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스타일 한복의 모습

한복은 기본적으로 상하의를 다른 색으로 입는 것이 기본이었는데.
20세기 초, 서양 원피스의 영향으로 상하의 색이 같은 것이 유행하기 시작함
북한은 지금도 이 유행이 남아 있는 편



'오늘날' 남북한 한복 차이
남한은 다시금 조선 후기 스타일로 돌아가는 편이다 싶어

근데 남한도 과거에는 북한 스타일에 가까운 한복이 유행했었음.
상하의색 같고, 옷고름이 정중앙에 오고, 소매가 넓은 한복
이승만 대통령의 부인, 프란체스카 여사의 한복
(1948년~1960년)

노태우 대통령의 부인, 김옥숙 여사
(1988년~1993년)


20세기 초반에 시작해서, 20세기 후반까지 유행한 스타일이니...
자그마치 100년이나 인기를 끌었던 스타일
첫댓글 나 2번째 사진 한복 초딩때 있었다.... 내 원픽한복~
오우 난 남한 서타일좋아
유치원에서 단체로 한복입을일 많았는데 사진보면 거진 현재북한한복같음
한복... 뭔 색이든 본새다 코르셋꽉꽉조이는것보다 훨씬좋음
막짤 좆간지
아 제발 스크랩 풀어주세요 갠캎에 소장하고싶어 으아ㅏㅏ(한복덕후(
늦어서 미안, 풀었어!
@tirion 정말 감사합니다 눈물 줄줄
막짤 본새난다 진짜 예뻐
한복입으면 엉덩이 간지러울 때 긁을 수 있을까?
아진짜 넘예뻐 ㅜㅜ 우리도 한복 입는 날 만들어줘 ㅜㅜ
와 저 김옥순 여사님이 입은 금색 한복 진짜 얼마나 좋은 옷감인지 화면을 뚫고 보인다..
이쁘다. 위아래색 같아도 이쁘네 고상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