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숙야 묘 written by 한국의 능원묘 |
▲ 목은 이색 손자이며, 이축 부친인 이숙야선생 묘역 뒤에서 바라 본 모습 |
이숙야(李叔野)는 조선 전기 문신으로 본관은 한산(韓山). 숙야 광목공(光牧公)은 목은 색(穡)의 손자이며, 진현관 제학(進賢館提學)을 지낸 이종학(李種學)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삼중대광 문하시중(三重大匡 門下侍中) 춘부(春富)의 딸, 첨의평리(僉議評理) 나해(那海)의 손녀, 양성군(陽城君) 연의 증손녀인 양성이씨(陽城李氏)이다. 벼슬이 광주목사(光州牧使, 정3품)에 이르렀다. |
▲ 묘역으로 진입하는 길목의 예뜨락 안내판 홈페이지 주소를 참고해서 어렵게 찾았습니다. |
▲ 좁은 길 안쪽으로 쭉 들어가면 우측으로 넓은 공간이 나오고 그 안쪽으로 묘역이 보입니다. |
숭정년간(崇禎年間)에 건립된 묘표(墓表)의 비문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이 지었다. 비문 내용은...
우리나라가 개국하고 나서 고려 조의 대가댁 자손 중에 어질고 뛰어난 자를 뽑아 등용하니, 공이 문보에 적을 두지 않고 사헌부, 사간원을 차례로 거쳐 광주 목사의 벼슬에 이르렀다.부인은 봉씨이니, 합장하였다. |
▲ 이숙야선생 묘역 전경 |
지금 10대 손인 안사 수언이 추모하여 묘석을 세웠으나 워낙 먼 조상이라 자세한 사적을 얻지 못하였다. 공은 본관이 한산이니 위로 가정 목은 인재 세 분이 증조부. 조부. 부이고 아래로 감사인 축. 참찬인 훈. 의정인 유청이 아들. 손자. 증손자이다. 그 후로는 더욱 번창하여 명공, 현재가 이어 나왔으니 선조를 받들어 후손에게 물려준 공의 덕을 징험할 수 있으리라. 공은 현재가 이어 나왔으니 선조를 받들어 후손에게 물려준 공의 덕을 장벌할 수 있으리라. |
▲ 묘역 하단에 차를 세우고 계단을 오르면 이숙야선생 묘역 바로 앞에 서게 됩니다. |
▲ 이숙야 선생과 숙부인 강화봉씨 쌍분 |
공은 인재공의 유언에따라 벼슬을 추구하지 않았다. 그렇지 않았더라면 선대의 업적을 이어받아 능히 왕자(王者)의 길을 빛냈을 것인데, 겨우 한 고을의 목사로 국한되었으니 애석한 일이다. 그러나 화관을 출입함에 이미 명성을 아루어 더욱 빛남이 있었으니 사람들이 한산이씨에 어진 사람이 많다고 말하는 것은 결코 헛말이 아니다. |
▲ 이숙야선생 묘역내 석물 모습 |
아아! 여기에 있으나 저기에 있으나 언제나 기리는것은 진실로 공의 어짐이요, 나라가 망함에도 온전하여 간택에 나가서 관직에 있는 것은 성조의 충후함에 더욱 느낌이 있으리라. |
▲ 문인석은 좌우로 두 쌍이 조성되어 있는데, 바깥쪽 문인석은 매우 작게 만들었으며, 아랫 부분을 날씬하게 표현했습니다. |
▲ 이숙야선생 묘역 뒷편에는 7대손 이덕연(李德演) 묘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
이숙야선생 묘역 위치도 |
|
지도 좌측 상단의 시작 부분에서 빨간선을 따라가면 끝 부분에 이숙야선생 묘역이 위치. 소재지 : 경기 고양시 덕양구 성사동 82-2 |
|
지도 하단 시작 부분에 이축선생 묘역군이, 빨간선 764m 지점에 이숙야선생 묘역이, 최상단에 이훈선생 묘역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