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특수체육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한계를 지닌 노인, 장애인, 유아등을 대상으로 정신 및 육체능력을 향상시켜주는 넓은 의미의 서비스 전달체계라고 할 수 있다. 한신대 특수체육학과는 생리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뒤쳐진 노인이나 장애인, 유아들을 위하여 그들의 생활에 필요한 체력향상은 물론, 자기표현 및 신체활동 요구를 충족시켜 정서안정을 가져다 주고 신체 운동 기능을 되찾아주는 전문인력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정훈교 교수가 개발한 노인들을 위한 '치매예방체조'가 언론에 소개되어 큰 관심을 유발했듯이 이 학문의 전공자들은 다양한 사회활동을 통해 사회적 약자의 권리회복에 기여함으로써 사회분위기를 밝고 명랑하게 이끌어 가는 역할도 함께 맡고 있다.
▼ 교육목표
특수체육학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한계를 지닌 노인, 장애인, 유아들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이들 대상자들의 생활에 필요한 체력향상과 더불어 자기 표현 및 신체활동 욕구를 충족시켜 사회적, 정서적 안정을 가져오고 신체적 운동기능을 재활 또는 촉진시킴으로써 독립된 인간으로서의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전공은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이러한 전문영역을 담당할 노인체육전문지도자를 비롯하여 실버타운전문요원, 생활체육(사회체육)지도자, 장애인체육전문지도자, 유아체육전문지도자 등의 전문교육 인력양성을 교육목표로 삼는다. .
**교과 과정표**
체육원리,장애인체육I,전공실기I,육상I,야와활동,특수체육개론,
운동생리학,노인건강맛사지,테니스I,전공실기III,노인체육I,볼링,체조 체육사,해부학,장애인 체육II,육상II,배드민턴실기,전공실기II,
스포츠재활,체육심리학,노인체육II,테니스II,전공실기IV,수족침,
격기운동,체육과학실험법,운동처방론,응급처치 및 안전교육,
치료레크리에이션,카이로프락틱,유아체육I,전공실기V,운동역학,
스포츠영양학,리듬운동,게이트볼,재활체조,유아체육II,전공실기IV,
트레이닝 방법론,체육측정평가,노인보건위생,스포츠의학,수중운동요법 테이핑법,특수체육실습,스포츠 사회학,노인간호학,특수체육연구법,
노인요가운동,체육통계학,골프,스포츠댄스,학교보건,운동치료학,
무용치료학,스키,졸업논문 을 배운답니다...
***교육내용***
교과목 내용
**체육원리(Principle of Physicall Education)
체육과 인간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체육의 과학적인 기초지식과 올바른 실천방향을 제시해준다.
**장애인체육 I, II(Physical Education for Handicapped)
국민 모두에게 체육활동의 기회를 균등히 부여하고 그 참여수준을 높이기 위해 각 분야별 다양한 체육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고 있다. 신체 기능의 장애로 특수한 장비나 시설을 이용하는 스포츠를 즐김으로써 장애를 극복케 하고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애인을 위한 각종 스포츠 지도 방법을 익힌다.
**육상 I, II(Track and Field Athletics)
육상경기(트랙, 필드)의 기초 및 전문기술을 습득하고, 육상에 대한 제 이론을 통해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높인다.
**야외활동(Outdoor Education)
본 강좌를 통하여 바람직한 인격형성을 도모하고, 협동심과 사회성, 자기희생을 통한 단체생활의 규범을 익히게 한다. 또한 야외에서의 안전에 대한 주의와 대처, 구급법 등을 이론과 실기를 통하여 습득한다.
**전공실기 Ⅰ,Ⅱ, Ⅲ, Ⅳ, Ⅴ, Ⅵ(Major Practices)
각 개인의 전공실기 능력을 향상하고 전공 분야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토대로 실전경기, 심판법, 지도법 등을 익혀 지도자로서의 자질 향상과 더불어 이론과 실기의 완벽성을 기한다.
**체육사(History of Physical Education)
원시시대부터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체육의 발생기원 및 사항, 방법 등의 전개를 다룬다.
**해부학(Anatomy)
신체 각 기관에 대한 기능과 구조를 이해하고, 골격, 신경, 혈액, 신장계기능을 중심으로 메카니즘을 이해시킨다.
**배드민턴(Badminton)
배드민턴은 남녀노소 누구나 좁은 공간에서 쉽게 할수 있는 운동으로 기본동작과 게임방법을 익혀 지도자의 자질을 향상시킨다.
**특수체육개론(Introducation to Adapted Physical Education)
유아, 장애인, 노인 등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체육의 발달과정, 관련법규, 각종 스포츠 등을 종합하여 특수체육 대상자의 사회참여에 관한 영역을 다룬다.
**운동생리학(Physiology of Exercise)
신체활동을 통하여 일어나는 조직과 기능의 생리적 변화를 구체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일반적인 신체적성이나 경기체력 훈련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학문이다
**노인건강맛사지(Rehabilitation Massage)
각종 사고, 장애, 노화로 인한 관절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 피부 및 관절에 적당한 자극을 주어 피로를 회복하고 신체 기능을 향상시키는 기법을 익힌다.
**테니스 Ⅰ,Ⅱ(Tennis)
테니스의 기초 기술과 고급 기술을 분습법으로 익히고 전술 및 전략을 연구하여 능력있는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기른다.
**노인체육 Ⅰ,Ⅱ(Physical Education for the Elderly)
성인병(노인병)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정기적인 운동 프로그램 등을 작성하여 평생을 건강한 정신과 신체를 유지하는데 주 목적이 있다. 따라서 노인 운동의 프로그램 개발, 노인심리 파악, 노인 신체변화 등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될줄 안다.
**볼링(Bowling)
볼링의 기초 기술에서 게임까지의 기본 동작과 정확한 투구 동작을 연구하여 능력있는 스포츠 지도자의 자질을 습득한다.
**체조(Gymnastics)
체조는 몸의 각 부위를 고르게 발육, 발달 시키고 미적 감각, 감정표현 능력을 기르며, 체조를 통하여 자세를 바르게 하고 근력, 지구력, 순발력 등의 체력을 육성하여 모든 스포츠의 기초적 능력을 향상시킨다.
**스포츠재활(Sports Rehabilitation)
스포츠 활동을 통하여 장애 및 노화로 인한 퇴행 부위를 재활시키고, 감각 훈련을 통한 싵체운동 기능을 향상시킨다
**체육심리학(Psychology of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체육활동 중에서 심리학적인 배경과 관련되는 내용을 다루며, 특히 신체의 성장 발달 및 운동 기능의 발달, 학습방법 등을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수족침(Finger Acupuncture for Hands and Feet)
최근 상당히 민간 요법으로 각광을 받는 수족침을 동양 의학의 제 이론과 병행하여 실기를 익힘으로써 응급 처치 수단으로 또는 스포츠 상해방지를 위해 응용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한다.
**격기운동(Comnbat Sports)
격기운동은 우리 한민족의 얼과 혼이 태권도를 중심으로 신체를 단련하여 체육인으로서의 소양과 정신력 배양에 중점을 둔다.
**운동처방론(Prescription of Exercise)
일반인들의 건강 체력 유지 증진,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병적 상태에 원상회복을 목표로 체력에 맞는 운동의 질과 양을 처방하여 예방 의학과 자조 의학적인 측면에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운동처방의 순서, 운동 프로그램 작성과 원리 등을 연구한다
**응급처치 및 안전교육(First Aid and Safety Management)
응급 상황에 처했을 때 과학적이고 신속하게 처치할 수 있는 기본 기술과 각종 사고에 대비한 안전관리를 철저히 할 수 있는 제반 내용을 이론과 실기를 병행하여 습득함으로써 지도자의 자질을 향상시킨다.
**치료레크리에이션(Therapeutic Recreation)
본 강좌의 교육을 통하여 가정, 학교, 그리고 지역 사회에서 더욱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하며, 레크레이션 치료는 직접 서비스도 아니며 체육을 대신 할수도 없는 것이지만 지역사회와 동료집단의 장애자들을 통합시킬 수 있는 도움을 주는 다양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운동역학(Biomechanics)
인간의 운동에 적용하는 연구 분야로서 스포츠의 기본적 기술이나 신체적 활동이 되는 힘과 힘을 일으키는 원리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지도 방법을 교수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스포츠영양학(Nutrition of Sport)
운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인 체력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 스포츠 영양학을 통해 운동과 운동 관계의 생리학적인 관심을 갖고 이에 따른 영양과 에너지, 신체조절, 체중조절 등을 연구 검토한다
**리듬운동(Aerobic)
리듬운동은 율동에 맞춰 통합적인 체력 만들기 운동으로서 심장과 폐의 활동을 자극하여 혈관 조직을 강화하고 체내의 모든 기능을 원활하게 촉진시키는데 주안점을 둔다.
**노인요가운동(Yoga for the Elderly)
본 강좌는 요가의 기본 동작을 수행하는 기술을 습득하고 신진 운동을 통한 근육과 관절의 가동영역을 크게 향상시키는 심신의 요가 수행법을 이론과 실기를 병행하여 습득한다.
**게이트볼(Gateball)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즐길수 있는 사회체육 활동 종목으로 각광을 받는 게이트볼의 기초 기술과 게임 방법을 이론과 실기를 병행하여 학습한다.
**재활체조(Rehabilitation Exercise)
각종 사고 및 노화로 인한 퇴행성 운동기능의 장애에 근육의 신전 및 관절 가동력을 크게 향상 시키기 위한 체조 방법이다. 장애 부위 및 퇴행 부위의 기능을 능력별로 구분하여 잔존 운동능력을 회복하고 나아가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운동 및 체조 방법을 익히도록 한다.
**유아체육 Ⅰ,Ⅱ(Sports for Children)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각종 놀이, 체육종목들을 직접 실시해 봄으로써 체육에 대한 유아들의 동기유발, 체력증진, 지도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익혀 유아체육 전문지도자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게 한다.
**트레이닝방법론(Training Methodology)
현장 적용을 위한 트레이닝 방법의 체계적인 연구와 스포츠 과학에 근거한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경기력 향상이란 과제에 대처하도록 한다.
**체육측정평가(Measurement and Evaluation for Physical Education)
체육 및 스포츠의 올바른 진단과 평가는 매우 중요하며, 교육과 훈련의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하다. 측정과 평가 방법을 통하여 스포츠 과학의 지식과 기능을 터득하는데 있다.
**노인보건위생(Health and Hygiene for the Elderly)
사회복지분야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노인들의 정신의료 사업 실천에 있어서 이론적 기초가 될 여러 가지 노인들의 정신질환 종류와 특성, 치료방법, 건강유지 증진에 대해 연구한다.
**스포츠의학(Sport Medicine)
정신적 또는 정서적 장애를 지닌 환자를 도와주기 위한 정신의학자나 임상 의학자들과의 Team Approach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다룬다.
**수중운동(Swimming)
수영의 기초동작과 4가지 수영법을 익힘으로써 지도자로서의 자질과 수영장에서의 안전구급, 인명구조원의 역할을 숙지시킨다.
**테이핑법(Taping)
체육 및 스포츠 활동시에 발생되는 주동 근육, 관절 등의 운동상해에 대한 일시적 처치와 함께 예방을 도모하고 상해발생시에는 이를 최소화시키는데 필요한 타이핑법을 시간, 지식, 사용방법 등을 이해 시키면서 테이핑 기법을 습득케 한다.
**스포츠사회학(Sociology of Sports)
체육문화, 체육집단, 제도, 학습, 시설을 사회학적 입장에서 다루며 순수한 체육의 본질 및 집단 응집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노인간호학(Nursing for the Elderly)
노인들의 신체활동을 통한 건강관리법, 피로와 휴식방법, 환경과 건강, 노인법, 건강평가법 등에 관한 이론을 다룬다.
**학교보건(School Health)
인구의 고령화로 인하여 노인들의 신체적 보건과 의료, 안정된 삶을 위한 사회복지 정책제도 등을 공부하며, 기본적으로 학교에서의 건강관리 및 질병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카이로프락틱(Chiropractic)
인체의 척추 신경이 변위된 과정을 분석하고 척추신경을 과학적으로 생체역학적 원리를 이용한 방법으로 조정하여 인체의 제 기능을 회복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론과 실기를 배운다.
**골프(Golf)
골프의 기초기술을 익히면서 게임운영방법, 규칙, 점수계산법 등 골프 전반에 걸친 실기와 이론을 병행한다
**스포츠댄스(Sport Dance)
사교댄스의 기본 스탭과 응용동작 습득을 위한 실기와 이론을 병행한다.
**특수체육연구법(Research Method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특수체육의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데 필요한 연구내용 및 방법을 익히고 실제 과제를 부여하여 연구 기법을 습득시킨다.
**체육통계학(Statistics of Physical Education)
체육학적 통계자료의 작성 및 분석법을 배우며, 체육학적 현상을 수량적 표현에 의하여 파악한다.
**운동치료학(Exercise Therapy)
성인병 또는 산업 재해로 인한 장애, 만성화된 운동기능의 퇴행을 치료적 운돌을 통해 운동기능 향상 및 잔존 운동 능력을 회복 시키는 물리치료운동을 과학적으로 접근하여 이론과 실기를 병행하여 습득한다.
**무용요법(Dance Therapy)
정신지체, 비행청소년, 알콜중독자, 우울증 등의 특수한 대상자들을 위해 무용을 통한 재활 및 치료 방법을 연구한다.
**스키(Ski)
스키에 대한 기본 동작과 경기 내용을 익혀 겨울철 계절운동으로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체육과학실험법(Experimentation of Sports Science)
각종 스포츠실험 기구의 사용법과 자료해석 방법 등의 연습을 통하여 체육의 과학적 연구방법을 터득케 한다.
**특수체육실습(Field Experience)
학생 개개인이 전공영역(노인체육, 유아체육, 장애인체육)을 선택한 후, 개인의 선택에 따라 혹은 지정된 각종 단체(복지관, 유치원 등)에서 특수체육에 대한 실제적인 지도와 실무를 경험하게 되는데 현장실습은 사회 진출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