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하는 동안 가장 중요한 것은
바른 마음가짐입니다.
집중해서 보지 말고
억제해서 보지 말고
억지로 보지 말고
구속해서 보지 말며
일어나게도 하지 말고
없어지게도 하지 마십시오.
일어나는 대로 없어지는 대로
잊지말고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일어나도록 할 것 같으면 로바(탐욕),
없어지도록 할 것 같으면 도다(성냄),
일어날 때마다 없어질 때마다
알지 못하면 모하(어리석음).
관찰하는 마음에
로바, 도다, 근심, 걱정이 없어야만
바르게 관찰하는 마음이 됩니다.
'어떤 마음으로 수행하는가?'하고
다시 점검해 봐야 합니다.
좋은 것도 봐야하고
나쁜 것도 봐야할 뿐.
좋은 것만 원하고 나쁜 것은
조금도 원하지 않는다면
법이라 할 수 있겠는가!
바라는 마음이 없어야 하고
원하는 마음이 없어야 하며
염려하는 마음도 없어야만 합니다.
이와 같은 마음가짐들이
보는 마음속에 있을 것 같으면
수행이 제대로 되지 않습니다.
무엇 때문에 이토록 집중해서
보고있는가?
무언가를 원해서, 되게 하고자,
없애고자 하는 마음, 그들중
하나가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마음이 피곤하고 고통스러우면
수행에 뭔가 하나가 결여된 것
입니다. 마음이 긴장해서는
수행할 수 없습니다.
몸과 마음이 고통스럽고 피곤해지면
수행하는 것을 다시 점검해 봐야만
합니다. 바른 마음 가짐이 있는가?
수행한다는 것은 사띠와 아는
것으로써 지켜보는 것입니다.
생각하거나, 반성하거나,
판단하는 것이 아닙니다.
원하는 마음, 되게 하고자 하는
마음으로는 애쓰지 마십시오.
힘든 것만 남을 뿐입니다.
수행하는 몸과 마음에는
차분함과 평화로움이 있어야합니다.
그리고 자유롭고 가벼운 마음만이
수행을 가능하게 합니다.
수행한다는 것은
좋든 싫든 무엇이 오든지
모두 받아들이고 차분하게
보고 있어야 할 뿐.
마음이 무슨 일을 하고 있는가?
망상을 하고 있는가?
알고 있는가?
마음이 어디에 가 있는가?
안에 있는가? 밖에 있는가?
대강 알고 있는가?
되게 하고자 하는 모양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아니고
일어나는 것을 일어나는
그대로 알도록 하는 것입니다.
망상을 문제로 삼지 마십시오.
망상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망상하면 망상하는 줄을
알기만 하면 됩니다.
대상을 없애야 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 때문에 일어나는 낄레사(번뇌)를
알고 관찰해서 없애야 합니다.
신심이 있어야 위리야(노력, 정진)가
있고 위리야로 인해 사띠(알아차림)가
항상 이어져야 사마디(선정)가 생겨나며,
사마디가 있어야만 사실대로 알고,
사실 그래로 알았을 때
신심이 더욱 일어날 것입니다.
오직 현재에만 사띠를
두어야 합니다.
과거로도 돌아가지 말고
미래도 생각하지 마십시오.
대상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뒤에서 일하고 있는 마음,
관찰하고 있는 마음이 더
중요합니다.
관찰하는 마음의 마음가짐만 바르면
바른 대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U . Tejaniya Sayadaw
카페 게시글
수행 입문자를 위한 안내
수행중 가져야할 마음가짐(쉐우민센터)
걸어서
추천 2
조회 5,341
06.12.26 20:40
댓글 39
다음검색
첫댓글 수행의 나침반이라고 생각됩니다. 평소 집중이 잘 안되면 이 글을 몇번씩 읽으면서 마음가짐을 새로이 하는데 반갑고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핵심적인 가르침입니다. 명심 또 명심하겠습니다.
많은길을 돌아서 왔는데... 이렇게 마음에 와닿는 글을 보게 되서 기쁩니다. 감사합니다.
이글을 모셔갑니다! ()()()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명심하겠습니다...()...
생각도, 반성도, 판단도 하지말라. 얼마나 반가운 말씀인지, 꼭 명심하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
어떠한 생각도 반성도 판단도 하지 않아야 한다는 뜻이 아닙니다. 지혜로써 생각하고 반성하고 판단하는 것은 좋은 것입니다. 지혜는 불필요한 생각, 후회와 판단을 빨리 알아차리게 해주어서 번뇌에 빠지도록 하지 않을 것입니다.
더 자상하신 설명에 감사 드립니다.
참으로 바른 사띠를 관찰하게 좋은 글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생각으로수용이 되는데 맘과 몸이 하나되어 행이 안되니 어찌할까요
사띠가 뭐죠?^^: 완전초보
감사합니다. 잘받아 갑니다.
깨닫고자 하는 마음도 내리게 되네요. 그러니 평안해 지고 자유로와 집니다. 감사...
감사합니다
_()_
(이 글이) 느낌이 마음에 와 닿습니다.. 그래서 초발심,처음의 마음을 강조하는군요..
이글은 이해돼게 설명돼있네요. 어떤것인지 알았네요.이제 그리 수행하는 어려운 일이 남았네요.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자연스럽게 아는것이라 생각되네요 ^**^
고맙습니다.()
좋은 글, 바른 말씀 감사합니다. 잘 쓰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고맙습니다. ()()()...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와닿는 말씀이네요.
감사합니다
늦게 보는것이지만 좋은글 잘 보고갑니다 ^^
고맙습니다(())
수행하는 동안 알아차림으로 집중하지 않는 것이 집중하게 되는 것임을 느껴봅니다.
감사하옵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이 오래오래 머무소서 _()()()_
ㄱ고맙습니다.
수행을 명쾌하고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있네요. 많은 도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