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영창 KURZWEIL 전자악기 연구소 Soundware Engineer 채진욱입니다.
그동안 K2500/X 의 한글매뉴얼이 없었던 관계로 사용자 분들께서 많은 불만과 불
편함을 가지고 있으셨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순서로 K2500/X 의 사용법을 구체적으로 연재하려 합니다.
1. K2500/X 의 개요
2. 기본 음색(Program ,Setup) 의 선택과 사용
3. Master Mode 의 이해와 설정
4. Disk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5. Song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6. MIDI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7. Quick Access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8. Effect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9. Setup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10. Program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11. DSP 기능의 이해
12. Sample 편집
그런데 이 글을 연재하는데 있어 그 분량이 많은 관계로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될
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에 홈페이지(http://www.ycpiano.co.kr) ‘고객게시판’ 을 이용하여
언제든지 궁금한 점을 게시하여 주시면 빠른 시간 안에 답변을 드리도록 하겠으며
후에 ‘질문과 답변’의 내용을 정리하여 따로 글을 게시하도록 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연재에 대해서 요청사항이나 건의사항이 있으신 분은 다음의 주소로 메일
을 주시면 앞으로 글을 연재하는데 격려와 질책으로 삼도록 하겠습니다.
pooh@ycpiano.co.kr
그럼 이제부터 K2500 / X 사용법 연재 그 첫번째 시간을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K2500/X 의 개요
이번 시간에는 K2500 /X 의 외관 및 각 단자(연결 잭), 그리고 각 버튼에 대한
설명과 K2500 / X 의 각각의 Mode 에 대해서 이해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K2500/X
K2500/X 는 VAST (Variable Architecture Synthesis Technology) 라고 하는 음성합성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8MB 의 Sound ROM 과 20MB 의 Sound
ROM( Piano Kit- RMB-P2 , Orchestra Kit – ROM1 , Contemporary Kit – ROM2 : Option
사항임) 이 추가될수 있습니다.
K2500/X 는 48 개의 동시발음수를 가지고 있으며 오디오 출력은 Stereo Output
( MIX L,R ) 과 8 개의 독립된 오디오 출력단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8 개의 독립된
출력단은 4 개의 스테레오 출력으로 또는 8 개의 Mono 출력으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습니다.
K2500/X 는 SIMM( Single In-line Memory Module)소켓을 가지고 있으며 이 소켓에
Sample RAM 을 추가하여 디스켓이나 CD-ROM,Hard disk 와 같은 외부 저장매체
를 통하여 Sample Data 를 불러와서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 1997 년 9 월 이전 출
시모델은 8 개의 30 핀 SIMM 소켓을 가지고 있으며 16MB Sample RAM 을 8 개까
지 꼽아서 총 128 MB 의 Sample RAM 을 사용하실수 있으며, 1997 년 9 월 이후
출시 모델은 2 개의 72 핀 SIMM 소켓을 가지고 있고 총 128 MB 까지의 Sample
RAM 사용이 가능하나 RAM 을 설치하는데 다음과 같은 유의 사항이 있습니다.
2 개의 소켓에 RAM 을 꼽는 방법
소켓 1 소켓 2 총 RAM 크기
128 MB 사용할수 없음 128 MB
64 MB 64 MB 128 MB
64 MB 사용 안함 64 MB
32MB 사용할수 없음 32 MB
16MB 16MB 32 MB
16MB 사용 안함 16 MB
8 MB 사용할수 없음 8 MB
4 MB 4 MB 8 MB
4 MB 사용 안함 4 MB
위의 표에서 128 MB, 32 MB , 8 MB 짜리 RAM 의 경우에는 하나의 소켓에
RAM 을 꼽으면 나머지 하나의 소켓은 사용을 할수 없게 되므로 유의 하여야 합
니다. 예를 들어 지금 32MB 짜리 RAM 을 사용하다가 나중에 32MB 짜리 RAM
을 하나 더 껴서 64 MB 만큼의 RAM 을 사용하실 수는 없는 것입니다.
30 핀 RAM 의 경우 대부분의 SIMM 을 사용할수 있으며 72 핀 RAM 의 경우
국내의 경우는 삼성의 몇몇 제품의 경우 K2500 에 설치가 안되는 제품들이 있습
니다. – 삼성이외의 국내회사 제품에 대해서는 특별히 문제가 되는 RAM 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영창 KURZWEIL K2500 사용법 3
K2500/X 는 건전지에 의해서 전원이 나가도 프로그램 데이터나 시퀀싱 데이터를
저장하는 RAM 이 있는데 이를 P/RAM 이라고 하며 기본적으로 약 250 KB 의 용
량을 가지고 있고 P/RAM2 라는 Option 을 장착하게 되면 약 1250 KB 의 용량으
로 확장되게 됩니다. )
- 건전지의 전원이 약해지면 K2500 의 전원을 켤 때 “Battery Voltage is Low “ 라는
메시지가 나타나며 이때 건전지를 바꿔주지 않으면 K2500 에 저장되어 있던 데
이터들은 전원을 껐을 때 저장이 되지 않게 됩니다.
K2500 의 건전지 교체법
K2500 이나 K2500 X 의 경우 악기의 밑면에 건전지를 넣는 홀더가 있습니다. 이
홀더를 열면 3 개의 AA 건전지가 있는데 이를 교체하여 주면 됩니다.
K2500 R 의 경우는 K2500R 의 뒷면에 건전지가 들어가는 + 형 홈이 파인 곳이
있습니다. 이곳을 드라이버나 동전으로 열어서 3 개의 건전지를 빼내시고 새 건전
지로 교체하신후 다시 드라이버나 동전등으로 닫으시면 됩니다.
K2500/X 는 기본적으로 200 개의 Preset Program 과(다른 신디사이저에서는 Patch,
Preset, Voice 와 같은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100 개의 Setup , 그리고 20 개의
KB3 Program 을 가지고 있습니다. – 예전의 OS 를 사용하는 경우 KB3 Program 이
없는 경우도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새로운 OS 를 Down 받으셔서 K2500/X 을
Upgrade 하시면 됩니다. – 이 방법에 대해서는 Disk Mode 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
다.-
l K2500 / X 의 후면 판넬
우선 K2500/X 의 뒷면부터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전원
K2500/X 의 뒷면을 보시면 전원케이블을 연결하는 부분이 보이며 전원을 켜는
스위치가 있을 것입니다.( K2500 R 의 경우는 전원스위치가 전면에 있습니다.) 전
원 케이블을 연결하고 전원을 켜는데 사용이 되어집니다.
CC Pedal / Breath 단자
전원 옆에는 CC Pedals/Breath 라고 씌어 있는 단자가 있습니다. (2 개의 큰 단자와
1 개의 작은 단자가 있으며 K2500R 의 경우는 음원이므로 페달을 연결하는 단자
를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이 단자에는 Volume 페달과 같이 연속적인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페달을 연결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CC Pedal (Continuous Control Pedal )
을 구입하시어 연결하시거나 영창 Kurzweil 에서 공급하는 CC-1 이라고 하는 페
달을 구입하셔서 사용하실수도 있습니다.
CC Pedal 1 단자는 그 값이 Foot (MIDI Control 4번) 이라고 하는 데이터값을 전송
하게끔 기본 설정되어 있으며 이 단자에 연결된 페달을 이용하여 볼륨을 조정하
는 방법에 대해서는 9 장 Setup Mode 에서 설명할 것입니다.
CC Pedal 2 단자에는 앞서 설명한 CC pedal 이나 또는 YAMAHA 사의 Breath
Controller (입으로 불어서 연속적인 데이터 값을 만들어 내는 콘트롤러) 를 연결하
실수 있습니다. CC pedal 을 연결하실 때에는 큰 연결단자를 Breath Controller 를
연결하실 때에는 작은 연결 단자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CC Pedal 2 단자는 그 값이
영창 KURZWEIL K2500 사용법 4
Breath (MIDI Control 2 번) 라고 하는 데이터값을 전송하게끔 기본 설정되어 있으
며 이 단자에 연결된 콘트롤러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9 장 Setup Mode 에서
설명할 것입니다
Switch Pedal 단자
그 옆에 있는 4 개의 Switch Pedal 단자는 Sustain Pedal 과 같이 스위치의 역할을
하는 페달을 연결하는 단자입니다.( K2500 R 의 경우에는 이 단자가 없습니다.)
Switch Pedal 단자가 4개나 있는 이유는 그만큼 다양한 용도로 활용을 할 수가 있
기 때문인데 예를 들어 Dream Theater 라고 하는 Rock Group 의 키보디스트인
Jordan Rudess 라고 하는 분의 경우 스위치 페달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여 사용하
고 있습니다.
Switch Pedal 1 – Sustain Pedal ( 음을 지속시키는 페달 )
Switch Pedal 2 – Setup Change ( 페달을 밟을 때마다 다음에 사용할 음색으로 바뀌
게 설정되어 있어서 연주를 하면서 자유롭게 음색을 바꿀수 있습니다.)
Switch Pedal 3 – Rotary Speaker On/Off ( KB3 Mode 에서의 소리가 도는 효과인
Rotary Speaker 를 페달을 이용해서 켜고 끄는데 사용합니다.)
이와 같이 스위치 페달은 연주를 하면서 다양한 제어를 가능하게 해 주게 됩니다.
각 스위치 페달의 기본 설정값은 다음과 같으며 그 설정을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
는 9 장에서 다루도록 할 것입니다.
Switch Pedal 1 – Sustain Pedal
Switch Pedal 2 – Sostenuto Pedal
Switch Pedal 3 – Soft Pedal
Switch Pedal 4 – TapTempo
스위치 페달의 경우에는 Open Type 과 Close Type 의 두가지가 있습니다. 그래서
A 이라고 하는 회사의 스위치 페달을 B 라고 하는 회사의 스위치 페달 단자에
연결하였을 때 페달이 반대로 작용하는 경험을 해 보신 분들도 있으실 것입니다.
이런 경우 페달의 Type 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반대로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인데
(예를 들어서 페달을 떼면 서스테인이 걸려 있고 페달을 밟으면 서스테인이 끊기
는 …) K2500/X 의 경우에는 전원이 들어 오는 순간 페달의 Type 을 스스로 체크
하여 페달의 Type 에 따라 K2500 의 설정이 바뀌게 됩니다. 따라서 만약 페달을
밟은 상태에서 K2500 의 전원을 켜게 되면 K2500 은 페달을 반대로 인식하게 됩
니다. (이 때에는 페달을 뗀 상태에서 전원을 다시 껐다 켜면 됩니다.)
SCSI 단자 ( SCSI , SCSI Thru )
그 옆에 있는 SCSI 와 SCSI Thru 라고 하는 단자가 있는데 이는 SCSI 방식의
CD-ROM Drive 나 Hard Disk , ZIP Drive 등의 외부 저장 매체를 연결할 때 사용하
는 단자입니다. SCSI 방식의 외부 저장 매체를 사용하게 되면 플로피 디스크를 사
용할때보다 훨씬 빠르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불러 올수 있습니다.
( 외부의 SCSI 기기를 연결할 때 외부 SCSI 기기의 SCSI ID 는 6 번을 피해서 설
정하시고- K2500/X 이 자신의 SCSI ID 를 6 번을 사용하고 있으며 K2500 /X 의
SCSI ID 를 변경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6 장 MIDI Mode 에서 설명할 것입니다. –
영창 KURZWEIL K2500 사용법 5
연결이 끝나면 K2500 은 SCSI 기기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DISK Mode 에서 보여
지게 됩니다. )
MIDI 단자 ( MIDI In, Out , Thru 와 MIDI Select 스위치 )
K2500/X 는 MIDI 신호를 내보내고 외부의 MIDI 신호에 대응하는 악기입니다. 이
를 위해서 3 개의 MIDI 단자를 가지고 있으며 MIDI In 은 외부의 MIDI 기기
(Sequencer 나 또는 시퀀싱 프로그램을 내장한 컴퓨터, 또는 다른 신디사이저 …)로
부터 신호를 받는데 사용이 됩니다. MIDI Out 은 K2500/X 이 외부의 MIDI 기기에
MIDI 신호를 내보낼 때 사용이 됩니다. ( 만약 K2500/X 를 컴퓨터와 연결하여 사
용하려 한다면 컴퓨터에 MIDI Interface 를 설치하시고 MIDI Interface 의 MIDI Out
에서 K2500 의 MIDI In 으로 K2500 의 MIDI Out 에서 MIDI Interface 의 MIDI In
으로 연결하시면 됩니다. )
MIDI Thru 는 K2500 의 MIDI In 을 통해서 들어 온 신호를 아무런 여과 없이 그
대로 통과시켜 내보내는 단자입니다. 예를 들어 A 라고 하는 MIDI 기기를 가지
고 K2500 과 B 라고 하는 MIDI 기기를 동시에 제어하고 싶은 경우에 A 의 MIDI
Out 에서 K2500 의 MIDI In 으로 K2500 의 MIDI Thru 에서 B 의 MIDI In 으로
연결을 하면 A 라고 하는 MIDI 기기를 가지고 K2500 과 B 라고 하는 MIDI
기기를 동시에 제어 할수 있게 됩니다.
한가지 덧붙여서 K2500 의 MIDI Thru 단자는 MIDI Thru 의 역할이나 또는 또 하
나의 MIDI Out 으로 사용할수 있는데 이것을 설정하는 것이 MIDI Select 스위치입
니다. MIDI Select 스위치를 Thru 로 하면 MIDI Thru 단자를 Thru 로 사용하게 되
며 MIDI Select 스위치를 Out 으로 하게 되면 MIDI Thru 단자는 또 하나의 MIDI
Out 이 되어 K2500 은 2 개의 MIDI Out 단자를 가지게 됩니다.
Audio Outs 단자 ( A – L,R B- L,R C- L,R D- L,R Mix – L,R )
K2500 의 오디오 신호를 밖으로 내보내는 단자로 K2500 의 Program 의 Output
페이지에서 설정해준 출력단자로 오디오 신호가 나가게 됩니다. 기본값은 A(FX)
로 설정이 되어 있는데 이는 소리가 A 라고 하는 단자를 통해서 출력이 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A, B, C, D 중 A 출력은 Effect (음향효과) 가 걸린 소리로 출력이
되며 B,C,D 출력은 Effect 가 걸리지 않은 (DRY) 소리로 출력을 하게 됩니다.
만약 사용자가 Multi Track Recorder 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여 녹음을 한다고 하
면 K2500 의 여러 개의 출력을 이용하여 각 악기소리를 별개의 트랙으로 녹음하
고 편집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MIX L,R 단자는 A,B,C,D 출력을 통해서 나가는 모든 소리를 MIX (섞어서) 해서
내보내는 단자입니다. 따라서 일반적인 연주를 하거나 위와 같은 특별한 설정을
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MIX L,R 을 음향기기과 연결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만약 사용자가 MONO 음향시스템을 사용하거나 또는 음향기기에서 믹서의 한 개
채널만을 사용하게 된다면 MIX L 단자에 연결을 하시면 MONO 신호를 얻어 내
실수 있습니다.
영창 KURZWEIL K2500 사용법 6
Headphones 단자
K2500/X 의 경우는 후면에 위치해 있고 K2500 R 의 경우는 전면에 위치해 있으
며 K2500 에 헤드폰을 연결하는 단자입니다.
l K2500 / X 의 전면 판넬
이제 K2500/X 의 전면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K2500 의 전면은 크게 컨트롤러 파트 , Mode 선택파트, Navigation 파트, 데이터
입력 파트로 나눌수 있습니다.
컨트롤러 파트 ( K2500/X 에만 해당)
1. 건반 (Keyboard)
K2500 은 76 건반에 Semi – Weighted 건방을 사용하고 있으며 K2500 X 의 경우
에는 88 건반에 Full – Weighted 건반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두가지 건반 모두
Velocity 신호와 Channel After Touch 신호를 내보내는 콘트롤러의 역할을 합니다.
Velocity – 건반을 치는 세기에 따라 각기 다른 콘트롤 값을 내보내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건반을 세게 치면 강한 소리가 나고 건반을 약하게 치면 약한
소리가 나게끔 설정되어 있지만 프로그램에 따라서 건반을 세게 치고 약하게
치는 것에 따라서 음정의 변화가 생기기도 하고, 음의 밝기에 변화가 생기기도
하며 선택되는 레이어에 변화가 생기기도 합니다.
After Touch – 건반을 친후 다시 한번 압력을 가하여 콘트롤 값을 만들어 내는
것으로 After Touch 의 종류에는 Key After Touch 와 Channel After Touch 의 두가
지가 있으며 Key After touch 는 After touch 가 건반에 따라 개별적으로 걸리는
것이고 (예를 들어 ‘도’ 라는 음과 ‘솔’이라는 음을 누른후 ‘도’에 해당하는 음
을 다시한번 세게 누르면 ‘도’는 After touch 가 걸린 효과가 나지만 ‘솔’은
After Touch 가 걸리지 않게 됨.) Channel After Touch 는 하나의 건반에 After
touch 를 가했을 때 같은 채널에 있는 모든 음이 After Touch 의 효과가 나게
되는 방식입니다.
2. 라지 리본(Large Ribbon )
건반위에 있는 긴 띠같이 생긴 것으로 이 콘트롤러는 하나의 긴 콘트롤러로
사용될수도 있고 3 부분으로 나뉘어진 콘트롤러로 사용될수도 있습니다. 기본
적인 설정은 리본위의 손을 갖다대는 위치에 따라서 음정의 변화가 생기게 되
어 있습니다. 라지 리본을 통해서는 MIDI Controller15 번 신호를 내보내도록 설
정되어 있으며 그 설정 방법과 예에 대해서는 9 장 에서 다루기로 할 것입니다.
3. 피치 휠 ( Pitch Wheel )
건반의 왼편에 있는 두개의 바퀴 모양의 콘트롤러 중 왼쪽에 위치한 것으로
이것을 위로 올리면 음정이 위로 올라가고 맡으로 내리면 음정이 아래로 내려
가게 됩니다. 이 콘트롤러는 Pitch Wheel 신호를 내보내며 이것도 사용자에 의
해서 설정이 가능합니다. 그 설정 방법과 예에 대해서는 9 장 에서 다루기로
할 것입니다
영창 KURZWEIL K2500 사용법 7
4. 모듈레이션 휠 ( Modulation Wheel )
두개의 휠 중 오른쪽에 위치한 것으로 이 콘트롤러를 움직일 때 소리의 떨림
이나 소리의 밝기 등이 조정되며 이 콘트롤러를 통해서 MIDI Controller 1 번 신
호를 내보내도록 기본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 설정 방법과 예에 대해서는 9 장
에서 다루기로 할 것입니다
5. 스몰 리본 (Small Ribbon)
휠 아래에 있는 작은 리본이며 이 리본은 압력과 위치에 따른 콘트롤 값을 만
들어 내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리본을 누를때에는 Channel After Touch 값이 리
본위의 손가락 위치를 좌우로 움직일때에는 MIDI Controller 121 번 Aux Bend 1
의 값을 만들어 내게 됩니다.(Aux Bend 1 도 음정의 변화를 만들어 냅니다.) 그
설정 방법과 예에 대해서는 9 장 에서 다루기로 할 것입니다
6. 슬라이더 ( Slider A-H )
K2500 의 좌측 상단에 있는 8 개의 슬라이더로 KB 3 Mode 에서는 배음 성분을
조정하게 되어 있으며 기본 설정값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Slider A – MIDI Controller 6
Slider B – MIDI Controller 22
Slider C – MIDI Controller 23
Slider D – MIDI Controller 24
Slider E – MIDI Controller 25
Slider F – MIDI Controller 26
Slider G – MIDI Controller 27
Slider H – MIDI Controller 28
그 설정 방법과 예에 대해서는 9 장 에서 다루기로 할 것입니다
7. 콘트롤 스위치 ( SW1 , SW 2)
앞서 다루었던 콘트롤러들은 모두 연속적인 콘트롤러들이었습니다.(마치 CC
pedal 과 같은 …). 그런데 K2500 의 두개의 휠 위에 있는 두개의 스위치는 스
위치 페달과 같은 스위치 콘트롤러의 역할을 담당하게 됩니다. 기본적으로
SW 1 은 아르페지에이터(Arpeggiator) 를 켜고 끄는것으로 설정이 되어 있으며
SW 2 는 MIDI Controller 29 번 신호를 만드러 내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 설정 방법과 예에 대해서는 9 장 에서 다루기로 할 것입니다
Mode 선택 파트
1. Program Mode
K2500 에서 하나의 MIDI 채널을 사용하는 음색으로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편집
하는데 사용이 되어지는 모드입니다. (프로그램의 편집에 대해서는 10 장에서 다
루도록 할것입니다.)
2. Setup Mode
K2500 에서 모두 8 개까지의 프로그램들을 조합하여 만들어진 음색을 Setup 이
라고 하며 Setup 을 선택하고 편집하는데 사용이 되어지는 모드입니다. ( Setup
의 편집에 대해서는 9 장에서 다루도록 할 것입니다. )
영창 KURZWEIL K2500 사용법 8
3. Quick Access Mode
총 10 개까지의 프로그램과 Setup 을 하나의 뱅크로 묶어서 쉽고 빠르게 찾을수
있도록 해 주는 Mode 로 뱅크를 선택하고 편집하는데 사용이 되어 집니다.
( Quick Access 의 편집에 대해서는 7 장에서 다루도록 할 것입니다.)
4. Effect Mode
K2500 의 음향효과(Effect)를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를 설정하고 새로운 음향효
과(Effect)를 편집하는데 사용되어 집니다. ( Effect 의 편집에 대해서는 8 장에서
다루도록 할 것 입니다.)
5. MIDI Mode
K2500 에서 MIDI 신호를 어떻게 주고 받을 것인지를 설정하는 Mode 입니다.
(MIDI Mode 의 설정에 대해서는 6 장에서 다루도록 할 것 입니다.)
6. Master Mode
K2500 의 전반적인 설정을 해 주는 Mode 입니다. (Master Mode 에 대해서는 3
장에서 다루도록 할 것입니다.)
7. Song Mode
K2500 을 이용하여 시퀀싱( 하나 하나의 각기 다른 악기 소리를 따로 녹음하여
동시에 Play 시키므로써 하나의 음악을 만들어 가는 일) 을 할 때 사용하는
Mode 입니다. ( Song Mode 에 대해서는 5 장에서 다루도록 할 것 입니다.)
8. Disk Mode
K2500 에서 외부의 데이터를 불러 오거나 K2500 으로 만든 데이터를 외부의
저장 매체에 저장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Mode 입니다. ( Disk Mode 에 대해서는
4 장에서 다루도록 할 것 입니다.)
Navigation 파트
1. 화면 ( LCD )
K2500 의 현재 정보를 보여주는 창으로 그 구성은 제일 윗줄에 현재 K2500
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중간단에는 사용자가 선택할수 있는 각종 내용들을 제
일 아랫단에는 현재의 페이지에서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할수 있는 버튼의 역
할을 하는 내용을 표시하여 줍니다.( 제일 아랫단에 표시된 내용의 밑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그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화면 밑에 위치한 6 개의
버튼은 화면에 따라서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2. 소프트 버튼 (Soft Button)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면 아래에 있는 6 개의 버튼은 화면에 따라서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런 버튼의 성격 때문에 6 개의 버튼의 이름을
소프트 버튼이라고 부릅니다.
3. 채널 / 뱅크 버튼 (Chan/Bank Button )
화면 바로 왼편에 위치한 △ , ▽ 버튼으로 화면의 제일 윗단의 오른편에 보면
<> 이라는 표시와 함께 나타난 것이 있습니다. ( Program Mode 의 경우 <>
영창 KURZWEIL K2500 사용법 9
Channel : 1 , Quick Access Mode 의 경우 <> Bank : 1 과 같이 …) 이렇게 표시된
값을 변화시킬 때 사용하는 버튼입니다. Program Mode 에서는 Channel 을 올리
거나 내릴수 있고 Quick Access Mode 에서는 Bank 를 올리거나 내릴수 있습니
다.
4. 편집 버튼 (Edit 버튼 )
채널/뱅크 버튼의 아래에 위치한 버튼으로 각 Mode 에서 편집을 시작할 때
(편집을 한다는 것은 현재의 mode 에서 선택된 Object 를 변형하거나 또는 새
로운 Object 를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사용하는 버튼입니다.
5. Exit 버튼
현재의 상태에서 윗단계로 올라갈 때 사용하는 버튼입니다. 만약 편집을 하거
나 할 때 저장하지 않고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고 싶을때에는 계속 Exit 버튼을
연속적으로 눌러서 원래의 상태대로 돌아 올수 있습니다.
데이터 입력 파트
1. 커어서 이동 버튼 (Cursor Button)
커어서 이동 버튼은 화면 바로 오른편에 위치한 ◀, ▼ , ▶ , ▲ 이 그려져 있
는 버튼으로 커어서 이동 버튼을 이용하여 반전되어 있는(반전되어 있는 부분
이 사용자가 그 수치를 바꿀수 있는 부분임) 부분(이 부분을 커어서라고 함)
을 전후좌우로 이동시킬 수가 있습니다.
2. 알파휠 (Alpha Wheel)
알파휠은 커어서 이동 버튼의 오른쪽에 위치한 다이얼로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수치가 올라가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수치가 내려가는 휠입니다.
3. +,- 버튼
알파휠 아래에 위치한 버튼으로 + 버튼을 누를때 마다 수치가 1 씩 늘어나고 –
버튼을 누를때마다 수치가 1 씩 줄어들게 됩니다.
4. 숫자 입력 버튼 ( Numeric Key Pad)
알파휠 오른쪽에 위치한 숫자가 써져 있는 버튼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수치를
한번에 입력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는 버튼으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
는 숫자를 숫자 버튼을 이용하여 입력하고 Enter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예를
들어 127 이라는 값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1, 2, 7 을 누른후에 Enter 버튼을 누
르면 됩니다. +/- 버튼은 음수를 입력할 때 이 버튼을 누르면 음수의 입력이
가능하게 됩니다. Clear 버튼은 수치를 입력도중 실수를 하였을 경우 지금까
지 입력한 값을 지우고자 할 때 사용하는 버튼입니다.
숫자 입력 버튼을 이용한 알파벳 입력 방법
편집을 하다 보면 문자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로 만
든 프로그램의 이름을 입력한다든가 …) 이럴때 숫자 입력 버튼을 이용하여 알
파벳을 입력할수 있는데 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 숫자마다 밑에 3 개의 알파벳이 써 있습니다. (예: 1 이라는 버튼 밑에는
ABC 가 써 있습니다.) 문자를 입력해야 할 때 이 숫자버튼을 누르면 버튼을
한번 누를때마다 알파벳이 순서대로 나타납니다. (예: 1버튼을 1 번 누르면 A, 2
영창 KURZWEIL K2500 사용법 10
번 누르면 B, 3번 누르면 C …) +/- 버튼( 밑에는 Upper/Lower 라고 쓰여 있습니
다.)을 누르면 대문자,소문자 변환이 됩니다. Clear 버튼은 빈공간(Space) 를 만
들어 냅니다.
이런 방법으로 문자의 입력을 쉽고 빠르게 하실수 있습니다.
5. 입력( Enter) ,취소 (Cancel) 버튼
숫자 버튼 밑에는 Cancel 버튼과 Enter 버튼이 있는데 데이터 입력 도중 입력
을 취소 하고 싶을때에는 Cancel 버튼을 눌러서 원래의 값으로 되돌릴수 있으
며 데이터입력을 끝낸후 Enter 버튼을 누르면 입력이 마무리되게 됩니다.
그 외의 버튼들
1. Solo 버튼
슬라이더 왼편에 보이는 Solo 버튼은 Setup Mode 에서 각 Zone 을 하나씩 들어
볼수 있는 버튼입니다. (Setup 은 총 8 개까지의 Zone 으로 구성될수 있으며 이
렇게 여러 개의 Zone 으로 구성된 Setup 에서 각각의 Zone 을 하나씩 들어 볼
수 있는 버튼입니다.)
Setup 버튼을 눌러서 Setup 을 선택하면 8 개의 슬라이더 위에 있는 버튼에 불
이 들어오게 됩니다.( 이때 들어오는 불의 수가 Zone 의 수가 됩니다. 8 개의 버
튼중 5 개의 버튼에 불이 들어 왔다면 그 Setup 은 5 개의 Zone 으로 구성된
Setup 입니다. 그리고 들어 오는 불의 색깔은 그 Zone 의 상태를 의미하게 됩니
다. – 녹색: 활성화된 Zone , 주황색 : Mute 되어 있는 Zone - )
이렇게 Setup 을 선택한후에 Solo 버튼을 누르면 Solo 버튼에 빨간불이 들어오
고 8 개의 버튼들 중 하나만 빨간불이 들어오게 됩니다. 바로 이 빨간 불이 들
어 와 있는 Zone 이 Solo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이때 다른 Zone 의 버튼을 누
르면 눌려진 버튼의 불이 빨간색으로 변하고 그 Zone 이 Solo 로 변하게 됩니
다.
2. Mix down 버튼
Mix Down 버튼은 K2500 에서 시퀀싱을 한후 각 트랙별로 음량이나 소리의 좌
우(PAN) 를 조정할 때 사용이 되어 지는 버튼으로 자세한 사용 방법은 5 장
Song Mode 의 이해에서 다루기로 할 것입니다.
3. MIDI Faders 버튼
MIDI Fader 버튼은 K2500 의 8 개의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MIDI 데이터를 전송
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버튼입니다. 자세한 사용방법은 6 장 MIDI Mode 의 이
해에서 다루기로 하겠습니다.
4. Record , Play/Pause , Stop 버튼
이 3 개의 버튼은 K2500 으로 시퀀싱 작업을 할 때 녹음(Record) 과 재생(Play)
을 보다 사용하기 편하게 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버튼으로 Record 버튼을 누르
면 녹음이 되고 Stop 버튼을 누르면 녹음이 멈추게 되며 Play 버튼을 누르게
되면 재생이 되게 됩니다.
여기서 간단하게 녹음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프로그램 모드에서 녹음하고자 하는 악기의 소리를 선택합니다.
영창 KURZWEIL K2500 사용법 11
- Record 버튼과 Play 버튼을 누릅니다. ( 이때 메트로놈 소리가 나게 됩니
다.)
- 이제 메트로놈 소리에 맞춰 연주를 합니다. ( 만약 메트로놈 소리를 듣지
않고 녹음을 하기 원한다면 녹음을 하기전에 Song 버튼을 눌러서 Song
Mode 로 가신후에 MISC 라고 씌어져 있는 버튼 밑에 있는 소프트 버튼을
누른후 화면의 중간에 있는 Click :Rec 를 – 이때 Cursor 이동 버튼을 이용
하십시오- Click: Off 로 설정하십시오- 이때에는 알파휠이나 +,- 버튼을 이
용하시면 됩니다. 이제 Program 버튼을 눌러서 프로그램 모드로 돌아 옵니
다.)2. 기본 음색(Program ,Setup) 의 선택과 사용
이번 시간에는 K2500 /X 이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음색들을 선택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해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l 프로그램( Program )
프로그램은 K2500/X 에서 연주나 MIDI 작업을 할 때 기본이 되는 소리입니
다. 하나의 프로그램은 한 개에서 세개까지의 레이어(Layer) 라고 하는 소리
가 더해져서 만들어 지며 드럼 프로그램의 경우는 세개 이상의 레이어(Layer)
로 구성이 됩니다. 또한 하나의 프로그램은 하나의 MIDI 채널을 사용하게 됩
니다.
그럼 이제 Program 버튼을 눌러서 Program Mode 로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 화 면 구성
Program Mode 로 들어가면 크게 3 단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K2500 의 대
부분의 화면 구성이 3 단으로 되어 있습니다.) 제일 윗단에는
Program Mode Xpose : 0 ST <> Channel : 1
과 같은 표시가 될 것 입니다.
Program Mode – 현재의 K2500 의 상태를 설명하여 주는 것으로 지금은
Program Mode 에 있음을 표시하여 줍니다.
Xpose – Transpose (조옮김) 을 나타냅니다. ST 는 Semi Tone 을 나타내며 1
Semi Tone( ST ) 은 하나의 반음을 의미합니다. 즉 위의 화면과 같이 0 ST
이라고 되어 있으면 조옮김이 되어 있지 않은 상황임을 나타냅니다.
<> Channel – 현재의 화면에서 보여지는 프로그램(음색) 이 사용하고 있는
MIDI Channel 을 표시합니다. 지난 시간에 언급했던 것처럼 화면 왼편에
위치한 Chan / Bank 버튼을 이용하여 <> 표시가 되어 있는 Channel 을 올
리거나 내릴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화면의 중간단에는
768 Theater Flute
KeyMap Info 769 Slider Organ FX
Grand Piano 1 Acoustic Piano
Syn Piano 2 Stage Piano
3 Brite Grand
4 ClassicPiano&Vox
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화면 왼편에 보이는 창은 현재 프로그램의 Key Map Information (현재의 프
로그램이 어떠한 소리들로 구성되어 있는가)을 보여 주며 각 Key Map( 프
영 창 KURZWEIL K2500 사용법 2
로그램을 이루고 있는 소리) 밑에 그어져 있는 밑줄은 각 소리가 어떤 영
역에서 소리가 나는지를 나타내 줍니다. 예를 들어 위의 1 Acoustic Piano
라는 음색의 경우는 Grand Piano 라는 KeyMap 과 Syn Piano 라고 하는 두
개의 Key Map 으로 구성된 소리이며 각각의 KeyMap 은 건반의 전 영역에
걸쳐서 소리가 나게 설정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키맵(KeyMap) 이 3 개 이상 사용되어진 프로그램의 경우는 왼편의 창에
Drum Program 이라는 표시와 함께 몇 개의 레이어(Layer, KeyMap 과 같은
개념으로 이해하셔도 좋으며 10 장 Program Mode 에서 Layer 와 KeyMap
에 대해서는 설명을 하도록 할 것입니다.)로 구성이 되어 있는지를 보여주
게 됩니다.
예를 들어 135 Orchestral Brass 의 경우에는 왼편의 창에 Drum Program 이
라는 표시와 함께 총 5 개의 레이어로 구성이 되었음을 보여주는 5 Layers
라는 표시를 해 주고 있습니다.
여기서 잠깐!! --------------------------------------------------------------------------------
K2500 은 총 8개의 드럼 채널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1 번
부터 8번까지의 채널에서 드럼 프로그램( Drum Program , 3개 이상의 레이
어로 만들어진- 135 Orchestral Brass 와 같이…- 프로그램 )을 사용할수 있으
며 그외의 채널에서 드럼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프로그램 이름에 괄호가
쳐지고 그 채널의 소리를 내지 않습니다. 드럼 채널을 사용자가 설정하는
방법은 3 장 Master Mode 에서 설명할 것입니다.
-----------------------------------------------------------------------------------------------------
이제 화면의 하단을 살펴 보도록하겠습니다.
Octav - Octav + Panic Sample Chan - Chan +
Octav - , Octav + : 여기에 해당하는 소프트 버튼을 누를 때 마다 현재 사
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한옥타브 위로( Octav +) 또는 아래로( Octav - ) 조
옮김시킵니다. Octav – 버튼을 누를때마다 화면 상단의 Xpose 는 0 ST , - 12
ST, -24 ST … 으로 바뀌게 되고 Octav + 버튼을 누를때마다 Xpose 는 0 ST ,
12 ST, 24 ST … 으로 바뀌게 됩니다. (12 ST- Semi Tone – 씩 바뀌는 이유는
한 옥타브가 12 개의 반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 입니다. ) 조옮김이 어
떻게 되어 있든지 상관없이 Octav – 와 Octav +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Xpose 는 기본값인 0 ST 으로 돌아 오게 됩니다.
Panic : 가끔 작업을 하다보면 소리가 끊기지 않는 경우를 경험하실 때가
있을 것입니다. 이는 K2500 에 건반을 눌렀다는 신호( Note On 메시지) 는
입력이 되었는데 건반을 떼었다는 신호( Note Off 메시지 )가 입력이 안되
므로 생기는 현상으로 이 때 Panic 버튼을 누르면 K2500 의 모든 건반에
서 손을 떼라는 신호( All Notes Off )를 만들어 내고 따라서 끊이지 않고 나
던 소리가 멈추게 됩니다.
Sample : 이 버튼은 K2500 의 Sample 을 편집할 때 사용이 되어 집니다.
자세한 내용은 12 장 Sample 의 편집에서 다루기로 할 것입니다.
영 창 KURZWEIL K2500 사용법 3
Chan - , Chan + : 이 두개의 버튼은 현재의 MIDI Channel 을 변경할 때 사
용이 됩니다 ( Chan / Bank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화면 상단의 <> Channel : 1 의 값이 바뀌게 됩니다.
( K2500 은 모두 16 개의 MIDI Channel 을 가지고 있으며 버튼을 누르면 1
부터 16 번 채널까지가 순서대로 바뀌게 됩니다.) 또한 Chan / Bank △ , ▽
버튼을 동시에 누르거나 또는 Chan - , Chan +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현재
의 화면에서 나타났던 MIDI 채널과 상관없이 기본 MIDI 채널인 1 번 채널
로 돌아 오게 됩니다. ( <> Channel : 1 )
- 프 로 그 램 의 선택법
K2500 에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방법은 3 가지가 있습니다.
1. 커어서 이동 버튼을 이용하는 방법
▼, ▶ 버튼을 누르면 프로그램의 번호가 하나씩 위로 올라가고 ▲ , ◀
버튼을 누르면 프로그램 번호가 하나씩 아래로 내려가게 됩니다.
2. 알파 휠을 이용하는 방법
알파 휠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거나 + 버튼을 누르면 프로그램 번호가
하나씩 위로 올라가고 알파 휠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거나 – 버튼
을 누르면 프로그램 번호가 하나씩 아래로 내려가게 됩니다.
3. 숫자 버튼을 이용하는 방법
만약 여러분이 찾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번호를 기억하고 있다면 숫자
버튼을 이용하여 직접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
어 프로그램 45 번을 선택하고 싶다면 숫자버튼으로 4,5 를 입력후
Enter 버튼을 누르면 선택이 됩니다.
여기서 잠 깐 !! --------------------------------------------------------------------------------
K2500R 의 사용자의 경우 건반이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 K2500 의 프
로그램의 소리를 들어 보고 싶다면 Cancel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숫자 버
튼을 누르면 1 번 버튼이 C4 , 2번 버튼이 C#4 , 3번 버튼 D4 … 의 순으로
반음씩 차이가 나는 소리를 들어 보실수 있습니다.
------------------------------------------------------------------------------------------------------
- 프 로 그 램 에 서 의 Controller 들
K2500 는 소리를 변화시키는 다양한 콘트롤러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
데 이 콘트롤러들은 각각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다양하게 작용을 하게 됩
니다. 예를 들어서 Modulation Wheel ( MIDI Control 1번- 건반의 왼편에 붙
어 있는 2개의 바퀴중 오른쪽에 있는 …)의 경우 프로그램 10 Dyno E Piano
의 경우에는 소리의 떨림(Tremolo)을 만들어 내지만 프로그램 42 Hammeron
Synth 의 경우에는 음색의 변화 (Filter 1) 를 만들어 내게 됩니다.
여기서는 이런 각각의 콘트롤러들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참고 할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영 창 KURZWEIL K2500 사용법 4
K2500 의 Reference Guide 라고 씌여 있는 매뉴얼(2 권의 영문 매뉴얼 중
얇은 것) 의 Chapter 2 를 펴시면 Programs, Setups, and Keymaps 라는 장이
있습니다. 이 장이 바로 K2500 의 기본 프로그램(1-199)에 대한 콘트롤러
들의 할당을 정리한 것인데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각각의 프로그램 번호(Pgr#) 와 프로그램 이름(Program Name) 이 나와 있고
그 프로그램의 Modulation Wheel 을 움직였을 때(Mod Wheel) Data 슬라이더
( 슬라이더 A ) 를 움직였을 때(Data) After Touch (건반을 누른 상태에서 다
시한번 압력을 가하는 것) 를 가하였을 때 (MPress) 각각의 프로그램에 어
떤 변화가 생기는지를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12 Suitecase E Pno 의 경우는 Mod Wheel 을 움직일 때 떨림의
깊이(Vibrato Depth , 얼마만큼 심하게 떨릴것인지 …) 를 조정하게 되고 슬라
이더 A(Data) 를 움직일 때 떨림의 빠르기(Vibrato Rate , 얼마만큼 빠르게
떨릴 것인지…)를 조정하게 됩니다. 프로그램 5 Ballad Pno&Str 의 경우는
Mod Wheel 로 스트링 소리의 음량을 조정하게 됩니다.
이렇게 199 개의 프로그램에 대해서 각각의 콘트롤러들이 어떻게 작용하는
지를 알게 되면 보다 효과적으로 K2500 의 소리를 운영할수 있을 것이고
나아가서는 10 장 Program Mode 를 공부할 때 효과적인 프로그래밍에 대한
많은 아이디어를 얻을수 있을 것입니다.
l 셋업( Setup )
셋업(Setup)은 최대 8 개 까지의 프로그램들을 모아서 만들어진 소리입니다. 따
라서 Setup 은 동시에 8개까지의 MIDI 채널을 제어할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 Setup 에 있는 소리는 시퀀싱 작업을 할 때 사용하실수 없습니다.-
Setup 에 있는 소리는 동시에 여러 채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그럼 이제 Setup 버튼을 눌러서 Setup Mode 로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 화 면 구성
Setup Mode 역시 크게 3 단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K2500 의 대부분의 화
면 구성이 3 단으로 되어 있습니다.) 제일 윗단에는
Setup Mode Xpose : 0 ST
과 같은 표시가 될 것 입니다.
Setup Mode – 현재의 K2500 의 상태를 설명하여 주는 것으로 지금은
Setup Mode 에 있음을 표시하여 줍니다.
Xpose – Transpose (조옮김) 을 나타냅니다. ST 는 Semi Tone 을 나타내며 1
Semi Tone( ST ) 은 하나의 반음을 의미합니다. 즉 위의 화면과 같이 0 ST
이라고 되어 있으면 조옮김이 되어 있지 않은 상황임을 나타냅니다.
Program Mode 에서는 있었던 Channel 에 대한 정보가 보이지 않는 이유는
Setup Mode 가 여러 개의 채널을 동시에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채널에
영 창 KURZWEIL K2500 사용법 5
대한 정보를 표시하지 않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화면의 중간단에는
6 Kogs & Things
Chan/Program Info 7 Desert Soil
1 72 Warm Bass 8 Mellow Big Band
3 137 Dyn Big Ba 9 Fusion Split
4 54 Light Kit 10 Touch Rock Band
11 Pluck Synths
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화면 왼편에 보이는 창은 현재 셋업의 Channel 과 Program Information (현
재의 셋업이 어떠한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는가)을 보여 주며 각 프로
그램 밑에 그어져 있는 밑줄은 각 프로그램이 어떤 영역에서 소리가 나는
지를 나타내 줍니다. 예를 들어 위의 8 Mellow Big Band 라는 셋업 의 경
우는 프로그램 72 Warm Bass 와 프로그램 137 Dyn Big Band , 그리고 프로그
램 54 Light Kit 이라고 하는 3 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셋업이며 72
WarmBass 와 프로그램 54 Light Kit 은 저음부에서 프로그램 137 Dyn Big
Band 는 건반의 고음역에서 소리가 나게 설정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
습니다.
프로그램(Program) 이 3개 이상 사용되어진 셋업의 경우는 왼편의 창에
Key Range Info 라는 표시와 함께 각각의 프로그램이 사용되어지는 영역만
을 선으로 표시하여 주게 됩니다.
예를 들어 9 Fusion Split 의 경우에는 왼편의 창에 Key Range Info 라는 표
시와 함께 두개의 프로그램은 높은 영역에서 두개의 프로그램은 낮은 영
역에서 소리가 할당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여기서 각 프로그램들은 하나의 Zone 이라고 하는 개념을 사용하게 됩니
다. ( 하나의 Zone 에 MIDI 채널을 할당하고 그 Zone 에서 사용할 프로그
램을 할당하고 건반 영역을 할당하는 등의 설정을 하여 하나의 Zone 을
만들게 됩니다.- 구체적 방법은 9 장 Setup Mode 의 이해 에서 다룩 될 것
입니다.)
이제 화면의 하단을 살펴 보도록하겠습니다.
Octav - Octav + Panic Sample
Octav - , Octav + : 여기에 해당하는 소프트 버튼을 누를 때 마다 현재 사
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한옥타브 위로( Octav +) 또는 아래로( Octav - ) 조
옮김시킵니다. Octav – 버튼을 누를때마다 화면 상단의 Xpose 는 0 ST , - 12
ST, -24 ST … 으로 바뀌게 되고 Octav + 버튼을 누를때마다 Xpose 는 0 ST ,
12 ST, 24 ST … 으로 바뀌게 됩니다. (12 ST- Semi Tone – 씩 바뀌는 이유는
한 옥타브가 12 개의 반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 입니다. ) 조옮김이 어
영 창 KURZWEIL K2500 사용법 6
떻게 되어 있든지 상관없이 Octav – 와 Octav +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Xpose 는 기본값인 0 ST 으로 돌아 오게 됩니다.
Panic : 가끔 작업을 하다보면 소리가 끊기지 않는 경우를 경험하실 때가
있을 것입니다. 이는 K2500 에 건반을 눌렀다는 신호( Note On 메시지) 는
입력이 되었는데 건반을 떼었다는 신호( Note Off 메시지 )가 입력이 안되
므로 생기는 현상으로 이 때 Panic 버튼을 누르면 K2500 의 모든 건반에
서 손을 떼라는 신호( All Notes Off )를 만들어 내고 따라서 끊이지 않고 나
던 소리가 멈추게 됩니다.
Sample : 이 버튼은 K2500 의 Sample 을 편집할 때 사용이 되어 집니다.
자세한 내용은 12 장 Sample 의 편집에서 다루기로 할 것입니다.
Chan- , Chan + 버튼이 안 보이는 것만 빼고는 프로그램과 같은 구성을 가
지고 있습니다. ( 채널과 과련된 버튼이 안보이는 이유는 …위에서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 셋 업(Setup) 의 선택법
K2500 에서 셋업(Setup)을 선택하는 방법은 3 가지가 있습니다.
1. 커어서 이동 버튼을 이용하는 방법
▼, ▶ 버튼을 누르면 셋업의 번호가 하나씩 위로 올라가고 ▲ , ◀ 버
튼을 누르면 셋업 번호가 하나씩 아래로 내려가게 됩니다.
2. 알파 휠을 이용하는 방법
알파 휠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거나 + 버튼을 누르면 셋업 번호가 하나
씩 위로 올라가고 알파 휠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거나 – 버튼을 누
르면 셋업 번호가 하나씩 아래로 내려가게 됩니다.
3. 숫자 버튼을 이용하는 방법
만약 여러분이 찾고자 하는 셋업의 번호를 기억하고 있다면 숫자 버튼
을 이용하여 직접 원하는 셋업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셋업
45 번을 선택하고 싶다면 숫자버튼으로 4,5 를 입력후 Enter 버튼을 누
르면 선택이 됩니다.
이것 역시 프로그램의 선택법과 같습니다.
- Zone 버튼의 이해
Setup Mode 에서 8 개의 슬라이더 위에 위치한 8 개의 버튼은 8 개의 Zone
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의 예에서 눈치를 채셨을수도 있겠지만 8 번 Mellow Big Band 라는 셋업
의 경우는 3 개의 Zone(존) 으로 구성된 셋업이었는데 8 개의 버튼중 3 개
의 버튼에 불이 들어 왔었습니다. 다음 9번 Fusion Split 이라는 셋업의 경
우는 4개의 존으로 구성된 셋업이었는데 4 개의 버튼에 불이 들어왔었습
영 창 KURZWEIL K2500 사용법 7
니다. 그렇습니다. 8 개의 버튼은 각각의 존을 의미하며 (1 번부터 8 번까지
의 버튼이 1 번 존부터 8번 존까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그 버튼에 들어
오는 불의 색깔에 따라 그 존의 상태를 나타내게 됩니다.
불이 들어 오지 않은 버튼(존) – 사용하지 않는 존(Zone)
녹색 불이 들어온 버튼 (존) - 사용하고 있는 존 (Zone)
주황색 불이 들어온 버튼(존) – 설정은 되어 있으나 Mute 된 존(Zone)
빨간색 불이 들어 온 버튼(존) – 솔로(Solo) 상태의 존(Zone)
녹색 불이나 주황색 불이 들어와 있는 버튼의 경우 버튼을 누를때마다
Mute ( 주황색 )와 Unmute ( 녹색 ) 가 번갈아서 설정이 되게 됩니다. 예를
들어 8번 Mellow Big Band 의 경우 3 개의 존이 사용되어 지고 있으며 3
개의 존이 모두 Unmute , 소리가 나고 있는 상태입니다. 여기서 1 번존은
건반의 아랫부분에서 사용되어지는 베이스소리(Warm Bass) 로 할당되어 있
고 2 번 존은 건반의 윗부분에서 사용되어지는 금관악기소리(Dyn Big Band)
로 할당되어 있으며 3 번 존은 건반의 아랫부분을 연주할 때 나는 라이드
심벌(Light Kit)로 할당이 되어 있습니다.
이제 3번 버튼을 눌러서 주황색으로 바뀌게 한후 연주를 하면 아래 음역
에서 나오던 라이드 심벌 소리는 안들리게 될 것입니다. 다시 3 번 버튼을
누르면 버튼이 녹생으로 바뀌고 다시 소리가 나게 됩니다. 이렇듯 각 존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서 각 존의 소리를 껐다 켰다 하실수 있습니다.
솔로(Solo) 는 하나의 존의 소리만 들으려고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Solo
버튼을 누르면 Solo 버튼에 빨간 불이 들어 오면서 8개의 존버튼중 하나
만 빨간색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 존이 바로 솔로로 연주되는 존입니다.
셋업 8번에서 Solo 버튼을 누르면 Solo 버튼에 빨간 불이 들어 옴과 동시
에 1 번 버튼이 빨간색으로 바뀌고 오직 Warm Bass 소리만 나게 될 것입니
다. 이제 2 번 버튼을 누르면 2 번 버튼이 빨간색으로 바뀌게 되고(이제 2
번존이 Solo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금관악기 소리(Dyn Big Band) 가 Solo
로 연주될뿐 나머지 존의 소리는 나지 않습니다. 다시 Solo 버튼을 누르면
Solo 버튼의 불이 꺼지고 원래 상태대로 돌아 오게 됩니다.
이렇게 각각의 존을 잘 활용하면 셋업모드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하실수
있으실 것입니다.
- K2500 / X 의 프 로 그 램 과 셋업
기본적으로 K2500 / X 는 출시될 당시 199 개의 기본 프로그램(Program) ,
20 개의 KB3 프로그램 , 99 개의 기본 셋업(Setup) 을 가지고 있으며 옵션을
추가하여 다음과 같이 음색을 추가할수 있습니다.
RMB-P2 : 소리 확장을 위한 기본 보드이자 30 개의 피아노 음색이 추가되
는 옵션입니다 . 아래에서 설명하는 오케스트라 롬이나 컨템퍼러리 롬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추가해야 하는 옵션입니다.
영 창 KURZWEIL K2500 사용법 8
이 옵션을 장착하면 770 ~ 799 번까지의 피아노계열의 프로그램이 추가됩
니다.
ROM 1 : 오케스트라와 관련된 소리를 가지고 있는 롬이라서 오케스트라
롬이라고도 불리우며 이 옵션을 장착하게 되면 900 ~ 999 번까지 100 개의
프로그램 과 900 ~ 950 번까지의 51 개의 셋업이 추가됩니다. 여기에
ROM1 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RMB-P2 가 필수적으로 장착되어야 하니까
770 ~ 799 번 까지의 프로그램 음색도 추가가 되어 있겠죠 …
ROM 2 : 컨템퍼러리 계열의 소리를 가지고 있는 롬이라서 컨템퍼러리 롬
이라고도 불리우며 이 옵션을 장착하게 되면 800 ~ 899 번까지 100 개의 프
로그램과 800 ~ 850 번까지의 51 개의 셋업이 추가됩니다. 역시 ROM 2 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RMB-P2 가 필수이구요.
위의 옵션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Program Setup
기본 1 ~ 199
750 ~ 769 (KB 3 Program)
1 ~ 99
RMB-P2 장착시 1 ~ 199
750 ~ 769( KB 3 Program)
770 ~ 799( Piano 계열 )
1 ~ 99
ROM 1 과 RMB-P2 장착시 1 ~ 199
750 ~ 769( KB 3 Program)
770 ~ 799( Piano 계열 )
900 ~ 999( 오케스트라 )
1 ~ 99
900 ~ 950( 오케스트라 )
ROM 2 와 RMB-P2 장착시 1 ~ 199
750 ~ 769( KB 3 Program)
770 ~ 799( Piano 계열 )
800 ~ 899( 컨템퍼러리 )
1 ~ 99
800 ~ 850( 컨템퍼러리 )
ROM1 , ROM 2 , RMB-P2
모두 장착시
1 ~ 199
750 ~ 769( KB 3 Program)
770 ~ 799( Piano 계열 )
800 ~ 899(컨템퍼러리)
900 ~ 999(오케스트라)
1 ~ 99
800 ~ 850( 컨템퍼러리 )
900 ~ 950( 오케스트라 )
“Enter 버튼에는 무엇인가 특별한 것 이 있 다!”-------------------------------------------------
K2500 / X 의 검색 기능 …
앞으로 계속 이야기가 되어지겠지만 Enter 버튼은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이 되어
질수 있는 기능이 몇가지 있습니다. 그중에 첫번째가 바로 검색 기능입니다. 내가
찾고자 하는 음색을 검색하고자 할 때 Enter 버튼을 이용하여 쉽고 빠르게 음색을
찾을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중에서 Rock 이라고 하는 단어를 포함한 음
색을 찾고 싶다면 Program Mode 에서 Enter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숫자 버튼을 하
나 누릅니다.
화면에는 Search String : 이라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여기서 지난 시간에 배운
영 창 KURZWEIL K2500 사용법 9
방법을 이용하여 Rock 이라고 쓰고 ( 커어서를 움직일때에는 커어서 이동 버튼이나
소프트 버튼 중 >>> 버튼을 이용하면 됩니다. ) 다시 Enter 를 누릅니다. 그럼
K2500 은 Rock 이라고 하는 단어를 포함한 프로그램을 찾아 줍니다. 만약 원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라면 Enter 를 누른 상태에서 + 버튼을 누르면 그 다음의 Rock 을
포함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찾아 줍니다. 이 방법은 Setup 을 찾을 때에도 같은 방
법으로 적용이 됩니다. (이때는 Setup Mode 에서 시작하시면 됩니다.)
------------------------------------------------------------------------------------------------------------------
이렇게 해서 프로그램과 셋업을 찾는 방법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
니다. 다음시간에는 K2500 의 전반적인 설정을 해주는 Master Mode 에 대해서 이
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 연주가 끝난후에는 Stop 버튼을 누릅니다.(화면에 방금전에 녹음한 내용을
저장하겠느냐는 질문이 나옵니다. 여기서 Yes 에 해당하는 소프트 버튼을
누른후 Save 에 해당하는 소프트 버튼을 누르면 연주한 내용이 저장됩니
다.)3. Master Mode 의 이해와 설정
이번 시간에는 K2500 / X 의 Master Mode 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K2500 / X 의 Master Mode 는 K2500 / X 의 전반적인 설정을 해주는 곳으로
컴퓨터와 비교하자면 제어판과 같은 역할을 한다고 할수 있습니다. ( 타사의
제품에서는 Global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
그럼 이제 Master 버튼을 눌러서 K2500 / X 의 Master Mode 로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화면 상단 : Master Mode Samples: 131072 K Memory:1259K
Master Mode - 화면상단의 왼편에는 현재의 상태를 표시해 주고 있습니다.
Samples - 화면 상단의 중간에는 현재 사용할수 있는 Sample RAM 의
용량을 표시하여 주고 있습니다. 현재 화면에서 보이는 것은 128MB 의 Sample
RAM (SIMM) 이 설치되었을때 사용 가능한 용량입니다.
자문: 128 MB 면 128000 K 아닌가요?
자답 : 1MB 는 정확하게 말하자면 1024 KB 입니다. 따라서 1024 * 128 = 131072
라는 값이 나오게 됩니다.
K2500 / X 을 구입하였을 때에는 Sample RAM 이 설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화면
중간에 아무런 표시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Samples : 0 K 가 아니라 아무런
표시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
Memory - 화면 상단의 오른편에는 현재 사용할수 있는 Program
Memory(PRAM) 의 용량을 표시하여 주고 있습니다. K2500 의 기본 PRAM 은 약
240 KB 정도 이며 PRAM-2 라는 옵션을 통하여 1MB 의 PRAM 을 추가할수
있습니다. ( 위의 화면은 PRAM 이 확장되었을 때 나타나는 값입니다. )
Sample RAM 과 Program RAM 의 차이. . .
Sample RAM 은 K2500 에서 외부의 샘플 데이터를 불러 올 때 사용 되어지는 메모리 공간
입니다. Sample RAM 은 SIMM ( Single Inline Memory Module) 을 사용하며 K2500 의 전원이
꺼지는 순간 그 Sample RAM 에 보관되어 있던 데이터들도 모두 지워지게 됩니다.
Program RAM 은 K2500 의 Object 들을 기억하고 보관하는 메모리로 전원을 끄더라도 K2500
의 안에 있는 건전지에 의해서 그 데이터들을 보관하게 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2
화면 중간 :
Tune : 0 ct Out A -> Mix : Stereo
Transpose : 0 ST Out B -> Mix : Stereo
DrumChan : 1 Out A -> FX : L + R
VelTouch : 1 Linear Contrast : 0
PressTouch : 1 Linear Confirm : On
Intonation : 1 Equal IntonationKey : C
Tune - K2500 의 미세 튜닝을 합니다. 가령 예를 들어서 K2500 을
피아노와 함께 연주하려 할 때 피아노의 음정이 낮게 조율되어 있다면 피아노의
조율에 맞춰 K2500 의 음정을 ct (Cent – 1/100 Semitone ) 단위로 조율할수
있습니다.
Transpose - K2500 을 조옮김하려 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K2500 을 Bb
조 악기 ( 트럼펫이나 클라리넷의 경우 Bb 조 악기가 많이 사용이 되는데 이것은
C –도 – 를 불면 Bb 음이 나게 됩니다. )처럼 사용하고 싶다면 Transpose 값을 –2
ST ( Semitone) 으로 설정하면 됩니다. – 이경우 C 를 누르면 그보다 2 개의
반음( 2 Semitone)이 낮은 Bb 음이 나게 될 것입니다.
DrumChan - K2500 의 일반적인 프로그램 모드에서는 3 개까지의 레이어(Layer)
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 사용이 되며 3 개 이상의 레이어(Layer) 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드럼 프로그램이라고 부릅니다. 드럼 프로그램은 오직 드럼
채널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K2500 에서는 모두 8 개의 드럼 채널을 사용할수
있고 Drum Chan ( 드럼 채널 ) 을 1 부터 8 번 사이의 값으로 설정을 했을 때에는
1 번부터 8 번 채널까지를 드럼 채널로 사용할수 있으며 9 번부터 16 번 사이의
값으로 설정이 되면 드럼 채널은 1 번~ 7 번과 Drum Chan 에서 설정해준 나머지
하나의 채널이 드럼 채널로 설정이 됩니다.
덧붙여서 K2500 에는 KB3 Mode 라고 하는 특별한 Mode 가 있는데 이것은
Hammond 의 B3 오르간을 흉내내어주는 Mode 로 Master Mode 의 Drum Chan
에서 설정해준 하나의 채널에서만 KB3 Mode 의 사용이 가능합니다. 만약 Drum
Chan 에서 설정해준 이외의 채널에서 KB3 Mode ( 프로그램 760 ~ 769 까지의
음색)를 사용하려 한다면 음색에는 괄호가 쳐지고 해당하는 프로그램의 소리가
나지 않게 되며 화면의 작은 창에 ‘Drum Chan is Ch1’ 과 같이 드럼 채널이
몇번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알려 줍니다.
VelTouch - 건반의 무게를 조정하는 것으로 실제 건반의 무게에는 변화가
없지만 건반의 민감도를 조정하므로써 건반의 느낌을 바꿀수 있습니다. Light 로
설정하면 가벼운 건반을 치는 느낌이지만 Hard 로 설정하면 무거운 건반을 치는
느낌이 들게 됩니다.
PressTouch - 건반의 After Touch ( 건반을 누른후 다시 한번 압력을 가하여
소리에 변화를 주는 일) 의 반응 정도를 조정합니다. Easy 로 설정을 하면 건반에
약한 압력만 가하여도 After Touch 효과가 나타나지만 Hardest 로 설정하면 상당한
압력을 가해 야지만 After Touch 의 효과가 나타날 것입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3
Intonation - K2500 에서 사용할 음렬을 설정합니다. 현재 서양음악에서
사용하는 평균율( Equal Intonation ) 을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피타고라스
음계( Pyth/aug4 ) 를 사용할 것인지 고전음악에서 사용되어 졌던 순정율 ( Just ) 을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IntonationKey- 평균율의 경우에는 모든 음간의 음정 간격이 일정하므로 Intonation
Key 가 별 의미가 없지만 그 이외의 음렬의 경우에는 그 중심음(Intonation Key)을
기준으로 각 음정사이가 조율이 되므로 Intonation Key 에 따라서 음렬에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Out A -> Mix : Stereo - K2500 의 Output A 를 통해서 Mix 로 나가는 신호를
Stereo 신호로 내 보낼 것인지 두개의 Mono 신호로 내 보낼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두개의 Mono 신호로 Mix 로 보내질때에는 Mix Left 와 Mix Right 에 동일한 신호가
출력되게 됩니다.
Out B -> Mix : Stereo - K2500 의 Output B 를 통해서 Mix 로 나가는 신호를
Stereo 신호로 내 보낼 것인지 두개의 Mono 신호로 내 보낼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두개의 Mono 신호로 Mix 로 보내질때에는 Mix Left 와 Mix Right 에 동일한 신호가
출력되게 됩니다.
Out A -> FX : L + R - K2500 의 Output A 를 통해서 이펙터를 거칠 때
Output A 의 출력을 모두 이펙터를 거치게 할 것인지(L + R ) , 아니면 왼편만
이펙터를 사용할 것인지( L Only) 를 설정합니다.
Contrast – K2500 의 화면의 밝기를 조정합니다. 값이 올라가면 화면이 밝아 지고
값이 줄어 들면 화면이 어두워지게 됩니다.
Enter 버튼에는 무엇인가 특별한 것이 있다. ------------------------------------------------
Enter 버튼을 이용하여 화면 밝기 조정하기
Enter 버튼을 누른채로 알파휠(Alpha Wheel ) 을 시계 방향으로 돌리면 화면이
밝아 지고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화면이 어두워 지게 됩니다.
-----------------------------------------------------------------------------------------------------------------
-
Confirm - 사용자가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를 지우려고 할 때 사용자로
하여금 확실히 지울 것인지에 대하여 확인시키는 메시지를 보이도록 하는 기능의
사용 여부를 설정합니다. On 으로 설정이 되어 있다면 메모리에 있는 내용을
지우려고 할 때 ‘ Are You Sure ? ‘ 라고 하는 메시지를 보여 주게 됩니다.
( 사용자의 실수로 중요한 데이터를 지우는 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On 으로
설정을 해 놓는 것을 권합니다. )
화면 하단 : 화면 하단에는 다음과 같은 6개의 소프트 버튼이 나타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4
Object Delete Util Sample View
Reset
Reset - K2500 을 Hard Reset 시킵니다. Hard Reset 은 K2500 을 완전 초기화
시킵니다. ( 공장에서 출하될 당시의 상태로 만드는 것입니다. ) 이 초기화를
시키면 K2500 의 RAM ( Sample RAM 과 PRAM ) 에 있는 내용이 지워지게 되므로
초기화를 하기전 디스켓이나 하드디스크 등에 백업을 해 놓으시는 것을 권합니다.
Reset 버튼을 누르면 K2500 은 K2500 의 모든 내용이 지워지게 될 것이라는
메시지를 보여주고 초기화 할 것인지를 물어 봅니다. 이 때 Yes 에 해당하는
소프트 버튼을 누르면 K2500 은 다시한번 초기화 여부를 물어 봅니다. 여기서
다시 한번 Yes 버튼을 누르면 K2500 은 처음 공장 출하 상태의 초기화가 됩니다.
View - 이 버튼을 누르면 K2500 은 “ Change to Large View Mode?” 라는 질문을
합니다 . 여기서 Yes 를 하면 프로그램 모드나 Setup 모드 Quick Access 모드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나 셋업의 이름이 크게 표시가 되게 됩니다. 다시
원래의 화면 상태로 되돌리고 싶으면 Master Mode 에서 다시 View 버튼을 누른후
“ Change to List View Mode?” 에서 Yes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Sample – 이 버튼을 눌러서 Sample 편집 모드로 들어가게 됩니다. ( Sample 편집
모드에 대해서는 12 장에서 설명하도록 할 것입니다. )
Util – 이 버튼을 눌러서 사용자는 K2500 이 가지고 있는 Utility 를 사용하는
모드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 모드에서 사용자는 현재 K2500 에서 사용되고 있는
MIDI 신호의 흐름을 추적할수 있고 ( MIDI Scope ) , 동시 발음수를 확인할수도
있으며 K2500 의 각종 Object 들을 편집할수도 있습니다.
< K2500 을 처음 사용하시는 분은 이 다음 부분을 나중에 읽으시기를 권합니다. >
MIDI - K2500 의 MIDI Scope 기능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버튼을 누르면
화면에 하단 오른쪽 끝에 Done 이라는 글자 이외에는 어떠한 표시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여기서 K2500 을 연주하거나 외부의 MIDI 기기로부터 K2500 으로 MIDI
신호가 들어 오면 그 신호에 대한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줍니다.
Objects – Object 소프트 버튼은 RAM 에 보관된 Object 들의 전체 목록을
화면에 표시해 줍니다. 역시 이 모드에서도 화면 하단 오른쪽에 Done 이라는
글자와 현재 RAM 에서 사용하고 있는 Object 들을 표시하여 줍니다.
여기서 잠깐 !!----------------------------------------------------------------------------------------------
Object 란?
명명,보관,삭제 또는 편집할수 있는 것에 대하여 우리가 사용하는 하나의 표현
(--- K2000 한글 매뉴얼 中 ---) 너무 어려운 이야기인가요?
Object 는 K2500 에서 바뀐 내용을 저장하는 공간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지금
우리가 설정하고 있는 Master Mode 의 설정은 Master Table 이라고 하는 Object 에
새로운 Master Mode 의 설정 내용이 저장 됩니다. 또한 사용자가 새로운 음색을
만들어서 저장할때도 새로운 Object 가 만들어 지게 됩니다.
-----------------------------------------------------------------------------------------------------------------
-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5
Voices - K2500 에서 사용하고 있는 동시 발음수를 보여주는 화면이
나타납니다. 한줄의 XXXXXX 이 한 개의 동시 발음수를 표시하여 줍니다. ( K2500
은 총 48 개의 동시 발음수- Voice – 를 가지고 있습니다. )
Stealer – K2500 을 비롯한 대부분의 신디사이저들이 동시 발음수(Voice) 의
한계를 넘어 섰을 때 먼저 연주된 음을 지우고( Stolen) 나중에 친 음을 소리나게
하므로써 동시 발음수를 넘어 서더라도 최대한 자연스러운 연주가 될수 있도록
해줍니다. Stealer 라고 하는 유틸리티는 48 개의 Voice 들의 할당 상태를 보여
줍니다.
Done – Master 화면으로 돌아 가려 할 때 사용하는 버튼입니다.
Delete – 100 번 단위의 Object 들을 지울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디스켓등을 통해서 데이터를 불러 올 때 200 번대 ( 200 ~ 299 ) , 300 번대( 300
~399) , … 처럼 100 번 단위로 불러 오는데 Delete 버튼을 누르면 이렇게 새롭게
불러오거나 만들어진 데이터들을 100 번 단위로 지우게 되는 것입니다. Delete
버튼을 누르면
Delete Selection : 200…299 * .
300…399
400…499
500…599
OK Cancel
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며 별표(*) 가 뒤에 나타나는 것은 그 번호 대역에 어떤
새로운 데이터가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 따라서 * 표가 없는 번호 대역은
지워도 아무런 변화가 없습니다. )
위의 화면에서 지우고자 하는 번호 대역을 지정하고( 알파휠이나 +,- 버튼등을
이용) OK 버튼을 누르면 선택한 번호 대역의 데이터(Object)들이 지워지게
됩니다. ( 만약 위에서 언급한 Confirm 이 On 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확실하게
지울것인지 확인 메시지를 보여주게 됩니다. )
Object - K2500 에서 사용되어 지고 있는 Object 들을 관리하는 유틸리티입니다.
Object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Select Database Function:
Move Copy Name Delete Dump Done
Move - Object 의 번호를 변경합니다.
예를 들어 200* New Piano 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는데 이 프로그램을
205* New Piano 로 바꾸고 싶을 때 사용할수 있습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6
Copy – 선택한 Object 를 다른 번호 대역( 100 번 단위의 대역) 으로 복사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0,201,202 번의 프로그램을 300, 301, 302
번에 복사하고자 할 때 사용할수 있습니다.
Name – 선택한 Object 의 이름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200* New Piano 라는 프로그램의 이름을 200* OLD Piano 라고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Delete – 선택한 Object 를 지우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Dump – 선택한 Object 를 외부의 MIDI 기기에 저장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Done – Object 유틸리티 기능을 마치고 Master Mode 로 돌아가려 할 때
사용합니다.
이제 Move , Copy, Name , Delete , Dump 중 하나의 버튼을 눌러서 기능을 실행시켜
보겠습니다.
à Move 버튼을 눌렀을 때…
Func : Move Sel : 14 / 211 Index : 2
Sample 200* Zild 20 Ride Hard C 4 S 260K
Sample 201* Zild 20 Ride Hard C 4 S 260K
Sample 202 Zild 20 Ride Hard C 4 S 260K
Sample 203* Zild 20 Ride Hard C 4 S 260K
Select Next Type Multi OK Cancel
역시 화면 상단의 제일 왼편에는 현재의 상태가 Move 기능임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중간에는 전체 Object 의 개수(위의 그림에서는 211 개 ) 와 사용자가
선택한 Object 의 수( 위의 그림에서는 14 개 ) 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화면 상단
오른쪽의 Index 는 현재 반전되어 있는 Object 가 몇번째 Object 인지를
나타냅니다.
화면 중간은 Object 의 정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번호 옆에 * 표가 있는 Object
는 사용자가 선택(Select) 한 Object 입니다.
화면 하단
Select – Object 를 선택 또는 선택취소 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반전되어 있는 Object 가 선택되거나 선택되어 있는 Object 의 경우에는 선택이
취소 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7
Next - 선택되어진 Object 사이를 움직이게 해 줍니다. 예를 들어
위의 그림에서 Next 버튼을 누르면 Sample 203 번으로 이동이 됩니다. ( 현재
반전되어 있는 201 번 다음에 선택된 Object 가 203 번이므로…)
Type – 현재 반전된 Object 다음의 종류(Type) 으로 이동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는 Sample Object 였는데 Type 버튼을 누르면 다음의 종류인
KeyMap, Program, Setup, Song, Effect , QA Bank 등의 순서로 이동하게 됩니다.
Multi – 이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되는데
여기서 여러가지 조건을 입력하여 Object 를 선택하게 됩니다.
Multiple Object Selector .
Select : Type / Range
Type : Sample
Bank : 200’s
Start ID : 200 End ID : 299
All Type Toggle Clear Set Cancel
Multi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Object 의 종류(Type)와 번호대역(Bank) ,
선택하고자 하는 Object 의 번호( Start ID , End ID ) 를 이용하여 하번에 여러 개의
Object 를 선택할수 있습니다.
OK – Object 의 선택이 끝나면 OK 를 눌러서 선택된 Object 에
대하여 현재의 기능(Move, Copy , Name , Delete 등의…) 을 수행하게 됩니다.
Cancel – 현재의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전 매뉴로 돌아갈 때
사용합니다.
- 이제 Play 버튼을 누르면 방금전에 녹음한 내용이 재생됩니다.
오늘은 이렇게 간단히 K2500 의 개요를 살펴 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K2500 의 기본 음색의 선택 및 사용법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4. Disk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 2 ) – Macro 기능
이번 시간에는 K2500 / X 의 Disk Mode 에서 Macro 기능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M a c r o 기능이란?
그럼 Macro 기능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하나의 경우를 가정해 보겠습니다.
사용자가 K2500 / X 와 함께 들어 있던 Accessory 디스켓에서 DEMO25
디렉토리의 CTHARSIS.K25 를 200~299 에 , FARM25 디렉토리의 ANAPADS.K25
를 300~399 에 VIDEO 디렉토리의 VIDEO.K25 를 400~499 에 불러 오고 싶다면
우리는 지난 시간에 익힌 기능들을 이용하여 3 번에 걸쳐 Load 를 해야 합니다.
그런데 만약 이 3 가지의 파일은 항상 같이 불러오는 파일이고 또 자주 불러 오는
파일이라고 한다면 사용자는 상당히 불편함을 겪게 될 것입니다.
어쩌면 사용자는 하나의 파일을 Load 하면 그 파일이 여러 개의 파일을 한꺼번에
불러 줄수 있으면 좋을텐데라는 생각을 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바로 위와 같은 기능을 하는 것이 Macro 파일입니다.
M a c r o 파일을 만드는 법
그럼 이제 위에서 든 예를 가지고 하나의 Macro 파일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TEST.MAC 이라는 파일을 만들어서 이 파일을 Load 하면 DEMO25 디렉토리의
CTHARSIS.K25 , FARM25 디렉토리의 ANAPADS.K25 , VIDEO 디렉토리의
VIDEO.K25 를 한번에 불러 오도록 하겠습니다.
1. K2500 구입시 들어 있던 Accessory 디스켓을 디스크 드라이브에 넣습니다.
2. Disk 버튼을 눌러서 Disk Mode 로 들어 갑니다.
3. Library 를 Floppy 로 설정합니다. ( Library 는 Macro 파일을 불러 올 때 Macro
파일이 불러 오게 될 파일들의 위치를 정해 주게 됩니다. )
4. 이제 Macro 소프트 버튼을 누릅니다.
5. On 버튼을 누릅니다. 이제 부터의 파일을 불러 오는 일련의 과정들은 Macro 로
저장되게 됩니다. ( 사용자는 화면상의 Current Disk 위에 (Macro on) 이라는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2
메시지를 보게 될 것입니다.- 이것은 현재 Macro 를 기억하고 있다는 것을
표시하여 줍니다. )
6. 이제부터 Macro 를 시작 합니다.
1> Load 버튼을 누릅니다.
2> DEMO25 디렉토리를 선택한후 OK 버튼을 누릅니다.
3> CTHARSIS.K25 파일을 선택한후 OK 버튼을 누릅니다.
4> 200 – 299 선택후 Macro 버튼을 누릅니다. ( 여기서는 위의 예를 따르기
위함이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번호대역은 바뀔수 있습니다. )
5> Overwrt 를 선택합니다. ( 파일을 불러 오는 방법 역시 앞선 장을 참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식을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
6> Load 버튼을 누른후 FARM25 디렉토리의 ANAPADS.K25 를 선택하여 300 –
399 를 선택하여 Macro 버튼을 누르고 Overwrt 버튼을 누릅니다. (사용자가
새로운 Macro 를 만들때에는 이 부분의 내용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바뀌게 될 것입니다. )
7> Load 버튼을 누르고 VIDEO 디렉토리의 VIDEO.K25 를 선택하여 400 –499 를
선택하고 Macro 버튼을 누르고 Overwrt 버튼을 누릅니다.( 사용자가 새로운
Macro 를 만들때에는 이 부분의 내용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바뀌게 될
것입니다. )
7. 지금까지의 과정을 TEST.MAC 파일로 저장합니다.
1> Save 버튼을 누릅니다.
2> Macro 버튼을 누릅니다.
3> All 을 선택합니다.
4> Macro 파일의 이름을 입력합니다. TEST 를 입력후 OK 버튼을 누릅니다.
5> 저장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를 선택합니다.
8. Macro 버튼을 누릅니다.
9. Off 를 눌러서 Macro 를 종료합니다. 이때 Macro 를 초기화 할것인지를 묻는
메시지가 나오게 되는데 이때 Yes 를 선택하여 Macro 를 초기화 합니다.
M a c r o 파일을 L o a d 하는 법
위의 과정을 거치면 이제 TEST.MAC 라는 파일을 불러 올 때 마다 위에서 언급한
3 개의 파일이 각각의 위치에 Load 되게 됩니다.
이제 TEST.MAC 파일을 불러 오도록(Load) 해 보겠습니다.
1. Load 버튼을 누릅니다.
2. TEST.MAC 를 선택한후 OK 버튼을 누릅니다.
3. Specified 를 선택한후 OK 버튼을 누릅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3
K2500 /X 은 앞에서 예를 든것처럼 3 개의 파일을 원하는 위치에 원하는 방법으로
차례대로 파일을 불러 오게 됩니다.
부팅 M a c r o 파일 만드는 법
그렇다면 만약 사용자가 K2500 이 처음 부팅될 때 항상 일정한 파일들을 Load
하게끔 하고 싶다면(마치 PC 의 autoexec.bat 파일처럼 … ) … .???
K2500 /X 은 이런 기능도 지원을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Disk Mode 에서 Startup
을 설정해 주고 ( 처음 부팅할 때 읽어 들일 Macro 파일의 위치를 정해주는
것입니다. ) 위의 방법과 동일하게 Macro 파일을 만든후 파일의 이름을
BOOT.MAC 로 만들어 주면 됩니다.
예를 들어 앞서 만들었던 TEST.MAC 의 파일 이름을 BOOT.MAC 으로 바꿔 주고
(Rename 기능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 Startup 을 Floppy 로 변경한후 K2500 /X 의
전원을 껐다 켜 보시기 바랍니다.
K2500 / X 는 처음 부팅을 하면서 Macro 에서 지정해준 3 개의 파일을 정해준
위치에 정해준 방법으로 불러 오게 됩니다.
지난 시간에 이어 이번 시간까지 K2500 / X 에서 파일을 관리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법에 대해서 다루어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 부터는 K2500 / X 의 송모드( Song Mode – 시퀀싱을 할수 있는 모드)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5. Song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 1 )
이번 시간에는 K2500 / X 의 Song Mode 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Song Mode 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Song 버튼을 눌러서 Song
Mode 로 들어 가야 하겠죠?
그럼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S o n g M o d e : M A I N E v e n t s : 1 8 6 K S T O P P E D .
CurSong : 1 NewS o n g Tempo :120
RecTrk : 1 Vol : 127 Pan : 64 Mode : Merge
Program : 1 Acoustic Piano Locat: 1 : 1
Track : R - - - - - - - - - - - - - - -
Channel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R e c o r d P l a y S t o p E r a s e M I S C M I X E R
위의 화면은 Song Mode 의 주화면입니다.
화면 상단 :
S o n g M o d e : M A I N – 현재 화면이 Song Mode 의 MAIN 화면임을 나타냅니다.
E v e n t s : 1 8 6 K – guswo 사용할수 있는 RAM 의 공간을 나타냅니다. 이
수치는 P-RAM2 라는 옵션의 장착여부, 현재 사용하고 있는 RAM 의 크기에 따라
바뀌게 됩니다.
S T O P P E D : 송의 상태를 보여줍니다. 녹음중이면 Recording 연주중이면
Playing 과 같이 나타나게 됩니다.
화면 중간 :
C u r S o n g : Current Song , 즉 현재의 송을 나타내고 사용자가 원하는 곡을
선택할수 있습니다.
T e m p o : 선택된 송에 대한 템포(빠르기)를 나타내고 사용자가 조정할수
있습니다.
R e c T r k : 사용자가 녹음할 트랙을 설정합니다.
V o l : Rec 트랙의 음량을 설정합니다. ( 0 이 가장 작은 소리이며 127 이
가장 큰 음량을 나타냅니다.)
P a n : Rec 트랙의 소리 좌우 설정(Pan) 을 설정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2
0 ß--------- 64 ---------à 127
왼쪽 중간 오른쪽
M o d e : 녹음을 하는 방식을 설정합니다.
M e r g e : 같은 트랙에 대해서 그전에 녹음한 내용과 함께 같이
녹음이 됩니다. 예를 들어 피아노 4성부곡을 녹음할 때 사용자는 하나의 트랙에
처음에는 소프라노, 두번째에는 앨토, 세번째에는 테너, 네번째에는 베이스 와
같이 녹음할수 있습니다.
E r a s e : 같은 트랙을 녹음할 때 그 전까지 녹음되어 있던 트랙의
내용을 지우면서 녹음합니다. Mode 를 Erase 로 설정후 위와 같은 방법으로
녹음하면 처음 녹음에서는 소프라노 성부가 녹음되지만 두번째 녹음에서는
소프라노 파트가 지워지면서 앨토 파트가 녹음되고 ,세번째 녹음에서는 앨토
파트가 지워지면서 테너가 녹음되게 됩니다.
P r o g r a m : 녹음할 트랙의 악기소리를 설정합니다. 여기서는 Program 에 있는
소리만을 사용할수 있습니다.
L o c a t : 1 : 1 : 현재 송의 위치를 나타내 줍니다. 몇번째 마디 : 몇번째
박자의 형식으로 나타나게 되며 예를 들어 사용자가 4번째마디부터 녹음을
하거나 재생(플레이)를 하고 싶다면 이 부분을 4 : 1 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T r a c k : 1 번부터 16 번 트랙의 각 트랙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여 줍니다.
R : 그 트랙이 RecTrk 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P : 그 트랙이 녹음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재생(Play) 가능한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M : 그 트랙이 녹음된 정보를 가지고 있지만 뮤트(Mute)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 : 그 트랙에 아무 녹음이 되어 있지 않은 빈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C h a n n e l : 각 트랙이 사용하고 있는 미디체널을 표시하여 주며 사용자가
설정할수 있습니다.
화면 하단 :
R e c o r d : 녹음기의 Record 버튼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Rec
Ready 상태가 됩니다.(녹음기가 그렇듯이… 녹음을 하려면 Record 버튼과 Play
버튼을 함께 눌러야 합니다. )
P l a y : 녹음기의 Play 버튼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그전까지
녹음한 곡이 재생(Play) 됩니다.
S t o p : 녹음기의 Stop 버튼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녹음이나 재생시에 이
버튼을 누르면 멈추고 Locat 는 처음 1 : 1 로 이동하게 됩니다.
E r a s e : RecTrk 으로 설정된 트랙의 연주정보(녹음된 내용)를 지웁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3
M I S C : Song Mode 에서의 각종 설정을 해주는 Mode 로 진입하게 됩니다.
( Miscellaneous Page)
M I X E R : 여러 트랙에 녹음되어 있는 음량과 Pan 등을 마치 믹서에서 처럼
재배치 할수 있는 기능을 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믹서처럼 생긴 화면이
나타납니다. )
실습 1 > K 2 5 0 0 / X 의 기본설정값을 이용하여 1 번트랙에 녹음하기
(1) CurSong 을 1 New Song 으로 설정합니다. (New Song 은 컴퓨터의
프로그램들에서 New File 이나 새파일 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즉 새로운
송을 만들때에는 항상 NewSong 에서 시작하게 됩니다. )
(2) 커어서를 Tempo 로 옮기고 Record 와 Play 버튼을 누릅니다. 이 때
K2500/X 에서 메트로놈 소리( 띡! 딱 딱 딱 , 띡! 딱 딱 딱… ) 가 나오게
됩니다. 이제 사용자는 알파휠등을 이용하여 Tempo 를 변화시켜서
녹음하고자 하는 템포를 정합니다. 템포가 정해 졌으면 Stop 버튼을
누릅니다.
(3) 화면에 Save this song? 이라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현재 녹음된 내용을
저장할 것이 아니므로 No 버튼을 누릅니다. 이제 Tempo 가 방금전에
사용자가 바꾼 템포로 변해 있을 것입니다.
(4) 이제 커어서를 Program 으로 옮겨서 녹음하고자 하는 악기를
선택합니다.
(5) Record 와 Play 버튼을 눌러서 녹음을 시작하고 연주를 하여 녹음을
합니다.
(6) 연주가 끝나면 Stop 버튼을 눌러서 녹음을 종료합니다.
(7) 화면에는 Save this song? 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화면 아래에는
P l a y S t o p Yes No 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방금전에 녹음한 내용을 들어보고 싶으면 Play , 멈출때 Stop
버튼을 누르며 방금전에 녹음한 내용을 저장할려면 Yes 를 , 저장하지
않고 다시 녹음을 하려 한다면 No 버튼을 누릅니다. 여기서는 일단 Yes
버튼을 눌러서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습니다.
(8) Save NewSong as: ID#200 이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송을
저장할 송 번호를 선택합니다. 선택후에 Save 버튼을 누르면 설정한
송번호에 방금전의 녹음한 내용이 저장됩니다.
(9) 이제 두번째 녹음할 악기를 Program 에서 선택하고 RecTrk 을 2로
바꾼후에 (5),(6) 의 과정을 되풀이 합니다.
(10) 그런데 Stop 버튼을 누르면 이번에는 Save this song? 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화면 하단에 P l a y O l d P l a y N e w S t o p Yes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4
No 라는 글자가 나타나게 됩니다. (7) 의 단계와 비슷한데 다만
PlayOld 와 PlayNew 라는 소프트 버튼이 생겼습니다. 여기서 PlayOld 는
지금 녹음하기전의 음악(여기서는 첫번째 트랙을 녹음한 음악)을
들려주며 PlayNew 는 지금 새로 녹음한(여기서는 1번과 2번트랙까지
녹음이 된… ) 음악을 들려주게 됩니다. 마음에 든다면 Yes 를 눌러서
저장하고 마음에 안든다면 No 를 눌러 다시 녹음을 합니다.
(11) 저장을 하는 화면도 약간의 변화가 생겼는데 소프트 버튼 중 Save
에 해당하는 것이 Replace 로 바뀌었습니다. 이는 방금전에 녹음한 송에
새로운 트랙을 녹음한 것이기 때문에 기존에 녹음한 송을 덮어
씌울것인지를 묻는 것입니다. 만약 가른 이름으로 저장을 하고 싶다면
ID 를 바꾸어서 저장하면 되고 덮어 씌우기를 원한다면 Replace 버튼을
누릅니다.
(12) 위의 방법을 이용하여 여러 개의 트랙에 각기 다른 악기로 녹음을
하여 시퀀싱 작업을 할수 있습니다. ( 시퀀싱 – 여러 개의 트랙에 각기
다른악기로 녹음을 하여 녹음된 정보를 동시에 연주시켜 하나의
합주형태의 음악을 만드는 일.)
이제 Play 버튼을 누르면 사용자는 방금전에 녹음한 두가지 악기의 소리가
동시에 연주되는 것을 볼수 있을 것입니다.
M I S C P a g e 에서의 송( S o n g ) 설정
이제 MISC Page 에서 송과 관련된 각종 설정을 하는 것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Song Mode 의 MAIN 화면에서 MISC 버튼을 눌러서 MISC Page 로 이동합니다.
Song Mode: MISC Events : 121 K STOPPED .
RecMode : Linear Quant : Off CountOff:1
PlayMode : Loop Grid : 1/16 Click : Rec
KeyWait : Off Swing : 0 % ClickCh : 16
Locate : 1: 1 Sync : Off ClickPrg : 198
AutoIn : 1: 1 Clock : Int ClickKey : C4
AutoOut : 1: 1 Tempo : Auto ClickVel : 100
Record Play Stop New In/Out MAIN
위와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5
화면 상단 :
S o n g M o d e : M I S C – 현재 화면이 Song Mode 의 MISC 화면임을 나타냅니다.
E v e n t s : 1 8 6 K – guswo 사용할수 있는 RAM 의 공간을 나타냅니다. 이
수치는 P-RAM2 라는 옵션의 장착여부, 현재 사용하고 있는 RAM 의 크기에 따라
바뀌게 됩니다.
S T O P P E D : 송의 상태를 보여줍니다. 녹음중이면 Recording 연주중이면
Playing 과 같이 나타나게 됩니다.
화면 중간 :
RecMode : 녹음하는 방식을 선택합니다.
l End Point - K2500 / X 은 처음 녹음한 트랙의 끝지점을 End Point 로
저장을 합니다.
Linear : 그전에 녹음한 End Point 보다 길어지게 되면 End Point 를 새로
설정하게 됩니다.
FixLen : 녹음을 하는 중에 End Point 에 도달하면 녹음이 멈춥니다.
Loop : 처음부터 End Point 까지 반복이 되며 녹음됩니다.
예를 들어 드럼을 녹음할 경우 먼저 한마디를 Bass 드럼만 녹음을
하고 (End Point 가 2 번째 마디의 1 번째 마디가 될것임) RecMode 를
Loop 로 설정한후에 Main 화면의 Mode 를 merge 로 설정합니다.
다음에 녹음을 시작하면 한마디만 반복해서 녹음이 될것입니다.
이때 차례대로 Snare 드럼, Hihat 등을 녹음하면 간단하게 드럼
패턴을 만들어 낼수 있을 것입니다.
UnLoop : UnLoop 의 경우 Stop 버튼을 누를때 까지 녹음하고 있는
트랙이외의 트랙이 반복되서 연주되며 각각의 트랙에 녹음이 됩니다.
Auto : Punch In 레코딩을 합니다.( Auto In 과 Auto Out 에서 설정한
지점에서만 녹음이 됩니다. 이것은 틀린 마디 만을 다시 녹음하거나
할 때 효과적으로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PlayMode : 송의 연주 형식을 선택합니다.
Linear - 현재의 송(CurSong)이 한번 연주되고 끝납니다.
Loop - 현재의 송이 끝나고 나면 다시 처음부터 반복해서 연주됩니다.
List - 현재의 송이 끝나고 나면 다음번호의 곡이 연주됩니다.
Chain - Edit Song Mode 의 Chain to 가 설정이 되 있는 경우 현재의 송이 끝나면
Chain to 에서 정해준 곡이 연주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6
KeyWait : On 으로 설정시 Play 나 녹음시에 여러분이 건반을 누를때까지 K2500 /
X가 기다리도록 합니다.
Locate : 현재의 곡의 위치를 변경시킬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7 번째 마디부터
녹음을 하거나 듣고 싶다면 이 파라미터를 7:1 로 변경후 Play 나 Record 를 하시면
됩니다.)
AutoIn : 위에서 설명한 Punch-In Record 를 할 때 어디부터 녹음할지를 설정해
줍니다.
AutoOut : 위에서 설명한 Punch-In Record 를 할 때 어디까지 녹음할지를 설정해
줍니다.
Quant : Track Edit Mode 에서 Quantize 를 하는 것이 아니라 녹음을 하면서 –
녹음을 마친후 Stop 버튼을 누르면 K2500 / X 가 방금전에 녹음한 내용에 대해서
퀀타이즈를 수행- 퀀타이즈(Quantize) 하는 기능입니다. 100% 는 완벽한 퀀타이즈를
하게 되고 너무 기계적인 연주처럼 들리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Off 는
퀀타이즈를 수행하지 않는 것입니다. ( 퀀타이즈에 대해서는 Track Edit 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입니다. )
Grid : 퀀타이즈(Quantize) 할 최소 박자를 정해 줍니다.
Swing : 스윙감있게 퀀타이즈를해주도록 설정합니다.
Sync : 외부의 MIDI 기기와 동기를 맞춰 연주 시킬 때 사용합니다.
Clock : 외부의 MIDI 기기와 동기를 맞추어 연주시킬 때 K2500 / X의 템포를
사용할 것인지(Int) 아니면 외부 기기의 템포를 K2500 / X 가 따라가게 할
것인지(Ext)를 정해 줍니다.
Tempo : 송의 템포를 하나로 고정시켜 놓을 것인지(Fixed) 아니면 곡의
중간중간에 곡의 빠르기의 변화를 사용할 것인지(Auto 를 설정합니다.
CountOff : 녹음을 할 때 몇마디의 예비박을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Off 로 설정하면 예비박 없이 바로 녹음이 시작됩니다.
녹음할 때 –1: 1 이렇게 음수 부호가 붙는 것이 예비박(Countoff) 입니다.
Click : 메트로놈 소리의 사용 여부를 결정합니다.
Off – 메트로놈 소리 사용 안함
Rec – 녹음할 때만 사용
On - 항상 사용 Play 상황에서와 녹음 상황에서 모두 메트로놈 소리사용
Cnt - 예비박에서만 메트로놈 소리가 나고 녹음할때에는 메트로놈 소리가
안나오게 설정
ClickCh : 메트로놈 소리로 사용할 악기의 채널을 설정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7
ClickPrg : 메트로놈 소리로 사용할 악기의 프로그램을 설정합니다.
ClickKey : 메트로놈 소리로 사용할 악기의 음높이를 설정합니다.
ClickVel : 메트로놈 소리로 사용할 악기의 Velocity 를 설정합니다.
화면 하단 :
R e c o r d : 녹음기의 Record 버튼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Rec
Ready 상태가 됩니다.(녹음기가 그렇듯이… 녹음을 하려면 Record 버튼과 Play
버튼을 함께 눌러야 합니다. )
P l a y : 녹음기의 Play 버튼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그전까지
녹음한 곡이 재생(Play) 됩니다.
S t o p : 녹음기의 Stop 버튼과 같은 기능을 합니다. 녹음이나 재생시에 이
버튼을 누르면 멈추고 Locat 는 처음 1 : 1 로 이동하게 됩니다.
N e w : NewSong 으로 이동합니다.
I n / O u t : 앞서 Auto In , Auto Out 을 설정할 때 AutoIn AutoOut 에 직접 수치를
입력하여 Auto In/Out 지점을 입력할수도 있지만 음악을 들으면서 이 버튼을
눌러서 실시간으로 Auto In/Out 지점을 입력할수도 있습니다.
M A I N : Song Mode 의 Main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다음 시간에는 K2500 / X 의 송모드에서 Track Edit 를 하는 방법과 Step Recording
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 하도록 할 것입니다.
5. Song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 2 )
이번 시간은 K2500 / X 의 Song Mode , 그 두번째 시간으로 녹음(시퀀싱)한
데이터를 편집하는 기능들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송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서는 편집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택후(Cur Song-
Current Song 을 편집하고자 하는 송으로 맞춥니다.) Edit 버튼을 눌러
송편집모드로 들어갑니다.
E d i t S o n g : C O M M O N < > T r a c k : 1
Tempo : 120 StartStep : 1
TimeSig : 4 / 4 TempoControl : Song
EffectChan : 1 TriggerChan : 1
ChainTo : 0 None TriggerCtl : ON
TrackDest : - - - - - - - - - - - - - - - -
DrumTrack : - - - - - - - - - - - - - - - -
<more EVENT TRACK S T E P ARRANG more>
화면상단 :
E d i t S o n g : C O M M O N – 모든 트랙에 공통적인 요소들을 결정하는 페이지임을
나타냅니다.
< > T r a c k : 1 – 선택된 트랙이나 복수의 트랙들을 표시합니다.
화면중간 :
Tempo – 송의 초기템포를 설정합니다.
TimeSig – 송의 박자를 설정합니다.
E f f e c t C h a n – 송이 연주되는 동안 몇번채널을 통하여 Effect 를 사용할것인지를
선택합니다. ( 이때 Effect Mode 의 FX Mode 는 Auto 로 FX Chan 은 Current 로
설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
ChainTo - 현재의 송의 연주가 끝나면 다음곡은 몇번곡을 연주하게
될것인지를 설정합니다. (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MISC 페이지의 PlayMode
가 Chain 으로 설정되어 있어야만 합니다. )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2
S t a r t S t e p – 이 파라미터는 송의 Arrange 기능을 이용할 때 어떤 스텝을 먼저
시작할것인지를 설정하게 됩니다. (Arrange 기능에 대해서는 후에 자세히 다루도록
할 것입니다.)
T e m p o C o n t r o l – K2500/X 의 Arrange 기능을 이용할 때 송의 빠르기를 현재
송(CurSong –Current Song) 의 빠르기를 사용할것인지(Song) 아니면 Arrange
Mode( 소프트 버튼중에서 ARRANG 버튼을 눌러서 사용) 에서 지정한 곡의
빠르기를 사용할것인지(Arrange)를 설정합니다.
TriggerChan – 이 기능 역시 Arrange Mode 와 함께 사용하는 기능으로
TriggerCtrl 에서 설정한 콘트롤러를 On 상태로 하였을 때 Arrange Step 들을
트리거하는데 사용할 MIDI 채널을 선택합니다.
T r i g g e r C t r l – Arrange Step 을 트리거하는데 사용할 콘트롤러를 선택합니다.
T r a c k D e s t – K2500/X 를 하나의 시퀀서로 사용할 때 외부의 미디기기와
연결되어 있다면 각 트랙별로 외부의 음원을 사용하거나 K2500/X 의 음원을
사용할수 있게 설정을 합니다.
- 은 외부의 미디기기와 K2500/X 동시에 연주 정보를 내보내게 됩니다.
L 은 K2500/X 내부의 음원만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M 은 외부의 미디기기에 연주정보를 내보내서 외부의 음원을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X 는 그 트랙을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DrumTrack – 드럼 트랙이 설정되면 D 라는 표시가 나타나게 되며 그 트랙은
Arrange Mode 에서 조옮김을 수행하게 될때에도 조옮김이 생기지 않는 트랙이
됩니다.
화면하단 :
화면 하단에는 다음과 같은 소프트 버튼들이 표시되며 <more ,more> 버튼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소프트 버튼들을 볼수 있습니다.
< m o r e , m o r e > - 추가적인 소프트 버튼들을 보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EVENT – 선택된 트랙이 가지고 있는 연주 정보를 보거나 각각의 연주정보를
수정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TRACK – 선택된 트랙의 편집을 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S T E P - 스탭 레코딩(스탭 시퀀싱)을 할 때 사용합니다.
ARRANG – 앞서 설명한 Arrange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3
Name – 현재 송의 이름을 바꾸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S a v e – 현재 송의 바뀐 내용을 저장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D e l e t e – 현재의 송을 지울 때 사용합니다.
Dump - 외부의 미디기기에 현재의 송을 미디데이타(System Exclusive Data) 로
전송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이제 각각의 소프트 버튼들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구체적 사용방법을
이야기하도록 하겠습니다.
- 다음 -
1 . Name
2 . S a v e
3 . D e l e t e
4 . Dump
5 . E v e n t
6 . S t e p
7 . T r a c k
8 . A r r a n g e
1 . N a m e
이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Song Name : NewSong
D e l e t e I n s e r t < < < > > > O K C a n c e l
이 화면은 일반적인 이름을 작성할때와 같은 화면으로 알파휠, +,- 버튼, 숫자
키패드등을 이용하여 이름을 입력후 OK 버튼을 눌러서 이름을 입력하면 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4
2 . S a v e
이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되며 이 화면은 지난시간에
다루었던 내용과 같은 화면임을 알수 있을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저장하고자
하는 ID 를 선택한후 Save 또는 Replace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Save NewSong as: ID#200
(Replace NewSong)
O b j e c t R ename R e p l a c e C a n c e l
3 . D e l e t e
이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되며 지우고자 하는 송의 ID 를
선택후 Delete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송이 지워지게 됩니다.
Delete ID# : 200*New Song
D e l e t e C a n c e l
4 . Dump
이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표시되면서 K2500/X 과 연결된 외부의
미디기기에 현재의 Song 이 가지고 있는 연주정보를 System Exclusive Data 로
전송하게 됩니다.
Dumping $70,96
6590 bytes …
여기서 나타나는 숫자들은 송의 내용에 따라 바귀게 됩니다.
5 . EVENT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5
이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며 사용자는 선택된 트랙이
포함하고 있는 모든 MIDI 이벤트를 확인하고 변경시킬수 있습니다.
E d i t S o n g : E V E N T ( C h 1 ) < > T r a c k : 1
1:1 1:1.000 CTRL BANK 0
1:1 1:1.000 PCHG 64
1:1 1:1.000 CTRL VOL 127
1:1 1:1.000 CTRL PAN 64
1:1 1:1.000 C3 v 98 ^93 0.356
2:1 2:1.000 END
C u t Copy P a s t e View A l l O n Done
화면 상단 :
Edit Song : EVENT (Ch1) – 현재의 화면이 Song 편집 모드의 EVENT 편집모드
상태임을 표시하여 주고 있습니다.
<>Track : 1 – 현재 선택된 트랙을 표시하고 있으며 Chan/Bank ▲ , ▼ 버튼을
이용하여 트랙을 변경시킬수 있고 ▲ , ▼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Track : All 로
변하고 모든 트랙이 표시되게 됩니다.
화면 중간 :
1:1 - 각 이벤트의 위치를 마디:박자 의 형식으로 보여 주고 있습니다. 이
화면의 경우는 1마디의 1박자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1:1.000 – 각 이벤트의 시작점을 표시하며 사용자가 수정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이벤트가 시작된 위치를 앞으로 또는 뒤로 이동시킬수 있습니다. )
그 표시 형식은 마디: 박자. 틱(Tick) 으로 되어 있으며 Tick 은 한박자를 K2500/X
가 세는 단위입니다. K2500/X 는 480 Tick 을 한박자로 사용합니다.
즉 1:1.479 다음은 1:2.000 이 되게 됩니다.
Event Type – 위 화면에서 CTRL , PCHG 와 같은 MIDI 이벤트의 종류를
표시하여 주고 있으며 음에 대한 정보는 그 음이름을 직접 표시하여 주고
있습니다.
이벤트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CTRL - Control 명령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PCHG – Program Change 명령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MPRS - Mono Pressure 명령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SYSX - System Exclusive 명령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TMPO - Tempo 에 대한 정보를 나타냅니다.
END - 송의 End 지점을 표시하여 줍니다.
음에 대한 정보인 경우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6
C3 - 위의 화면에 표시된것과 같이 연주된 음의 이름이 표시됩니다.
V 98 - 건반을 누른 빠르기(세기,Attack Velocity) 를 표시하여 줍니다.
^ 93 - 건반을 뗀 빠르기(Release Velocity) 를 표시하여 줍니다.
0.356 - 건반을 누르고 있었던 길이(Duration) 를 표시하여 줍니다. 앞서 설명한
Tick 값을 이용하여 계산하면 480 이 4 분음표이고 240 이 8 분음표, 120 이
16 분음표의 길이를 갖게 되므로 356 은 8 분음표+16 분음표, 즉 점 8 분음표
만큼의 길이를 갖는 음이 됩니다.
콘트롤러 명령의 경우는 각 콘트롤러 값에 따른 이름을 표시하여 주게 됩니다.
예> MIDI Control # 1 – Modulation Wheel (MWHL)
MIDI Control # 7 – Volume (VOL)
MIDI Control #10 – PAN (PAN)
화면 하단 :
C u t - 현재 선택된(반전된) 이벤트를 잘라서 K2500/X 의 버퍼라고 하는 공간에
저장합니다. 잘라낸 이벤트는 다른 곳에 갖다 붙일수(Paste) 있습니다.
Copy - 현재 선택된(반전된) 이벤트를 복사해서 K2500/X 의 버퍼라고 하는
공간에 저장합니다. 복사한 이벤트는 다른 곳에 갖다 붙일수(Paste) 있습니다.
P a s t e – 버퍼라는 공간에 저장된 이벤트를 갖다 붙일 때 사용합니다.
View – 이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이벤트만을 보거나 보기를 원치 않는 데이터는 숨길수 있습니다.
E V E N T : V i e w .
Notes : On Volume : On
PitchBend : O n Pan : On
ModWheel : On Bank/Prog : On
Data : On Tempo : On
Sustain : On SysEx : On
Pressure : On Other : On
Toggle A l l O f f A l l O n Done
위와 같은 화면에서 보기를 원치 않는 데이터를 선택후 +,- 버튼을
누르면 그 이벤트가 Off 되고 Off 된 이벤트는 Event 화면상에 나타나지
않게 됩니다.
A l l O f f 를 누르면 모든 이벤트가 Off 가 되며 어떤 이벤트도 표시되지
않게 됩니다. 이때 Event 상의 View 소프트 버튼은 [View] 로 표시되어
현재의 상태가 AllOff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A l l O n 은 모든 이벤트를 볼수 있는 상태(On 상태) 로 만들어 줍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7
Toggle 버튼은 현재의 설정과 반대로 만들어 줍니다. 즉 On 되어 있던
이벤트는 Off 로 변하고 Off 되어 있던 이벤트는 On 으로 바뀌게 됩니다.
A l l O n - 위의 AllOn 과 같은 기능을 수행합니다.
Done - EVENT 화면을 마치고 Edit Song 의 COMMON 화면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Song Edit 의 Step 시퀀싱을 하는 방법(STEP 소프트 버튼을 눌렀을
때의 기능수행) 과 TRACK 편집방법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5. Song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 3 )
이번 시간은 K2500 / X 의 Song Mode , 그 세번째 시간으로 송모드의 편집기능
중에서 STEP 시퀀싱을 하는 방법과 트랙편집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송 데이터를 편집하기 위해서는 편집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선택후(Cur Song-
Current Song 을 편집하고자 하는 송으로 맞춥니다.) Edit 버튼을 눌러
송편집모드로 들어갑니다.
6 . S T E P
STEP 기능은 사용자가 녹음하고자 하는 음표의 길이를 설정한후 건반을 통하여
하나하나의 음표를 입력하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무엇이 무엇이 똑같을까~~” , 의 멜로디를 입력하고자 한다면 …
음표의 길이를 4분음표로 설정하고 건반으로
“도”,”미”,”솔”,”도”,”미”,”솔”,”라”,”라”,”라” 를 순서대로 누르면 정확한 박자로 녹음이
되게 됩니다. ( 이때 하나의 건반에서 손이 떼어진후 다른 건반을 눌러야 합니다.
만약 하나의 건반이 떼어 지기전에 다른 건반을 누르게 되면 STEP 모드에서는
동시에 두개의 건반을 누른것으로 입력됩니다. )
이제 STEP 의 개념이 이해 되었다면 STEP 버튼을 눌러 보도록 하겠습니다.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E d i t S o n g : S T E P < > T r a c k : 1
DubMode : Erase
Duration : 1 / 8
Modifier : None
GateTime : 75 %
Velocity : Played
Locate : 1:1.000
P l a y S t o p < B a c k S t e p > Done
화면 상단 :
Edit Song : STEP - 현재의 페이지가 송편집모드 중 STEP 편집 상황임을
표시하여 주고 있습니다.
<>Track:1 - 현재 STEP 레코딩을 하고자하는 트랙을 표시하여 줍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2
화면 중간 :
화면 중간은 두개로 나뉘어져 있는데 왼편은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입력할
음의 길이와 세기를 설정하는 부분이고 오른쪽의 작은 창은 현재 눌려진 건반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는 창입니다.
DubMode : 더빙 모드를 설정하는 것으로 송모드의 Main 화면의 Mode 를
설정한 것과 같은 개념입니다.
참고 : 송모드 Main Page 의 녹음 Mode 에 대한 설명부분입니다.
( M e r g e : 같은 트랙에 대해서 그전에 녹음한 내용과 함께 같이 녹음이 됩니다. 예를 들어 피아노
4 성부곡을 녹음할 때 사용자는 하나의 트랙에 처음에는 소프라노, 두번째에는 앨토, 세번째에는 테너,
네번째에는 베이스 와 같이 녹음할수 있습니다.
E r a s e : 같은 트랙을 녹음할 때 그 전까지 녹음되어 있던 트랙의 내용을 지우면서 녹음합니다.
Mode 를 Erase 로 설정후 위와 같은 방법으로 녹음하면 처음 녹음에서는 소프라노 성부가
녹음되지만 두번째 녹음에서는 소프라노 파트가 지워지면서 앨토 파트가 녹음되고 ,세번째
녹음에서는 앨토 파트가 지워지면서 테너가 녹음되게 됩니다. )
Duration : 입력할 음표의 길이를 지정합니다. 각 수치에 대한 음의 길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수치 1 / 1 1 / 2 1 / 4 1 / 8 1 / 16 1 / 32 1 / 64
음길이 온음표 2 분음표 4 분음표 8 분음표 16 분음표 32 분음표 64 분음표
위에서 예를 들었던 곡을 입력하고자 한다면 Duration 을 1 / 4 로 설정을 하면
됩니다.
Modifier : 음악에서는 위의 음표이외에도 점음표나 셋잇단음표 등이 있습니다.
이런 음표를 입력할 때 설정을 하는 것입니다.
표시 설명
None Duration 에서 설정한 음길이가 그대로 적용
Triple Duration 에서 설정한 음길이에 대해서 셋잇단음표 적용
Dotted Duration 에서 설정한 음길이에 대해서 점음표 적용
DotDot Duration 에서 설정한 음길이에 대해서 이중 점음표 적용
Gate Time : 위의 Duration 값이 갖는 의미가 악보상에서 나타나는 음의
길이라면 Gate Time 은 실제로 연주되는 음의 길이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레가토(음을 연결하여 연주)로 입력을 시키고자 한다면 Gate Time 은 Duration 의
100% 의 값을 설정하고 스타카토(음을 짧게 끊어서 연주)로 입력하고 싶다면
Gate Time 을 Duration 의 50% 정도의 값으로 설정하면 될것입니다.
Velocity : 입력되는 음들의 세기(Velocity)를 설정합니다.
Played 로 설정시 – 사용자가 건반을 친 세기대로 입력이 됩니다.
1 부터 127 의 값중 하나로 설정시 – 사용자가 건반을 친 세기와 상관없이
여기서 설정해준 값으로 입력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3
Locate : 입력되고 있는 음의 위치를 마디(Measure):박자(beat).틱(tick) 의
단위로 표시됩니다.
건반을 친때마다 Locate 값이 Duration 값만큼 움직이게 되며 친 음에 대한
정보는 오른쪽 화면창에 다음과 같이 표시됩니다.
C4 v 87 dur 0.360
C4 v 87 dur 0.360
음이름 음의 세기 음의 길이
( duration 을 1/4 로 설정하고 Gate Time 을 75% 로 설정한 후 C4 음을 87 이라는
세기로 쳤을 때… )
화면 하단 :
Play - Locate 에서 표시된 지점부터 연주를 시킬 때 사용합니다.
Stop - 연주(Play)를 멈출 때 사용합니다.
<Back – Locate 에서 송의 위치를 뒤로 이동시킵니다. 이동되는 길이는 Duration
과 Modifier 에서 정해준만큼 이동됩니다.
Step> - Locate 에서 송의 위치를 앞으로 이동시킵니다. 이동되는 길이는
Duration 과 Modifier 에서 정해준만큼 이동되며 쉼표를 생성시킬 때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습니다.
Done - 사용자가 STEP 기능을 마치고 Edit Song : COMMON 페이지로 볼아갈
때 사용합니다.
7 . T R A C K
이 기능은 각 트랙(또는 모든 트랙)에 대한 편집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E d i t S o n g : T R A C K < > T r a c k : 1
Function : Erase From : 1:1 To : 2:1
Events : All
Locate : 1:1
FromTo P l a y S t o p G o Done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4
화면 상단 : 언제나 그렇듯 화면 상단부는 현재의 페이지에 대한 정보와 현재의
트랙을 표시하여 주고 있습니다.
화면 중간 : 화면 중간은 좌측의 트랙편집기능(Function)의 선택 부분과 화면
우측에 편집할 부분을 설정하는 부분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 부분은 선택된
편집기능(Function) 에 따라 달라지므로 뒤에 자세히 설명하도록 할 것입니다.
화면 하단 :
FromTo – 트랙의 일부분에 대해서 편집기능을 적용시킬 때 송을 연주(Play)
시킨 상태에서 이 버튼을 이용하여 편집기능이 적용될 시작점(From) 과 끝점(To)
을 설정할수 있습니다. Play 상태에서 처음 FromTo 버튼을 누른 지점이 시작점이
되고 두번째 FromTo 를 누른 지점이 끝점이 됩니다.
Play - 송을 연주(Play) 할때 사용합니다.
Stop - 연주 중인 송을 멈출 때(Stop) 사용합니다.
Go - 지정한 편집기능(Function) 을 수행시킬 때 사용합니다.
Done - 트랙 편집을 마치고 Edit Song : COMMON 페이지로 이동할 때
사용합니다.
T R A C K 편집모드에서의 각 기능( F u n c t i o n ) 에 대한 설명
1 . E r a s e
일정한 범위에 있는 Event 들을 선택적으로 지울 때 사용합니다.
화면 왼편
Function : Erase - 현재 수행하고자 하는 편집 명령이 Erase 임을 표시
Locate : 1: 1 - 모든 트랙 편집기능에서 보여지는 매뉴로 송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줍니다.
화면 오른편
From : 1:1 To : 2:1 - 편집 명령을 수행하고자 하는 영역을 마디와 박자
단위로 표시하여 주며 이 값은 FromTo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할수 있습니다.
Events : All - 지우고자 하는 이벤트의 종류를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All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정해준 범위내의 모든 이벤트를
삭제하게 됩니다.
( Events 가 Note 나 Controller 로 설정된 경우는 원하는 음이나 원하는 콘트롤
값만을 지울수도 있습니다. )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5
2 . Copy
현재 트랙의 일정한 범위에 있는 Event 들을 선택적으로 동일한 트랙 또는 다른
트랙에 복사할 때 사용합니다.
화면 왼편
Function : Copy - 현재 수행하고자 하는 편집 명령이 Copy 임을 표시
DstTrack : 1 - 화면 오른편에서 선택된 이벤트들을 복사할 (갖다붙일)
트랙을 설정합니다.
Location : 1:1 - 화면 오른편에서 선택된 이벤트들을 복사할 위치를
설정합니다.
Mode : Merge - 레코드와 Step 페이지에서 사용했던것처럼 Merge 할
것인지 Erase 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Times : 1 - 몇번 반복하여 복사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Locate : 1: 1 - 모든 트랙 편집기능에서 보여지는 매뉴로 송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줍니다.
화면 오른편
From : 1:1 To : 2:1 - 편집 명령을 수행하고자 하는 영역을 마디와 박자
단위로 표시하여 주며 이 값은 FromTo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할수 있습니다.
Events : All - 복사하고자 하는 이벤트의 종류를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All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정해준 범위내의 모든 이벤트를
복사하게 됩니다.
( Events 가 Note 나 Controller 로 설정된 경우는 원하는 음이나 원하는 콘트롤
값만을 복사할수도 있습니다. )
3 . B o u n c e
현재 트랙의 일정한 범위에 있는 Event 들을 선택적으로 다른 트랙으로 옮길 때
사용합니다.
화면 왼편
Function : Bounce - 현재 수행하고자 하는 편집 명령이 Bounce 임을 표시
DstTrack : 1 - 화면 오른편에서 선택된 이벤트들을 이동 시킬 트랙을
설정합니다.
Mode : Merge - 레코드와 Step 페이지에서 사용했던 것처럼 기존의
트랙이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Merge 할 것인지 Erase 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Locate : 1: 1 - 모든 트랙 편집기능에서 보여지는 매뉴로 송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줍니다.
화면 오른편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6
From : 1:1 To : 2:1 - 편집 명령을 수행하고자 하는 영역을 마디와 박자
단위로 표시하여 주며 이 값은 FromTo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할수 있습니다.
Events : All - 이동하고자 하는 이벤트의 종류를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All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정해준 범위내의 모든 이벤트를
이동시키게 됩니다.
( Events 가 Note 나 Controller 로 설정된 경우는 원하는 음이나 원하는 콘트롤
값만을 이동시킬수도 있습니다. )
4 . I n s e r t
Insert 기능은 송의 전체 트랙에 영향을 미치며 일정한 공간을 삽입(추가)시킬
때 사용합니다.
화면 왼편
Function : Insert - 현재 수행하고자 하는 편집 명령이 Insert 임을 표시
Location : 1: 1 - 빈 공간을 삽입할 시작점을 설정합니다.
Amount : 1: 0 - 추가 삽입될 공간의 길이를 설정합니다.
Locate : 1: 1 - 모든 트랙 편집기능에서 보여지는 매뉴로 송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줍니다.
화면 오른편
Insert 명령은 오른쪽 화면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5 . D e l e t e
Delete 기능은 송의 전체 트랙에 영향을 미치며 일정한 공간을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화면 왼편
Function : Delete - 현재 수행하고자 하는 편집 명령이 Delete 임을 표시
Locate : 1: 1 - 모든 트랙 편집기능에서 보여지는 매뉴로 송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줍니다.
화면 오른편
From : 1:1 To : 2:1 - 지우고자 하는 범위를 설정합니다.
6 . Q u a n t i z e
일정한 범위에 있는 음들을 선택적으로 Quantize 할 때 사용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7
퀀타이즈란 사용자가 메트로놈 소리에 맞춰 녹음하였을 때 원래의 박자에서
약간씩 밀리거나 당겨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이런 음들을 정확한 박자에 맞게
조정해주는 기능입니다.
화면 왼편
Function : Quantize - 현재 수행하고자 하는 편집 명령이 Quantize 임을 표시
Quant : 100 % - 선택된 음들이 그리드 위치를 향하여 얼만큼
이동되는지를 결정합니다. Off 로 설정되면 Quantize 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100 % 로 설정되면 선택된 모든 음들은 그리드 설정값에 의하여 정의된 가장
가까운 그리드위치에 정확하게 정렬되게 됩니다. 이 값이 50 % 로 설정되면
음들은 그리드위치와 원래의 음 사이의 중간 위치로 이동하게 됩니다.
Grid : 1 / 8 - Quantize 를 할 최소박자(분해박자)를 설정합니다.
Swing : 0 % - Quantize 를 할 때 스윙감있게 해주는 것으로 0% 는 전혀
스윙감이 없는 퀀타이즈고 100 % 가 가장 스윙감이 강한 퀀타이즈가 걸리게
됩니다.
Shift : 0.000 - 퀀타이즈를 하기전에 녹음된 음들을 앞,뒤로 밀거나
당기는 기능을 하게 됩니다. ( 박자. 틱 의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이 수치만큼
뒤로 밀리게 됩니다. <- 값을 가질때에는 앞으로 당겨지게 될 것입니다.> )
Locate : 1: 1 - 모든 트랙 편집기능에서 보여지는 매뉴로 송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줍니다.
화면 오른편
From : 1:1 To : 2:1 - 편집 명령을 수행하고자 하는 영역을 마디와 박자
단위로 표시하여 주며 이 값은 FromTo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할수 있습니다.
LoKey : C –1 Hi : G 9 – 퀀타이즈시킬 음의 음역에 대한 범위를 설정합니다.
LoVel : 1 Hi :127 – 퀀타이즈시킬 음의 세기에 대한 범위를 설정합니다.
Release : No - 퀀타이즈된 음들의 음이 끊긴 지점까지 퀀타이즈를
할것인지를 설정합니다.
7 . R e f Q u a n t
Quantize 와 같은 개념이나 그 기준이 정확한 박자가 아니라 다른
송(RefSong) 의 한 트랙(RefTrack) 을 기준으로 삼게 됩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드럼 리듬을 만들고 그 리듬에 맞추어 퀀타이즈 하려고 할 때 이 기능은 매우
유용할 것입니다.
화면 왼편
Function : RefQuant- 현재 수행하고자 하는 편집 명령이 RefQuant 임을 표시
RefSong : 1 NewSon- 기준이 될 송을 선택합니다.
RefTrack : 1 - 기준이 될 트랙을 선택합니다.
Timing : 100 % - Quantize 에서 Quant 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Velocity : Off - 기준이 되는 트랙에 대해서 음의 세기까지 참조를 할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합니다.
Locate : 1: 1 - 모든 트랙 편집기능에서 보여지는 매뉴로 송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줍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8
화면 오른편
From : 1:1 To : 2:1 - 편집 명령을 수행하고자 하는 영역을 마디와 박자
단위로 표시하여 주며 이 값은 FromTo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할수 있습니다.
LoKey : C –1 Hi : G 9 – 퀀타이즈시킬 음의 음역에 대한 범위를 설정합니다.
LoVel : 1 Hi :127 – 퀀타이즈시킬 음의 세기에 대한 범위를 설정합니다.
Width : 1 / 8 - 레퍼런스된 각 그리드 위치들이 중앙인 시간의 윈도우
존속기간을 결정합니다. 퀀타이즈 중인 트랙의 어느 한 음이 Width 범위내에서
발생하면 그 음은 Timing 값에 의거하여 레퍼런스된 그리드 위치로 가까이
이동합니다. 그리고 Width 범위 밖에 있는 음들은 퀀타이즈가 적용되지 않게
됩니다.
5. Song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 4 )
이번 시간은 K2500 / X 의 Song Mode , 그 네번째 시간으로 지난 시간에 이어서
송모드의 트랙 편집기능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7. TRACK
이 기능은 각 트랙(또는 모든 트랙)에 대한 편집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E d i t S o n g : T R A C K < > T r a c k : 1
Function : Erase From : 1:1 To : 2:1
Events : All
Locate : 1:1
FromTo P l a y S t o p G o Do n e
T R A C K 편집모드에서의 각 기능( F u n c t i o n ) 에 대한 설명 ( 2 )
8 . S h i f t
일정한 범위에 있는 Event 들을 선택적으로 앞으로 당기거나 뒤로 밀어낼 때
사용합니다.
E d i t S o n g : T R A C K < > T r a c k : 1
Function : Shift From : 1:1 To : 2:1
Ticks : 0.000 Events : Pitch bend
Locate : 1:1
FromTo P l a y S t o p G o Done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2
화면 왼편
Function : Shift - 현재 수행하고자 하는 편집 명령이 Shift 임을 표시
Ticks :0.000 - 앞 또는 뒤로 움직일 수치를 Beat.Tick 의 수치로
표시합니다. ( - 값일 때에는 앞으로 당기게 됩니다.)
Locate : 1: 1 - 모든 트랙 편집기능에서 보여지는 매뉴로 송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줍니다.
화면 오른편
From : 1:1 To : 2:1 - 편집 명령을 수행하고자 하는 영역을 마디와 박자
단위로 표시하여 주며 이 값은 FromTo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할수 있습니다.
Events : All - 움직이고자 하는 이벤트의 종류를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All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정해준 범위내의 모든 이벤트를 움직이게
됩니다.
( Events 가 Note 나 Controller 로 설정된 경우는 원하는 음이나 원하는 콘트롤
값만을 지울수도 있습니다. )
9 . T r a n s p o s e
일정한 범위에 있는 음(Note)들을 선택적으로 조옮김할 때 사용합니다.
화면 왼편
Function : Transpos - 현재 수행하고자 하는 편집 명령이 Transpose임을 표시
Semitone : 12 ST - 조옮김하고자 하는 양을 설정합니다. (Semitone 은
반음을 의미하며 12 개의 반음(12 Semitone) 은 한 옥타브를 의미합니다.)
Locate : 1: 1 - 모든 트랙 편집기능에서 보여지는 매뉴로 송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줍니다.
화면 오른편
From : 1:1 To : 2:1 - 편집 명령을 수행하고자 하는 영역을 마디와 박자
단위로 표시하여 주며 이 값은 FromTo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할수 있습니다.
LoKey:C –1 Hi:G 9 – 조옮김하고자 하는 음(Note) 의 범위를 설정합니다.
LoKey 에서 Hi 에 포함되는 음들이 조옮김되게 됩니다.
LoVel: 1 Hi: 127 – 조옮김하고자 하는 음(Note) 의 세기에 대한 범위를
설정합니다, LoVel 에서 Hi 에 속하는 세기로 연주된 음들만 조옮김되게 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3
1 0 . Change
일정한 범위에 있는 Event 들을 선택하여 그 수치를 재조정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일정구간의 음들에 대한 음의 세기(Velocity) 를 똑같이 한다거나
또는 점점 커지게 한다거나 하는 등의…
화면 왼편
Function : Change - 현재 수행하고자 하는 편집 명령이 Change 임을 표시
Scale : 100 % - 선택된 Event 들의 값을 원래 값의 몇 % 로 변화시킬
것인지를 조정합니다.
Offset : 0 - 선택된 Event 들의 변화시킨 값에 Offset 만큼의 값을
더해줍니다.(- 값을 갖는 경우는 빼주게 됩니다. )
Mode : Constant - Constant 로 설정한 경우는 From 지점부터 To 지점에
있는 Event 들이 모두 동일하게 변화가 되데 됩니다. 반면 PosRamp 로 설정이 된
경우는 From 지점에서는 변화가 생기지 않고 그 변화량이 증가하여 To 지점에서
최종 변화값에 이르게 됩니다. (예를 들어 ‘점점 강하게’ 음을 연주하는 효과를
만들어 내고 싶다면 이 방법을 사용할수 있을 것입니다. )
NegRamp 는 PosRamp 와는 반대로 From 지점에서 최종 변화값이 적용되고 To
지점에서는 변화가 없게 됩니다.
Locate : 1: 1 - 모든 트랙 편집기능에서 보여지는 매뉴로 송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줍니다.
화면 오른편
From : 1:1 To : 2:1 - 편집 명령을 수행하고자 하는 영역을 마디와 박자
단위로 표시하여 주며 이 값은 FromTo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할수 있습니다.
Events : Velocity - 변화시키고자 하는 이벤트의 종류를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Velocity 나 RelVelocity 의 경우는 LoKey 와 Hi 를 설정하여 Change
명령이 적용될 음의 범위를 설정할수 있습니다. 또한 LoVel 과 Hi 의 설정을
통하여 명령이 적용될 음의 세기에 대한 범위도 설정할수 있습니다.
Controller 들의 경우는 LoVal (최저값) 과 Hi(Val) –최고값-의 범위를 설정하여
Change 명령을 적용시킬수 있습니다.
1 1 . Thin
현재 트랙에 있는 일정한 콘트롤러 Event 에 대해서 사용되는 실제 콘트롤
Event 의 수를 줄이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을 통하여 송의 크기를 줄일수
있습니다.
화면 왼편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4
Function : Thin - 현재 수행하고자 하는 편집 명령이 Thin 임을 표시
Percent : 50 % - 현재 선택된 콘트롤러의 이벤트수를 얼마나 줄일것인지를
설정합니다. 0 % 로 설정하면 콘트롤러의 이벤트수는 변화가 없으며 50 % 로
설정하면 이벤트수가 반으로 줄어 들게 됩니다. 100 % 로 하면 이벤트수가 모두
줄어 들지만 이때는 콘트롤러가 전혀 적용되지 않게 됨을 또한 유의하셔야 합니다.
Locate : 1: 1 - 모든 트랙 편집기능에서 보여지는 매뉴로 송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줍니다.
화면 오른편
From : 1:1 To : 2:1 - 편집 명령을 수행하고자 하는 영역을 마디와 박자
단위로 표시하여 주며 이 값은 FromTo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할수 있습니다.
Ctl : MPress - Thin 명령을 수행하고자 하는 콘트롤러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Loval : 0 Hi :127 - Thin 명령을 적용할 콘트롤 값의 범위를 설정합니다.
1 2 . Remap
이미 녹음되어 있는 콘트롤러 데이터를 다른 콘트롤러 데이터로 바꾸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Modulation Wheel 을 이용한 녹음을 한후 Modulation
Wheel 의 움직임에 대한 녹음된 값을 Volume 값으로 변경시킨다든가 하는
기능을 하게 됩니다.
화면 왼편
Function : Remap - 현재 수행하고자 하는 편집 명령이 Remap 임을 표시
Old : MWheel – 녹음되어 있는 콘트롤러 중 바꾸고자 하는 콘트롤러를
설정
New : Volume – Old 에서 선택한 콘트롤러를 어떤 콘트롤러로
바꿀것인지를 설정
Locate : 1: 1 - 모든 트랙 편집기능에서 보여지는 매뉴로 송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줍니다.
화면 오른편
From : 1:1 To : 2:1 - 편집 명령을 수행하고자 하는 영역을 마디와 박자
단위로 표시하여 주며 이 값은 FromTo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할수 있습니다.
1 3 . G r a b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5
다른 송의 트랙에서 일정한 범위에 있는 Event 들을 선택적으로 복사해서
현재의 송,현재의 트랙에 갖다 붙일 때 사용합니다. ( 예를 들어서 1 New Song
의 1 번 트랙에 있는 데이터를 현재의 송에 1 번트랙에 복사한다고 할 때…)
화면 왼편
Function : Grab - 현재 수행하고자 하는 편집 명령이 Grab 임을 표시
SrcSong : 1 NewSon - 복사하고자 하는 원본이 있는 송을 선택합니다.
복사하려고 하는 원본이 있는 트랙의 선택은 CHAN/BANK 버튼을 이용하여 화면
상단 우측의 <>Track 을 변경시키면 됩니다.
DstTrack : 1 - 갖다 붙이고자 하는 트랙을 선택합니다.
Location : 1:1 - 복사된 데이터를 갖다 붙일 위치를 설정합니다.
Times : 1 - 몇번 반복하여 갖다 붙일것인지를 설정합니다.
Locate : 1: 1 - 모든 트랙 편집기능에서 보여지는 매뉴로 송의 현재
위치를 표시하여 줍니다.
화면 오른편
From : 1:1 To : 2:1 - 편집 명령을 수행하고자 하는 영역을 마디와 박자
단위로 표시하여 주며 이 값은 FromTo 버튼을 이용하여 설정할수 있습니다.
Events : All - 복사하고자 하는 이벤트의 종류를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All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정해준 범위내의 모든 이벤트를
복사하게 됩니다.
( Events 가 Note 나 Controller 로 설정된 경우는 원하는 음이나 원하는 콘트롤
값만을- Lo Val 와 Hi 또는 Lo Key 와 Hi 등을 이용하여…- 복사할수도
있습니다. )
5. Song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 5 )
이번 시간은 K2500 / X 의 Song Mode , 그 마지막 시간으로 송모드의
어레인지(Arrange)기능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Arrange 기능의 개념 설명
Arrange 기능은 K2500 /X 의 송모드를 보다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할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그 사용용도는 크게 송모드에서의 트랙의 확장과 또 하나는 일정한
이벤트( 건반을 누른다거나 또는 일정한 미디 콘트롤 신호)에 의해서 다른 송들을
동기화 시켜 연주시키는 기능이 있습니다.
트랙의 확장은 현재 작업을 하고 있는 송에서 최대 16 개의 트랙을 사용할수
있으며 여기에 덧붙여 다른 송을 Step 이라는 개념을 이용하여 동시에 연주가
되게 하므로 총 32 개의 트랙까지 사용이 가능해 집니다.(단 여기서 주의할 점은
트랙은 32 개까지 확장이 되더라도 사용할수 있는 채널은 16 개라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동시에 연주할수 있는 악기수는 16 종류가 됩니다. )
트랙확장의 개념
Cur Song Step 1
: 200 New Song 205 Song1
Track 1 ~ 16
Track 1 ~ 16
Step 2
206 Song2
Track 1 ~ 16
Step 3
207 Song3
T rack 1 ~ 16
위의 그림과 같이 두개의 송이 Cur Song 에서 지정해준 순서(Step) 에 따라
동시에 연주가 되는 것입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2
이벤트( 미디 콘트롤 신호) 에 의한 동기 연주
이것 역시 위의 그림과 같은 개념입니다만 차이가 있다면 위의 그림처럼 일정한
시간을 정해서 Step 이 연주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어떤 이벤트(사용자가
정해준)를 발생시켰을 때 하나의 Step 이 연주되는 것입니다.
Cur Song
: 200 New Song <- Step 2 를 연주시키는 이벤트 발생
Step 2
206 Song2
Track 1 ~ 16
<- Step 1 을 연주시키는 이벤트 발생
Step 1
205 Song 1
일반적으로는 이벤트를 건반에 의한 트리거를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8 . A R R A N G
이 기능은 각 트랙(또는 모든 트랙)에 대한 편집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E d i t S o n g : A R R A N G E < > S t e p : 1 / 1
Step : 1
Song : 0 None
Mutes : - - - - - - - - - - - - - - - -
Xpose : 0 st Times : 1 x Mode : Next
LoKey : Off HiKey : Off Latch : Off VelTrk : On
A d d D e l e t e S e t R n g P l a y S t o p D o n e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3
화면 상단 :
Edit Song : ARRANGE - 현재의 페이지가 ARRANGE 페이지에 있음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 Step: 1/1 - 현재의 송이 가지고 있는 총 Step 의 수와 현재
보여지고 있는 Step 의 번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Chan/Bank 버튼을 이용하여
움직일수 있습니다.)
화면 중간 :
Step : 1 - Arrange 기능에서 사용될 Step 의 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값을
움직일 때 화면 상단 오른쪽의 값도 변화가 생기게 되며 이 값을 변화 시키는
방법과 Chan/Bank 버튼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Song : 0 None – 현재의 Step 에서 사용할 Song 을 설정합니다.
Mutes : - Song 에서 선택된 송에서 뮤트시킬 트랙을 설정합니다. (뮤트 시키면
‘-‘ 표시가 ‘M’ 으로 바뀌고 ARRANGE 를 통한 연주시 그 트랙이 뮤트되게
됩니다.)
Xpose : 0 st - 각 Step 이 플레이되는 동안 Song 에서 설정해준 송을
조옮김할수 있습니다. Xpose 는 스텝의 송이 Arrange 기능에 있는 각 스텝이
연주되는 동안 원래의 조에서 위나 아래로 몇 개의 반음(ST) 만큼 조옮김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 이때 Edit: COMMON 페이지에서 Drum Track 으로 설정한
트랙은 조옮김되지 않습니다. )
Times : 1 x - 하나의 Step 이 다른 Step 으로 이동하기전에 송이 반복되는
횟수를 설정합니다. Inf 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는 Stop 버튼을 누를때까지 무한
반복되게 됩니다.
Mode : Next - Arrange 기능에서 현재의 Step 이 끝나고 다음 Step 으로 이동할
것인지(Next) 아니면 현재 스텝을 연주하고 정지할 것인지(Stop) 여부를
설정합니다.
아래에 나오는 4 가지 파라미터는 Arrange 기능에 있는 스텝들의 실시간 콘트롤을
위한 설정값입니다. ‘Edit Song: COMMON’ 페이지의 ‘TriggerCtl’ 파라미터가 On
으로 설정되었을 때 또는 선택된 콘트롤러 입력이 Arrange 콘트롤을 활성화 시킬
때 MIDI 건반을 통해서 스텝을 트리거링 및 조옮김하게 됩니다.
LoKey : Off - Arrange Chan 을 통해서 연주될 때 현재 스텝의 시작을 트리거할
때 건반에서의 가장 낮은 음에 대한 설정을 하게 됩니다. Low Key 에서 스텝이
트리거되면 Xpose 값에서 설정된 수치 만큼 조옮김되는 원래 조에 있는 Song 이
연주됩니다. 사용자가 반음위의 건반을 누르게 되면 스텝은 그 수치만큼 조옮김된
송을 연주합니다. Edit Song:COMMON 에서 Drum Track 으로 선택한 트랙을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4
제외한 모든 트랙이 건반의 트리거링에 의하여 조옮김되는 송의 모든 트랙들을
조옮김합니다.
HiKey : Off - Step 을 트리거할 건반의 범위중 높은음을 지정합니다. 즉 Low
Key(Lo Key) 에서 High Key (hi Key) 에 해당하는 건반을 누르면 각각의 Step 들이
연주되게 되는 것입니다.
Latch : Off - 이 값이 Off 로 되어 있으면 건반이 눌려져 있는 동안만 그 Step
이 연주되며 On 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Stop 버튼을 누르거나 또는 다른
건반이 눌려지기 전까지 계속 연주됩니다.
VelTrk : On - 이 값이 On 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건반을 치는 세기에
따라 연주되는 Step 의 소리 크기가 바뀌게 되고 Off 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는
Step 에서 설정된 Song 의 음량으로 연주되게 됩니다.(건반을 치는 세기와
상관없이…)
화면 하단 :
Add - Step 을 추가할 때 사용합니다 이 버튼을 누를때마다 Step 이 하나씩
추가됩니다.
Delete - Step 을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이 버튼을 누를때마다 Step 이 하나씩
삭제됩니다.
SetRng - 화면 중간에 있는 LoKey 와 HiKey 를 설정할 때 이 버튼을 눌르면
화면상에 Low Key 를 누르라는 메시지( Strike Low Key…)가 나오고 Low Key 로
사용할 건반을 누르면 High Key 를 누르라는 메시지(Strike High Key…) 가 나옵니다
이때 High Key 로 사용할 건반을 눌러서 LoKey 와 HiKey 를 설정할수 있게 도와
주는 버튼입니다.
Play - 현재 선택된 스탭을 Play 하여 들어 볼수 있는 버튼입니다.
Stop - Play 를 정지시킵니다.
Done - Edit :ARRANGE 페이지를 종료하고 Edit : COMMON 페이지로 돌아갑니다.
이렇게 해서 이번시간까지 K2500 /X 의 송 모드에 대한 설명을 마쳤으며
다음주에는 K2500 /X 의 미디모드에 대한 이야기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6. MIDI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이번 시간에는 K2500 / X 의 MIDI Mode 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MIDI Mode 에서는 K2500/X 이 어떤 방법으로 MIDI 신호를 주고 받을지에 대한
설정을 하게 됩니다.
우선 MIDI 버튼을 눌러서 MIDI Mode 로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보게 될
것입니다.
MIDIMode : TRANSMIT .
Ctl Setup : 97 Control Setup
Channel : 1 ProgChng : On
Transpos : 0 ST Buttons : Off
Control : Both ChgSetups : KeyUp
VelocMap : 1 Linear
Press Map : 1 Linear
XMIT RECV CHNLS PrgChg RsetCh Panic
MIDI Mode 는 MIDI 신호를 보내는 것에 대한 설정(XMIT-Transmit) 과 MIDI
신호를 받는 것에 대한 설정(RECV-Receive) ,그리고 각 채널별 설정(CHANLSChannels)
을 할수 있게끔 되어 있습니다.
상단
MIDI Mode : TRANSMIT - 현재의 화면이 MIDI Mode 의 Transmit 상태임을
보여줍니다. 만약 화면 아래의 RECV 소프트 버튼을 누르면 이 부분이 RECEIVE
로 바뀌게 됩니다.
화면 중간
Transmit,Receive,Channel 에 따른 각종 정보를 보여 줍니다.
화면 하단
XMIT - MIDI 신호를 보내는 것과 관련된 설정을 하는 페이지로 들어 갑니다.
RECV - MIDI 신호를 받는 것과 관련된 설정을 하는 페이지로 들어 갑니다.
CHANLS - 각 채널별 설정을 하는 페이지로 들어 갑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2
XMIT (Transmit) Page
MIDIMode : TRANSMIT .
Ctl Setup : 97 Control Setup
Channel : 1 ProgChng : On
Transpos : 0 ST Buttons : Off
Control : Both ChgSetups : KeyUp
VelocMap : 1 Linear
Press Map : 1 Linear
XMIT RECV CHNLS PrgChg RsetCh Panic
CtlSetup (Control Setup) - K2500/X 의 각 콘트롤러에 대한 설정을 해줍니다. 설정은
CtlSetup 에서 Edit 버튼을 누른후 Setup 편집과 같은 방법으로 하면 되며 Setup
편집에 대한 방법은 9 장에서 다루도록 할 것입니다. ( 단 여기서 사용되는 설정은
하나의 Zone 에 대해서만 설정합니다.)
Channel - MIDI 신호를 보낼 때 사용할 채널을 설정합니다.
Transpose - K2500/X 으로부터 보내지는 MIDI 신호에 대한 조옮김을
합니다.( K2500/X 으로부터 신호를 받는 악기들의 음들도 조옮김 됩니다.)
Control - Local Control 을 의미하는 것으로 K2500/X 으로부터 만들어진 연주신호가
내부에서만 연주가 되고 MIDI Out 을 통해서는 나가지 않거나( Local ), 내부에서는
소리가 나지 않지만 MIDI Out 을 통해서는 신호를 내보내거나(MIDI ) K2500/X
내부의 소리가 나면서 MIDI Out 을 통해서 신호를 내보내는(Both) 설정을 하실수
있습니다.
VelocMap (Velocity Map) - K2500/X 에서 MIDI Out 을 통해 외부로 내보내는 신호에
대한 벨로시티(Velocity , 건반을 치는 강도) 의 민감도를 설정합니다.(이것은
내부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다만 K2500/X 과 연결된 기기에 대해서만
영향을 미칩니다.)
PressMap (Pressure Map) - K2500/X 에서 MIDI Out 을 통해 외부로 내보내는 신호에
대한 애프터 터치(After Touch, 건반을 치고 난후 이차적인 압력의 양) 의 민감도를
설정합니다.(이것은 내부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다만 K2500/X 과 연결된
기기에 대해서만 영향을 미칩니다.)
ProgChng (Program Change ) - 여러분이 K2500/X 으로 프로그램을 변경할 때 K2500/X
과 연결된 기기의 프로그램도 함께 변하게 할지(On) ,변하지 않게 할지(Off)를
설정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3
Buttons - 여러분이 누르는 K2500/X 의 버튼들에 대하여 K2500/X 과 연결된 다른
Kurzweil 기기들(K2000,K2500,K2500/X) 에게 System Exclusive 형식으로 전송을 하게
할지(On) 안할지(Off) 를 설정합니다.
만약 On 으로 설정한후에 다른 K2500/X 과 연결이 되어 있다면 K2500/X 과
연결된 또하나의 K2500/X 은 똑같이 동작을 하게 될 것입니다.
ChgSetups - K2500/X 의 Setup mode 에서 Setup 을 변경시킬 때 K2500/X 의 반응
형태를 설정합니다.
KeyUp 으로 설정이 된 경우 하나의 Setup 을 연주하다가 다른 Setup 을 선택한
경우 건반에서 손이 완전히 떨어지고 난 다음에야 새로 선택된 Setup 의 소리가
나게 됩니다.
Immed ( Immediately ) 으로 설정이 되었다면 연주중 다른 Setup 이 선택되면
선택되어진 순간 새로운 Setup 의 소리로 변경됩니다.
RECV (Receive ) Page
MIDIMode : RECEIVE .
BasicChannel : 1 SysExID : 0
MIDI Mode : Multi SCSI ID : 6
AllNotesOff : Normal BendSmooth : On
ProgChgType : Extended LocalKbdCh : None
VelocMap : 1 Linear BankSelect : Ctl 32
Press Map : 1 Linear PowerMode : User
XMIT RECV CHNLS PrgChg RsetCh Panic
Basic Channel - K2500/X 으로 하여금 어떤 채널이 MIDI 정보를 수신하는데 항상
이용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MIDI Mode - K2500/X 의 MIDI 수신 방식을 설정합니다.
Omni - K2500/X 은 모든 MIDI 채널의 들어 오는 MIDI 신호에 응답하고 현재
채널로 연주됩니다. 이것은 보통 진단 목적으로 사용이 됩니다.
Poly - K2500/X 의 현재 MIDI 채널과 동일한 채널을 통해서 전송됩니다. Poly
모드에서 현재 선택된 채널은 항상 기본 채널이며 따라서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시키면 기본채널도 그에따라 변경됩니다.
Multi - K2500/X 은 현재의 채널에서 MIDI 신호에 대응합니다. 사용자는 각
채널에서 다른 프로그램을 연주할수 있기 때문에 시퀀서를 사용할 때 사용할
모드 입니다. 이 설정값에서 사용자는 개별 채널들을 켜고 끌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본 채널은 항상 켜져 있습니다.
AllNotesOff - 외부의 All Notes Off 메시지에 대해서 응답할지(Normal)
무시할지(Ignore) 를 설정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4
ProgChgType - 이 파라미터는 MIDI 를 통하여 수신된 Program Change 명령에
응답합니다.
VelocityMap - 사전 설정된 벨로시티 커브를 들어오는 벨로시티 메시지에
적용시키고 들어오는 벨로시티의 크기를 VTRIG 와 벨로시티 레벨 선택을 위한
키맵들에 의하여 사용되는 레벨로 대응 시킵니다.
PressureMap - 벨로시티 맵처럼 이 파라미터는 K2500/X 가 들어오는 애프터 터치에
응답하는 방법을 결정합니다.
SysExID ( System Exclusive ID ) - 여기서는 동일한 모델인 하나 이상의 MIDI 기기를
구별하는 ID 로 사용이 됩니다.
SCSI ID - K2500/X 의 SCSI ID 를 변경합니다.
BendSmooth - 이 파라미터는 K2500/X 에 MIDI Guitar Controller 등을 연결하여
사용할 때 K2500/X 의 연주기능을 향상시켜 줍니다.
LocalKbdCh - 여기서는 외부의 콘트롤러를 사용해서 K2500/X 을 사용할 때 외부의
콘트롤러의 채널을 설정해 주게 됩니다. 예를 들어 None 으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K2500/X 에서 외부의 콘트롤러(다른 건반) 에서 설정된 채널과 같은
채널이 제어됩니다.
반면 만약 이 파라미터가 1 번이라고 설정이 되어 있다면 외부의 콘트롤러에서
채널이 1 로 설정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그러면 현재 보여 지고 있는 채널이
제어가 됩니다.
예> LocalKbdCh : 1 외부의 콘트롤러 채널 : 1
현재 프로그램에서 선택된 채널 : 5
외부의 건반을 칠 때 5 번채널의 소리로 연주가 됩니다.
LocalKbdCh : 1 외부의 콘트롤러 채널 : 2
현재 프로그램에서 선택된 채널 : 5
외부의 건반을 칠 때 K2500/X 은 반응하지 않습니다.
LocalKbdCh : None 외부의 콘트롤러 채널 : 1
현재 프로그램에서 선택된 채널 : 5
외부의 건반을 칠 때 1 번채널의 소리로 연주가 됩니다.
BankSelect - 현재의 K2500/X 이 어떤 Bank Select 신호에 의해서 반응할 것인지를
설정해 줍니다.
PowerMode - K2500/X 의 전원을 껐다 켰을 때 초기 설정을 어떻게 할것인지를
설정합니다.
Demo User
Master Mode KB3 Channel 1 사용자 지정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5
Control Both 사용자 지정
Channel 1 사용자 지정
MIDI Transmit
Mode
Transpose 0 ST 사용자 지정
Effects Mode FX Mode Auto 사용자 지정
FX Channel Current 사용자 지정
Disk Mode Current Disk Floppy 사용자 지정
User 의 경우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setting 을 그대로 유지하게 됩니다.
CHANLS (Channels) Page
MIDIMode : CHANNELS <>Channel : 1
Enable : On
Program : 1 Acoustic Piano PrgLock : Off
Pan : 64 PanLock : Off
Volume : 127 VolLock : Off
OutPair : Prog
OutGain : Prog
XMIT RECV CHNLS PrgChg RsetCh Panic
Enable - 선택된 채널을 켜거나 끌수 있습니다.
Program - 하나의 프로그램을 현재의 채널에 할당시킵니다. PrgLock 이 On 되어
있지 않다면 MIDI 를 통하여 수신되는 프로그램 체인지 명령에 의해 프로그램은
바뀌게 됩니다.
Pan- Output 페이지에 설정된 현재 채널의 팬 위치를 설정합니다. PanLock 이 On
되어 있지 않다면 MIDI 를 통하여 수신되는 PAN(MIDI 10) 명령에 의해 팬은
바뀌게 됩니다.
Volume- 현재 채널의 음량을 설정합니다. VolLock 이 On 되어 있지 않다면 MIDI
를 통하여 수신되는 PAN(MIDI 7) 명령에 의해 음량은 바뀌게 됩니다.
OutPair - 현재 선택된 채널에 할당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오디오 출력 그룹을
설정합니다.
OutGain - 현재 선택된 채널에 할당되는 프로그램에 대한 오디오 출력들의
레벨들을 올리거나 낮추는데 사용합니다.
PrgLock , PanLock , VolLock (Program Lock, Pan Lock , Volume Lock) - 이것이 On 으로
설정이 되어 있다면 Program Change, Pan , Volume 은 각 MIDI 콘트롤 메시지에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6
대해서 응답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 프로그램,팬, 볼륨 설정값은 MIDI 가 아닌
패널을 통해서만 변경이 가능해 집니다.
PrgChg ( Program Change) Page
Send Program Change :
On Channel 1 , Send Program 0
Chan - Chan + Prog - Prog + Send Cancel
이 페이지를 통해서 각 채널별로 (Chan- , Chan +) 프로그램을 설정하고(Prog -,Prog
+) 프로그램 체인지 신호를 보낼수 있습니다.(Send)
예를 들어 K2500/X 과 연결된 다른 기기의 채널 3 번의 프로그램을 31 번으로
변경하고 싶다면 Chan +,Chan - 버튼을 이용하여 On Channel 을 3 으로 맞추고
Send Program 을 31 로 맞춘후에 Send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RsetCh (Reset Channel )
이 버튼을 누르면 K2500/X 의 모든 채널을 재설정할 것인지에 대한 여부를 묻는
메시지가 나오며 여기에서 Yes 를 선택하면 CHANLS 페이지상의 모든
설정값들이 기본 값들로 돌아 갑니다
Panic
이 소프트 버튼은 All Notes Off 와 All Controllers Off 메시지를 K2500/X 과 모든
MIDI 채널로 전송합니다.
7. Quick Access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이번 시간은 K2500 / X 의 Quick Access Mode 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Q u i c k A c c e s s 에서… 음색 선택하는 방법
Quick Access 모드(Mode) 는 빠르게 소리를 찾는 모드로 10 개의 소리를
뱅크라고 하는 공간에 모아 놓고 그 뱅크에 있는 소리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빠르게 선택할수 있는 모드입니다. 이 모드는 특히 라이브 연주시( 공연이나
교회의 반주등) 아주 유용한 모드입니다.
1 . Q u i c k A c c e s s B a n k 의 선택
우선 Q.Access (Quick Access) 버튼을 눌러서 Quick Access 모드로 들어
갑니다.
위의 그림에서 제일 상단의 QuickAccessMode <> Bank:1 For Show 1 는 현재
뱅크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QuickAccessMode - 현재 Quick Access Mode 에 위치해 있음을 나타내
줍니다.
<>Bank : 1 - 현재 뱅크 1 에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화면 왼편에 있는
Chan/Bank 버튼 (▲,▼) 을 눌러서 뱅크를 움직일수 있습니다.
Chan/Bank 버튼을 누를 때 마다 뱅크가 움직이며 (<>Bank : 2, <>Bank : 3 ,
…) 그 화면에는 새로운 10개의 음색이 보여질 것입니다.
For Show 1 - 그 뱅크의 이름입니다. 각 음색마다 이름이 있듯이 소리를
모아 놓은 뱅크에도 각각 그 이름이 있습니다. 현재의 뱅크의 이름은 For Show
1 입니다.
그 아래에 놓여 있는 10개의 음색(Silk Rhodes , POLY TOUCH ,
Voice+String ,NastyTrombone, SINK MONSTA …) 은 현재 뱅크에 모여 있는
프로그램과 셋업음색들입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2
2 . K e y p a d 버튼을 이용하는 법
뱅크를 이루고 있는 10개의 음색들은 10개의 Keypad( 0 ~ 9 까지의 번호가 써
있는 버튼) 와 일대일 대응을 합니다.
Silk Rhodes POLY TOUCH Voice+String 1 2 3
NastyTrombone SINK MONSTA Waterflute 4 5 6
Soon Jazz Trio2 Fretless Bas 7 8 9
VALVETEEN 0
화면상의 10개의 음색 배치 Keypad
위의 그림과 같이 각각의 소리는 각각의 버튼에 해당합니다. 예를 들어
Fretless Bas 음색을 선택하고 싶다면 그 위치에 해당하는 9번 버튼을 누르면
선택이 됩니다.
즉 하나의 버튼 만으로 음색을 선택하게 되는 것입니다.
3 . 커서 이동키를 이용하는 법
이제 커서 이동키를 한번 눌러 보도록 하겠습니다.
커서 이동키의 화살표 방향대로 선태되어진 음색이 움직이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4 . 알파휠 및 + , - 버튼을 이용하는 법
l 여기서 잠깐 - 이미 눈치를 채셨을지 모르겠지만… 알파휠을 오른쪽으로
돌리는 것은 +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역할을 알파휠을 왼쪽으로 돌리는
것은 - 버튼을 누르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됩니다.
Quick Access Mode 에서 +,- 의 의미는 선택되어진 음색을 오른쪽으로 움직일
것인지(+) 왼쪽으로 움직일 것인지(-) 를 의미합니다.
Silk Rhodes POLY TOUCH Voice+String Silk Rhodes POLY TOUCH Voice+String
NastyTrombone SINK MONSTA Waterflute + NastyTrombone SINK MONSTA Waterflute
이제는 실제 연주시에 상당히 유용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번 장에서는 Quick
Access 의 Bank 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여러분이 자주 사용하는 소리 또는 하나의 뱅크로 묶고 싶은 소리를 찾아서
리스트(List) 를 작성하십시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3
다 찾으셨으면 Quick Access Mode 로 가셔서 Bank 9 : Basic QA Bank 로 움직인후
Edit 버튼을 누르십시오.
Edit Quick Access <> Entry : 0
198 Click
199 Default Program
Entry : Type : 1 Acoustic Piano
2 Stage Piano
3 Brite Grand
4 ClassicPiano&Vox
Name Save Delete Dump
화면 상단
Edit Quick Access - 현재 Quick Access 를 편집하고 있는 상태임을 보여줍니다.
< > Entry: 0 - 여기서의 Entry 번호는 Quick Access Mode 에서 각
키패드(숫자들이 써 있는 버튼) 에 해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현재 < > Entry : 0
은 키패드에서 0 을 눌렀을 때 어떤 프로그램 또는 셋업이 선택되게 할 것인지를
정하는 것입니다.
화면 중간
Entry - 여기서의 Entry 번호는 Quick Access Mode 에서 각 키패드(숫자들이 써 있는
버튼) 에 해당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즉 현재 0 은 키패드에서 0 을 눌렀을 때
어떤 프로그램 또는 셋업이 선택되게 할 것인지를 정하는 것입니다. Entry 번호를
바꾸는 방법으로는 Chan/Bank 버튼( ▲ , ▼ ) 을 이용하는 방법과 화면 중간의
Entry 번호를 움직여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Type - 프로그램에 있는 소리를 선택할 것인지 셋업에 있는 소리를 선택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제일 오른편에서 선택하려는 악기소리를 선택합니다.
화면 하단
Name - 새로 만든 뱅크의 이름을 만들어 줍니다. 이름을 만드는 방법은
프로그램에서 이름을 만드는 방법과 동일합니다.
Save - 새로 만든 뱅크를 저장합니다. Save 버튼을 누른후 저장할 뱅크의 번호를
선택후 다시 Save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4
Delete - 뱅크를 삭제하려고 할 때 사용합니다. Delete 버튼을 누른후 지우고자
하는 뱅크를 선택하시고 다시 Delete 버튼을 누르시면 그 뱅크가 삭제 됩니다.
Dump - 외부의 다른 미디기기에 Quick Access bank 에 대한 정보를 보낼 때
사용합니다.
이렇게 해서 K2500/X 의 Quick Access Mode 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은 K2500/X 의 Effect Mode 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8. Effect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이번 시간은 K2500 / X 의 Effect Mode 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K2500/X 의 이펙트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프로그램이나 셋업을 선택할 때 K2500/X
이 어떤 방식으로 이펙트를 선택하게 할것인지를 설정하거나 또는 새로운
이펙트의 종류를 만들어 낼 때 사용하게 됩니다.
이제 Effects 버튼을 눌러서 이펙트 모드로 들어갑니다.
E f f e c t s M o d e X p o s e : 0 S T < > C h a n n e l : 1
Effect : 1 Sweet Hall
Wet/Dry : 50 %
FX Mode : Auto
FX Chan : Current
Dither : Medium
O c t a v - O c t a v + P a n i c C h a n - C h a n +
화면 상단
E f f e c t s M o d e – 현재의 화면이 이펙트 모드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X p o s e : 0 S T – 현재의 음색에 대한 조옮김 상태를 보여 주고 있습니다.
< > C h a n n e l : 1 – 현재의 음색이 사용하고 있는 채널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화면 하단
O c t a v - - 현재의 음색을 한 옥타브 아래로 조옮김시킵니다.
O c t a v + - 현재의 음색을 한 옥타브 위로 조옮김시킵니다.
P a n i c – 끊이지 않는 음이 있을 때 모든 소리나는 음을 없애는데 사용됩니다.
C h a n - - 현재의 채널을 한채널 아래로 내릴 때 사용합니다.
C h a n + - 현재의 채널을 한채널 위로 올릴 때 사용합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2
화면 중간
E f f e c t : 1 S w e e t H a l l - 사용자가 이펙트 모드에 있는 동안 이
파라미터를 변경시켜서 프로그램이나 셋업의 편집없이 각종 이펙트의 효과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볼수 있습니다.
W e t / D r y : 5 0 % - 위의 파라미터와 마찬가지로 이펙트 모드에 있는 동안
Effect 에서 변경시켜준 이펙트의 종류에 대해서 얼마만큼의 이펙트를
사용할것인지 그 양을 설정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수 있게 해 줍니다.
F X M o d e : A u t o - 사용자가 K2500/X 에서 프로그램이나 셋업을 사용할 때
K2500/X 가 이펙트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정합니다.
F X M o d e 가 M a s t e r 인 경우 :
사용자가 어떤 프로그램이나 셋업을 선택하든지 상관없이 위의 Effect :
에서 설정한 이펙트로 고정이 되게 되며 그 이펙트 양은 Wet/Dry : 값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F X M o d e 가 P r o g r a m 인 경우 :
FX Chan 에서 설정한 Channel 의 프로그램(Program) 에서 설정된 -프로그램
편집기의 이펙트 페이지에서 설정한- 이펙트를 선택하게 됩니다.
Setup Mode 를 사용하게 되면…??? 이라는 의문이 생기죠?
Setup Mode 를 사용할 경우에는 FX Chan 에서 설정한 채널의
프로그램(셋업은 총 8개까지의 프로그램으로 구성이 되어 있고 그 프로그램들이
각각의 채널을 할당받게 됩니다.)에서 설정된 이펙트가 선택됩니다.
F X M o d e 가 S e t u p 인 경우 :
셋업(Setup) 에서 설정된 – 셋업 편집기의 이펙트 페이지에서 설정한 –
이펙트를 선택하게 됩니다. K2500/X 의 셋업을 선택할때마다 각 셋업에서
설정된 이펙트가 선택이 되며 프로그램을 선택하게 되면 셋업에서 마지막으로
선택되었던 이펙트가 그대로 유지되게 됩니다.
F X M o d e 가 A u t o 인 경우 :
사용자가 셋업을 선택하면 셋업에서 설정한 이펙트를 선택하고 프로그램을
선택하면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이펙트를 선택하게 됩니다.
F X C h a n : C u r r e n t –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FX Mode 에 따라서 선택될
이펙트의 채널을 설정합니다. FX Chan 의 내용은 FX Mode 에 따라서 그 내용이
차이가 생깁니다.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3
F X M o d e 가 M a s t e r 인 경우 :
FX Mode 가 Master 인 경우 FX Chan 과는 상관없이 이펙트의 종류와 양이
결정됩니다. 하지만 FX Chan 에서 정해준 MIDI 채널을 이용하여 외부의 MIDI
기기로부터 K2500/X 의 이펙트를 실시간으로 제어할수 있습니다. FX Chan 을
None 으로 설정하면 MIDI 신호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이펙트를 콘트롤할수 없게
됩니다.
F X M o d e 가 P r o g r a m 인 경우 :
FX Chan 이 1 ~ 16 인 경우는 FX Chan 에서 설정한 채널의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이펙트가 선택됩니다. FX Chan 이 Current 인 경우는 화면에서 보이는
채널(Current Channel)의 프로그램에서 설정한 이펙트를 선택하게 됩니다.
F X M o d e 가 S e t u p 인 경우 :
FX Chan 은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됩니다. ( None 으로만 표시가 됩니다. )
F X M o d e 가 A u t o 인 경우 :
이펙트는 FX Chan 과 상관없이 사용자가 선택하는 각각의 프로그램이나
셋업에 대하여 자동으로 선택됩니다.
D i t h e r : M e d i u m - Dithering 은 디지털 신호의 왜곡을 줄이기 위해서
아주 작은 디지털 노이즈를 첨가하는 것입니다. 사용자는 Flat, Minimum,
Medium, Maximum 이렇게 4가지의 Dither 를 선택할수 있고 또는 None 을
선택하여 Dither 를 사용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이펙트 편집( 새로운 이펙트의 구성)
이펙트를 편집하는데에는 이펙트 모드에서 Effect : 에서 Edit 버튼을 눌러서
이펙트 편집모드로 들어가는 방법과 프로그램 또는 셋업 모드의 이펙트
페이지에서 Edit 버튼을 눌러서 이펙트 편집페이지로 들어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자 .그럼 위의 화면에서 Effect : 1 Sweet Hall 에서 Edit 버튼을 눌러 보도록
하겠습니다.
E d i t E f f e c t < > C o n f i g : U l t i m a t e R e v e r b
DecayTime: 1.0s EarlyDly : 1ms Dry Level : 0
Room Vol : 0.8 EarlyDff : 5 Early Lvl : 8
HFDamping : 8 LaterDly : 9ms Later Lvl : 0
Envelpmnt: 0 LaterDff : 0
N a m e S a v e D e l e t e D u m p
영창 커즈와일 K2500 사용법 4
화면 상단
E d i t E f f e c t - 현재의 화면이 이펙트 편집화면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 > C o n f i g : U l t i m a t e R e v e r b - 현재의 이펙트의 종류를 보여주고
있으며 Chan/Bank △ ,▽ 버튼을 이용하여 그 종류를 변경시킬수 잇습니다.
( 이펙트의 종류는 Performance Guide 매뉴얼의 9-7 에 나와 있으며
매뉴얼에서 보듯이 총 27가지 종류중에서 선택할수 있습니다.)
화면 중간
그리고 화면 중간의 각종 파라미터들은 위에서 선택한 이펙터의 종류에 따라서 그
파라미터들 또한 바귀게 됩니다. 각각의 파라미터들은 Performance Guide
매뉴얼의 9-8 부터 9-23 에 나와 있으며 이 파라미터들을 조작하여 새로운
이펙트 프리셋을 구성할수 있게 됩니다.
실습> 프로그램 199 Default Program 을 선택한후 Effect Mode 로 갑니다.
Wet/Dry 값을 42% 정도로 하고 Edit 버튼을 누릅니다.
이제 각 파라미터들을 움직이며 소리의 변화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혹시 마음에 드는 이펙트가 만들어 졌다면…
화면 하단
N a m e – 새로 저장할 이펙트의 이름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이름을 입려하는
방법은 이미 앞절에서 설명이 되었으므로 생략하도록 하겟습니다.)
S a v e – 저장할 번호를 지정합니다. 저장(Save) 하는 방법도 역시 기존의
방법과 같습니다. ( Save 버튼을 누른후 저장할 번호를 지정하고 다시 Save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D e l e t e – 현재의 이펙트를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D u m p – 현재의 이펙트에 대한 내용을 외부의 MIDI 기기에 System Exclusive
데이터로 전송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이렇게 해서 K2500/X 의 Effect Mode 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주에는 K2500/X 의 셋업모드와 셋업편집(Setup Editing) 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9. Setup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이번 시간은 K2500 / X 의 Setup Mode 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K2500/X 의 Setup 은 총 8개까지의 프로그램(Program) 으로 구성이 되며 각각의
프로그램(Program)은 각기 1개의 MIDI 채널을 사용하게 됩니다. 따라서 Setup 에
있는 음색의 경우 총 8개까지의 MIDI 채널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제 Setup 버튼을 눌러서 Setup Mode 로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Setup Mode Xpose : 0 ST .
6 Kogs & Things
Chan/Program Info 7 Desert Soil
1 72 Warm Bass 8 Mellow Big Band
3 137 Dyn Big Ba 9 Fusion Split
4 54 Light Kit 10 Touch Rock Band
11 Pluck Synths
Octav - Octav + Panic Sample
화면 상단 :
Setup Mode – 현재의 K2500 의 상태를 설명하여 주는 것으로 지금은
Setup Mode 에 있음을 표시하여 줍니다.
Xpose – Transpose (조옮김) 을 나타냅니다. ST 는 Semi Tone 을 나타내며 1
Semi Tone( ST ) 은 하나의 반음을 의미합니다. 즉 위의 화면과 같이 0 ST
이라고 되어 있으면 조옮김이 되어 있지 않은 상황임을 나타냅니다.
화면 중간 :
화면 왼편에 보이는 창은 현재 셋업의 Channel 과 Program Information (현
재의 셋업이 어떠한 프로그램들로 구성되어 있는가)을 보여 주며 각 프로
그램 밑에 그어져 있는 밑줄은 각 프로그램이 어떤 영역에서 소리가 나는
지를 나타내 줍니다. 예를 들어 위의 8 Mellow Big Band 라는 셋업 의 경
우는 프로그램 72 Warm Bass 와 프로그램 137 Dyn Big Band , 그리고 프로그
램 54 Light Kit 이라고 하는 3 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셋업이며 72
WarmBass 와 프로그램 54 Light Kit 은 저음부에서 프로그램 137 Dyn Big
Band 는 건반의 고음역에서 소리가 나게 설정되어 있음을 보여 주고 있
습니다.
프로그램(Program) 이 3 개 이상 사용되어진 셋업의 경우는 왼편의 창에
Key Range Info 라는 표시와 함께 각각의 프로그램이 사용되어지는 영역만
을 선으로 표시하여 주게 됩니다.
예를 들어 9 Fusion Split 의 경우에는 왼편의 창에 Key Range Info 라는 표
시와 함께 두개의 프로그램은 높은 영역에서 두개의 프로그램은 낮은 영
역에서 소리가 할당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여기서 각 프로그램들은 하나의 Zone 이라고 하는 개념을 사용하게 됩니
다. ( 하나의 Zone 에 MIDI 채널을 할당하고 그 Zone 에서 사용할 프로그
램을 할당하고 건반 영역을 할당하는 등의 설정을 하여 하나의 Zone 을
만들게 됩니다.
Zone 버튼의 이해…
위의 예에서 8 번 Mellow BigBand 를 선택하였을 때 왼편 8 개의 슬라이더
위에 있는 8 개의 버튼중 1,2,3 번 버튼에 불이 들어와 있는 것을 볼수 있
습니다. 이제 6 번 Kogs & Things 라는 Setup 을 선택하면 Key Range Info 라
고 하는 창에 총 8 개의 밑줄이 그어져 있고(8 개의 존이 사용되어진 것을
의미.) 왼편의 슬라이더 위의 버튼에도 8 개 모두 불이 들어와 있음을 볼수
있습니다.(6 개는 녹색불, 2 개는 주황색 불)
왼편의 8 개의 버튼은 8 개의 존에 대한 상황을 나타내 주는 버튼들입니다.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각각의 존이 각각의 버튼을 표시해 줍니다.(예를 들
어 8 Mellow BigBand 의 경우 Zone 1 은 1 번 버튼에 Zone 2 는 2 번 버튼에
Zone 3 은 3 번 버튼에 각각의 상태를 나타내 주고 있습니다.)
이제 여기서 1 번 버튼을 눌러 보시기 바랍니다. 1 번 버튼의 색이 녹색에
서 주황색으로 변하고 건반의 왼쪽 부분에서 나던 베이스(Warm Bass)소리
가 나지 않게 될 것입니다.
이렇듯 존에 할당된 버튼을 이용하여 각각의 존을 활성화(Active) , 또는 비
활성화(Mute) 시킬수가 있습니다.
또한 슬라이더의 왼편에 있는 Solo 버튼을 이용하여 각각의 존을 솔로로
연주 할수도 있습니다. ( 위의 상황에서 Solo 버튼을 누르면 1 번 버튼이
빨간색으로 변하고 건반을 연주하면 베이스소리-빨간불이 들어온 존-만 나
게 될것입니다. 이렇듯 솔로상태는 솔로로 선택한 존만 소리가 나게 됩니
다. )
위의 내용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LED Color ( 버튼의 색깔 ) 존의 상태
빨간색 솔로 상태
녹색 ( 다른 버튼의 버튼중 빨간색이 없는 경우) 활성화 상태
녹색 ( 다른 버튼 중 빨간색이 있는 경우) 솔로인 존에 의해서 비활성화
주황색 비활성화 ( 뮤트 ) 상태
꺼져 있는 경우 현재의 존은 사용하지 않고 있음
위의 버튼들을 잘 활용하면 실제 연주시에 굉장히 다양한 악기소리의 조
합과 연주의 편리성을 제공받을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연주자가 사용할 8 개의 소리를 각각의 존에 할당시키고 솔로
버튼을 이용하여 빠르게 각기 다른 8 개의 악기소리를 선택할수 있음은 물
론 솔로기능을 해제시키고 뮤트 기능을 이용하면 간단하게 원하는 소리를
섞어서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화면 하단 :
Octav - , Octav + : 여기에 해당하는 소프트 버튼을 누를 때 마다 현재 사
용하고 있는 프로그램을 한옥타브 위로( Octav +) 또는 아래로( Octav - ) 조
옮김시킵니다. Octav – 버튼을 누를때마다 화면 상단의 Xpose 는 0 ST , - 12
ST, -24 ST … 으로 바뀌게 되고 Octav + 버튼을 누를때마다 Xpose 는 0 ST ,
12 ST, 24 ST … 으로 바뀌게 됩니다. (12 ST- Semi Tone – 씩 바뀌는 이유는
한 옥타브가 12 개의 반음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 입니다. ) 조옮김이 어
떻게 되어 있든지 상관없이 Octav – 와 Octav +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Xpose 는 기본값인 0 ST 으로 돌아 오게 됩니다.
Panic : 가끔 작업을 하다보면 소리가 끊기지 않는 경우를 경험하실 때가
있을 것입니다. 이는 K2500 에 건반을 눌렀다는 신호( Note On 메시지) 는
입력이 되었는데 건반을 떼었다는 신호( Note Off 메시지 )가 입력이 안되
므로 생기는 현상으로 이 때 Panic 버튼을 누르면 K2500 의 모든 건반에
서 손을 떼라는 신호( All Notes Off )를 만들어 내고 따라서 끊이지 않고 나
던 소리가 멈추게 됩니다.
Sample : 이 버튼은 K2500 의 Sample 을 편집할 때 사용이 되어 집니다.
자세한 내용은 12 장 Sample 의 편집에서 다루기로 할 것입니다.
사용자가 효과적인 Setup 편집을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Setup 들을 경험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 위해서 K2500/X 이 가지고 있는 Setup 을 하나 하나 유심히
살펴 볼 것을 권해 드립니다. 이를 통해서 여러분은 다양한 Setup 에 대한 아이디어
를 얻게 될 것입니다. (또한 Setup Mode 에서는 K2500/X 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콘
트롤러들이 각각 어떤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지에 주의를 기울여 보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리본을 조작하였을 때 건반을 세게 치고 약하게 쳤을 때 페달을 밟았을
때 각각 어떤 효과들이 있는지…)
Setup Mode 는 위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8 개의 존(MIDI 채널) 을 통해서 연주시에
다양한 효과를 만들어 낼수도 있지만 MIDI Mode 의 Ctl Setup (Control Setup) 을 통
해서 K2500/X 을 Master Controller 로서 어떻게 사용할것인지를 프로그래밍할수도
있게 됩니다.
이제 다음시간 부터는 Setup Mode 의 편집에 대해서 다루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9. Setup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 2 )
이번 시간은 K2500 / X 의 Setup Mode 그 두번째 시간으로 Setup Mode 의 편집
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K2500/X 에서 Setup 편집을 하는 방법은 기존의 Setup 을 변형시키는 방법과
K2500/X 에서 제공하는 기본 Setup( 99 Default Setup )으로부터 새로운 Setup 을
만들어 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여기서는 99 Default Setup 으로부터 새로운 Setup
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서 다룰 것입니다.
이제 Setup Mode 로 가서 99 Default Setup 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Edit 버튼을
눌러서 편집모드로 들어가겠습니다.
E d i t S e t u p : C H / P R G < > Z o n e 1 / 1
LocalPrg: 1 0 D y n o E P i a n o Out: Prog
Channel : 1 Destination : Local + MIDI
MIDIBank: 0 MIDIBankMode: Ctl 32
MIDIProg: 10 EntryProgChg: On
Status : Active ZoneArpeg : On
< m o r e C H / P R G K E Y V E L P A N V O L B E N D m o r e >
화면 상단 :
Edit Setup : CH/PRG - 현재의 화면이 Edit Setup 상태이며 그중에서 CH/PRG
(Channel 과 Program 에 관련된 편집을 하는 …)페이지임을 표시하여 주고 있습니
다. 뒤의 CH/PRG 는 화면 하단의 소프트 버튼을 누를때 마다 그 페이지의 정보를
보여주게 됩니다.
<> Zone 1/1 - 앞서 설명한 것 처럼 <> 표시가 있는 경우는 Chan/Bank 버튼을 이
용하여 그 값을 위,아래로 변경할수 있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기서는 현재의 Setup
이 총 몇 개의 Zone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지금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몇번째 Zone 에 대한 정보인지를 표시하여 줍니다. 현재의 표시는 모두 1개의 Zone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첫번째 Zone 에 대한 정보를 보여 주고 있음을 나타냅
니다.
화면 중간 :
이 내용은 화면 상단의 Edit Setup : CH/PRG 에 대한 내용을 표시하여 줍니다. 따
라서 소프트 버튼을 통하여 그 페이지가 바뀌게 되면 내용이 바뀌게 되며 그 내용
에 대해서는 후에 하나하나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화면 하단 :
화면의 하단에는 Setup 편집과 관련된 각종 페이지들을 선택할수 있도록 열거되어
있으며 그 페이지의 수가 6개를 초과하기 때문에 <more , more> 버튼을 통하여 확
장된 소프트 버튼으로 이용되게 됩니다. 이제 more> 버튼을 눌러 가며 Setup Edit
Mode 에서의 편집 파라미터들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 m o r e C H / P R G K E Y V E L P A N V O L B E N D m o r e >
CH/PRG - 각각의 존이 사용할 MIDI 채널과 프로그램(Program 에 있는 음색)을 선
택하며 외부의 MIDI 기기 제어 여부등을 설정하게 됩니다.
KEYVEL - 각각의 존이 사용할 건반의 영역(Key Range) 와 건반을 치는 세기
(Velocity) 에 따른 존의 활성화여부(Velocity Range) 등의 건반과 관련된 설정을
하게 됩니다.
PANVOL - 각각의 존에 대하여 음량( Volume ) 과 소리의 좌우 위치 (Pan) 에 대
한 값을 설정합니다.
BEND - 각각의 존에 대하여 Pitch Wheel 이나 리본에 의한 음정의 변화를 얼마
만큼 변하게 할것인지 그 범위를 설정하게 됩니다.
m o r e > 버튼을 누르면…
< m o r e S L I D E R S L I D / 2 F O O T S W C P E D A L m o r e >
SLIDER - 각각의 존에 대하여 Slider A,B,C,D ( K2500 의 왼편에 위치한 8개의
슬라이더 중 A,B,C,D 라고 인쇄되어 있는 4개의 슬라이더) 가 각각 어떤 역할을 하
게 될것인지를 설정하여 줍니다.
SLID/2 - 각각의 존에 대하여 Slider E,F,G,H ( K2500 의 왼편에 위치한 8개의
슬라이더 중 E,F,G,H 라고 인쇄되어 있는 4개의 슬라이더) 가 각각 어떤 역할을 하
게 될것인지를 설정하여 줍니다.
FOOTSW - 각각의 존에 대하여 K2500 의 Switch Pedals 1,2,3,4 단자에 연결된 4
개의 페달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게 될것인지를 설정하여 줍니다.
CPEDAL - 각각의 존에 대하여 K2500 의 CC Pedals/Breath 1,2 단자에 연결된 2개
의 페달( 그중에서 CC Pedal 2번은 입으로 불어서 MIDI 신호를 만들어내는 Breath
Controller 를 연결하여 사용할수 있습니다.) 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게 될것인지를
설정하여 줍니다.
m o r e > 버튼을 누르면…
< m o r e R I B B O N W H E E L S W I T C H P R E S S m o r e >
RIBBON - 각각의 존에 대하여 K2500 의 라지리본(Large Ribbon) 과 스몰리본
(Small Ribbon) 이 각각 어떤 기능을 하게 할 것인지를 설정하게 됩니다.
WHEEL - 각각의 존에 대하여 K2500 이 가지고 있는 두개의 Wheel ( 건반의 왼편
에 위치한 두개의 휠로 하나는 항상 중간위치로 돌아오는 휠이며-이것을 피치 휠이
라고 합니다- 하나는 움직인 위치에 그대로 고정되는 휠-이것을 모듈레이션 휠이라
고 합니다- 입니다 )이 각각 어떤 기능을 수행할것인지를 설정하는 페이지입니다.
SWITCH - 각각의 존에 대하여 K2500 의 두개의 Panel Switch (두개의 휠 위에 위
치한 두개의 스위치) 가 각각 어떤 기능을 하게 할 것인지를 설정해 주게 됩니다.
PRESS - 각각의 존에 대하여 K2500 이 만들어 내는 After Touch (건반을 치고
난후 다시 한번 압력을 가하여 소리의 변화를 일으키는 효과 …) 를 통하여 어떤 기
능을 하게 할 것인지를 설정해 주게 됩니다.
m o r e > 버튼을 누르면…
< m o r e N a m e S a v e D e l e t e D u m p m o r e >
N a m e - 새롭게 편집된 Setup 의 이름을 입력할 때 사용합니다.
S a v e - 새롭게 편집된 Setup 의 번호를 지정하고 저장하게 합니다.
D e l e t e - 현재의 편집중인 Setup 을 삭제 합니다.
Dump - 현재의 편집중인 Setup 을 System Exclusive 데이터로 외부의 MIDI 기
기에 전송할 때 사용합니다.
m o r e > 버튼을 누르면…
< m o r e N e w Z n D u p Z n I m p Z n D e l Z n m o r e >
NewZn - 하나의 새로운 존을 만들어 냅니다. 예를 들어 지금 이 버튼을 누르게
되면 화면 상단 우측의 <> Zone 1/1 은 <>Zone 2/2 로 바뀌게 되며 Chan/Bank 버튼
을 이용하여 <> Zone 1/2 와 <>Zone 2/2 를 선택할수 있게 될 것입니다.
DupZn - 현재의 존과 같은 내용의 존을 만들어 내게 됩니다. 이 버튼을 누르게
되면 <> Zone 3/3 으로 바뀌게 될 것입니다.
I m p Z n - 다른 Setup 에서 사용하고 있는 Zone 을 복사해 올 때 사용합니다.
D e l Z n - 현재의 존을 제거(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m o r e > 버튼을 누르면…
< m o r e C o p y P a s t e C l e a r S e t R n g m o r e >
Copy - 현재 화면에 나타난 페이지의 내용을 K2500/X 의 버퍼라고 하는 임시
저장 공간에 복사할 때 사용합니다.
Paste - K2500 의 임시저장 공간(버퍼) 에 있는 내용을 현재 화면에 표시된 페
이지에 붙여넣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Clear - 현재 편집중인 페이지의 내용을 기본 설정값(Default)으로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SetRng - 각 존의 건반할당범위(Key Range – KEYVEL Page 에서 설명할 내용임)를
설정하는데 사용합니다.
m o r e > 버튼을 누르면…
< m o r e C O M M O N A R P E G R I B C F G m o r e >
COMMON - 현재 편집중인 Setup 에 대해서 접체적인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들을
설정합니다. ( 이 페이지는 전체의 존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ARPEG - 현재 편집중인 Setup 에서 아르페지에이터 라고 하는 기능을 프로그래
밍하는 페이지 입니다.( 이 페이지는 전체의 존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RIBCFG - K2500 에서 사용할 리본의 특성을 정해 주게 됩니다. ( 이 페이지는 전
체의 존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여기서 다시 more> 버튼을 누르면 처음의 페이지 CH/PRG KEYVEL PANVOL BEND
로 돌아오게 됩니다.
이렇게 해서 오늘은 각각의 페이지들에 대한 대략적인 기능을 살펴 보았습니다. 다
음시간에는 각각의 페이지에 대해서 구체적인 내용들을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9. Setup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3)
이번 시간은 K2500 / X 의 Setup Mode 그 세번째 시간으로 Setup Mode 의 편집
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CH/PRG Page ( Channel/ Program ) Page
이 페이지는 Setup 에서 Edit 버튼을 눌렀을때의 처음 화면이기도 합니다. 만약 다
른 화면에 있었다면 CH/PRG 버튼을 눌러서 현재의 페이지를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E d i t S e t u p : C H / P R G < > Z o n e 1 / 1
LocalPrg: 1 0 D y n o E P i a n o Out: Prog
Channel : 1 Destination : Local + MIDI
MIDIBank: 0 MIDIBankMode: Ctl 32
MIDIProg: 10 EntryProgChg: On
Status : Active ZoneArpeg : On
< m o r e C H / P R G K E Y V E L P A N V O L B E N D m o r e >
Local Prg ( Local Program) - 현재의 존(Zone) 에서 사용할 프로그램을 선택합니다.
Out - 현재 존(Zone) 의 출력 경로를 설정합니다.
A(FX) , B,C,D 의 개별 출력 경로를 설정할수도 있으며 Prog 로 선택한 경우
는 프로그램 상에서 설정된 출력경로대로 출력이 되게 됩니다.
Channel - 현재의 존(Zone) 이 사용할 채널을 설정합니다. (각 존은 각기 다른 채널
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Destination - 현재의 존(Zone) 이 그 연주 정보를 K2500 에 있는 소리를 이용할 것
인지(Local) 또는 미디(MIDI) 케이블로 연결된 외부의 기기를 사용할 것인지(MIDI) ,
또는 K2500 내부의 소리를 사용하면서 외부로도 그 연주 신호를 내보낼 것인지
(Local + MIDI ) 를 설정합니다.
MIDI Bank ,MIDI Prog(Program) - Destination 이 MIDI 로 설정된 경우 외부의 프로그
램에 대한 미디 뱅크와 미디 프로그램을 설정해 줍니다. 만약 외부의 미디 기기가
K2000 이나 K2500 등의 악기라면 미디 뱅크와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이 설정됩니다.
MIDI Bank : 백번대의 번호
MIDI Prog(Program) : 십번대와 일번대의 번호
예> 프로그램 458 번 -> MIDI Bank : 4 MIDI Prog : 58
MIDI Bank Mode - 미디 뱅크는 각 악기마다 설정을 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이에 미디 뱅크의 설정하는 방법을 설정해 줍니다. 이것은 K2500 에 연결된 외부
미디기기의 매뉴얼을 참고 하셔서 설정하셔야 합니다.
EntryProgChg - 다른 셋업에서 현재의 셋업이 선택되는 순간에(Entry) 현재의 존
(Zone) 의 프로그램이 바뀌게 할 것인지 (On) 안바뀌게 할 것인지(Off)를 설정합니다.
Status - 각 존(Zone) 의 상태를 설정합니다.
셋업에서는 모두 8 개까지의 프로그램을 8 개의 존(Zone) 에 할당시킬수 있으며 이
에 대한 정보는 화면 왼편의 8 개의 버튼에 나타납니다.
8 개의 버튼의 LED 가 녹색일 경우 이 존(zone)은 소리가 나는(Active) 상태입니다.
주황색일 경우는 소리가 안나는 상태입니다.( Muted) . 빨간색일 경우는 솔로-이 존
(Zone) 만 소리가 납니다- 상태입니다(Soloed).
Status 를 Solo/M 이라고 설정을 한경우 이 존(Zone) 은 Solo 로 상태와 Mute 상태
만으로만 설정이 되게 됩니다.
ZoneArpeg - K2500 은 건반을 누르므로 일정한 형식의 연주 패턴을 만들어 낼수
있는 아르페지에이터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 기능을 각 존별로 사용할 것인지 안
할 것인지를 설정해 줍니다.
KEYVEL ( Key & Velocity ) Page
KEYVEL 버튼을 눌러서 다음의 페이지를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Edit Setup : KEY/VEL < > Z o n e 1 / 1
LoKey : C –1 Transpose : 0 ST
HiKey : G 9 NoteMap : Linear
VelScale : 100 %
LoVel : 1 VelOffset : 0
HiVel : 127 VelCurve : Linear
< m o r e C H / P R G K E Y V E L P A N V O L B E N D m o r e >
이 페이지에서는 각 존(Zone) 에 대한 키와 벨로시티(건반을 치는 세기) 에 따른 그
존의 반응을 설정하게 됩니다.
LoKey , HiKey ( Low Key, High Key ) - 현재의 존(Zone) 이 어느 건반부터 어느 건반
까지 에서 작동이 될것인지를 설정해 줍니다. 예를 들어 LoKey : C4 Hi Key : C5 라고
설정이 되었다면 가운데 있는 '도'( 가운데에 C4 라고 써 있는 지점의 '도' ) 부터 한
옥타브까지만 소리가 나게 됩니다. 이것은 소리가 나는 것 보다는 현재의 존(Zone)
의 범위가 설정이 되는 것이고 설정된 범위에 있는 건반을 눌렀을 때 그 존이 반응
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 범위를 설정하는 또 하나의 방법으로 SetRng 라는 소프트 버튼을 눌러서 Low
Key 와 High Key 를 건반으로 눌러서 입력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SetRng (Set Range) 버튼을 누르면…
Strike Low Key… - 이 때 Low Key 로 설정할 건반을 누르십시오.
Strike High Key … - 이 때 HighKey 로 설정할 건반을 누르십시오.
Lo Vel , Hi Vel ( Low Velocity , High Velocity ) - 현재의 존(Zone) 이 건반을 어느 정도세
기부터 어느 정도 세기까지 쳤을 때 작동이 될것인지를 설정해 줍니다. 예를 들어
LoVel : 1 Hi Vel : 80 라고 설정이 되었다면 1이라는 세기부터 80 이라는 세기로 건반
을 쳤을때에만 소리가 나게 됩니다. 이것은 소리가 나는 것 보다는 현재의 존(Zone)
의 범위가 설정이 되는 것이고 설정된 범위의 세기로 눌렀을 때 그 존이 반응을 하
게 되는 것입니다.
K2500 은 제일 약하게 치는 것이 1, 제일 세게 치는 것이 127 의 값을 가지게 됩
니다.
Transpose - 현재의 존(Zone) 에 대해서 반음 단위(ST)로 조옮김을 할수 있습니다.
NoteMap - 앞서 설명한 LoKey ,HiKey 로 일정한 영역을 설정하였다면 Note Map 에
서는 앞서 설정된 영역 내에서 일정한 규칙의 영역을 설정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Note Map 이 White 로 설정이 되어 있다면 흰색 건반만 연주가 되고 검
은색 건반은 연주가 되지 않게 됩니다.
Off - 어느 건반을 쳐도 연주가 되지 않습니다. (이것은 Large Ribbon 으로 하프를
연주한다거나 할 때 건반에서는 하프소리가 나지 않고 리본으로만 하프를 연주하는
등의 셋업을 만들 때 유용합니다.)
Linear - 영역내의 모든 건반이 소리가 납니다.
Inverse - 영역내의 건반이 뒤집혀 져서 연주가 됩니다.
예를 들어 한옥타브위의 음을 쳤는데 소리는 한옥타브 아래의 음이 나오
게 됩니다.
Constant - 영역내의 건반이 모두 C4 음으로 연주 되게 됩니다. ( 만약 영역내의 건
반을 C4 음이 아닌 다른 음정을 내게 하고 싶다면 Transpose 를 이용하시면 됩니
다.)
1 of 2 : C4 를 중심으로 두개씩의 건반을 묶었을 때 첫번째 음이 연주 됩니다.
( C4, D4, E4, F#4, G#4, A#4, C5….)
2 of 2 : C4 를 중심으로 두개씩의 건반을 묶었을 때 두번째 음이 연주 됩니다.
( C#4, D#4, F4, G4, A4, B4, C#5…)
1 of 3 : C4 를 중심으로 세개씩의 건반을 묶었을 때 첫번째 음이 연주 됩니다.
( C4, D#4, F#4, A4, C5 …)
2 of 3 : C4 를 중심으로 세개씩의 건반을 묶었을 때 두번째 음이 연주 됩니다.
( C#4, E4 , G4 , A#4 , C#5…)
3.of 3 : C4 를 중심으로 세개씩의 건반을 묶었을 때 세번째 음이 연주 됩니다.
( D4, F4, G#4 , B4, D5 …)
1 of 4 : C4 를 중심으로 네개씩의 건반을 묶었을 때 첫번째 음이 연주 됩니다.
2 of 4 : C4 를 중심으로 네개씩의 건반을 묶었을 때 두번째 음이 연주 됩니다.
3 of 4 : C4 를 중심으로 네개씩의 건반을 묶었을 때 세번째 음이 연주 됩니다.
4 of 4 : C4 를 중심으로 네개씩의 건반을 묶었을 때 네번째 음이 연주 됩니다.
White : 흰색 건반만이 연주됩니다.
Black : 검은색 건반만이 연주됩니다.
Vel Scale ( Velocity Scale ) - 건반을 치는 세기에 따른 K2600 의 반응의 정도를 설정
해 줍니다.
다음의 곡선에서 X 축은 건반을 치는 물리적인 세기를 나타내며 Y 축은 그 치는
세기에 따른 K2600 의 반응정도를 나타내 줍니다.
100 % 200 % 50 %
위의 그림과 같이 100% 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일 세게 건반을 쳤을 때
Velocity 값이 127 을 나타내게 됩니다. 그러나 그 값을 200% 로 설정하게 되면 건
반을 중간정도의 세기로 치면 이미 127 에 해당하는 Velocity 값이 나오며 , 반대로
50 %로 설정을 하게 되면 아무리 세게 쳐도 64 에 해당하는 Velocity 값이 나오게
됩니다.
( Scale 은 이외에도 Slider 나 C Pedal , Ribbon 등의 연속적인 데이터를 만들어 내는
콘트롤러에서 모두 사용이 됩니다.)
Vel Offset (Velocity Offset) - 건반을 친 세기에 일정한 값을 더한 수치를 만들어 냅니
다.
100 % 100 %
Offset : Offset :
0 64
위의 그림과 같이 Offset 을 설정해 주면 현재 연주된 세기에 Offset 만큼의 수치가
더해진 값의 Velocity 값이 나오게 됩니다. 위의 오른쪽 그림의 경우 아무리 약하게
쳐도 Velocity 가 64 인 세기로 연주한 것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 Offset 은 Slider 나 C Pedal 과 같은 연속적인 데이터를 만들어 내는 콘트롤러 에
서는 Add 라는 파라미터로 똑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됩니다.)
VelCurve ( Velocity Curve ) - 건반을 치는 세기에 따른 K2500 의 반응정도를 다양하
게 바꾸어 줍니다.
위에서 본 것은 모두 Linear 한 Velocity 곡선이었으나 그이외에도 Expand, Compress
등등의 다양한 곡선을 가지고 있습니다.
Expand Compress
위의 그림과 같이 Expand 의 경우에는 벨로시티의 변화가 적다가 갑자기 변화가
커지는 모양이고 Compress 의 경우에는 벨로시티의 변화가 심하다가 완만해지는 형
태입니다.
( Curve 는 Slider 나 C Pedal 과 같은 연속적인 데이터를 만들어 내는 콘트롤러 에
서 동일하게 사용됩니다.)
PAN/VOL ( Pan / Volume ) Page
PANVOL 버튼을 눌러서 다음의 페이지를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Edit Setup : P A N /VOL < > Z o n e 1 / 1
EntryVolume : 1 2 7 EntryPan : None
Exit Volume : 127 Exit Pan : 64
< m o r e C H / P R G K E Y V E L P A N V O L B E N D m o r e >
Pan 은 소리의 좌우를 나타내며 Volume 은 소리의 음량을 나타냅니다.
EntryVolume , EntryPan - 현재의 셋업이 선택되어질 때의 각 존(Zone) 에 대한 Pan
과 Volume 값을 정해 줍니다.
ExitVolume, Exit Pan - 현재의 셋업에서 다른 셋업 또는 프로그램으로 움직일 때 각
존에 해당하는 채널의 음량(Volume) 과 팬(Pan) 을 설정해 줍니다.
Bend Page
BEND 버튼을 눌러서 다음의 페이지를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E d i t S e t u p : B E N D < > Z o n e 1 / 1
BendRange(ST): P r o g AuxBend1 Up : 12 ST
BendRange(ct): 0 ct AuxBend1 Dwn : 12 ST
AuxBend2 Rng : 2 ST
< m o r e C H / P R G K E Y V E L P A N V O L B E N D m o r e >
K2500 에는 Bend, Aux Bend 1, Aux Bend 2 이렇게 3 개의 음정을 변화시킬수 있는
요소가 있습니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이 각각의 요소에 대한 음정의 변화폭(Bend
Range) 을 설정하여 줍니다.
Bend Range(ST) - Pitch bend 에 할당된 범위를 설정합니다.K2500 에서는 일반적으로
Pitch Wheel 에 할당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Prog 으로 설정하면 프로그램에서 설정된
범위가 그대로 사용됩니다.
Bend Range(ct) - Pitch Bend 값을 cent 단위로 설정을 해 줍니다.
Aux Bend1 Up - Aux Bend 1 을 위로 올렸을 때 할당된 음정의 변화 범위를 설정합
니다.
Aux Bend1 Dwn - Aux Bend 1 을 아래로 내렸을 때 할당된 음정의 변화 범위를 설
정합니다.
( K2500 에서는 Large Ribbon 이 Aux Bend 2 에 대한 기본 설정으로 되어 있습니다. )
Aux Bend2 Rng - Aux Bend 2 에 대하여 할당된 음정의 변화 범위를 설정합니다.
( K2500 에서는 Small Ribbon 이 Aux Bend 2 에 대한 기본 설정으로 되어 있습니다. )
이렇게 해서 이번시간에는 Setup Edit 의 처음 4 개의 편집 파라미터들에 대해서 알
아 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다음의 4 개의 파라미터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
니다.
9. Setup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4)
이번 시간은 K2500 / X 의 Setup Mode 그 네번째 시간으로 Setup Mode 의 편집
중 연속적인 콘트롤러(Continuous Controller)의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SLIDER Page
SLIDER 버튼을 눌러서 현재의 페이지를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E d i t S e t u p : S L I D E R < > Z o n e 1 / 1
Dest : Scale: Add: Curve: Ent: Exit:
SlidA: Off 100 % 0 Lin None None
SlidB: Off 100 % 0 Lin None None
SlidC: Off 100 % 0 Lin None None
SlidD: Off 100 % 0 Lin None None
< m o r e S L I D E R S L I D / 2 F O O T S W C P E D A L m o r e >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Slider 페이지에서는 슬라이더 A 부터 D 까지의 4 개의 슬라
이더에 대해서 Dest(Destination)- 각각의 슬라이더가 어떤 역할을 하게 할것인지- 와
그 값을 적용하는 방법(Scale,Add, Curve ) , 그리고 초기값과 종료값(Ent, Exit) 을 설
정해 주게 되어 있습니다.
Dest (Destination) - 현재의 슬라이더로 어떤 것을 제어할 것인지를 정해 줍니다.
예를 들어 Slid A 의 Dest(Destination) 을 Volume 으로 설정하였다면 Slider A 를 올
리고 내리는 것에 따라 현재 선택된 존의 음량이 변화가 생길것입니다.
자세한 콘트롤 소스(Control Source) 의 자료는 Performance Guide Manual 의 7-21 부
터 7-23 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Scale – 지난주에 다뤘던 KEYVEL Page 의 VelScale 과 같습니다.
Add - 지난주에 다뤘던 KEYVEL Page 의 VelOffset 과 같습니다.
Curv( Curve) - 지난주에 다뤘던 KEYVEL Page 의 VelCurve 과 같습니다.
각각의 Curve 에 대한 그림은 Performance Guide Manual 의 7-13 부터 7-14 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Ent (Entry Value ) - 각 슬라이더에 대한 초기값을 설정하여 줍니다.
Exit (Exit Value ) - 현재의 셋업에서 다른 셋업 또는 프로그램으로 움직일 때 각 콘
트롤러에 대한 종료값을 설정하여 줍니다.
SLID/2 Page
SLID/2 버튼을 눌러서 현재의 페이지를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E d i t S e t u p : S L I D / 2 < > Z o n e 1 / 1
Dest : Scale: Add: Curve: Ent: Exit:
SlidE: Off 100 % 0 Lin None None
SlidF: Off 100 % 0 Lin None None
SlidG: Off 100 % 0 Lin None None
SlidH: Off 100 % 0 Lin None None
< m o r e S L I D E R S L I D / 2 F O O T S W C P E D A L m o r e >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SLID/2 페이지에서는 슬라이더 E 부터 H 까지의 4 개의 슬라
이더에 대해서 Dest(Destination)- 각각의 슬라이더가 어떤 역할을 하게 할것인지- 와
그 값을 적용하는 방법(Scale,Add, Curve ) , 그리고 초기값과 종료값(Ent, Exit) 을 설
정해 주게 되어 있습니다.
그 내용은 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합니다.
그 외에도 CPEDAL 이나 RIBBON, WHEEL, PRESS 페이지도 그 프로그래밍(편집)하
는 방법은 동일합니다. ( 다만 RIBBON 의 경우 그 콘트롤러의 특성상 RIBCFG 라
고 하는 페이지에서 리본의 성격을 정의해 주는 페이지가 하나 더 있습니다.)
이제 CPEDAL, RIBBON , WHEEL , PRESS 페이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CPEDAL Page
CPEDAL 버튼을 눌러서 현재의 페이지를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E d i t S e t u p : C P E D A L < > Z o n e 1 / 1
Dest : Scale: Add: Curve: Ent: Exit:
CPed1: Off 100 % 0 Lin None None
CPed2: Off 100 % 0 Lin None None
< m o r e S L I D E R S L I D / 2 F O O T S W C P E D A L m o r e >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CPEDAL 페이지에서는 CC Pedal 1 과 2 에 대해서
Dest(Destination) 와 그 값을 적용하는 방법(Scale,Add, Curve ) , 그리고 초기값과 종료
값(Ent, Exit) 을 설정해 주게 되어 있습니다.
RIBBON Page
RIBBON 버튼을 눌러서 현재의 페이지를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E d i t S e t u p : R I B B O N < > Z o n e 1 / 1
Dest : Scale: Add: Curve: Ent: Exit:
SmRib: AuxBend2100 % 0 Lin None None
SmPrs: MPress 100 % 0 Lin None None
LgRib: AuxBend1 100 % 0 Lin None None
< m o r e S L I D E R S L I D / 2 F O O T S W C P E D A L m o r e >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RIBBON 페이지에서는 라지리본과 스몰리본에 대해서
Dest(Destination) 와 그 값을 적용하는 방법(Scale,Add, Curve ) , 그리고 초기값과 종료
값(Ent, Exit) 을 설정해 주게 되어 있습니다.
스몰 리본의 경우 리본을 접촉한 지점에 따라서 하나의 콘트롤 값을 만들어 내기도
하고(SmRib) 리본을 누르므로써(SmPrs) 또다른 콘트롤 값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따라서 이 두가지의 콘트롤러에 대한 프로그래밍(편집)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
또한 라지 리본의 경우는 하나의 콘트롤러로 사용할수도 있지만 RIBCFG 에서 설정
을 하기에 따라서 3 개의 콘트롤러로 사용할수도 있으며 3 개의 콘트롤러로 사용하
게 될 경우에는 위의 화면은 다음과 같이 바뀌게 됩니다.
E d i t S e t u p : R I B B O N < > Z o n e 1 / 1
Dest : Scale: Add: Curve: Ent: Exit:
SmRib: AuxBend2100 % 0 Lin None None
SmPrs: MPress 100 % 0 Lin None None
Sect1: AuxBend1100 % 0 Lin None None
Sect2: Ctl D 100 % 0 Lin None None
Sect3: MIDI20 100 % 0 Lin None None
< m o r e S L I D E R S L I D / 2 F O O T S W C P E D A L m o r e >
WHEEL Page
WHEEL 버튼을 눌러서 현재의 페이지를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E d i t S e t u p : W H E E L < > Z o n e 1 / 1
Dest : Scale: Add: Curve: Ent: Exit:
PWhl : BendUp 100 % 0 Lin None None
MWhl : MWheel 100 % 0 Lin None None
< m o r e S L I D E R S L I D / 2 F O O T S W C P E D A L m o r e >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WHEEL 페이지에서는 피치 휠과 모듈레이션 휠에 대해서
Dest(Destination) 와 그 값을 적용하는 방법(Scale,Add, Curve ) , 그리고 초기값과 종료
값(Ent, Exit) 을 설정해 주게 되어 있습니다.
PRESS Page
PRESS 버튼을 눌러서 현재의 페이지를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E d i t S e t u p : P R E S S < > Z o n e 1 / 1
Dest : Scale: Add: Curve: Ent: Exit:
Press: MPress 100 % 0 Lin None None
< m o r e S L I D E R S L I D / 2 F O O T S W C P E D A L m o r e >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PRESS 페이지에서는 After Touch 에 대해서 Dest(Destination)
와 그 값을 적용하는 방법(Scale,Add, Curve ) , 그리고 초기값과 종료값(Ent, Exit) 을
설정해 주게 되어 있습니다.
오늘 이야기되었던 콘트롤러들은 연속적인 콘트롤을 가능하게 하는 콘트롤러이기
때문에 Continuous Controller 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이렇게 오늘은 Continuous Controller 를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
으며 다음 시간에는 불연속적인 콘트롤 값을 만들어 내는(마치 서스테인 페달과 같
이 …) 스위치 콘트롤러(Switch Controller) 의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이야기 하도록 하
겠습니다.
9. Setup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5)
이번 시간은 K2500 / X 의 Setup Mode 그 다섯번째 시간으로 Setup Mode 의 편
집중 스위치 콘트롤러의 프로그래밍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K2500/X 에서는 4 개의 FOOTSW ( Switch Pedal 1번부터 4 번 단자에 연결되는 스위
치 페달)와 2 개의 SWITCH ( 휠위에 놓인 2 개의 Panel Switch ) 가 스위치 콘트롤러
에 해당됩니다.
이 스위치를 이용하여 K2500/X 의 아르페지에이터 기능을 On/Off 시키거나 또는 서
스테인 페달의 기능을 사용하는등의 활용을 하게 됩니다.
그럼 이제 스위치 콘트롤러의 프로그래밍 요소(파라미터)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
겠습니다.
FOOTSW ( Foot Switch) Page
FOOTSW 버튼을 눌러서 현재의 페이지를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E d i t S e t u p : F O O T S W < > Z o n e 1 / 1
SwType: Dest: On: Off: Ent: Exit:
FtSw1: Moment Sustain 127 0 None None
FtSw2: Moment SostPd 127 0 None None
FtSw3: Moment SoftPd 127 0 None None
FtSw4: Moment Off 127 0 None None
< m o r e S L I D E R S L I D / 2 F O O T S W C P E D A L m o r e >
K2500 에는 네개의 Switch Pedal 이 있습니다.
Switch Pedal 은 서스테인 페달과 같이 밟았는지 떼었는지에 대한 신호만을 내보내
는 페달입니다.
이제 이 4 개의 스위치 페달을 프로그래밍하는 요소들을 하나씩 살펴 보겠습니다.
SwType (Switch Type) - 스위치의 타입을 설정하여 줍니다.
스위치 타입에는 다음과 같은 4 개의 타입이 있습니다.
Moment , Toggle - Moment 와 Toggle 은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초인종의 스위치와 전
등을 켜고 끄는 스위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초인종의 스위치는 스위치를 누르고 있
는 동안 벨이 울리다가 스위치에서 손을 떼면 벨이 멈춥니다.(Moment) 반면 전등
의 스위치는 한번 누르면 불이 켜지고 다시한번 누르면 불이 꺼지게 됩니다.
(Toggle)
예를 들어 서스테인 페달의 경우에는 Moment 타입으로 설정을 하면 페달을 밟고
있는 동안에 서스테인이 걸리고 페달을 떼면 서스테인이 끊기게 됩니다. 만약
Toggle 타입으로 설정을 하게 되면 페달을 한번 밟으면 서스테인이 걸리고 또 한번
밟으면 서스테인이 끊기게 됩니다.
Note M ( Note Moment ) , Note T ( Note Toggle )- K2500 은 이외에도 Foot Switch 및
Panel Switch 를 이용하여 마치 건반을 치는 것처럼 음을 생성시킬수도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Note M,Note T 입니다.
Note M 의 경우 스위치가 눌려져 있는 경우에 하나의 음이 생성되고 스위치가 떼
어지는 순간 음이 소멸됩니다.( 이것은 페달을 이용한 베이스 드럼의 연주등에 유용
하게 사용될수 있을 것입니다.Setup 89 A2 Foot Drummer 의 경우가 이런 기능을 이용
한 Setup 으로 Switch Pedal 1 에 연결된 페달을 밟으면 Bass Drum 소리가 나게 됩니
다.)
반면 Note T 의 경우에는 스위치가 한번 눌려지면 하나의 음이 생성되고 스위치가
다시 한번 눌려지면 음이 소멸되게 됩니다.( 지속 저음이나 하나의 패턴등을 연속적
으로 연주 시킬 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Dest ( Destination) - 각각의 스위치가 눌려 질 때 어떤 일을 수행하게 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만약 Note M 이나 Note T 로 설정이 되어 있다면 여기에 음정을 설정하
게 됩니다.) 지난 시간에 언급한 것처럼 이 설정은 Performance Guide Manual 의 7-21
부터 7-23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On - 스위치가 눌려 졌을 때 보내지는 값을 정해줍니다. (Note M이나 Note T 로 설
정이 되어 있다면 이 값이 Velocity 값이 됩니다.)
Off - 스위치가 떼어 졌을 때 보내지는 값을 정해줍니다.
가령 예를 들어서 Pedal 을 이용해서 음량(볼륨)을 127 과 90 으로 변화시키고 싶다
면 다음과 같이 프로그래밍을 하면 될 것입니다.
SwType:Dest: On: Off: Ent: Exit:
FtSw1: Moment volume 127 90 None None
이렇게 프로그램밍을 하였다면 Switch Pedal 1 을 밟고 있는 동안에는 음량이 127 이
고 페달을 떼면 음량이 90 으로 줄어 들게 될 것입니다.
Ent (Entry Value ) - 초기 설정을 해 줍니다.
Ex (Exit Value ) - 현재의 셋업에서 다른 셋업 또는 프로그램으로 움직일 때의 값을
설정하여 줍니다
위와 같은 설정값들은 FOOTSW 1~ 4 까지의 프로그래밍에 동일하게 적용이 되게
됩니다.
그럼 이제 또 하나의 스위치 콘트롤러인 Panel Switch (SWITCH) 에 대해서 살펴보겠
습니다.
SWITCH
SWITCH 버튼을 눌러서 현재의 페이지를 선택하실수 있습니다.
E d i t S e t u p : S W I T C H < > Z o n e 1 / 1
SwType: Dest: On: Off: Ent: Exit:
PSw1 : Toggle Off 127 0 None None
PSw2 : Toggle Off 127 0 None None
< m o r e R I B B O N W H E E L S W I T C H P R E S S m o r e >
위의 그림에서 보듯이 SWITCH 페이지에서는 Panel Switch 에 대해서 SwType 과
dDest(Destination) , 스위치를 눌렀을 때(On)와 떼었을 때(Off)의 값 , 그리고 초기값
과 종료값(Ent, Exit) 을 설정해 주게 되어 있습니다.
역시 그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은 앞서 이야기 했던 FOOTSW 의 프로그래밍 방법과
동일합니다.
오늘 이야기되었던 콘트롤러들은 불연속적인 콘트롤을 하는 콘트롤러이기 때문에
switch Type Controller 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이렇게 오늘은 Switch Type Controller 를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
으며 다음 시간에는 Utility 페이지 (Name, Save, Delete, Dump , NewZn, DupZn, ImpZn ,
DelZn , Copy , Paste , Clear , SetRng , COMMON 페이지) 에 대해서 이야기 하도록 하겠
습니다.
9. Setup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6)
이번 시간은 K2500 / X 의 Setup Mode 그 여섯번째 시간으로 Setup Mode 의 편
집중 각종 Utility 의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Name - 새로 만든 Setup 의 이름을 만들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Setup Name : Default Setup
Delete Insert <<< >>> OK Cancel
이름을 입력하는 방법은 이미 앞서 이야기했던 방법과 동일합니다.
이름의 입력이 끝나면 OK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Save - 새로 만든 Setup 을 저장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게 됩니다.
Save Default Setup as : ID#200
Object Rename Save Cancel
저장하고자 하는 Setup 의 번호를 선택하고 Save 버튼을 누르면 저장됩니다.
Delete - 현재의 Setup 을 지우고자(삭제하고자) 할때 사용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Delete ID# : 99*Default Setup
Delete Cancel
여기서 Delete 버튼을 누르면 정말 지울것인지를 묻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여기서
Yes 버튼을 누르면 삭제 됩니다.
Dump - K2500/X 와 연결된 외부의 미디기기(데이터를 저장할수 있는 미디장치)로
현재의 Setup 에 대한 내용을 시스템 메시지로 전송하고자 할 때 이 버튼을 누르면
전송상태가 화면에 표시되면서 외부의 미디기기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 지게 됩니
다.
NewZn ( New Zone ) - 이 버튼을 누르면 “Zone X Created” 라는 메시지(X 는 새로
만들어지는 존의 번호)와 함께 새로운 Zone 이 만들어 지게 됩니다.
DupZn ( Duplicate Zone ) - 이 버튼을 누르면 “Zone X Created” 라는 메시지(X 는 새
로 만들어지는 존의 번호)와 함께 현재의 존과 같은 내용의 존이 생성됩니다.
ImpZn ( Import Zone) - 다른 Setup 에서 원하는 존을 가지고 오고 싶을 때 이 버튼
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Import Zone :
Zone 1/6 , Setup 1 Sahara Touch
Zone - Zone + Setup - Setup + Import Cancel
여기서 Setup - , Setup + 버튼을 이용하여 가져오고자 하는 Zone 을 포함한 Setup
을 선택하고 Zone - , Zone + 버튼을 이용하여 가져 오고자 하는 Zone 을 선택합니
다. 선택이 끝나면 Import 버튼을 눌러서 Zone 의 데이터를 가져 오면 됩니다.
DelZn (delete Zone ) – 현재의 존을 삭제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DelZn 버튼을 누르
면 “ Delete Zone 3? “ 와 같은 메시지가 나오는데 여기서 Yes 버튼을 누르면 확실히
지울것인지 “ Are You sure?” 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여기서 다시 한번 Yes 버튼을
누르면 현재의 존이 삭제 됩니다 .
Copy,Paste - 현재의 페이지에 담긴 내용을 다른 존(Zone) 에 복사할 때 사용을 합
니다.
Setup 을 편집하다 보면 두개 또는 여러 개의 존이 몇 개의 페이지에 있어서 똑
같은 내용으로 만들 필요가 있을 때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Zone 1 과 Zone 2의 Bend Page 에 들어갈 내용이 똑같다고 하면 Zone 1
의 Bend Page 에서 Copy 버튼을 누릅니다.( 이버튼을 누르는 순간 Zone 1 의 Bend
Page 에 있는 내용은 K2500 의 임시 저장 공간에 복사가 됩니다.)
이제 똑 같은 내용이 들어갈 Zone 2 를 선택하고(▲,▼ 버튼 이용) Paste 버튼을 누
릅니다.
이렇게 하면 Zone 2 의 Bend Page 에 똑같은 내용이 만들어 지게 됩니다.
Clear - 현재의 편집중인 페이지의 내용을 아무런 편집이 되어 있지 않은 (Default)
값으로 만들 때 사용합니다.
SetRng ( Set Range ) - 버튼은 각 존의 건반 할당 범위를 설정할 때 이용합니다
SetRng (Set Range) 버튼을 누르면…
Strike Low Key… 라는 메시지가 나오게 되는데 이 때 Low Key 로 설정할 건반
을 누르십시오. 다음에는 Strike High Key … 라는 메시지가 나오게 됩니다. 이 때
HighKey 로 설정할 건반을 누르시면 됩니다.
COMMON 페이지
E d i t S e t u p : C O M M O N A l l Z o n e s
Effects : 1 Sweet Hall FXMix : 35%Wet
Song : 0 None
Mutes : Zone Mutes
< m o r e C O M M O N A R P E G R I B C F G m o r e >
COMMON 의 경우에는 현재 Setup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파라미터이므로 화면 상
단에 Zone 번호가 나타나는 대신 All Zones 라고 표시가 됩니다.
Effects – 현재의 Setup 에서 사용할 이펙트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FXMix – 현재의 Setup 에서 사용할 이펙트의 량을 설정합니다.
Song - Song Mode 에서 만들어진 데이터를 셋업 모드에서 연주시에 같이 사용할수
있도록 합니다.
Mutes - 왼편에 있는 8 개의 슬라이더 위의 버튼들로 각 존(Zone) 을 Mute 하는데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KB3 Mode 의 기능을 수행케 할 것인지를 설정해 줍니다.
이렇게 해서 오늘은 Setup 편집에서의 유틸리티 들과 COMMON 페이지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Setup 프로그래밍 중 아르페지에이터의 프로그래밍 요소들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9. Setup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7)
이번 시간은 K2500 / X 의 Setup Mode 그 일곱번째 시간으로 Setup Mode 의 편
집중 Arpeggiator 의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아르페지에이터는 K2500/X 으로 하여금 다양한 형식의 연주형태를 만들어 내게
하는 기능입니다.
아르페지에이터의 신호처리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건반의 -> 2. Arpeggiator -> 3. Note -> 4. Zone -> 5. Zone
연주 Key Range Processing Enablers Parameter
위의 그림과 같이 어떤 건반이 연주되었을 때( 과정 1) ARPEG Page 의 Active 가
On 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K2500/X 은 연주된 음이 아르페지에이터의 범위내에 속
해 있는지를 (LoKey,HiKey) 검사합니다.(과정 2) 그리고 Latch , Order , Beats, Tempo ,
Note Shift , Shift Limit , Limit Option , Glissando , Velocity , Duration 에서 설정한 대로 연
주형태를 만들어 냅니다. (과정 3) 이제 만들어진 음들이 속해 있는 존(Zone) 을 찾
고 그 존이 연주상태에 있다면(과정 4), 그 존의 특성대로 연주가 되게 됩니다.(과정
5)
이제 ARPEG 버튼을 눌러서 Arpeggiator 페이지로 들어가도록 합니다.
E d i t S e t u p * A R P E G A l l Z o n e s
Active : Off NoteShift : 0 ST
LoKey : C 0 HiKey : G#8 Shift Limit : 0
Latch : Auto Limit Option : Reset
Order : Played Glissando : Off
Beats : 1 / 16 Velocity : Played
Tempo : 120 BPM Duration : 75 %
< m o r e C O M M O N A R P E G R I B C F G m o r e >
Active - 아르페지에이터의 사용여부를 결정합니다. On 으로 설정되면 아르페지에이
터가 작동합니다.
Sync - 이것이 On 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송(Song) 모드에서의 박자와 동기를 맞춰
서 연주됩니다. 다시 말해서 Sync 를 Off 로 해 놓고 연주하면 건반을 누르는 순간
소리가 나고 아르페지에이터가 작동을 하지만, Sync 가 On 으로 설정되면 건반을
누르고 잠시 후에 소리가 날수도 있습니다. (송모드의 박자와 맞추기 위해서…)
LoKey,HiKey - 아르페지에이터를 사용할 건반의 영역을 설정해 줍니다.
Latch - Latch 는 건반이 눌려 졌을 때 아르페지에이터가 그 음에 대해서 어떻게 반
응할 것인지를 정해줍니다.
Keys - Keys 로 설정이 되면 눌려진 건반에 해당하는 음들을 연속적으로 연주합니
다. 만약 '도'라는 음을 누르고 있으면 '도'음을 Beats 에서 정해준 박자대로 계속 연
주를 할 것입니다. 만약 ' 도,미,솔' 이렇게 세음을 누르고 있다면 세개의 음이 연속
적으로 연주될 것입니다.
아래에서 설명할 Overplay , Arpeggiation , Add 는 모두 미디 콘트롤 119 번 (ArpLatch)
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 SWITCH Page 로 가서 PSw2 를 Toggle 로 설정하
고 Dest 를 ArpLatch ( 숫자 1,1,9 를 입력후 Enter 버튼을 눌르셔도 됩니다.)로 설정
합니다.
Overplay - Overplay 는 ArpLatch 가 On 되는 순간 눌려진 음들에 대해서 아르페지
오를 만들어 냅니다. 그냥 연주를 해 보면 아무런 아르페지오 형태도 나타나지 않
을 것입니다. 이제 임의의 건반들을 누른 상태에서 SW2 (Mod wheel 위의 버튼) 를
누르십시오. SW2 가 On 될 당시(ArpLatch 가 On 되는 순간) 눌려져 있던 음들에
대해서 아르페지오를 만들어 낼 것입니다. 그리고 SW2 가 On 되고 난 다음 연주하
는 음들에 대해서는 아르페지오를 만들어 내지 않습니다. SW2 가 Off 되면
(ArpLatch 가 Off 되면..) 연주되던 아르페지오도 사라집니다.
Arpeggiation -Arpeggiation 은 ArpLatch 가 On 되는 순간의 음들에 대해서 아르페
지오를 만들어 내고 그 이후에 눌려져 있는 음들에 대해서 아르페지오 되고 있는
음들에 포함을 시킵니다. 예를 들어 '도,미,솔' 이라는 건반을 누른 상태에서 SW2 를
눌러 아르페지오로 연주되게 한후에 '레,파,라' 음을 누르면 6 개의 음으로 구성된
아르페지오 형태로 연주될 것입니다. 그리고 '레,파,라' 건반에서 손을 떼면 다시 '도,
미,솔' 3 개의 음으로 구성된 아르페지오 형태로 연주됩니다.
Add - Add 는 ArpLatch 가 On 되고 난후 연주되는 모든 음들을 아르페지오의 구
성음으로 해서 아르페지오를 만들어 냅니다.
Auto - Auto 는 ArpLatch 와는 상관없이 건반이 눌려진후 끊기지 않고 연주되는
모든 음들에 대해 아르페지오의 구성음으로 만듭니다. 만약 모든 건반에서 손을 떼
면 그때부터 새로 눌려지는 음들에 대해서 새로운 아르페지오를 구성하게 됩니다.
Pedals - Pedals 에서는 ArpLatch (MIDI Control 119 번) 와 함께 Latch 2 (MIDI Control
118 번) 도 함께 사용이 됩니다. 이를 위해서 PSw 1 을 Latch 2 로 설정을 해 봅시
다.( SWITCH Page 에서…) 이제 건반을 연주해 봅시다. ArpLatch 와 Latch 2 가 모두
On 되지 않은 상태에서 연주하면 Keys 와 같은 상태로 연주가 됩니다. 여기서
Latch 2 가 On 되면 (PSw 1 이 On 되면…) Overplay 같은 상태로 연주가 됩니다.
(Latch 2 가 On 될 당시의 음들에 대해서만 아르페지오로 연주) ArpLatch 가 On 되
면 Add 와 같은 상황으로 연주 됩니다.
여러분은 Panic 버튼이나 Stop 버튼을 이용하여 언제든지 아르페지에이터의 작동을
멈출수 있습니다.
Order- 눌려진 여러 개의 음들에 대해서 연주의 순서를 정해줍니다.
Played - 눌려진순서에 따라 연주됩니다.
Up - 낮은 음에서 높은 음으로 연주됩니다.
Down - 높은 음에서 낮은 음으로 연주됩니다.
Up/Down - 낮은 음에서 높은 음으로 연주된후 다시 낮은 음으로 내려 옵니다.
Up/Down Repeat - Up/Down 과 유사하나 제일 높은 음과 제일 낮은 음을 두번씩 연
주 합니다. ( '도,미,솔' 을 누른 경우-> 도,미,솔,솔,미,도,도,미,솔,솔,미,도….)
Random - 임의의 순서대로 연주됩니다. (K2500/X 마음대로…)
Shuffle - Random 과 비슷하지만 눌려진 음들이 한번씩 연주되는 주기동안 똑 같은
음이 두번 연주되지 않는 형식입니다.
Walk - Random Walk 로써 현재 연주되고 있는 음의 다음 음이나 전음을 다음 순서
의 음으로 선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G4,B4,D5,F5 라는 음을 눌렀을 때 첫번째
로 G4 라는 음을 연주하고 두번째는 B4 나 F5 중의 한 음을 연주하게 됩니다. 두
번째 음이 B4 일 경우에 세번째 음은 D5 나 G4 가 되고 두번째 음이 F5 일 경우
에 세번째음은 D5 나 G4 음을 연주하게 되는 순서입니다.
Simultaneous - 눌려진 음들이 정해진 박자에 맞추어 일제히 연주됩니다.
기타의 스트로크 주법이나 건반의 백킹주법을 표현하기 적합한 설정입니다.
Beats - 여기서는 사용할 박자를 설정합니다. 온음표 : 1/1 2 분음표 : 1/2 4 분음
표 : 1/4 …
Tempo - 사용할 템포를 설정합니다.
Note Shift - Note Shift 기능을 이용하여 하나의 아르페지오 패턴을 연주한 후 일정
한 높이의 음정을 조옮김하여 연주 시킬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ote Shift 를 2 로
설정하고 Shift Limit 을 12 로 설정한후 C 음을 연주하면 C , D , E , F# , G# , A# , C(한
옥타브위의 …) 가 연주될것입니다. Note Shift 가 2 였으므로 연주된 음을 중심으로
온음(2) 씩 높은 음이 연속적으로 연주된 것입니다.
Shift Limit - Note Shift 에 의해서 조옮김 될 때 조옮김되는 제한선을 설정해 주는
것입니다. 앞선 예처럼 Shift Limit 이 12,즉 한 옥타브 였으므로 조옮김해서 올라갈
때 한 옥타브까지만 올라간 것입니다.
Limit Option - Note Shift (조옮김) 되어서 Shift Limit (제한선) 에 도달하였을 때 다음
의 음의 진행을 어떻게 할 것인지를 설정하여 줍니다.
Stop - 음이 제한선(Shift Limit)까지 가고 나면 아르페지오가 멈춥니다.
Reset - 음이 제한선(Shift Limit)까지 가면 다시 처음 음부터 다시 아르페지오를 실
행합니다.
Unipola - 음이 제한선(Shift Limit)까지 올라가고 난후 제한선을 중심으로 반대로
Note Shift 시킵니다.
예> Note Shift : 3 Shift Limit : 7 Limit Option : Unipolar
C C# D D# E F F# G
Limit 1 2 3 4 5 6 7
상행 1 2 3 1 2 3
연주음 C D# F#
하행 3 2 1 3 2 1
연주음 C# E
다시 정리하면 연주는 C -> D# -> F# -> E -> C# -> D# … 의 순으로 연주되게 됩니다.
Bipolar - Unipolar 와 유사한 방식인데 연주한 음을 중심으로 아래까지 확장 됩니
다.
예> Note Shift : 3 Shift Limit : 7 Limit Option : Bipolar
F F# G G# A A# B C C# D D# E F F# G
7 6 5 4 3 2 1 연주된음 1 2 3 4 5 6 7
상행 * * *
하행 * * * *
다시 정리하면 연주는 C -> D# -> F# -> E -> C# -> A# -> G … 의 순으로 연주되게 됩
니다.
Flt Res - Float Reset 을 의미합니다. 이는 Note Shift 되던 음이 제한선 (Shift Limit)
에 도달했을 때 제한선(Shift Limit) 과 제한선을 넘어선 원래의 Note Shift 될 음과의
차이만큼을 조옮김하여 다음의 처음 음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 > Note Shift : 3 Shift Limit : 7 Limit Option : Flt Reset
처음 연주한 음 C
C C# D D# E F F# G
Limit 1 2 3 4 5 6 7
1 2 3 1 2 3 1
2 3 1 2 3 1 2
3 1 2 3 1 2 3
연주 순서 C -> D# -> F# -> D -> F -> C# -> E -> G …
Flt Uni - Float Unipolar 를 의미합니다. 이는 Note Shift 되던 음이 제한선 (Shift
Limit) 에 도달했을 때 제한선(Shift Limit) 과 제한선을 넘어선 원래의 Note Shift 될
음과의 차이만큼을 조옮김하여 하행음으로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 > Note Shift : 3 Shift Limit : 7 Limit Option : Flt Reset
처음 연주한 음 C
C C# D D# E F F# G
Limit 1 2 3 4 5 6 7
1 2 3 1 2 3 1
2 1 3 2 1 3 2
3 1 2 3 1 2 3
연주 순서 C -> D# -> F# -> F -> D -> C# -> E -> G
Flt Bip - Float Unipolar 와 같은 방식이지만 그 영역이 아래로 까지 확장된 형식
입니다.
F F# G G# A A# B C C# D D# E F F# G
7 6 5 4 3 2 1 연주된음 1 2 3 4 5 6 7
Glissando - 이 파라미터가 On 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Latch 된 (눌려진) 음정 사이
를 반음 단위로 글리산도 연주하게 됩니다. 이 파라미터가 On 으로 설정되면 Note
Shift , Shift Limit , Limit Option 은 아무런 의미가 없게 됩니다.
Velocity - 아르페지오로 연주되고 있는 음들의 연주세기(Velocity) 를 설정합니다.
MIDI Control 117 번으로 조정해 줄수도 있고 Pressure 즉 건반을 누르는 압력으로
벨로시티 값을 연속적으로 변화 시킬수도 있습니다 . 또는 제일 마지막에 연주한
세기(Last) 로 벨로시티를 고정시킬수도 있으며 건반을 친 세기(Played)로 고정시킬
수 있습니다. 또는 일정한 세기의 벨로시티로( Vel 1 - Vel 127) 고정시킬수도 있습
니다.
Duration - 아르페지오로 연주되고 있는 음들의 길이를 설정해 줍니다.
여기서는 백분율로 표시가 되는데 Beats 에서 선택된 박자길이의 얼마만큼을 연주
길이로 할 것인가를 설정해 주게 됩니다 . 만약 스타카토로 연주되는 아르페지오를
만들어 내고 싶다면 이 길이를 30% - 50 % 정도로 하면 되겠죠.
이렇게 해서 오늘은 K2500/X 의 아르페지에이터 를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K2500/X 의 Ribbon Configuration 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9. Setup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 8 )
이번 시간은 K2500 / X 의 Setup Mode 그 여덟번째 시간으로 Setup Mode 의 편
집중 각 Ribbon 의 특성을 설정해 주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여기서는 Large Ribbon 과 Small Ribbon 의 전반적인 특성을 설정해 줍니다.
이제 RIBCFG 소프트 버튼을 눌러서 RIBCFG Page 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One Section) 인 경우의 RIBCFG Page
E d i t S e t u p * R I B C F G A l l Z o n e s
LargeRibbonConfig : One Section
PostMode: Spring: Center:
SmallRib : Relative On 64
LargeRib : Relative On 64
< m o r e C O M M O N A R P E G R I B C F G m o r e >
( 3 section ) 인 경우의 RIBCFG Page
E d i t S e t u p * R I B C F G A l l Z o n e s
LargeRibbonConfig : Three Section
PostMode: Spring: Center:
SmallRib : Relative On 64
Section1 : Relative On 64
Section2 : Relative Off 0
Section3 : Relative Off 0
< m o r e C O M M O N A R P E G R I B C F G m o r e >
Large Ribbon Config ( Large Ribbon Configuration) - K2500/X 의 Large 리본은 하
나의 영역으로 사용할수도 있고 3 개의 영역으로 사용할수도 있습니다. 3 개의 영역
으로 설정을 하게 되면 Section 1 로는 볼륨을 조정하고 Section 2 에서는 음정을 조
정하고 Section 3 에서는 Pan 을 조정하는 등의 다양한 소리의 제어가 가능해 집니
다.
▼ ▽ ▼
Section 1 Section 2 Section 3
One Section 으로 설정된 경우 리본은 하나의 신호만을 만들어 내며 Three Section
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위의 그림과 같이 리본을 3 부분으로 나누어 사용할수 있습
니다.
PosMode ( Position Mode ) - Relative 는 상대적인 값으로 콘트롤 값을 내보냅니다. 만
약 리본으로 음정을 조정하게끔 설정되어 있다고 하면 건반을 연주하면서 리본의
한 부분을 건드리는 것은 아무 효과가 없습니다. 처음 건드린 부분은 기준점이 되
며 그 점을 기준으로 건드린후에 그 지점에서 손을 움직이거나 하면 음정의 변화가
생기게 되는 것입니다.
반면 Absolute 는 절대적인 값을 가지게 됩니다. 즉 제일 왼쪽은 0, 제일 오른쪽은
127 이라는 값을 가지고 그중 한 부분을 건드리면 그 절대값을 내 보내게 되는 것
입니다.
Spring - 리본에서 손을 떼었을 때 그 순간의 값을 그대로 유지할 것인지(Off) 아니
면 스프링 처럼 손을 떼는 순간 Center (중간값) 으로 되돌아 오게 할 것인지(On) 를
설정을 하게 됩니다. 만약 리본으로 음정을 조정하게 해 놓았다면 이 값은 On 으로
되어 있어야 할 것입니다.
(안 그러면 리본위의 손을 움직일때마다 소리가 조율이 계속 바뀔테니까요…)
Center - 리본에서의 중간값을 설정해 줍니다. 이 값은 0 부터 127 까지의 값으로 설
정을 할수 있으며 중간값이므로 대부분 64 로 설정을 해 줍니다.
이렇게 해서 K2500/X 의 리본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봄으로써 K2500/X
의 Setup 편집에 대한 모든 내용을 살펴 보았습니다.
이 내용들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새로운 Setup 을 만들어 낼수도 있으며 K2500/X 의
MIDI Page 의 Ctl Setup 을 편집하므로써( 편집 방법 : MIDI 버튼을 누른후
CtlSetup : 97 Control Setup 에서 Edit 버튼을 누릅니다. Setup 편집과 같은 화면이 나
타나게 되며 편집 방법은 Setup 편집과 같으며 다만 여기서는 하나의 채널-Zone- 만
을 사용할수 있게 됩니다. ) K2500/X 의 MIDI 기능을 사용자가 원하는 콘트롤러로
프로그래밍하실수 있습니다.
다음시간에는 Program 편집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0. Program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이번 시간부터는 K2500 / X 의 program Mode 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우리는 K2500/X 의 Setup Editing 에 대해서 알아 보았습니다.
Setup Editing 을 통하여 K2500/X 의 Editing 에 대한 어느정도의 감을 익혔으리라 생
각하며 이제 K2500/X 의 Program Mode 의 Editing 에 대하여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
다. (현재 K2500/X 의 Program Edit 에 대한 활용에 대한 내용은 K2500/X 의 활용이
라는 제목으로 게시되고 있으며 K2500/X 의 DSP 블록에 대한 내용은 나중에 다시
다룰 예정이므로 여기서는 Program Edit Mode 의 매뉴를 중심으로 설명을 하도록 하
겠습니다.)
앞서 K2500/X 의 Setup Edit 에서 새로운 Setup 을 만들고자 할 때 우리는 Setup 99
번의 99 Default Setup 을 이용하여 새로운 Setup 을 만들었던 것을 기억할것입니다.
Program 에서도 이와 같이 Program 199 Default Program 이라고 하는 것을 이용하여
새로운 Program 을 만들게 됩니다.
우선 Program Edit 에 앞서 K2500/X 의 소리구조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페이지의 그림을 보면 K2500/X 이 어떻게 소리를 구성하고 있는지를 보여주
고 있습니다.
K2500/X 의 소리를 이루는 가장 작은 단위는 Sample 이라는 것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여러 개의 Sample 들이 모여서 하나의 Keymap 을 형성하게 됩니다. Keymap
에 K2500/X 의 알고리듬이 더해져서 Layer 라는 것을 형성하게 되며 일반 Program
의 경우는 총 3 개의 Layer 까지가 합해져서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 을 드럼 프
로그램의 경우는 3 개 이상의 Layer 를 사용하여 하나의 프로그램(Program) 을 만들
어 내게 됩니다.
그리고 Setup 의 경우는 이렇게 만들어진 Program 을 총 8 개까지 Zone 이라고 하는
개념으로 묶어서 만들어 지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지금까지 다루었던 Setup Editing 의 개념과 Program Editing 의 개념을 비교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etup Program
음색 Program Keymap
Editing 정보를 포함한 구조 Zone Layer
controller 할당 물리적 콘트롤러 MIDI 콘트롤러
* Controller 할당 : Setup Editing 에서는 각각의 물리적 콘트롤러들(페달,슬라이더,스
위치 …)이 각각 어떤 MIDI 신호를 발생시킬것인가를 설정해 주었으며 Program
Editing 에서는 소리에 변화가 가해지는 각각의 요소들이 어떤 MIDI 신호에 의해서
제어될것인지를 설정하게 됩니다.
그럼 이제 199 Default Program 에서 Edit 버튼을 눌러서 Program Edit Mode 를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E d i t P r o g : A L G < > L a y e r : 1 / 1
Algorithm : 1
PITCH à NONE à AMP à
< m o r e A L G L A Y E R K E Y M A P P I T C H m o r e >
① 화면 상단
EditProg:ALG
현재의 상태가 프로그램 편집모드이며 그중에서도 알고리듬의 편집상태임을 표시
해 주고 있습니다. 화면상단의 왼쪽은 항상 그 상황을 표시해 주고 있습니다.
< > Layer : 1/1
현재 편집하고 있는 Layer 가 총 몇 개의 Layer 중 몇번째 Layer 인지를 보여 주
고 있습니다. 현재는 총 1 개의 Layer 중 첫번째 Layer 임을 보여 주고 있으며 만약
총 8 개의 Layer 중 5 번째 Layer 라면 5/8 과 같이 표시될것입니다.
Layer 를 바꾸고 싶으면 Chan/Bank 버튼중 ▲ 을 눌러서 윗번호의 레이어(Layer)
로 움직이거나 ▼ 을 눌러서 아랫번호의 레이어로 움직일수 있습니다.
② 화면 중간
각 소프트 버튼을 누를때마다 각각 다른 내용을 갖는 편집 화면이 나타나게 됩
니다.
현재는 알고리듬을 편집하는 화면이므로 알고리듬과 관련된 내용이 표시되고 있
습니다.
③ 화면 하단
6 개의 소프트 버튼이 나타납니다.
우선 이 화면에서 more> 버튼을 눌러서 프로그램 편집 모드에서 어떤 요소들을 편
집할수 있는지부터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more> 버튼을 눌러서 각각의 요소들
을 확인해 봅시다.
1 2 3 4
1 ALG LAYER KEYMAP PITCH
2 F1 FRQ F2 DRV F3 AMP F4 AMP Algorithm 관련
3 OUTPUT COMMON SetRng
4 AMPENV ENV2 ENV3 ENVCTL Envelope 관련
5 LFO ASR FUN VTRIG Control Source
6 Name Save Delete Dump Object 관련
7 NewLyr DupLyr ImpLyr DelLyr Layer 관련
1.1ALG ( Algorithm) Page
E d i t P r o g : A L G < > L a y e r : 1 / 1
Algorithm : 1
PITCH à NONE à AMP à
< m o r e A L G L A Y E R K E Y M A P P I T C H m o r e >
Algorithm : 1 K2500/X 는 총 31 개의 소리의 경로(Algorithm)을 가지고 있으며
그중 1 번 알고리듬임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알고리듬은 소리의 경로를 선택하며 그 경로 안에(박스에) 여러 가지 다양한 필터
들을 통해서 소리에 변화를 가져오게 됩니다.
K2500/X 가 어떤 알고리듬을 가지고 있는지와 어떤 필터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서는 다음장에서 다루게 될 것입니다.
알고리듬은 총 5 개의 상자를 다양한 경로로 이어주게 되는데 그중 첫번째 상자는
항상 소리의 음정 (PITCH) 를 조정하는 부분이고, 5 번째 상자는 항상 증폭(AMP) 를
조정하는 부분입니다. 여기서 PITCH 는 PITCH( 표의 맨윗줄의 오른쪽끝) 에 해당
하는 소프트 버튼을 눌러서 편집하며 AMP 는 F4 AMP( 표의 두번째 줄의 오른쪽
끝)에 해당하는 소프트 버튼을 눌러 편집합니다.
이 알고리듬 페이지에서 어떤 알고리듬을 선택하느냐에 따라서 두번째 줄의 F1
FRQ , F2 DRV , F3 AMP , F4 AMP 의 내용이 바뀌게 됩니다.( F1 FRQ, F2 DRV, F3 AMP
는 알고리듬 1 번에 대한 내용입니다.)
1.2LAYER Page
E d i t P r o g : L A Y E R < > L a y e r : 1 / 1
LoKey: C –1 DlyCtl: OFF SusPdl: On
HiKey: C 8 MinDly: 0.000s SosPdl: On
LoVel: ppp MaxDly: 0.000s FrzPdl: On
HiVel: fff Enable: On IgnRel: Off
PBMode:All S: Norm 64 127 ThrAtt: Off
Trig : Norm Opaque: On TilDec: Off
< m o r e A L G L A Y E R K E Y M A P P I T C H m o r e >
1. LoKey : C0 ( Low Key )
2. HiKey : C8 ( High Key )
3. LoVel : ppp ( Low Velocity )
4. HiVel : fff ( High Velocity )
해당 레이어에 대해 범위를 설정해 줍니다. 키의 범위를 어느 건반부터(LoKey:
LowKey) 어느 건반까지(HiKey: High Key) 를 사용할 것인지, 어느정도 세기 부터
(LoVel: Low Velocity) 어느 정도 세기 까지(HiVel : High Velocity) 를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5. PBMode : All ( Pitch Bend Mode )
피치휠을 사용할 때 현재 레이어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All 이라고 선택이 되어진 경우에는 소리가 나고 있는 모든 음들에 대해서 피치휠
이 적용이 됩니다. 만약 off 로 설정이 되어 있다면 어떤음들도 피치휠이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Key 의 경우에는 피치휠을 움직일 때 누르고 있는 음들에 대해서 피
치휠이 적용이 됩니다. 만약 여러분이 어떤 화음을 누르고 서스테인 페달로 음을
지속 시킨후 피치를 움직인다면 지속되고 있는 화음의 피치(음정)는 그대로 이고
새로 연주하고 있는 음들에 대해서만 피치휠이 적용이 되는 것입니다.
6. Trig : Norm ( Trigger )
음들이 언제 연주되게 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Norm (Normal) 인 경우에는 건반을
눌렀을 때 소리가 나지만 Rvrs ( Reverse) 로 설정이 된 경우에는 반대로 즉 건반을
눌렀다가 올라오는 순간에 소리가 나게 됩니다.
7. DlyCtl : OFF ( Delay Control )
8. MinDly : 0.000 s ( Minimum Delay )
9. MaxDly: 0.000 s ( Maximum Delay )
음의 시작을 지연시키는 것과 관련된 파라미터 들입니다.
Delay Control 은 음을 지연시키는 콘트롤 소스(Control Source) 를 설정하며 MinDly
와 MaxDly 는 얼마만큼의 시간을 지연 시킬 것인가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어 Delay Control 을 Modulation Wheel 로 설정하고 MinDly 는 0.000 s(0 초) ,
MaxDly 는 1.000 s (1 초) 로 설정을 하십시오.
그리고 음을 연주하며 Mod Wheel 을 움직여 보도록 하십시오. 음이 시작하는 시간
이 최소 0 초에서(휠을 아래로 내렸을 때) 최대 1 초까지(휠을 위로 올렸을 때) 지연
되는 것을 알수 있을 것입니다.
10. Enable : ON
11. S : Norm 64 127
현재의 레이어를 사용할 것인지 만약 사용한다면 외부의 신호에 의해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먼저 Enable 에서 어떤 신호에 의해서 활성화 시킬 것인지를 설정합니다. 예를 들
어 Enable 값을 Sustain 이라고 설정했다면 Sustain Pedal 을 밟는 순간에만 활성화 되
게 됩니다.
뿐만 아니라 S (sensitivity) 의 내용을 Norm( Normal) 이나 Rvrs( Revers) 로 설정을
할수도 있고 그 수치를 대응시킬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3 개의 Layer 를 갖는 프로그램을 하나 만들고 Enable 을 Modulation
Wheel 로 설정한후에 다음과 같이 프로그램하면 모듈레이션 휠을 이용하여 3 개의
소리를 바꿀수 있습니다.
Layer 1 Layer 2 Layer 3
Enable Mod wheel Mod wheel Mod wheel
S Norm Norm Norm
수치 0 40 41 80 81 127
모듈레이션 휠을 1/3 정도까지 올렸을 때까지는 Layer 1 이 활성화 되고 1/3 부터
2/3 되는 지점까지는 Layer2 가 활성화되며 2/3 부터 3/3 되는 지점까지는 Layer 3에
해당하는 소리가 나게 될 것입니다.
12. Opaque : Off
이 파라미터가 On 으로 설정 되어 있는 경우 상위의 레이어들( 예를 들어 총 5 개
의 레이어로 구성된 프로그램인 경우 레이어 2 번의 Opaque 를 On 으로 설정했다면
레이어 3,4,5 번) 이 Opaque 가 On 으로 설정된 레이어의 범위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Opaque LoKey , HiKey 소리가 나는 범위
Layer 1 Opaque off C0 - C8 C0 - C8
Layer 2 Opaque On C3 - C4 C3 - C4
Layer 3 C0 - C8 C0 - B2 , C#4 - C8
Layer 4 C0 - C8 C0 - B2 , C#4 - C8
Layer 5 C0 - C8 C0 - B2 , C#4 - C8
13. SusPdl : On
14. SosPdl : On
15. FrzPdl : On
현재 레이어에서 서스테인 페달(SusPdl : Sustain Pedal), 서스테누토 페달(SosPdl:
Sostenuto Pedal), 프리즈 페달( FrzPdl: Freeze Pedal) 의 사용 여부를 설정해 줍니다.
16. IgnRel : Off ( Ignore Release )
이 파라미터가 On 으로 설정되면 K2500/X 의 건반이나 또는 MIDI 를 통해서 수
신된 Note off 메시지를 무시하게 됩니다.
17. ThrAtt : Off ( Hold Though Attack)
이 파라미터가 On 으로 설정되면 사용자가 건반에서 손을 떼어도( Note Off 메시지
가 생성되어도) Attack 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소리를 유지하게 됩니다.
18. TilDec : Off (Hold Until Decay)
이 파라미터가 On 으로 설정되면 사용자가 건반에서 손을 떼어도(Note Off 메시지
가 생성되어도) Decay 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소리를 유지하게 됩니다.
다음 시간은 K2500/X 의 프로그램 편집중 KeyMap Page 부터 살펴 보도록 하겠습
니다.
1.3
10. Program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 2 )
이번 시간에는 K2500 / X 의 Program Edit Mode 중에서 Keymap 에 대해서 알아 보
기로 하겠습니다.
Keymap Page
지난 시간과 마찬가지로 프로그램 199 번 Default Program 을 선택한후 Edit 버튼을
눌러 Program Edit Mode 로 들어갑니다. 여기서 KEYMAP 에 해당하는 소프트버튼을
눌러서 Keymap Page 로 이동합니다.
E d i t P r o g : K E Y M A P < > L a y e r : 1 / 1
KeyMap: 1 Grand Piano Stereo : Off
Xpose : 0 ST TimbreShift : 0 ST
KeyTrk: 100 ct / Key PlayBackMode: Normal
VelTrk: 0ct AltControl : OFF
SmpSkp: Auto AltMethod : Switched
< m o r e A L G L A Y E R K E Y M A P P I T C H m o r e >
이 페이지 에서는 어떤 샘플들이 어떤키에서 어떤 방법으로 연주될 것인지에 대한
부분을 설정합니다.
KeyMap : 1 Grand Piano
ROM 이나 RAM 에 있는 키맵(Key Map)을 레이어에 할당합니다. 키맵들은 키보드
에 할당된 샘플들과 벨로시티 범위들의 집합입니다. (키맵의 목록은 Reference
Manual 참고.)
Stereo : off
스테레오 샘플을 사용할 때 설정하는 것으로 이것이 On 으로 설정되면 KeyMap :
… 이라고 표시되었던 것이 KeyMap1 : KeyMap2 : 이렇게 두개의 키
맵을 나타내게 됩니다.
Xpose : 0ST ( Transpose )
현재의 키맵을 5 옥타브(60 ST :Semi Tone- 반음) 까지 위나 아래로 조옮김합니다.
TimbreShift : 0ST ( Timber Shift )
현재의 키맵에서 사용하고 있는 샘플로부터 TimbreShift 된 샘플을 현재의 키맵에
할당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TimbreShift : 12 ST 으로 설정을 하였다면 정상적인
피아노 소리의 샘플보다 한옥타브(12ST) 높은 샘플을 가져다가 현재의 키맵에 할당
을 하게 됩니다. 따라서 음정은 같지만 훨씬 밝은 소리를 내게 됩니다.
KeyTrk : 100 ct/key ( Key Tracking )
각 건반 사이의 음정을 설정합니다. 100 ct (cent ) 는 반음( 1 ST - SemiTone) 에 해당
하며 각 건반마다 그 음정의 차이가 반음이 나게 되는 것입니다.
만약 현재 사용하고 있는 키맵을 반의 반음으로 미세한 조율을 하고 싶다면 50
ct/key 로 설정을 할수도 있고 만약 온음으로 구성된 조율을 하고 싶다면(온음계-
Whole Tone Scale) 200ct/key 로 설정을 하면 됩니다.
VelTrk : 0 ct ( Velocity Tracking )
건반을 치는 세기(Velocity) 에 따라 음정의 변화가 생기게 할 때 설정을 합니다.
만약 100 ct 로 설정을 하면 건반을 세게 치면 반음까지의 높은 음이 나게 할수 있
습니다.
SmpSkp : Auto ( Sample Skipping )
Sample Skipping 을 통하여 K2500 의 플레이백 샘플레이트를 96Khz 에서 192 Khz
까지 올려 줍니다.
PlayBackMode : Normal
샘플들이 연주되는 형태를 설정해 줍니다.
Normal : 샘플에 대한 일반적인 플레이
Reverse : 샘플을 반대로 플레이 ( 마치 테이프를 거꾸로 돌리는 것과 같은 효과)
Bidirect : 샘플을 순방향으로 플레이후에 반대방향으로 플레이 시킵니다.
Noise : 샘플을 화이트 노이즈로 대치시킵니다.
AltControl : OFF
AltMethod : Switched
위의 두가지 설정을 통하여 샘플의 연주되는 시점을 바꿔 줄수 있습니다.
샘플의 연주되는 시점의 설정은 샘플 편집모드에서 alternative start Point 의 위치를
바꿔 주므로 가능해 지며 그 시점을 켜고 끄는 것을 설정하는 것입니다.
PITCH Page
E d i t P r o g : P I T C H < > L a y e r : 1 / 1
Coarse : 0 ST Src1 : OFF
Fine : 0 ct Depth : 0 ct
FineHz : 0.00 Hz Src2 : OFF
KeyTrk : 0 ct/key DptCtl : MWheel
VelTrk : 0 ct MinDpt : 0 ct
MaxDpt : 0 ct
< m o r e A L G L A Y E R K E Y M A P P I T C H m o r e >
여기에서의 파라미터들은 키맵에 의해서 선택되어진 샘플들의 피치(음정) 를 조정
합니다.
Coarse : 0 ST
현재 선택되어진 레이어의 음고를 반음단위로 조정합니다.
Fine : 0 ct
현재 선택되어진 레이어의 음고를 미세하게(1/100 음단위) 조정합니다.
FineHz : 0.00 Hz
여기서는 선택되어진 레이어의 음고를 Herz 단위로 미세하게 조정합니다.
KeyTrk : 0 ct/key
건반에 할당된 키맵에 대하여 각 건반의 차이에 따른 샘플의 음정을 조정합니다.
VelTrk : 0 ct
건반을 치는 세기(Velocity) 에 따라 음정의 변화가 생기게 할 때 설정을 합니다.
만약 100 ct 로 설정을 하면 건반을 세게 치면 반음까지의 높은 음이 나게 할수 있
습니다.
<질문???> -----------------------------------------------------------------------------------------
그 럼 Keymap Page 의 KeyTrk , VelTrk 와 Pitch Page 의 KeyTrk , VelTrk 는
어떻게 다른건가요?
à Key Map Page 에서는 각각의 건반에 할당될 Sample 을 선택하는 것입니다. 따라
서 KeyMap Page 에서 KeyTrk 을 100 ct/Key 라고 설정하였다면 건반(Key)이 하나 올
라갈 때 마다 100ct 높은 샘플을 할당하게 되는 것입니다. (다른 샘플을 할당)
반면 Pitch Page 에서는 하나의 샘플에 대해서 어떤 음정(Pitch) 의 변화를 만들어
낼것인가에 대한 부분입니다. 따라서 Pitch Page 의 KeyTrk 를 100 ct/Key 라고 설정
하였다면 하나의 샘플에 대해서 건반(Key)이 하나 올라갈 때 마다 100 ct 씩 피치를
올리게 되는 것입니다. (같은 샘플에 대해서 음정을 올림)
위의 실험을 해 보면 KeyMap Page 에서 KeyTrk 을 조정했을때에는 자연스러운 피
아노 소리를 얻을수 있지만 Pitch Page 에서 KeyTrk 값을 조정했을때에는 C4 에서는
자연스러운 피아노 소리가 나지만 위의 건반에서는 마치 테잎을 빨리 돌리는 듯한
피아노 소리가 나고 저음부에서는 테잎을 늦게 돌리는 듯한 피아노 소리가 날 것
입니다.
--------------------------------------------------------------------------------------------------------------------
Src 1 : OFF (Source1)
Depth : 0 ct
Src 2 : OFF (Source 2)
DptCtl : OFF ( Depth Control )
MinDpt : 0 ct (Minimum Depth)
MaxDpt : 0 ct (Maximum Depth)
위의 사항들은 편집과 관련된 공통된 사항으로 소리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사용이
됩니다.
Source 1 - 이 파라미터는 K2500 의 각종 콘트롤 소스에서 그 값을 취합니다.
( 이 목록은 Reference Manual 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Source 1 은 그 아래의 Depth 와 함께 작동이 되며 Source 1 (Src 1) 에 대한 목록에
서 하나의 콘트롤 소스를 선택하고 Depth , 즉 그 양을 설정해 줍니다.
예를 들어 Src 1 을 Mod Wheel 로 선택하고 Depth 를 1200 ct 로 설정하면
Modulation Wheel 을 끝까지 올렸을 때 1200ct , 즉 한 옥타브까지 음정이 올라가게
됩니다.
Source 2 - 이 파라미터는 사용자가 콘트롤 소스 모록에서 콘트롤 소스를 선택하고
소스 1 처럼 고정된 깊이를 설정하는 대신에 최소 및 최대의 변화량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그 Depth (변화량) 을 결정하기 위한 또 하나의 콘트롤 소스를 할당할수
있습니다.
예> 프로그램 199 번 에서 Edit 버튼을 누르십시오
PITCH 페이지에서 Src 2 : LFO 1 DptCtl : Mod Wheel MinDpt : 100 ct
MaxDpt : 1200ct 로 설정하십시오
이제 건반을 누르고 모듈레이션 휠을 움직여 보십시오
휠이 제일 아래로 내려왔을 때 반음( 100ct) 씩의 음정이 진동하며 휠이 제일
위로 올라 갔을 때 한 옥타브(1200 ct) 씩의 음정이 진동하게 될 것입니다.(진동은
LFO 1 에 의한 것입니다.)
10. Program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3)
이번 시간에도 지난시간에 이어 K2500 / X 의 Program Edit Mode 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F1 - F3 Page
이 페이지들은 각각의 알고리듬에 있는 세개의 가변 DSP 기능들을 지배하는 파라
미터들이 들어 있습니다. 이 페이지들은 ALG 페이지의 하향 화살표들에 의하여 표
시되는 세개의 중간 DSP 콘트롤 입력장치들에 대하여 선택된 DSP 기능들에 따라
다릅니다.
( 이 부분에 대해서는 후에 연재될 DSP 부분에서 다루어 가도록 할 것입니다.)
F4 AMP Page
E d i t Prog : F4 AMP(FINAL AMP) < > L a y e r : 1 / 1
Adjust: 6dB Src1 : OFF
Depth : 0 dB
Src2 : OFF
KeyTrk: 0.00dB /Key DptCtl: MWheel
VelTrk: 35dB MinDpt: 0 dB
Pad : 0 dB MaxDpt: 0 dB
< m o r e F 1 O F F F 2 O F F F 3 O F F F 4 A M P m o r e >
이 페이지에서는 오디오 출력 장치에 도달하기전에 현재 레이어의 최종 음량과 관
련된 부분을 설정합니다.
1.Adjust : 6dB
현재 선택되어진 레이어의 음량( 최종 출력) 을 조정합니다.
2.KeyTrk : 0.00dB/Key (Key Tracking)
건반의 위치에 따른 음량의 증가,감소를 설정해 줍니다.
3.VelTrk :20 dB (Velocity Tracking)
건반을 치는 세기에 따른 음량의 변화를 설정합니다.
4.Pad : 0 dB
최종 증폭 단계 전에 레이어의 음량을 줄이기 위하여 4 개의 레벨(0 dB,6 dB,12 dB,
18 dB)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연주시 레이어의 사운드에서 디스토션이 생기면 패
드를 사용하십시오
5.공통 사항
Src 1 : OFF (Source1)
Depth : 0 ct
Src 2 : OFF (Source 2)
DptCtl : OFF ( Depth Control )
MinDpt : 0 ct (Minimum Depth)
MaxDpt : 0 ct (Maximum Depth)
위의 사항들은 편집과 관련된 공통된 사항으로 소리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사용이
됩니다.( 지난 시간에도 설명이 되었던 부분입니다.)
Source 1 - 이 파라미터는 K2500 의 각종 콘트롤 소스에서 그 값을 취합니다.
( 이 목록은 Reference Manual 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Source 1 은 그 아래의 Depth 와 함께 작동이 되며 Source 1 (Src 1) 에 대한 목록에
서 하나의 콘트롤 소스를 선택하고 Depth , 즉 그 양을 설정해 줍니다.
예를 들어 Src 1 을 Mod Wheel 로 선택하고 Depth 를 12dB 로 설정하면
Modulation Wheel 을 끝까지 올렸을 때 12 dB 만큼 큰 음량의 소리가 나게 됩니다.
Source 2 - 이 파라미터는 사용자가 콘트롤 소스 모록에서 콘트롤 소스를 선택하고
소스 1 처럼 고정된 깊이를 설정하는 대신에 최소 및 최대의 변화량을 설정하고
사용자가 그 Depth (변화량) 을 결정하기 위한 또 하나의 콘트롤 소스를 할당할수
있습니다.
예> 프로그램 199 번 에서 Edit 버튼을 누르십시오
F4 AMP 페이지에서 Src 2 : LFO 1 DptCtl : Mod Wheel MinDpt : 0 dB
MaxDpt : 12 dB 로 설정하십시오
이제 건반을 누르고 모듈레이션 휠을 움직여 보십시오
휠이 제일 아래로 내려왔을 때 음량이 일정하지만 휠이 제일 위로 올라 갔을
때는 음량이 커졌다 작아졌다 하는 진동이 생기게 될 것입니다.(진동은 LFO 1 에
의한 것입니다.)
OUTPUT Page
E d i t P r o g : O U T P U T < > L a y e r : 1 / 1
Pair : A(FX)
Pan : L * R
Mode : + MIDI
Gain : 12 dB
CrossFade : OFF XfadeSense: Norm
< m o r e O O U T P U T E F F E C T C O M M O N S e t R n g m o r e >
1. Pair : A(FX)
K2500 의 경우 A,B,C,D 총 4 개의 출력 경로- K2500 의 뒷판넬을 보면 Output 에
A(L,R), B(L,R), C(L,R), D(L,R), 라고 써 있는 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를 가지고
있으며 위의 파라미터를 통해서 소리의 출력경로를 선택할수 있습니다. A 출력단
의 경우는 이펙트가 걸린 소리로 출력이 되게 되며-A(FX)- B,C,D 출력단의 경우
이펙트가 걸리지 않은 드라이한 소리로- B(DRY), C(DRY), D(DRY)- 출력이 되게 됩
니다.
Mix 단자는 모든 출력 경로를 통해서 나가는 소리들이 합쳐져서 나가게 되는 것
입니다.
2. Pan : L * R
K2500 의 소리의 좌우 경로를 설정하는 부분입니다.
3. Mode : + MIDI
Pan 을 선택하는 방법으로
Fixed - 위의 Pan 에서 설정된 값으로 Pan 값이 고정됩니다.
+MIDI - MIDI 신호로 Pan 값을 조정할수 있습니다.
Auto - 건반의 위치에 따라 가온다(C4)의 소리가 중앙에서 나고 왼쪽 건반은 왼쪽
에서, 오른쪽 건반은 오른쪽에서 소리가 나도록 설정이 됩니다.
Revers - Auto 의 반대의 설정이 됩니다. 낮은 음들은 오른쪽에서 높은 음들은 왼
쪽에서 소리가 나게 됩니다.
4. Gain : 12dB
현재 레이어의 출력을 얼마만큼 증폭시킬지를 설정해 줍니다.
5. CrossFade : OFF
6. X FadeSense : Norm
위의 두가지를 이용하여 레이어의 음량을 크로스페이드 시킬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 개의 레이어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고 해
봅시다.
CrossFade X FadeSense
Layer 1 Mod Wheel Norm (Normal)
Layer 2 Mod Wheel Rvrs (Revers)
위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면 Mod Wheel 을 올리면 Layer 1 의 소리가 커지면서
Layer 2 의 소리는 줄어 들고 Mod Wheel 을 내리면 Layer 1 의 소리는 작아 지면서
Layer 2 의 소리는 커지게 됩니다. (만약 두개의 Layer 모두 Norm 로 설정되어 있다
면 Mod Wheel 을 올리면 두개의 소리 모두 커지고 Mod Wheel 을 내리면 두 소리
모두 줄어 들게 됩니다.)
다음 시간에는 이펙트 페이지부터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10. Program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 4 )
이번 시간에도 지난시간에 이어 K2500 / X 의 Program Edit Mode 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습니다.
Effect Page
E d i t P r o g : E F F E C T A l l L a y e r s
Effect Preset : 1 Sweet Hall
Adjust : Source : Depth :
Wet/Dry Mix : 0 % OFF 0
None : 0 OFF 0
None : 0 OFF 0
< m o r e O U T P U T E F F E C T C O M M O N S e t R n g m o r e >
Effect 페이지는 화면 상단의 오른쪽에서 보시다 시피 모든 레이어(All Layer) 에 공
통으로 적용이 됩니다.
1. Effect Preset : 1 Sweet Hall
Effect Mode 에서 보여지는 K2500/X 이 자체적으로 가지고 있는 이펙트나 또는
사용자가 새로 편집하여 만들어 놓은 이펙트중에서 현재의 프로그램이 사용할 이
펙트의 종류를 선택합니다.
2. Adjust
아래의 파라미터들( Wet/Dry Mix , None- 이 부분은 사용자가 이펙트중에서 조작하
고자 하는 요소를 선택할수 있습니다.) 에 대한 기본 설정값을 설정해 줍니다.
3. Source
아래의 파라미터들( Wet/Dry Mix , None- 이 부분은 사용자가 이펙트중에서 조작하
고자 하는 요소를 선택할수 있습니다.) 에 대해서 어떤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그 값
의 변화를 줄것인지를 설정합니다.
4. Depth
Source 에 의해서 얼마만큼의 이펙트의 변화를 줄것인지를 설정하여 줍니다.
예> 프로그램 199 Default Program 에서 Edit 버튼을 눌러서 편집모드로 들어간후
Effect Page 를 선택하고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 KeyMap Page 에서 Keymap 을
154 Square Wave 로 선택하시면 보다 재미있을 것 같은데요…)
Effect Preset : 28 Chor – Dly Hall ( Chorus 와 Delay Hall )
Adjust Source Depth
Wet/Dry Mix : 30 % Pwheel 15
이제 Pitch Wheel 을 올리면 음정이 올라감과 동시에 이펙트의 양( 울림의 양과 딜
레이의 양) 이 증가되는 것을 알수 있을것입니다.
정리하자면 기본적으로 30% 정도의 이펙트 효과가 나타나며 Pitch Wheel 을 올리
면 15 만큼 증가된 이펙트 효과가 나타나는 것입니다.
5, None
None 으로 나타나 있는 부분은 Effect Preset 의 종류에 따라 그 파라미터들이 변
하게 되는데 Delay 의 시간이라든가 공간의 크기(Room Volume) 등을 선택할수 있고
위와 마찬가지로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그 값에 변화를 줄수 있습니다.
Common Page
E d i t P r o g : C O M M O N A l l L a y e r s
Pitch Bend Range : 200 ct Global : Off
Monophonic : Off
< m o r e O U T P U T E F F E C T C O M M O N S e t R n g m o r e >
Common 에서는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설정을 정해 줍니다.
1.Pitch Bend Range : 200 ct
피치휠 (Pitch Wheel )을 움직일 때 피치(음정)의 변화량을 설정해 줍니다.
기본적으로는 200 ct , 즉 온음만큼의 음정 변화가 생기게 됩니다만 여기서 설정을
새롭게 하므로 해서 피치휠의 값을 변화 시킬수 있습니다.
2.Monophonic : Off
사용할 프로그램을 단선율 악기로(Monophonic) 사용할 것인지 다성 악기로 사용
할 것인지를 정해 줍니다. 만약 Monophonic 을 On 으로 설정 하면 두개의 건반을
눌러도 하나의 소리 밖에는 나지를 않게 됩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파라미터
들이 화면에 나타나게 됩니다.)
E d i t P r o g : C O M M O N A l l L a y e r s
Pitch Bend Range : 200 ct Global : Off
Monophonic : On
Legato Play : On
Portamento : Off
Portamento Time : 70.0 Key/s
Attack Portamento: On
< m o r e O U T P U T E F F E C T C O M M O N S e t R n g m o r e >
LegatoPlay : On
이것이 On 으로 설정 되면 한 음이 끊긴 상태에서 다음 음이 연주되어야지 어택
의 소리가 나고 그렇지 않으면 어택음이 나지 않게 됩니다.
Portamento : On
Portamento 를 선택합니다. 이것이 On 으로 설정되면 한음에서 그 다음으로 미끌
어 지듯이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됩니다.
Portamento Rate : 70.0 key/s
한음에서 그 다음 음으로 옮겨 가는 시간을 정해 줍니다. 이 값이 작을수록 다음
음으로 움직이는 속도는 느려지게 됩니다.
AttackPortamento : Off
이 파라미터를 On 으로 하면 무조건 Portamento 가 걸려서 소리가 나며 Off 로 설
정되면 Legato 로 연주될 때( 한음이 떨어지기 전에 다른 음이 연주되는 경우)에
Portamento 가 걸리게 됩니다.
3.Globals : Off
전체의 레이어를 한번에 콘트롤할수 있는 부분으로 만약 Globals 가 On 으로 설
정되면 LFO 2, ASR 2 , FUN 2 ,FUN 4 가 전체 레이어에 영향을 미치게 작용하며 그
이름도 앞에 G 라는 문자가 붙게 됩니다.(예> GLFO,GASR…)
SetRng
각 레이어의 사용 범위(Range) 를 설정할 때 LAYER Page 의 LoKey,HiKey 로 설정
하는 방법이외에도 이 소프트 버튼(SetRng)을 눌러 설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 Strike Low Key… " 라는 메시지가 나오는데 여기서 그 레이어
에서 사용할 제일 낮은 음을 누르고, " Strike High Key…" 라는 메시지가 나왔을 때
그 레이어에서 사용할 제일 높은 음을 누르면 간단하게 범위를 설정 할수 있습니다.
10. Program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 5 )
AMPENV Page
Edit Prog : AMPENV <> Layer : 1/1
Mode : N a t u r a l
< more AMPENV E N V 2 ENV3 ENVCTL more >
AMPENV 에서는 시간에 따른 소리의 음량 변화를 조정해 줍니다.
일반적으로는 Mode : Natural 이라고 표시가 되며 K2500/X 에서의 기본적으로 설
정된 Envelope 를 사용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Mode : User 로 설정함과 동시에 엔빌로프(Envelope)와 관련된 요소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K2500/X 에서 Envelope 은 크게 Attack,Decay,Release 의 3부분으로 나뉘며 그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Attack - 건반을 친후 음량의 최대치까지 올라가는 지점.
Decay - Attack 지점까지 올라간후 Release 지점전까지의 감쇠하는 지점
Release - 건반에서 손을 뗀후 지속되는 소리
위의 세가지 부분에 대해서는 각각 시간(time) 과 레벨(Level) 에 대한 요소들을
가지고 있으며 시간은 각각의 부분에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고 레벨은
시간에 따라 어느정도의 값까지 올라갈 것인지를 의미합니다.
K2500/X 은 AMPENV 이외에도 두개의 엔빌로프를 더 제공하며 이 엔빌로프들은
여러가지 용도의 콘트롤 소스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AMPENV 와의 차이점이 있다면 AMPENV 가 + 방향의 값만을 가질수 있다면
ENV2,3 은 음수의 값까지 가질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시간에 따라 음정을 변화시키고 싶다면 ENV2 또는 ENV3 에서 시간에
따른 음정의 변화를 +,- 값으로 설정을하고 PITCH Page 에서 Src를 ENV2 또는
ENV3 로 설정해 줄수 있습니다.
ENVCTL Page
Edit Prog : ENVCTL <> Layer : 1/1
Adjust : KeyTrk : VelTrk : Source : Depth :
Att : 1.000 x 1.000 x 1.000 x MIDI73 1.000 x
Dec : 1.000 x 1.000 x 1.000 x MIDI72 1.000 x
Rel : 1.000 x 1.000 x 1.000 x MIDI72 1.000 x
Imp : 0.0 dB 0.00 d 0.0 dB OFF 0.0 dB
< more AMPENV E N V 2 ENV3 ENVCTL more >
이 페이지를 통하여 엔빌로프를 실시간으로 콘트롤하거나 임의로 엔빌로프의 모양
을 변경시킬수 있습니다.
1 . A d j u s t :
Att(Attack),Dec(Decay),Rel(Release) 의 부분에 대해서 일정한 비율로 그 시간을
늘리거나( 1.000 X 보다 그 값이 큰 경우) 줄일수(1.000 X 보다 그 값이 작은 경
우) 있습니다.
2 . K e y T r k :
건반을 위치에 따라서 위의 세부분에 대해서 일정한 비율로 시간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습니다.
3 . V e l T r k :
건반을 치는 세기에 따라서 위의 세부분에 대해서 일정한 비율로 시간을 늘리거나
줄일수 있습니다
4 . S o u r c e :
엔빌로프를 실시간으로 변경시키기 위해서 하나의 콘트롤 소스를 선택할수 있습니
다.
5 . D e p t h :
콘트롤 소스를 변화 시킴에 따라 얼마만큼의 값이 변화가 생길지를 정해 줍니다.
6 . I m p :
Impact , Attcak 의 20 ms 동안의 음량을 변화 시켜 줍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소
리나 드럼 소리의 때리는 느낌을 살릴 때 효과적으로 사용할수 있을 것입니다.
10. Program Mode 의 이해 및 사용법 ( 6 )
LFO Page
Edit Prog : LFO <> Layer : 1/1
MnRate: MxRate: RateCt: Shape: Phase:
LFO 1 : 2.00 H 0.00 H OFF Sine 0 deg
LFO 2 : 2.00 H 0.00 H OFF Sine 0 deg
< more LFO ASR FUN VTRIG more >
LFO 는 Low Frequency Oscillator (저주파 발진기) 로써 정기적으로 반복하는 콘트롤
소스입니다.사용자는 LFO 의 정기적인 진동의 성질을 이용하여 피치에서의 LFO 를
이용한 비브라토 효과나 Amp 에서의 LFO 를 이용한 트레몰로 효과를 효과적으로
만들어 낼수 있습니다.
K2500/X 은 총 2 개의 LFO 를 지원하며 LFO 는 항상 로컬(각 음이 생성됨과 동
시에 트리거되는)로 작동하나 LFO 2 는 Common Mode 에서 Global 을 On 으로 하
므로써 GLFO 로 사용할수 있습니다.
1. MnRate :
Minimum Rate - 최소 주기로 1 초에 몇번 진동할 것인지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2.00H 라고 설정이 되었다면 1 초에 2 번의 떨림이 만들어 지게 됩니다.
2. MxRate :
Maximum Rate - 최대 주기로 1 초에 몇번 진동할 것인가를 의미합니다.
3. RateCt :
Rate Control - 주기를 바꿔줄수 있는 부분으로 예를 들어 MnRate 를 2.00 H 로,
MxRate 를 4.00 H 로 , RateCt 를 Mod Wheel 로 설정하면 Mod Wheel 을 올리고 내
림에 따라 진동의 빠르기가 1 초에 2 번에서 4 번까지 변하게 됩니다.
4. Shape :
LFO 의 모양을 정해 줍니다. (모양은 Reference Manual 에 나와 있습니다.)
5. Phase :
LFO 의 출발점을 결정합니다. LFO 의 전체 주기는 360 도 이며 90 도씩(1/4 주기)
변화를 줄수 있습니다.
ASR Page
Edit Prog : ASR <> Layer : 1/1
Trig : Mode : Delay : Attack : Releas :
ASR 1 : On Hold 1.00 s 1.00 s 1.00 s
ASR 2 : On Hold 1.00 s 1.00 s 1.00 s
< more LFO ASR FUN VTRIG more >
Attack,Sustain,Release 를 또 하나의 콘트롤 소스로 사용할수 있는 부분입니다.
모두 2 개의 ASR 을 사용할수 있으며 LFO 와 마찬가지로 ASR 2 는 Global 로 설정
이 가능합니다.
1. Trig :
Trigger - 콘트롤 소스 모록에서 선택을 하며 무엇으로 ASR 을 On/Off 할 것인지를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Trig : Mpress 로 설정이 되었다면 애프터 터치가 가해질 때
ASR 이 On 되게 됩니다.
2. Mode :
ASR 의 지속 형태를 설정합니다.
Norm ( Normal) - Attack 에서 Release 로 실행됩니다.
Rept ( Repeat) - ASR 의 트리거가 Off 될때까지 Attack 과 Release 를 반복합니다.
Hold - ASR 의 트리거가 Off 될때까지 Attack 의 끝부분을 유지하다가
트리거가 Off 되면 Release 부분을 수행합니다.
3. Delay :
ASR 트리거가 On 된후에 얼마만큼의 시간이 지난후에 ASR 이 진행될지를 정해 줍
니다.
4. Attack :
최소효과에서 최대 효과로 올라가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설정합니다.
5. Release :
ASR 이 최대값에서 최소값으로 내려 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설정합니다.
FUN Page
Edit Prog : FUN <> Layer : 1/1
Input a : Input b : Function :
FUN 1 : OFF OFF a + b
FUN 2 : OFF OFF a - b
FUN 3 : OFF OFF (a + b ) / 2
FUN 4 : OFF OFF a / 2 + b
< more LFO ASR FUN VTRIG more >
FUN (Function) Page 에서는 두개의 콘트롤 소스로부터 들어온 신호를 조합해서 새
로운 콘트롤 소스를 만들어 내게 됩니다. K2500/X 에서는 모두 4 개의 Function 을
제공하며 이중 FUN2,4 는 Global 설정이 가능합니다.
Input a: 첫번째 입력 값
Input b: 두번째 입력 값
Function : 두개의 입력된 값으로부터 어떤 조합을 할 것인지를 설정
( 자세한 내용은 Reference Manual 의 그래프를 통해서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VTRIG Page
Edit Prog : VTRIG <> Layer : 1/1
VTRIG 1 Level : ppp
VTRIG 1 Sense : Normal
VTRIG 2 Level : ppp
VTRIG 2 Sense : Normal
< more LFO ASR FUN VTRIG more >
VTRIG ( Velocity Trigger ) Page 에서는 건반을 치는 세기에 따라서 VTRIG 를 하나
의 콘트롤 소스로 사용할수 있게 됩니다.
그 치는 세기는 ppp , pp , p , mp , mf , f , ff , fff 의 8 단계로 구분이 됩니다.
1. V Trig Level :
어느 정도의 세기로 연주될 때 VTRIG 가 On 될 것인지를 정해 줍니다.
2. V Trig Sense :
Norm (Normal) , 건반을 치는 세기가 V Trig 의 레벨보다 클 때 On 이 됩니다.
Revrs (Revers) , 건반을 치는 세기가 V Trig 의 레벨 보다 작을 때 On 이 됩니다.
Name, Save,Delete,Dump (Object 관련 ) Page
위의 4 가지 버튼은 새롭게 편집된 프로그램의 이름을 만들거나(Name), 저장을 하거
나(Save), 지우거나(Delete), 다른 미디기기로 그 내용을 보낼 때(Dump) 사용합니다.
Name
Program Name : Default Program
Delete Insert <<< >>> OK Cancel
이름을 설정합니다.
이름을 입력하는 방법은 알파휠(+,- 버튼도 포함)을 돌려서 원하는 문자를 찾거나
키패드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키패드를 사용할 경우 숫자 키를 한번씩 누를때마
다 숫자 밑에 써 있는 문자들이 순서대로 나타나게 됩니다.( 예> 숫자 1 버튼을 누
를때마다의 변화: a -> b -> c -> a …) 만약 대문자,소문자 변환을 하고 싶다면 +/- 버튼
을 누르면 됩니다.
빈 공간을 만들려면 Clear 버튼을 누르시고 글자를 지울때에는 Delete(소프트 버튼),
삽입할때에는 Insert(소프트 버튼) 을 누르십시오.커서를 움직일때에는 <<<,>>> 버튼
을 누르거나 또는 커서 이동 버튼을 이용하실수 있습니다.
이름의 입력이 끝나면 OK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Save
Save Default Program as : ID#200
Object Rename Save Cancel
저장을 합니다.
알파휠을 이용하여 저장하고자 하는 번호를 선택하시고 Save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
다.
또는 Rename 버튼을 눌러서 이름을 다시 입력하실수도 있습니다.
취소하시려면 Cancel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Delete
Delete ID # : 200* Default Program
Delete Cancel
프로그램을 삭제합니다.
Delete ID# 에서 지우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시고 (알파힐이나 +,- 버튼을 이
용) Delete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다.
정말로 지울것인지에 대한 확인 메시지가 나올 때 계속 YES 버튼을 누르시면 됩니
다.
Dump
외부의 미디 기기- 시퀀서나 또는 다른 다른 K2500/X 등- 에 현재 만들어진 프로그
램에 대한 내용을 보낼 때 이 버튼을 누르시면 정보를 보내고 있다는 메시지가 잠
시 나오면서 데이터가 전송이 됩니다.
NewLyr, DupLyr, ImpLyr, DelLyr ( Layer 관련 ) Page
레이어를 새로 만들거나(NewLyr:New Layer) 현재 선택된 레이어와 똑 같은 레이어
를 복사하거나(DupLyr:Duplicate Layer) 다른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레이어를 불러 오
거나(ImpLyr:Import Layer) 현재의 레이어를 지우는 일(DelLyr: Delete Layer)을 수행합
니다.
NewLyr :
이 버튼을 누르면 새로운 레이어가 만들어 집니다.
DupLyr :
현재의 레이어와 똑같은 레이어가 만들어 집니다.
ImpLyr :
다른 프로그램의 레이어를 불러 옵니다.
Import Layer :
Layer 1 / 1 , Prog 2 Stage Piano
Layer - Layer + Prog - Prog + Import Cancel
Prog 에서 프로그램을 선택하십시오.
Layer -, Layer + 버튼을 이용하여 불러올 레이어를 선택하십시오.
선택이 끝났으면 Import 버튼을 눌러서 불러 오시면 됩니다.
DelLyr :
현재의 레이어를 삭제 합니다.
이 버튼을 누르면 정말로 지울것인지를 묻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이때 Yes 를 누
르시면 확실히 지울것인지 확인메시지가 나오는데 이때 다시 한번 Yes 를 누르시면
됩니다.(만약 Master Mode 에서 confirm 이 Off 로 설정되어 있다면 확인 메시지가
나오지 않고 바로 삭제 됩니다.
Program Editing 을 마지막으로 K2500/X 의 매뉴얼 연재를 마치게 되었습니다.
매뉴얼을 연재하는 동안 개인적인 업무로 인하여 연재가 지연되기도 하였었고 또
미쳐 사용자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부분도 있었을 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제가 처음 K2000 이라는 악기를 접했을 때 느꼈었던 그 막연했던 심정으로 돌아가
연재를 하려고 노력하였었는데 얼마나 여러분에게 도움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제 본래의 업무와 병행을 하다 보니 처음의 마음과는 다르게 연재의 내용이 바뀌기
도 하고 또 지연되기도 한점에 대해서 너그러이 이해해 주시기를 바라겠습니다.
이제는 KURZWEIL 연구소의 일원으로서가 아니라 저 역시 KURZWEIL 악기를 사
랑하는 사람의 한명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KURZWEIL 악기를 잘 활용할수 있게 되
는 그 날까지 노력할 것을 이 자리를 빌어 여러분에게 약속드립니다.
긴 시간동안 제 글을 읽어 주신 여러분께 감사 드리며 아무쪼록 즐거운 음악생활
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첫댓글 하이고~ 이 글 쓰신 분..정말 대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