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五行 |
木 |
火 |
土 |
金 |
水 |
天干 |
甲乙 |
丙丁 |
戊己 |
庚辛 |
壬癸 |
地支 |
寅卯 |
巳午 |
辰戌丑未 |
申酉 |
亥子 |
八卦 |
震巽 |
離 |
坤艮 |
兌乾 |
坎 |
이 오행은 방위(方位)ㆍ룡기(龍氣)ㆍ음양(陰陽)ㆍ순역(順逆)에 응용한다.
2. 오행의 상생상극(相生相剋)
상생(相生) : 金生水 水生木 木生火 火生土 土生金
상극(相剋) : 金剋木 木剋土 土剋水 水剋火 火剋金
3. 홍범오행(洪範五行)
木 : 卯ㆍ艮ㆍ巳
火 : 午ㆍ壬ㆍ丙ㆍ乙
土 : 癸ㆍ丑ㆍ坤ㆍ庚ㆍ未
金 : 酉ㆍ丁ㆍ乾ㆍ亥
水 : 甲ㆍ寅ㆍ辰ㆍ巽ㆍ戌ㆍ子ㆍ辛ㆍ申
이를 대오행(大五行)이라 하며, 산은 고치고 바꿀 수 없으나 물은 이동하며 변하는 고로, 이 홍
범오행은 소수(消水) 변운(變運)에만 전용한다.
4. 쌍산(雙山) 삼합오행(三合五行)
木 : 乾ㆍ亥ㆍ甲ㆍ卯ㆍ丁ㆍ未
火 : 艮ㆍ寅ㆍ丙ㆍ午ㆍ辛ㆍ戌
金 : 巽ㆍ巳ㆍ庚ㆍ酉ㆍ癸ㆍ丑
水 : 坤ㆍ申ㆍ壬ㆍ子ㆍ乙ㆍ辰
이 쌍산 삼합오행은 24방위 내 사격ㆍ물 등을 論하며, 포태법을 적용한다. 장생방(長生方)의
고봉ㆍ목욕방(沐浴方)의 래통로ㆍ관대방(冠帶方)의 과협수ㆍ임관방의 소소봉ㆍ제왕방의 경
사진 사격 혹은 고봉에 흉흠
병방의 낮은 곳이 많음, 사방나무다리ㆍ묘절방의 요풍이 쓸고ㆍ태양방의 소봉 등등은 모두
다 삼합오행으로 사격과 물의 길흉을 보는 것이다.
5. 납음오행(納音五行)
중국 고서에 납음오행이 60갑자에 적용한 이유를 설명하고 있는데, 그 적용 이유를 보면 다
음과 같다.
甲己子午九 乙庚丑未八 丙辛寅申七 丁壬卯酉六 戊癸辰戌五 巳亥四
甲子 |
乙丑 |
丙寅 |
丁卯 |
戊辰 |
己巳 |
庚午 |
辛未 |
壬申 |
癸酉 |
海中金 |
爐中火 |
大林木 |
路傍土 |
劍鋒金 | |||||
甲戌 |
乙亥 |
丙子 |
丁丑 |
戊寅 |
己卯 |
庚辰 |
辛巳 |
壬午 |
癸未 |
山頭火 |
澗下水 |
城頭土 |
白蠟金 |
楊柳木 | |||||
甲申 |
乙酉 |
丙戌 |
丁亥 |
戊子 |
己丑 |
庚寅 |
辛卯 |
壬辰 |
癸巳 |
泉中水 |
屋上土 |
霹靂火 |
松柏木 |
長流水 | |||||
甲午 |
乙未 |
丙申 |
丁酉 |
戊戌 |
己亥 |
庚子 |
辛丑 |
壬寅 |
癸卯 |
砂中金 |
山下火 |
平地木 |
壁上土 |
金箔金 | |||||
甲辰 |
乙巳 |
丙午 |
丁未 |
戊申 |
己酉 |
庚戌 |
辛亥 |
壬子 |
癸丑 |
覆燈火 |
天河水 |
大驛土 |
釵釧金 |
桑柘木 | |||||
甲寅 |
乙卯 |
丙辰 |
丁巳 |
戊午 |
己未 |
庚申 |
辛酉 |
壬戌 |
癸亥 |
大溪水 |
沙中土 |
天上火 |
石榴木 |
大海水 |
甲子乙丑 해중금(海中金)인데, 甲九子九는 18, 乙八丑八은 16 하면 도합 34가 된다. 이 34를
五行으로 나누면 나머지 4는 金이 된다. 따라서 나머지 數 1은 火, 2는 土, 3은 木, 4는 金, 5
는 水로 납음오행이 된다. 이 납음오행은 분금(分金)을 놓는데 선택하여 생극제화(生剋制化)
에 응하라 하였다.
6. 현공오행(玄空五行)
木 : 甲ㆍ癸ㆍ亥ㆍ艮
火 : 丙ㆍ丁ㆍ酉ㆍ乙
土 : 戌ㆍ庚ㆍ丑ㆍ未
金 : 乾ㆍ坤ㆍ卯ㆍ午
水 : 子ㆍ寅ㆍ巽ㆍ辛ㆍ巳ㆍ辰ㆍ申ㆍ壬
이 용도는 보수여산량(步水與山量)이라 하였다.
7. 팔괘오행(八卦五行)
相配 補局 消納當局 砂水用
木 : 震庚亥未 巽辛
火 : 離壬寅戌
土 : 坤乙艮丙
金 : 兌丁巳丑 乾甲
水 : 坎癸申辰
8. 혼천오행(渾天五行)
持世以察 四吉 五親 破水 峰密秀麗應
乾宮 甲子 外 壬午 坎宮 戊寅 外 戊申
艮宮 丙辰 外 丙戌 震宮 庚子 外 庚午
巽宮 辛丑 外 辛未 離宮 己卯 外 己酉
坤宮 乙未 外 癸丑 兌宮 丁巳 外 丁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