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자 도덕경 해설
道德經(도덕경) 國學資料院(국학자료원)
本文(본문)
一章(일장)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故常無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무명천지지시 유명만물지모 고상무
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 此兩者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욕이관기묘 상유욕이관기요 차양자동출이이명 동위지현 현지우현
衆妙之門
중묘지문
*本文= 一章, 길이 옳다하는 것은 떳떳치 못한 길을 길하기 때문이다.
이름이 옳다하는 것은 떳떳치 못한 이름을 이름하기 때문이다.
이름 없는 하늘이 처음으로 만들어짐에 이름 있는 만물의 부모가 되었다. 그러므로 느상 하고자함이 없음(욕망 없음) 으로써 그 미묘함을본다 느상 욕망을 가짐으로써 그 찾게 될걸 보게된다 이 두 가지는 나온 것은 한곳 이로대 이름만 다르다 한곳이라 하는 곳을 일러 검다 하는 곳인데 검고 또 검은 것이 모든 미묘한 문이 된다
* 字(교자)는 人邊(인변)이 아니라 (척)字(자)변이다 컴퓨터 옥편에 나와 있질 않다
* 해설
所以(소이) 視覺(시각)感(감)을 어디에 두느냐에 道(도)와 名(명)이 생긴다는 것이라 소이 반대적인 시야 속에 길이란 것이 생기고 명분이란 것의 존재의 시발점을 찾는다는 것이리라
저항이나 반항 이런 데에서도 도와 명분이 생긴다는 것이다 뭔가 트집잡을 것이 있어야 지만 그런 속에서 지향할 목적이 생기고 그 나아갈 길이 생기고 대의명분을 찾아 세우는 것이 생긴다는 것이리라
제맘성에 차지 않아서는 트집을 잡고 그러한 것은 그릇되다 거니 함으로 인해서 그에 反(반)하는, 그에 저항하는 의식이 싹터선 나는 이러한 주장을 내놓고 이러한 견해나 관점을 찾아 세우련다 하는 것이 바로 길이나 명분의 시작이 된다는 것이리라 이리하여 모든 주장과 견해의 윗된 것 소이 부모가 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 부모라 하는 길의 시작과, 명분의 시작은 그 反(반)하는 시각에서 왔다할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욕망 유무 존재 속에서 생긴다는 것이리라
욕망의 존재 소이 갖고자함과 그 욕망을 갖는 것을 한갓 부질없게 생각하는 관점 이러한 속에서 그 미묘한 시각감을 일으켜서 道(도) 名(명) 이 존재케 된다는 것이다
道名(도명) 兩者(양자)는 그 표현하는 의미는 다르어도 그 나온 것은 한곳이라는 것이니 그 나온 것은 玄(현)이라 하는 것인데 현이라 하는 것은 소이 만물생성의 우두머리 괴수적 존재 天(천)의 異名(이명)일 뿐이라 소이 天(천)이라 하는 것의 달리 표현하는 말이 될 뿐, 이것이라 확실하게 밝힐수 없는 어둠 컴컴한 구멍과 같은 문이라는 것이라 그러니까 그 밝지 못한 상태의 표현이라 그 속셈이 밝지 못한 상태 심보 고약한 이런데서 道名(도명)이 생긴다고도 볼수 있다하겠다, 所以(소이) 道名(도명)은 흑심 가운데서도 처음에 생겨난 것이라고도 관점을 놓을수 있다할 것이다 이렇게 마구 심기 뒤틀려 갖고는 비틀어진 잣대를 들여미는 속에서도 도명을 찾을수 있다할 것이다 소이 도명은 오고가는 꽈벡이 흐름속에 있다는 것이리라
소이 길이나 명분 이라 하는 것은 그 심기 뒤틀려 갖고 마구 휘젓고 시기 질투하고 훼방 하는 속에서 생겨선 마구 짓이기고 마구 두둘겨 패주고 하는 속에서 길과 명분이 그럴사 하게 주어 섬겨 생긴다는 것이라
이유 달음은 길이고 명분이라 "너 임마 까불어 임마" 하곤 지지눌름 그게 곧 길의 시발이고 막 두둘겨 패줘선 원풀이 직성을 풀어 놓는 게 그게 바로 道(도)라는 것이다
점잖은 고양이 부뚜막에 먼저 올라간다고 고고한 인품인체 손가락하지 못할 양의 탈을 쓰고 그저 입으로 감언만 해됏 쌋는 저질 인간들 보담 이래 솔직 담백하게 바른말 해돼는 자의 말이 그 길을 찾아 세우는데 가까우리라
가증스런 僞善(위선) 떨지 말라는 것이다 필자의 말은 아무렇게나 지꺼려 대므로 첮째 사람들의 맘에와 닿길 부담이 없다
道名(도명)이 妙(묘) (교)라 하였는데 妙字(묘자)를 破(파)字(자)해봄 젊은 계집이란 뜻이고 , 字(교자)는 (척)白(백)方(방) (복) 의 合成字(합성자)이다
우선 妙字(묘자)의 의미를 푼다면 젊은 계집이라 하였는데 소이 젊은 계집은 그 생긴 바퀴 자체로 호리길 잘 한다는 것이라 陽根(양근)의 精氣(정기)를 枯渴(고갈)시키는 주체가 된다는 것이다 양근이 玉門(옥문)에 빠지면 그냥 나오질 못하는 것이라 고만 이래 정기 잡아먹는 것이 젊은 계집이라 할 것이다
이래서 고마 그 참 미묘하다 하다 하는 것이고 모든 미묘하다하는 것의 문이 된다는 것이니 여자의 생긴 바퀴는 이래 속셈을 파악할수 없는 玄門(현문)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계집의 문 속에서 모든 길과 명분이 생긴다는 것이리라 그래서 만물의 母(모)가 된다는 것이다
* 척백방복은 그 걸음걸이가 멀리 떼어놓는 것이 아니고 자주 떼어놓는 걸음걸이를 자축 거린다는 것인데 이것이 바로 (척)이고 白(백)은 그러한 걸음걸이 식으로 자주 적게 사뢴다, 소이 말씀으로 아뢴다, 이런 뜻이고 方(방)은 그 방법론을 말하는 것이고 바야흐로 하는 뭔가 시작등 그 의미를 읊어 강조하는 語句(어구)의 말이요, (복)은 작게 쳐서 울린다는 의미 그래선 일깨운다 알게 한다는 그런 글자이다
이것을 말이 잘 되게금 成語(성어)를 만들어보면
道名(도명)이라는 것은 잦은 걸음을 떼듯 자주자주 사뢰는 것이니 바야흐로 삼라만물 등 인간들의 정신영역을 일깨우는 방도라는 것이다
이래 끌어다 붙쳐 해석할수 있다할 것이다 이래 말많은 시초가 된다는 것을 지금 말하고 있다할 것이다
* 蘇子 由註 莫非道也 而可道 不可常 惟不可道而後 可常耳 今夫
소자 유주 막비도야 이가도 불가상 유불가도이후 가상이 금부
仁義禮智 此道之可道者也 然而仁不可以爲義 而禮不可以爲智 可道
인의예지 차도지가도자야 연이인불가이위의 이예불가이위지 가도
之不可常也 惟不可道然後 在仁爲仁 在義爲義 禮智亦然 彼皆不常
지불가상야 유불가도연후 재인위인 재의위의 예지역연 피개불상
而道常不變 不可道之能常如此 夫道不可道 況可得而名之乎 凡名
이도상불변 불가도지능상여차 부도불가도 항가득이명지호 범명
皆其可道者也 名旣立 則圓方曲直之不同 不可常矣 自其無名形而爲개기가도자야 명기입 즉원방곡직지부동불가상의 자기무명형이위
天地 天地位而名始矣 自其有名播而爲萬物 萬物育而名不可勝載矣
천지 천지위이명시의자기유명파이위만물 만물육이 명불가승재의
故無名者 道之體而 有名者 道之用也 聖人體道以爲天下用 入於衆
고무명자 도지체이 유명자 도지용야 성인체도이위천하용 입어중
有而常無將以觀其妙也 體其至無而常有 將以觀其 也 若夫行於
유이상무장이관기묘야 체기지무이상유 장이관기요야 약부행어요
而不知其妙 則 而不神 [土가 없는 글자임 = 留에 本字임]於妙而
이불지기묘 즉추이불신유---------------------------어묘이
不知其 則精而不變矣 以形而言 有無信兩矣 安知無運而爲有
불지기요 즉정이불변의 이형이언 유무신양의 안지무은이위유
*소자는 이를 보고 말미암아 주석을 달대 [蘇子由(소자유)는 蘇軾(소식) 唐宋(당송)팔대가의 한사람이야-]. 길(道)이란 것은 없지 않은 곳이 없으니 길이 옳다는 것은 늘상 옳치 않기 때문이다 오직 길이 옳지 아니함이 있은 후라야 늘상 옳아지기 때문이다 이제 어짊과 의로움과 예의와 지혜 이 네가지를 옳은 길이라 하는 것일진대 그렇더라도 어짊을 의를 위하여 씀을 옳지 못하다 하고 예의도 지혜를 위하여 씀을 옳지 못하다 한다 길이 옳아도 늘상 옳은 게 아님이니 오직 길이 바르지 못한 그러한 뒤에 라야 어짊이 있어 어짊을 삼고 의로움이 있게되어 의를 삼게된다 예의란 거와 지혜란 게 또한 그러하니 저-모든 게 떳떳치 못함이 라서야 길이 떳떳한 게 변치 않게 됨이니 길이란 게 옳치 않음이 늘상 이러할 진데 대저 길을 갖다 옳은 길이라 할 수 없는 입장이라 하물며 장차 옳다하는 이름을 얻는다 하리요 무릇 이름이라 하는 것은 그 길을 바르게 여기게 하는 것이다 이름이 이미 서면 둥글고 모나고 굽고 곧음 등 같지 아니함이 있어 [[바름이 늘 상 이라 할 수 없다(즉 항상 그렇다할 수 없다)] 옳게 늘 상 그렇다 할 수 없다
스스로 그 명분을 형용함이 없는 것으로 하여서 하늘땅을 삼음이니 하늘땅이 자리하여서 이름이 비로소 시작된다 스스로 그 이름을 가짐으로서야 (* 저 스스로 이름 둠을 심어서야) 만물이 되는 것이다 만물을 길러 가지곤 이름을 승재(*지어 붙힌다)치 못한다 하리라 그러므로 이름 없는 것을 길의 몸이라 하고 이름 있는 것을 길의 씀씀이라 한다 성인이 길을 몸 삼고 천하를 씀씀이로 삼는다 모든 있는 것에 들어가 있어도 늘 상 없어 보인다 장차 그 미묘함을 보게 된다 몸은 그 없음에 이른 것 같아도 늘 상 있다 장차 그 찾으면 볼 것이다 무릇 행할걸 찾음에선 그 미묘함을 알지 못하면 더러워져서 신령스럽지 못하고 미묘한데 머물러도 그 찾을 줄 모르면 곧 정신을 차려 갖고 있더라도 변화하지 못하리라 형용해서 말할 진데 있고 없음 두 가지다 뉘 없는 운세를 알아서 있음을 삼고 되돌려 없음을 삼아 일찍이 하나가 아니라 아니하리요? 그 이름은 다르더라도 그 근본은 하나다 근본이 하나인줄 알면 그 근본이란 건 검다 할 것이다 대저 멀어서 다다를 수가 없는 데를 그 색을 반드시 검다한다 그래서 노자는 늘 상 검음으로서 극한 상항의 의지처를 뜻했다 검은 것을 말하는 것은 지극한 것을 뜻함이다 그렇게 검은 게 있다 하는 게 마음에 있으면 검고 또 검은 게 극한 경계라 할 것이다 (*즉 검은 게 다 모인 것이라 할 것이다)
다시 해석해서 그렇게 검은걸 가진 마음이 있으면 검음이 또 검어진 것이니 곧 극한 검음이 모두 다 모인 것이라 할 것이다 있음을 더함을 씀이 바르다 못할 것이 모든 미묘한 게 쫓아나는 곳이다 즉 다시 해석해서 있는 것에 덧보태지 못할 곳을 모든 미묘한 게 쫓아 나오는 곳이라 할 것이다.
呂吉甫註
여길보주
凡天下之道 其可道者 莫非道也 而有時乎而殆 則非常道也 凡天下之名
범천하지도 기가도자 막비도야 이유시호이태 즉비상도야 범천하지명
其可名者莫非命也 而有時乎而去則非常名也 萬物芸芸各歸其根而 不知曰
기가명자막비명야 이유시호이거즉비상명야 만물운운각귀기근이 불지왈
靜 靜曰復命 復命曰常 爲道而至乎常 則心凝形釋 物我皆忘 夫孰知道之
정 정왈복명 복명왈상 위도이지호상 즉심응형석 물아개망 부숙지도지
可道 而名之可名哉 則常道者固不可道也 故曰道乃久 沒身不殆 常名者固
가도 이명지가명재 즉상도자고불가도야 고왈도내구 몰신불태 상명자고
不可名也 故曰自古及今 其名不去 不殆不去 是之謂常 道常無名 則無名
불가명야 고왈자고급금 기명불거 불태불거 시지위상 도상무명 즉무명
者道也 天地之所自而始也 故曰無名天地之始 太初有無無 有無名 有無無
자도야 천지지소자이시야 고왈무명천지지시 태초유무무 유무명 유무무
則 一亦不可得 有無名則一之所起 有一而未有形也 旣謂之一 則雖未有形
즉 일역불가득 유무명즉일지소기 유일이미유형야 기위지일 즉수미유형
且己有名矣 名爲一 而名之者爲二 二與一 爲三 萬物紛紛自此生矣 故曰
차기유명의 명위일 이명지자위이 이여일 위삼 만물분분자차생의 고오
有名萬物之母 知常曰明 明則無所不見也 故惟常爲可以觀 方其無欲也 則
유명만물지모 지상왈명 명즉무소불견야 고유상위가이관 방기무욕야 즉
滌除玄覽而無疵於此觀其妙 故曰常無欲可名於小矣 方其有欲也則萬物
척제현람이무자어차관기묘 고왈상무욕가명어소의 방기유욕야즉만물병
作而芸芸於此觀其 故曰萬物皆往歸焉而不知主 可名於大矣 惟小所以見
작이운운어차관기요 고왈만물개왕귀언이불지주 가명어대의 유소소이견
其妙 惟大所以見其 也 此兩者其出則同 顧其名異而已 其名異也 其實未
기묘 유대소이견기요야 차양자기출즉동 고기명이이이 기명이야 기실미
嘗異 其實未嘗異 則有欲之與無欲 求其所出皆不可得 不可得 則其所出也
상이 기실미상이 즉유욕지여무욕 구기소출개불가득 불가득 즉기소출야
故同謂之玄 玄之爲色黑與赤同乎一也 天之色玄 陰與陽同乎一也 名之出
고동위지현 현지위색흑여적동호일야 천지색현 음여양동호일야 명지출
玄 有欲與無欲同乎一也 同乎一 固妙矣 然妙乎一矣 未妙乎多也 妙乎我
현 유욕여무욕동호일야 동호일 고묘의 연묘호일의 미묘호다야 묘호아
矣 未妙好物也 玄之又玄 則同者亦不可得 同者不可得則一之與多 我之與
의 미묘호물야 현지우현 즉동자역불가득 동자불가득즉일지여다 아지여
物 莫不皆妙也 萬物之所以妙 出於此而已 故曰玄之又玄 衆妙之門
물 막불개묘야 만물지소이묘 출어차이이 고왈현지우현 중묘지문
* 여길보는 주석을 달대. 대저 하늘 아랫길이 그 길이 옳타는 것은 길이 아닌 것이 없기 때문이다 때를 따라 위태함이 있다면 늘 상 써먹을 수 있는 길은 아니라 할 것이다 무릇 천하에 지어진 이름이 그 조목에 적당해 바른 이름이라 하는 것은 적당하게 지어 붙 친 이름이 아닌 것이 없기 때문이다 때를 따라 버려지는 이름이라면 그런 이름은 떳떳한 지어 붙 친 이름이라 못할 것이다 만물이 더부룩(무성)해졌다 그 뿌리로 돌아가서 모르게 되는 것을 고요함이라 말한다 고요하다는 것은 거듭 다시 명을 받는 것을 말한다 다시 명을 받는걸 갖다 늘 상 그러함이라 말한다 길이 되어 떳떳함에 이르면 엉긴 마음 풀린 형체(마음이란 게 엉기고 얼굴이란 게 이루어짐) 라 한다 물질(사물)과 내라 하는 게 모두 망각되면 뉘 길이란 게 오른 길인 줄 알며 이름이란 게 옳은 이름인줄 알리요? 곧 떳떳한 길이란 것은 실로 바른길이라 하지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오래됨으로 인하여서 죽음에 이르도록 위태하지 않는다 할 것이다 떳떳한 이름이란 것은 실로 바른 이름이라 못할 것이라 그러므로 말하길 예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그 이름이란 걸 버리지 않는 것이니 위태하지 않아서 버리지 아니함이라 이를 일러 늘 상 떳떳함이라 함이다
길이 늘 상 그러해 이름이 없으면 곧 이름 없는 게 길이라 할 것이다 천지가 저절로 시작되었다 그러므로 말하길 이름 없는 하늘땅이 시작되었다 함이다 태초에 없고 없는 게 있었다 이름 없는 게 있었다 아무 것도 근거 될만한 것이 없는 게 있었다하면 하나라 하는 것 또한 바르게 얻지 못할 것이다 이름 없는 게 있었다함은 하나라는 것이 어디 의지간을 삼아 일어날 수 없다 할 것이다 한결같이 일어나는 게 하나로 해 가지곤 형용함 두지 못한다함이니 이미 이르길 하나라 한다면 비록 형첸 두진 못했더라도 몸이라는 이름이 있으리니 이름이 하나가되고 이름하여 가는 자가 둘이 되니 둘과 더불어 하나하면 셋이 된다 만물이 이로부터 어지럽게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말하길 이름을 가지면 만물의 부모라 한다 늘 상 그러함을 앎을 밝음이라 한다 밝으면 보지 못할게 없다 그러므로 떳떳함을 바름을 삼아서 보는 관점을 갖게되니 바야흐로 그 욕망을 없애는 방법이라 곧 씻고 덜어 검은 관점을 가짐에 병 됨이 없게 된다 (*譯者附言= 여기선 理想的인 하늘색을 검은 색 玄色으로 보게된다 현색은 흑색과 적색이 혼둔된 색이라 한다 즉 검붉은 색을 가리키는 것 같다 우리가 창천을 살필 진데 색이 검푸르게 보이는데 검붉다하는 것은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형성되어있는 그런 하늘만 가리키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니 혼둔 신비성이 가미된 그런 형용 세계를 가리킴이라 할 것이니 어찌 보면 그것만 이라 하는 입장에 유혹 빠질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래서 그妙微(묘미)를 보게 됨이라 그러므로 말하길 늘상 욕망 없음을 이름을 작게 함에 있다할 것이다. (*항상 명분을 작게 가지면 욕망을 없애는 지름길이란 뜻이다)
바야흐로 욕망을 갖게 됨으로부터 만물이 아울러 일어나 이에 더부룩해져 그 구해보게 되는지라 그러므로 말하길 만물이 모두 돌아가선 주관하는 자를 모름을 이름(명분)을 크게 함 것이라 할 것이다 오직 작은 곳에서 그 미묘함을 보고 오직 그 큰 것에서 구해 찾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두 가지는 그 나온 곳은 같은 곳을 돌아보고 그 이름만 다를 따름이다 그 이름이 다르다는 것은 그 알참은 일찍히 다르지 않다는 것이니 그 알참이 일찍이 다르지 아니하면 욕망 있음과 더불어 욕망 없음이 그 나오는 곳을 찾을 진데 모두다 얻지 못한다 할 것이다 얻지 못하면 그 나오는 곳인야 같은 연고 일 것이므로 일러 검다 함인 것이다 검은 것은 색된 것을 말하는 것인데 흑색과 더불어 붉은 색이 한군데 같이한 것이니 하늘색을 검붉다 한다 음과 더불어 양이 한군데 같이한다 이름은 컴컴함을 낸 것이나 욕망 있음과 욕망 없음이 한군데 같이 함인 것이다 한군데 같이한다는 것은 실로 미묘한 것이다 그렇게 한곳에서 미묘하게 되는 것이지 여러 곳에서 미묘하게 되는 건 아니니 내 자신에서 미묘한 게 나는 것이지 여러 만물에서 미묘한 게 나는 건 아니다. 컴컴하고 또 컴컴하면 같은 것을 또한 바르다하게 얻지 못할 것이며 같은 것을 바르게 얻지 못한다면, 하나와 더불어 여러 개, 나와 더불어 만물이 모두다 미묘하다 아니 할 수 없다. 만물은 미묘한 곳으로부터 그렇게 나올 따름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컴컴하고 또 컴컴한 것은 여러 모든 미묘한 문이라 하는 것이다.
朴西溪註
박서계주
道者體名者用 道以名爲用 名以道爲體 體用二者廢一不可故 道而但可爲
도자체명자용 도이명위용 명이도위체 체용이자폐일불가고 도이단가위
道則 無其用而 體不能自立非所謂常道矣 名而但可爲名則 無其體而用不
도즉 무기용이 체불능자립비소위상도의 명이단가위명즉 무기체이용불
能自行 非所謂常名矣 常通也久也 通則不窒 久則不變無名之體理具於天
능자행 비소위상명의 상통야구야 통즉불질 구즉불변무명지체리구어천
地之先有名之用象生於萬物之初 常無云者該上常道無名 以言其體於此欲
지지선유명지용상생어만물지초 상무운자해상상도무명 이언기체어차욕
以觀至妙之理包含萬象常有云者該上常名有名以言其用於此欲以觀至著之
이관지묘지리포함만상상유운자해상상명유명이언기용어차욕이관지저지
象根源一理體不離用用不離體有無兩者 其本一而 異其名同謂之玄 際也
상근원일리체불리용용불리체유무양자 기본일이 이기명동위지현요제야
歸也玄深也微也 玄之又玄謂深微之極 門謂所出入言衆妙皆由此也
귀야현심야미야 현지우현위심미지극 문위소출입언중묘개유차야
*박 서 계 는 주석을 달대. 길이란 것은 몸이요 이름이란 것은 씀이다 길은 이름으로서 씀을 삼고 이름은 길로서 몸을 삼는다 몸과 씀 두 가지 중 하나가 이지러져도 바르다 못할 것이다 그러므로 길로 하여서 다만 바르게 길만 삼으면 그 씀이 없어서 몸이 스스로 서질 잘못할 것이라 이른바 떳떳한 길이라 못할 것이요 이름이 또한 다만 바르게 이름만 위한다면 그 몸이 없어서 씀을 스스로 실천 칠 잘못하리라 이른바 떳떳한 이름이라 못할 것이다. 늘 상 이란? 유통함을 뜻한다 또 오래도록 지탱한다 항구하다는 뜻도 된다 통하면 막히지 않고 항구하면 변하지 않게 된다 이름 없는 몸의 이치 하늘땅보다 먼저 갖추었고 이름 있는 씀의 형상 만물보다 먼저 생겼다. 항구함이 없다 말하는 것은 항구함의 윗 된 길을 가리켜서 이름 없으나 그 몸을 여기서 말해서 지극히 미묘한 이치가 萬象을 끌어안고 먹음은 것을 관찰코자 하였고 항구함이 있다 이르는 것은 윗 된 항구함의 이름(名)을 가르쳐서 이름이 있음으로써 그 씀을 여기서 말하여 지극히 나타난 형상을 여기서 관찰코자했다. 근원이 하나의 이치이니 몸은 씀을 떠나지 않고, 씀은 몸을 떠나지 못한다. 있고 없음 두 가지는 그 근본이 하나로서 그 이름만 다르고 다 같은 검음을 찾아 사귐을 가리킴이다 돌아감이란 검음이 깊은 곳이요 미세하다는 것은 컴컴한게 또 컴컴하다는 뜻이다. 일러 깊고 미세한 것이 지극한 문을 가리키는 것이니 출입 하는 곳 여러 미묘한 것이 다 아 이로 말미암음을 말한다.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故常無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무명천지지시 유명만물지모 고상무
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 此兩者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욕이관기묘 상유욕이관기요 차양자동출이이명 동위지현 현지우현
衆妙之門
중묘지문
도라하는 것은 만들면 생기는 것은 명분이라 하는 것 역시 찍어다 붙치면 서는 것인데 적자생존논리에 힘센넘 장땡이다 한다면 이것이 곧 道(도)고 名分(명분)이 되는 것이라
특별히 道名(도명)이 따로 있는 것은 아니다
비아냥 거리기 좋아하는 老聃(노담)이 할 일 없으니깐 소일 삼아선 지어낸 것이 자기 글 老子(노자)라 하는 글일 것이리라 世態(세태)가 자기 理想(이상)과 맞지 않는다던가 實益(실익)면에서 얻어볼 것이 없는 상태로 돌아간다면 자연 비꼬는 말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이리라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명분 없는 천지가 시작되었는데 이것이 명분 가진 만물의 부모가 되었다는 것이다 태초에 무슨 명분이 있었겠느냐 이다다
故常無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 = 그런까닭에 늘상 욕망이 없음으로써 그 미묘한 것을 관찰할 수가 있다는 것이리라 금강경 내용이런 것이, 다 이런데서 환골탈태한 것이야 가만히 보면 모두가다 그렇게 한타령으로 돌아 가거든 ....不住而生心(불주이생심) 無欲(무욕)이나 無所有(무소유)나 그 말만 바꿔치기 하는 것이지 무엇이 한치건너 두치도 안되는 말들이라 미묘한 것을 본다면 내가 당기는 마음이 없이 삼자적 고찰로 본다면 바둑장기 옆에서 잘 보이듯 이해타산이 걸리지 않았는데 어찌 慧眼(혜안)이 안 열리 겠느냐 이다 다
뭔가 실익을 취하고자하는데서 안목이 흐려져선 앞을 못 보게 되는 것이다
늘 상 욕망을 가짐으로써 그 구하는 것을 관찰하게 된다는 것이리라 自心(자심)의 움직임을 들여다보고 관찰한다는 것이지... 欲(욕)의 無有(무유)가 어떻게 마음을 움직이는가를....
양자가 같은 곳에선 나와선 이름만 틀렸다 뿐이라는 것인데, 같은 것이라 하는 것은 玄(현)이라 하는 것인데 그 마음 씀씀이 流動(유동)되는 것 말하는 것인지라 왔다갔다 갈지자 행보 이랬다 저랬다 한다는 것이리라
이랬다 저랬다하는 마음 씀씀이가 所以(소이) 모든 微妙(미묘)한 게 생겨 나오는 門戶(문호)가 된다는 것이라 모두 그 마음의 움직임을 말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마음이라하는 것은 와부반영 그림자와 같은 것 거울로 표현할 수가 있는데 그렇게 觸感(촉감)하지 않으면 思覺(사각)하지 못하는 것이 그 마음이라 하는 것인데 그렇게 충동질을 받음으로서 流動(유동)치게 되는 것이다
思量(사량)을하고 난 다음이라야 道(도)이고 名分(명분)이고를 주어섬기게 되는 것인지라 사람의 머리 생각에서 道名(도명)이 다 나오는 것이지 그 머리에서 쥐어짜지 않았다면 道名(도명)이 뭔지 알수가 있겠느냐 이다 다
첫댓글 좋은 글 올려 주신 삼베..님께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