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질환은 medical exericise의 마지막단계의 작업이다.
그만큼 어렵고 복잡하다. 움직임이 다양하기 때문에
쇄골, 견갑골, 상완골, 견봉, 호훼돌기, 견관절, 견갑극, 견쇄관절, 견갑극을 잘 보자.
쇄골, 견갑골, 상완골, 견봉, 호훼돌기, 견관절, 견갑극, 견쇄관절, 견갑극 중에서 뼈촉진이 가능한 부위
늑골과 견갑골의 관절 = 견흉관절
- 견흉관절은 기능적인 관절면임.
- 견갑절흔(scapular notch), 흉쇄관절, 흉골, 늑연골, 견갑상각, 견갑하각, 극돌기


쇄골과 견갑골이 이루는 각은 60도
견갑골과 관상면(coronal plane)이 이루는 각도는 30도.

견갑대(shoulder girdle)와 골반대(pelvic girdle)



supraglenoid tubercle and infraglenoid tubercle


상완골 대결절과 소결절 사이에 상완골결절간 구(intertubercular groove)

어깨 관절와(glenoid cavity) 면을 연결한 선과 시상면이 이루는 각도는 30도.



5개의 어깨관절
1) sc joint
2) ac joint
3) subacromial space articulation
4) scapulothoracic joint
5) glenohumeral joint
흉쇄관절
- 혈관공급이 되는 디스크가 있는 활막관절
쇄골과 견갑골의 수동안정성 = 인대1) 오훼쇄골인대(coracoclavicular ligament) - conoid ligament, trapezoid ligament
2) 견쇄인대(acromioclavicular ligament)
3) 오훼견봉 궁(coracoacromial arch) - 견봉, 오훼견봉인대(coracoacromial
ligament), 오훼돌기

견갑하근하 점액낭과 상완이두근 건초는 서로 교통되어 있음.
오훼견봉 궁(coracoacromial arch)- 견봉, 오훼견봉인대, 오훼돌기가 이루는 아침
- 오훼 견봉궁 아래 견봉하점액낭이 있고, 견봉하 점액낭 아래 극상근이 자리하고 있음.
- 오훼견봉 궁을 삼각근이 덮고 있는 구조


어깨를 외전할때 오훼견봉 궁아래의 견봉한 점액낭이 압박될 수 있음.


견봉하 점액낭염이 발생하는 상황

유착성 동결견으로 어깨관절 강직이 있을때, 아래의 구조들이 어떻게 될지 상상해보라!
- 특히 axillary recess

견갑골의 상승, 하강, 외전, 내전, 외회전 움직임을 보라. - 견갑골이 외전, 내전하는 동안 견갑대(shoulder girdle)은 전인(protraction), 후인(retraction)함.
- 견갑골 하각이 외회전(lateral rotation)하면 어깨의 외전과 상승이 일어남.
- c그림에서 회회전 각도은 대략 60도
- 견갑골하각의 외측 움직임은 10cm정도. 위로는 2~3cm만큼 움직임

흉쇄관절을 축으로 한 움직임
- 어깨는 40도 상승, 10도 하강
- 견갑대는 30도 전인, 25도 후인
쇄골을 축으로한 움직임- 견갑대 상승할때 쇄골은 대략 45도 회전함.

shoulder joint를 축으로한 움직임
- 굴곡각 150~170도, 신전각 40도.
- 어깨 외전각 160도, 상지를 내회전하면 180도
- 어깨 내전각 20~40도

- 어깨 수평내전 각도 130~160도, 수평외전각 40~50도

- 팔꿈치 90도 굴곡후 어깨 내회전 각도 70도, 외회전 각도 60도

- 팔꿈치 90도굴곡, 어깨 90도 외전 후 외회전 각도 90도, 내회전 각도 70도

상완견갑리듬(humeroscapular rhythm = scapulohumeral)
- 어깨를 외전할때 팔(arm)과 견갑골 움직임 비율은 2:1
- 어깨를 90도 외전할때, 어깨의 움직임은 60도, 견갑골의 움직임은 30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