사용된다(4-3, 4-17, 9-12).
카슈룻(Kashrut) :
유대인의 식사법 즉 부정한 음식을 삼가고 정결한 음식을 먹도록 규정한 율법을 말한다(4-1, 4-32).
코셔(Kosher) :
유대인 식사법에 따라 준비된 정결한 음식을 말한다(4-1, 4-3, 4-24, 4-32, 5-33). ‘카쉐르’ 참조
코하님(Kohanim) :
코헨의 복수형이다(7-24, 7-25). ‘코헨’ 참조
코헨(Kohayn, Cohen) :
복수는 Kohanim이며, 제사장 가족을 말하는 단어이다. 그들의 임무는 성막과 성전에서 종교의식을 행하는 것이었다(2-6, 3-67, 6-23, 6-24).
콜 니드레(Kol Nidre) :
제대로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한 서약이나 강요에 의한 서약들을 무효화시키는 기도이며, ‘모든 서약들’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11-0, 11-42, 11-43, 11-44, 11-45).
크두샤(Kedusha) :
묵도의 일부분으로써, 예배시간에 읽는 기도문을 말한다(2-0, 4-2, 7-16, 7-22, 7-23).
크리아(Keria) :
애도하는 사람이 옷을 찢는 풍습을 말한다. 성경에서 유래되었으며, 유대인의 오랜 관습으로 남아 있다(3-24, 3-25, 3-26, 3-28).
크투바(Ketuba) :
유대인의 결혼 계약서로서 BC 80년 쉬몬 벤 쉐타흐가 만들었다. 아람어로 작성된 이 계약서에는 신랑이 신부에게 져야 할 의무사항, 즉 의식주와 성생활, 자녀교육 등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다. 증인들이 서명을 하도록 되어 있으며, 법률적 효력을 가진다(2-22, 2-27, 2-30, 2-44).
키두쉬(Kiddush) :
안식일과 명절에 추가되는 식사 기도로써, 천지창조와 출애굽에 대한 감사가 핵심이다(8-18, 8-24, 8-28, 8-30, 8-38, 11-24, 12-26).
키텔(Kittel) :
고대 유대인들이 회당에서 입던 흰색의 긴 겉옷을 말한다. 현대에는 유월절 밤 축제 때에 입으며, 정결을 상징하므로 결혼하는 신랑도 이 옷을 입는다. 경건한 유대인들은 시신에 키텔을 입히기도 한다(2-19, 3-8, 9-28, 11-16).
키파(Kipa) :
유대인 남자들이 머리에 항상 쓰고 다니는 작고 테두리 없는 모자를 말한다. 출애굽기 28장 4절에는 ‘관(冠)’이라는 말로 사용되었다(A-1, 5-51).
<ㅌ>
탈릿(Talit) :
유대인 남자들이 기도할 때 뒤집어 쓰는 커다란 숄을 말한다(A-1, 1-25, 2-9, 2-18, 4-3, 5-0, 5-1, 5-6, 5-10, 5-15, 5-24, 5-28, 6-14, 7-10, 11-42).
탈릿 카탄(Talit katan) :
겉옷으로 만든 탈릿은 일상 생활에서 사용하기에 불편하므로, 속옷으로 입을 수 있도록 개량한 ‘작은 탈릿’을 말한다. 작은 탈릿의 네 귀퉁이에는 술이 달려 있다(5-14, 5-15).
탈무드(Talmud) :
성문 율법 외에 구전되어 오던 율법을 기록한 미쉬나와 거기에 다시 주석을 추가한 탈무드를 통틀어 지칭하는 말이다. 참고로 미쉬나는 랍비 아키바 등이 주도하여 AD 3세기 중엽에 편찬되었고, 탈무드는 이 미쉬나를 본문으로 하여 그마라(주석)가 추가된 책으로 4세기 후반에 예루살렘 탈무드가 편찬되었다. 그리고 한 세기 후에는 예루살렘 탈무드를 참고하여 바벨론 탈무드가 편찬되었다(A-1, 1-6, 2-0, 4-7, 5-4, 6-7, 7-25, 8-4, 9-4, 13-4, 16-19).
탈무드시대(Talmudic times) :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된 AD 70년부터 500여년간을 말한다(A-1, 2-2, 2-31, 3-11, 3-57, 5-24, 8-15, 12-29, 14-7, 15-3).
토라(Tora) :
유대교에서 가장 신성시하는 경전으로서 원래 모세오경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유대학문 전체를 가리키는 말로 확대되었다(A-1, A-4, 1-23, 3-90, 5-15, 5-33, 6-4, 6-5, 6-6, 10-0, 10-1, 10-7, 10-13, 10-18, 12-29, 14-10, 16-18).
트필라(Tefila) :
트필린의 단수형이다(5-1, 5-16, 5-20, 5-22, 5-25, 7-16). ‘트필린’ 참조
트필린(Tefilin) :
성경에서는 '경문(經文)'이라는 단어로 사용되었으며, 성경 구절을 쓴 양피지 조각을 넣은 가죽상자를 말한다. 이 가죽상자에는 끈이 달려 있어서 기도하기 전에 팔뚝과 이마에 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경문’ 참조). 단수는 트필라(Tefila)이지만, 단수로 사용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4-3, 5-0, 5-16, 5-17, 5-24, 5-26, 5-47, 7-9).
티샤 베아브(Tisha B'Av) :
아브월 9일, 예루살렘 성전이 파괴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A-3, 2-15, 5-1, 6-37, 15-10, 15-11, 15-15).
<ㅍ>
페싸흐(Pesach, Passover) :
‘유월절’에 해당하는 히브리어이다(9-1, 9-54, 10-5, 15-0). '유월절‘ 참조
피디욘 하벤(Pidyon Haben) :
제사장에게 다섯 세겔의 속전(贖錢)을 내고 ‘장남을 되찾는 의식’이다(1-17). ‘속죄식’ 참조
피유팀(Piyyutim) :
2차 성전이 무너진 이후에 기록된 ‘유대 종교 시(詩)’들은 기도문으로 활용되었는데, 특히 대제일 기도서에는 반드시 이 시들이 포함되었다. 피유팀은 이 기도문을 말한다(10-10, 11-19).
<ㅎ>
하가다(Haggada) :
유월절 첫째 날 저녁 만찬에서 사용하는 얇은 예식서를 말한다. 출애굽의 극적인 이야기를 소재로 한 시편과 기도 등을 예배 순서대로 기록한 책이다(A-1, 9-14, 9-24, 9-29, 9-45).
하누카(Hanuka) :
BC 165년, 유다 마카비와 그의 사형제가 시리아계 그리스인들을 물리치고 예루살렘 성전을 탈환하여 등대에 불을 밝힌 사건을 기념하는 절기이다(A-1, A-3, 13-0, 13-1, 13-6). ‘수전절’ 참조
하브달라(Havdala) :
‘분리’ 또는 ‘구분’의 뜻을 가진 히브리어로서, 안식일이 끝난 후 안식일과 세속의 6일을 구분하는 축복 의식을 말한다(8-3, 8-37, 8-38, 8-39).
하시드(Hassid) :
초정통파 유대인을 말한다(2-20, 5-27, 5-52, 5-55, 7-0, 11-29). ‘하시딤’ 참조
하시딤(Hassidim) :
동유럽에서 나타난 신비주의적 유대교도를 말하며, 오늘날 예루살렘에서 검은 옷을 입고 다니는 유대인들은 대부분 하시드파에 속하는 사람들이다. 단수형은 ‘하시드’이다(13-19, 14-17).
하프타라(Haftara) :
안식일이나 명절 때 토라를 읽고 난 후에 추가로 읽는 예언서를 말한다(1-27, 6-26, 6-29, 11-49).
할라(Halla) :
안식일이나 다른 명절 때 먹는 예식용 빵을 말한다(A-4, 8-25, 8-27, 8-29, 8-36, 9-53, 10-17, 12-25).
할라카(Halacha) :
유대교 율법 즉 유대인들이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가르치는 율법을 말한다(A-1).
할렐(Hallel, Psalms of praise) :
찬송시(讚頌詩)를 말한다(7-16, 11-17, 12-20, 13-14, 15-0).
할례(割禮, Brit mila) :
‘포피(包皮)’ 즉 남자 아이의 생식기 끝부분을 자르는 행사로서, 유대인에게는 일생 중 가장 중요한 의식이요 계명이다. 히브리어 ‘브리트’는 ‘약속’이라는 뜻이다(1-0, 1-4, 1-23, 13-1, 16-14).
호산나 라바(Hoshana Rabba) :
‘큰 구원의 날’이라는 뜻이며, 초막절의 마지막 즉 일곱 번째 날을 말한다. 유대인들은 이날에 시내버들 가지를 바닥에 내리치면서 마지막 죄까지 다 털어내는 의식을 행한다(A-3, 2-25, 11-10, 11-36, 11-38, 12-0, 12-21, 12-22, 15-0).
홀로코스트(Holocaust) :
일반적으로 대학살 또는 유대인 대학살을 말한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나치 대학살 때 죽은 유대인 영령을 추념하는 날(니산월 27일)을 말한다(15-20).
회당(Synagogue) :
유대교의 예배는 원래 예루살렘 성전에서 드리는 제사였으나 BC 586년, 바벨론에 의해 성전이 무너지자 유대인들은 거주지 곳곳에 회당을 지어 예배를 드리게 되었다. 이 회당은 2차 성전이 지어진 후에도 그대로 존속되었으며, 초대교회도 회당의 모습을 본 뜬 부분이 많다(A-1, 1-14, 2-17, 3-31, 5-11, 5-41, 5-46, 6-0, 6-3, 7-0, 8-9, 10-14, 11-0, 12-0, 13-14, 14-1, 15-2).
후파(Chupa) :
비단, 공단 또는 벨벳으로 만든 큰 천을 장식하여 네 개의 기둥으로 받친 유대인의 결혼식 천막을 말한다(A-1, 2-17, 2-18, 2-24, 2-27, 2-38).
|
|
첫댓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