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대한불교청년회 경기지구
 
 
 
카페 게시글
불교계소식 스크랩 머리 없는 그대여, 내내 번뇌도 없으리
물의나라 추천 0 조회 18 15.12.31 11:18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머리 없는 그대여, 내내 번뇌도 없으리

 

[다시보는 우리문화유산의 美/ 6-경주침식곡석불좌상(慶州寢息谷石佛坐像)]

 

오마이뉴스 | 남병직  | 입력 2015.12.27 15:12

http://media.daum.net/life/outdoor/photo/newsview?newsId=20151227151208885

 

 

[오마이뉴스남병직 기자]

경주남산 백운계 새갓곡의 마애석불과 석조여래좌상을 답사한 후 새갓곡 입구의 주차장으로 하산한다. 경주남산은 등산로가 짧고 오르는 길도 가파르지 않아 한나절 답사코스로는 제격이다.

 

올 한해 지난 게으름을 생각하면 언제 다시 백운계일대의 답사를 기약할지 모를 일이다. 내친김에 가까운 곳에 자리한 백운암과 침식곡(심수곡)까지 둘러볼 생각이다. 새갓곡 주차장을 나서면 틈수골, 천룡사지, 백운암을 알리는 입간판이 길을 안내한다. 백운암까지는 여기서부터 약1.45㎞거리이다.

 

일정이 여유로운 날은 산과 계곡을 따라 한나절 걸어가도 좋을 길이다. 오늘은 초행길이라 눈이 어두운 탓에 차를 가지고 백운암까지 이동한다. 새갓곡에서 백운암으로 가는 길은 천길 벼랑 위로 심산유곡을 곁에 끼고 달리는 위태로운 산길이다. 아슬아슬한 비포장의 차창너머로 구절양장의 계곡을 오르락내리락하는 폭포수의 한판놀음이 눈과 귀를 즐겁게 한다.

 

백운암에 거의 다다랐을까? 침식곡을 알리는 이정표가 보인다. 꼬르륵 배 시계를 점검해보니 밥시간이 훌쩍 지나버린 모양이다. 우선 허기진 배를 채우고 산을 오르기로 한다. 주차도하고 배도 채울 요량으로 근처 백운암주차장으로 길을 잡는다. 침식곡 초입은 비좁은 산길이라 주변에 승용차한대 주차할 공간이 막막하다.

 

그에 비해 백운암은 절을 찾는 신도들이 있어 제법 넉넉한 주차공간을 확보하고 있다. 차에서 내리자 주차장에는 한 무리의 등산객들이 소란스럽다. 그들도 그렇겠거니와 주말오후 이 깊은 산속까지 찾아온 젊은이들이 신기하고 놀라울 따름이다. 주차장에서 백운암으로 오르는 길은 나지막한 조릿대들이 긴 터널을 이룬다. 층층이 놓인 나무계단을 딛고 오르니 높다란 언덕 위로 아담한 절터가 눈길을 사로잡는다. 경주남산 백운계 백운암이다.


 
▲ [백운암] 백운암 경내에는 대웅전과 요사건물이 자리한다. 대웅전 오른편으로 부처님 진신 사리를 모신 작은 전각을 마련했다.
ⓒ 남병직

 

백운암이 자리한 백운계 백운곡은 백운대마을에서 시작해 백운암으로 이어지는 계곡으로, 경주남산의 남쪽계곡 중 가장 크고 길다. 이 계곡에는 절터를 비롯해 고분군, 야철지, 유물산포지 등 다양한 유적이 분포한다. 계곡의 이름 유래는 과거 신라시대에 백운사라는 절이 있어 이를 따라 명명된 것이라고 한다. 현재 대웅전이 자리한 곳은 그중 백운계 백운곡 제3사지(백운암절터)이다.

 

대웅전은 근래 새롭게 단장한 모습이다. 정면3칸의 아담한 규모인데, 오늘은 행사가 있었던지 스님 한 분이 대웅전내부의 불단을 정리하고 계신다. 부처님께 삼배를 올리고 나와 지나는 보살님께 간곡한 눈빛을 흘려본다. "보살님요 아직 공양되니껴?" 인심 좋은 공양주보살님은 공양시간이 지났음에도 불편한 기색 없이 배고픈 중생의 손을 반갑게 이끄신다. 불 꺼진 공양간의 이곳저곳을 뒤져 풍족한 한 끼 밥상을 순식간에 마련해주시고는 넉넉한 과일까지 덤으로 챙겨주신다. 시장이 밥맛이라. 절집의 건강한 산나물 밥상으로 지친 몸과 마음에 활력이 불끈 샘솟는다.


 
▲ [백운암 점심공양] 절집의 소박한 밥상이다. 산나물 비빔밥과 시래기 된장국, 동치미의 시원함이 정갈하고 담백하다.
ⓒ 남병직

 

착한마음씨의 공양주보살님 덕에 허기진 배를 든든히 채웠다. 중생의 배고픔을 즉시 달래주시는 진정 관세음보살님이시다. 오후의 해바라기가 따사로운 종무소 툇간에는 새해 달력이 준비되어있다. 백운암에서의 추억을 오래도록 간직하기 위해 달력 하나 깊숙이 챙겨둔다.

 

동지 즈음 가까운 절을 다녀올까 내심 벼르고 있었는데, 오늘 뜻하지 않게도 숙제 하나를 들게 되었다. 백운암 마당에는 식수를 받는 용도로 사용되는 대형 맷돌이 남아있어 과거 폐사지의 흔적이 드문드문 엿보인다. 마당 한 편에는 고맙게도 지나는 객을 위한 무료 찻자리도 제공된다. 차는 자판기 커피와 율무차이다. 입가심으로 고소한 율무차 한 잔까지 알뜰히 챙겨들고 아스라한 먼 산자락에 잠시 상념에 젖어든다. 흰 구름 한 다발이 산머리를 감고 오르는 산사의 겨울풍경은 한가롭고 무심하다.


 
▲ [백운암 마당에서] 백운암 마당에 서면 눈 맛이 시원하다. 흰 구름이 넘실거리는 산사의 겨울풍경은 한가롭고 무심하다.
ⓒ 남병직

 

산사의 겨울은 해가 더없이 짧다. 서둘러 백운암에서 내려와 침식곡 오르는 갈림길로 들어선다. 여기서부터 500m 남짓 산길로 오르면 침식곡석불좌상을 만날 수 있다. 침식곡은 심수곡으로도 불리는데, 단단한 돌바닥에서 물이 새어 나온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칠불암 정상의 봉수대쪽에서 흘러오는 지류로, 현재 절터1곳과 고분1기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된 바 있다. 침식곡 가는 길은 나무와 바위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명상의 길이다. 침식이란 말의 의미를 곰곰이 생각해본다. 침식(寢息)의 사전적 의미는 "떠들썩하던 일이 가라앉아서 그쳐짐"이다. 계곡의 깊은 가슴으로 한 발짝 다가설수록 먼지처럼 일렁이던 마음 속 번뇌가 차츰 잦아드는 것 같다.


 
▲ [침식곡 가는 길] 침식곡 가는 길은 나무와 바위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명상의 길이다.
ⓒ 남병직

 

저마다 잎사귀를 떨군 겨울 숲을 따라 얼마나 깊숙이 걸어왔을까? 앙상한 나뭇가지에 포근히 둘러싸인 머리 없는 부처가 고요하다. 석불좌상 주위로는 오가는 이들이 주변을 정돈할 수 있게 싸리비 하나가 가지런히 놓여있다. 오늘도 부처께 법을 구하러 누군가 남몰래 다녀간 모양이다. 시린 겨울에도 낙엽 하나 없는 정갈한 야외 법당은 안온하다. 비밀의 숲을 홀로 사유하는 동안 오후의 따사로운 양광(陽光)이 법당에 든다. 고요히 잠든 부처는 이윽고 긴 잠에서 막 깨어난다.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2호 경주침식곡석불좌상] 앙상한 나뭇가지에 포근히 둘러싸인 머리 없는 부처가 고요하다.
ⓒ 남병직

 

석불좌상이 자리한 곳은 백운계 심수곡 제1사지로, 일명 석수암(石水庵)으로 불린다. 이는 절터의 북쪽 바위 밑에 자리한 샘터에서 유래된 것이다. 곳곳에 드문드문 흩어진 기와 편들은 절터의 숨은 내력을 넌지시 일러준다. 석불좌상은 머리가 없지만 결가부좌(結跏趺坐)를 틀고 앉은 품세는 바르고 편안하다.

 

목에는 생사 윤회의 인과(因果)를 뜻하는 삼도(三道)가 뚜렷하다. 삭둑 잘려나간 머리처럼 윤회의 사슬도 미련 없이 끊어버렸다. 오른쪽 어깨를 살짝 드러낸 우견편단(右肩偏袒)의 옷차림에 부드러운 가슴의 곡선이 아담하되 당당하다. 왼손은 아랫배에 단정히 두었고, 오른손은 위엄으로 땅을 누른다. 마귀를 항복시키는 거룩한 부처의 수인(手印)은 장중하다.

 

경주남산을 답사하다 보면 유독 머리 없는 불상이 종종 눈에 띈다. 혹자는 고려시대 몽고의 침입과 조선시대 임진왜란 등 외침과정에서 진행된 불교유적의 파괴를 한 원인으로 들고 있다. 또 다른 이는 조선시대 유생들에 의한 숭유억불정책의 결과라는 견해도 있다.

 

필자는 이와 더불어 불상의 제작기법과 관련된 부분을 추가로 가늠해본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돌로 불상의 전신을 제작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정교한 작업공정의 어려움으로 인해 몸과 머리, 손 등을 별개로 만들어 각각 조립하는 형태가 권장되고 있다. 이렇게 조립된 불상의 경우 시간의 경과에 따른 결합부분의 구조적 약화로 인해 불상의 훼손이 더욱 심해질 수가 있다.

 

위와 같은 제작기법을 따른 경주남산의 석불로는 보물 제666호 경주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慶州南山 三陵溪 石造如來坐像)이 대표적인 사례이다. 상기 석불의 경우 일제강점기 조사에 의하면 불두를 신체와 별석으로 제작해 촉을 꼽아 결합한 것으로 보고된다. 석불의 머리가 없어진 사연이야 제 각각일 테지만 인고의 세월 속에 질곡의 역사를 간직한 돌부처는 지금도 중생의 염원에 가만히 귀 기울인다.


 
▲ [미르바나(열반)] 잎사귀를 떨군 고요의 숲은 적막하다. 머리 없는 부처는 마음의 빗장을 연다.
ⓒ 남병직

 

석불좌상의 측면으로 돌아서면 어깨를 타고 길게 내려온 한줄기 굵은 옷가지가 허리를 돌아 무릎을 포근히 감싼다. 얇은 법의에 몸을 의탁한 맨살의 부처는 엄동의 매서운 겨울을 견디기 위해 도톰한 목도리 하나 장만한 모양이다. 머리 없는 부처는 목이 더욱 시린 법이다. 이 소슬한 계곡에 느닷없이 찾아든 동장군의 꽁꽁 언 마음은 부처님의 겨울 목도리에 슬금슬금 녹아내린다.


 


▲ 부처님의 목도리 부처님의 겨울목도리는 엄동의 겨울을 슬금슬금 녹인다.
ⓒ 남병직

 

신성으로 빛나는 찬란한 광배(光背)는 사라졌지만, 여덟 잎의 화려한 연꽃대좌는 부처가 비롯된 본향을 짐작케 한다. 대좌는 상대?중대?하대의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꽃이 하늘을 받친 앙련(仰蓮)의 상대와 8각의 중대는 지상에 얼굴을 내밀었다. 연꽃이 대지를 덮은 복련(覆蓮)의 하대는 땅 속에 조용히 모습을 감추었다. 더러운 진흙 속에 깊이 뿌리를 내린 한 송이 연꽃의 마음인 듯 청정하다. 세간의 온갖 자리 중, 하필 부처가 연꽃자리에 앉은 까닭은 무엇일까?


 
▲ [연꽃방석] 진흙에서 피는 꽃,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
ⓒ 남병직

 

대지도론(大智度論)에는 연꽃이 부처의 자리가 된 이유를 다음과 같이 전한다.

 

"상(床)은 세계 백의(白衣)의 좌법(坐法)이다. 또 연꽃의 연하고 깨끗함으로써 신력(神力)을 나타내어 그 위에 앉아 꽃이 상하지 않게 하고자 함이다. 또 묘법의 자리를 장엄하게 하는 까닭에, 또 여러 꽃은 모두 작고 이 꽃같이 향기가 깨끗하고 큰 것이 없기 때문이다. 속세의 연꽃은 1척 정도지만 만타기니지(漫陀耆尼池)·아나바달다지(阿那婆達多池) 연꽃의 크기는 수레와 같다. 천상의 연꽃은 이보다도 크다. 이것은 결가부좌하기에 족하다. 부처가 앉는 꽃은 이보다도 크기가 백 천만 배이다. 또 이 같은 연화대는 깨끗하고 향기가 있어 앉을 만하다."

 

진흙에서 피는 꽃, 상구보리 하화중생(上求菩提 下化衆生)!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하고픈 불보살의 무량한 마음자리를 잊지 않기 위함일 게다. 한 송이 연꽃위에 불보살이 살며시 내려앉는다. 저잣거리의 황량한 마음을 보듬어줄 분별없는 신심하나 피어오른다.


 


▲ [연화화생(蓮華化生)] 한 송이 연꽃위에 불보살이 살며시 내려앉는다.

ⓒ 남병직

 

석불좌상의 뒷모습은 아득한 기다림으로 눈물겹다. 심산유곡의 적막을 흐르는 간절한 그리움이 가득 베어난다. 태초의 순백으로 눈부시게 빛나는 거룩한 설국의 환희를 꿈꾸는가? 생명의 약동으로 살아 움트는 신록의 전령을 기다리는가?

 

한해의 끝과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성스러운 시간이 임박했다. 죽어가던 해가 다시금 살아온다. 을미년(乙未年)의 묵은해는 가고 병신년(丙申年)의 새해가 밝아온다. 내밀한 시간의 미궁은 적멸의 찰나에 빗장을 연다. 번뇌가 끊어진 침식곡에 환희심(歡喜心)이 넘실거린다. 목마른 중생의 목을 축여줄 지혜의 샘물이 심수곡에 샘솟는다. 머리 없는 부처의 말없는 설법이 골짜기에 메아리친다.

 

"머리 없는 그대여, 내내 번뇌도 없으리!"


 

▲ [기다리는 불상] 머리 없는 부처는 무엇을 기다리는가?

ⓒ 남병직

 

옛날에는 문맹의 일반인들은 글을 봐도 읽을수도 없었고 읽어도 뜻도 알수가 없었습다.

글을 아는 사람이 자칭 학자와 종교인 들이었는데(종교라는 것은 없다),이들이 자기 입맛대로 왜곡하여 소설을 쓰고,오늘날까지 전해 내려오는 역사와 종교,문화,풍습이 되었고,이것이 잘 이해되지 못한것인줄 모르고, 잘 이해된것으로 알고 믿고,21C 를 사는 오늘날까지 사실인줄 알고,믿고 살다 죽어 갑니다.

 

우리 삶의 생활이 진실과 거짓이 혼재되어 있습니다.이러한 사실을 모든 사람이 깨닫고 눈을 뜨고 살아가야 하는 것입니다.

 

옷을 입을때 첫 단추가 잘 못 되면 옷 모양이 잘 못 되듯이,지식이 잘못 입력 되면 모든게 엉망이 되는 것입니다.

 

 

 

 

네가 얼굴에 땀이 흘러야 식물을 먹고 필경은 흙으로 돌아 가리니,그 속에서 네가 취함을 입었음이라.

 

 

 
▲ [백운암 점심공양] 절집의 소박한 밥상이다. 산나물 비빔밥과 시래기 된장국, 동치미의 시원함이 정갈하고 담백하다.

 

우리는 매일 먹어야 살아갑니다.

 

 

내장 [內臟]

 

당신 몸뚱아리 입니다.

 

당신이 살기위해 먹는 음식입니다.

 

위의 사진은 뇌의 구조와 대망과 복부내장 인체해부도와 유리병과  줄입니다.

 

유리병속에 줄을 넣읍니다.그러면 어떤 모양일까요? (유리병속에 줄을 넣는 모습 동영상을 만들줄 몰라 이렇게 설명드립니다 ㅠ 님들 상상력 좋지요 상상해보세요) 유리병속에 줄을 넣으면 쌓이면서 꼬이고 뒤틀리고 하겠지요. 그리고 위의사진  뇌의 구조와 대망과 복부내장 인체해부도의 모양은 유리병속에 줄을 넣어 쌓이면서 꼬이고 뒤틀린 모양과 닮았지요.

 

 

 

 

 

 

자연 현상중에 비가오면 물은 산에서 개울로,개울에서 냇가로,냇가에서 강으로,강에서 바다로 흘러 들어 가면서, 이때 토사가 함께 운반되어 바다에 삼각주가 생기며 ,그것이 굳어져 곧 새로운 땅이 만들어 진다는 사실을 익히 배워 잘알고 있을 것입니다.모든 동물과 사람들도 이와같이 몸안에 삼각주(떵배)라는것이 만들어지고 있었읍니다. 모든 생명체는 자신의 생존을 위해, 섭취하여 영양분을 취하고, 배설을 하는 과정을 반복 해야 합니다.그런데, 예를들어 섭취한 양을 100%로 하고, 영양분을 취한 것을 30%라고, 할 때 배설을 70%해야 하는데, 그렇게 될까요? 이때 노폐물이 생기게 되며 노폐물은 몸안에 쌓여 많은 역 기능을 일으키고 있었던 것입니다.(生老病死) 자연 현상에서는 새로운 땅이 생겨 모든 생명체에 이익을 주지만,생명체 안에 생긴 노폐물(땅)은 생명체(인간)를 원하지도 않는것을 만들었던 것이지요.(生老病死) 곧 생명체에 모든 부작용은 노폐물이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자신이 나이 먹은 세월동안, 먹고 살았으니, 그 세월 동안 노폐물은 얼마나 많이 몸안에 많이 쌓였을 것이며,나이 먹은 세월동안 쌓였으니 산(山) 처럼 쌓였고,얼마나 굳어져(경화) 되어 있겠습니까?

 

경화 [硬化]

물건이나 신체 기관의 일부가 단단하게,딱딱하게 굳어짐.

 


▲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12호 경주침식곡석불좌상] 앙상한 나뭇가지에 포근히 둘러싸인 머리 없는 부처가 고요하다.

 

석불좌상은?

 

잘난 당신이 이렇게 돌덩이라는것을 깨닫고 살으라는 메세지를 오랜세웡동안 주고 있는 것입니다.

 

 

 

석불좌상은 머리가 없지만 <==이 모습을 보고 질닌 너 죽음을 깨닫고 살으라는 메세지를 오랜세웡동안 주고 있는 것입니다.

 


▲ [연꽃방석] 진흙에서 피는 꽃,

 


▲ [연화화생(蓮華化生)] 한 송이 연꽃위에 불보살이 살며시 내려앉는다.

 

 

우리는 이와같이 이해하고 있습니다.

 

조계사

 

 

연꽃위에 부처님이 저런 모습을 하고 앉아 있습니다.

 

불상은 우리에게 깨닫고 살으라는 메세지를 주고 있는 타임캡슐인 것입니다.

 

이사람이 보는 불상에 대하여 말씀 드립니다.

연꽃이란 물에서 수생하는 식물로서, 물을 상징하는 것으로, 연꽃 위에 앉아 있는 부처는, 우리에게 물을 깔고 앉으라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며.오른손 손가락 세개를 펼쳐 보인것은,삼십년에 세월을 실행하라는 것이고,이마에 빛나는 보석은 그렇게 실행하면 깨달음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우리에게 메세지를 주고 있는 것입니다.


 

 

 

왼손은 아랫배에 단정히 두었고, 오른손은 위엄으로 땅을 누른다. 마귀를 항복시키는 거룩한 부처의 수인(手印)은 장중하다.

 

우리가  수인(手印)으로 이해하고 있는 저 모습은?

 

왼손은 아랫배에 단정히 두었고,<==이 모습을 자세히 살펴 보라는 메세지를 주고 있는 것입니다.

 

오른손은 위엄으로 땅을 누른다.<==연꽃을 보고 물에서 깨닫고 살으라는 메세지를 주고 있는 것입니다.

 

 

옛날에 종이와 붓이 흔하지 않던 시절 선지식인분이 계셨는데,자신의 지식을 말을 해줘도 알아 듣지를 못하니,자신의 지식을 전해야 하는데 전하는 방법이 없다보니 종교,문화,풍속,조형물등으로 메세지를 주고 깨닫고 살아가라고  전傳하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잘 이해 되지 못한것을 모르고,잘 이해 된것으로 알고 믿고,오랜 과거에서 오늘날까지 전래되어 관습화하여 문화화하고 우리 일상 생활에서 행하여진 것이기에,선입관,판단력의 부족,사고력의 부족,인식자료의 부족으로 많은 사람들이 무의식,무비판적으로 받아 드리고,살다가 죽어가고 있는 것입니다. 

 

원시시대도 아니고 종교는 무슨 종교?

 

이와같아,

 

종교라는것은 없다고 하는 것입니다..

 

종교가 선량한 사람들의 눈을 멀게하여 죽음의 길로 들어가게 하는 범죄를 저질르고 있는것이 되는 것입니다.

 

 

 

나이 들어가면 누구도 고노병사孤老病死에서 벗어날수 없고 벗어나려면 젊어서부터 건강챙기며 사십시오.

 

20세 이상 나이 들어가면 건강에 빨간불이 켜지기 시작하여 여기저기 아픈곳이 나타나고 세월가면 갈수록 당신 몸은 병들어 고통뿐이 없습니다.

 

세숫대야에 따뜻한 물을 받아 앉아만 계십시요(좌욕).

물에 앉는것을 실행하시면,건강을 지킬수 있습니다.

하루에 오전,오후30분이상 실행하며,매일 습관을 들이는것이 중요합니다.

(오래 앉아 있을수록 좋으며,1분1초라도 더 물에 앉으면 자신에게 좋은 것이나, 힘이들때는 쉬어가면서 하세요)<==이것도 못해 먹겠다고요?

 아픈것도 못 아프겠다고 해서 않 아플수 있으면 좋으련만,죽는것도 못죽겠다고 해서 않 죽으면 좋으련만,마음대로 않되지요.


사람마다 각자 처한 상황이 다르니 모두에게 꼭 좋은일이 있다고 말씀 드릴수는 없으나,인연있는 사람에게는 기쁨이 있을 것입니다.

 

 

죽고 싶지 않은 사람은 실행하며 살아 가십시오.


 

단,노력과 극복없이 기쁨은 얻을수 없습니다.

 

늙어서 병과 고통,죽음에서 벗어나려면 젊어서부터 정신 차리고 살아야 합니다.

 

대단히 잘난 당신이 죽음에서 벗어나는 방법이 있다면,물에 앉는것을 실행 않하고 살아도 됩니다.

 

그냥 살다가 죽지 하고 생각하는 사람은,물에 앉는것을 실행 않하고 살아도 됩니다.

 

그러나,

 

대단히 잘난 당신이 죽음에서 벗어나는 방법이 없다면,물에 앉는것을 실행 하고 살아가십시오.

 

그냥 살다가 죽을 생각이 없는 사람은,물에 앉는것을 실행 하고 살아가십시오.

 

 

 

 미륵 배상!

 

 

※ "저작권침해"소지시 연락주시면 삭제 하겠습니다.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