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5 조선공산당 가입
1940 전향, 대화숙 가입, 식량배급조합 이사
1945 해방 이후 조선공산당 정치국원, 중앙인민위원회 중앙위원, 남조선노동당 중앙정치위원
1948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사법상 겸 조선노동당 대남담당 비서
1950 서울시 임시인민위원장
1952 인민검열위원장
1953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정권 전복 음모와 반국가적 간첩 테러 및 선전선동행위에 대한 사건'으로 체포되어 8월에 사형당함
친일에서 전향한 좌익 인물
해방이 되자 수많은 민족 해방 운동가가 감옥에서 나와 해방의 기쁨을 만끽했다. 이들 외에도 국내외에서 일제의 탄압에 맞서 저항했던 많은 사람들의 감회는 남다른 것이었다. 반면에 일제에 협력해서 안락한 생활을 했던 친일파, 민족 반역자들에게 해방은 곧 죽음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해방이 되자 이들은 숨을 죽이고 자중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미군정이 남한에 진주하면서 이들은 다시 정치 무대에 등장하기 시작했고, 아직까지도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그 동안 친일파 문제는 일방적으로 민족주의 계열 인사만의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해방 이후의 정치과정에서 크게 부각되지는 않았지만 사회주의자들 내부에도 친일 경력을 가진 사람들의 상당수 있었다. 특히 사회주의 운동의 전위당을 자처했던 조선공산당 간부 중에 친일 경력을 가진 인물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는 사실은 의외의 일이다. 이승엽(李承燁), 조일명(趙一明), 정태식(鄭泰植), 임화(林和), 최용달(崔容達) 등이 그 대표적 인물들이다. 친일파, 민족반역자 처단을 가장 강력하게 주장했던 조선공산당이 당 내부의 친일 협력자들에게 놀라울 정도로 관대했다는 사실을 우리는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 또 이것이 해방 이후 자주적 민족통일국가 수립 운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아직까지 우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명확한 대답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
해방 직후 조선공산당 내부의 친일파, 그리고 이들이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기 위해서는 이승엽이란 인물의 행적을 추적해 볼 필요가 있다. 그는 일제 말기에 전향하여 인천에서 식량조합 이사로 안락한 생활을 한 치명적인 약점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해방 이후 조선공산당 당수였던 박헌영에게 발탁되어 조선공산당의 2인자 자리를 차지했던 인물이다. 해방 전후 그의 변신 과정은 사회주의 운동 내부의 친일파 처단 문제가 단순히 우익 진영만의 문제가 아니었음을 보여 주는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
일제 시기 사회주의 운동에 참가
이승엽은 1905년2월8일 경기도 부천군 부천명 성재리에서 뱃사공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가 어렸을 때 부모님은 인천으로 이사해서 조그마한 여인숙을 경영했다고 한다. 1919년3.1운동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자 이승엽은 당시 인천상업학교에 다니던 학생 신분으로서 이 운동에 참가하였다. 이 일로 학교에서 퇴학당한 후 그는 취직이 안되자 일본으로 건너가 3개월 만에 다시 돌아왔다. 19세에 독립단에 참가하여 동북에 가려고 했으나 병으로 가지 못하고, 20세 때에 소련에서 나온 사람을 통하여 소련에 가 공부하려고 했으나 그 사람이 체포되어 역시 가지 못했다. 그 후 각지에서 청년 단체들이 조직되자, 그는 인천 지역에서 청년회에 가입해서 활동하였다. 1925년3월8일 열린 제1회 제물포청년회 총회에서 이승엽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이후 그는 인천 지역 청년운동과 노동운동의 중심 인물로 두각을 나타내게 된다(이것은 1929년5월2일 열린 인천청년동맹 정기총회에서 그가 집행위원으로 선출된 것에서도 확인된다. 『한국청년운동사』, 305~306쪽). 그는 1925년9월 하순경 경기도 인춘부 외리의 자책에서 김단야(金丹冶)로부터 권유를 받고 조선공산당에 입당한다. 또 1925년10월20일에는 새로 선출된 조선 노동총동맹 중앙집행위원 50인 중의 한명으로 선출되었다(《한국공산주의 운동사》3, 105쪽). 1925년11월27일 '신의주 사건'으로 조선공산당의 주요 간부가 체포된 후 강달영(姜達永)을 비서로 하는 '제2차 조선공산당'이 결성되자, 이승엽은 여기에 가담하였다. 당시 서울에는 9개의 야체이카가 제1,2구로 나뉘어져 조직되었는데, 이승엽은 강달영, 조용주(趙鏞周), 이봉수(李鳳洙) 등과 함께 제3야체이카에 속해 활동했다. 또 학생, 노농, 언론기관, 사상, 여성 등의 직업 신분에 따라 5종으로 나누어져 조직되어 있던 프락치 조직 중 이승엽은 강달영, 이준태(李準泰), 홍남표(洪南杓) 등과 노농부에 속해 있었다(《한국공산주의 운동사》 2, 401~402쪽). 그러나 '6.10만세 운
동'으로 조선공산당이 다시 탄압을 받으면서 이승엽도 체포되어 징역 1년을 선고받고 첫번째 감옥 생활을 하게 된다.
1년형을 마치고 나온 뒤 인천으로 온 이승엽은 1930년경 김단야가 당 재조직 사명을 띠고 귀국하여 조직한 조선공산당 조직 준비위원회(1929년11월 결성)에 참가하여 경성에서 활동하고 있던 권오직(權五稷)과 연계, 인천 지역에서 활동하였다(《한국공산주의 운동사》5, 370쪽). 그러다 '3.1운동 11주년 격문 살포로 단서가 잡혀 조선공산당 조직 준비위원회 관련자 대부분이 체포되었다. 이승엽은 권오직 등이 검거되고 화요계 동방노력자공산대학 출신들에 대한 전면적인 검거가 시작되자, 수사를 피하여 부산, 마산 지역으로 활동 구역을 옮겼다.
이승엽은 마산에서 비밀결사 '볼셰비키사'를 만들고 『볼셰비키』라는 잡지를 발간했다. 또 이승엽은 안영달(安永達) 등과 함께 1931년11월경 '조선공산당 부산지부'를 결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도 오래가지 못하고 '10월 혁명 삐라 사건'으로 조직이 탄로나 일제에 검거되었다. 이 사건은 동래, 밀양, 대구 진주에까지 파급되었다. 안영달이 본적지 밀양에서 인쇄한 격문을 대구 80연대, 편창(片倉)제사공장, 대구고보 등지에 뿌린 사건으로 밀양합동노조 간부들이 체포되고 수사 과정에서 대구사회과학연구회의 이동우, 대구사범의 현준혁(玄俊赫), 적로대구협의회의 김일식(金一植) 등이 검거되면서 대구 지역에 일대 검거선풍이 일었다.
또한 동래 반제전위동맹원들도 안영달과 이승엽의 부탁을 받고 반전격문을 수차 부산헌병대 및 조선방직회사, 부산고무공장, 환대고무공장, 일영고무공장 등지에 뿌린 혐의로 검거되었다. 이와 같이 1931년에 이승엽은 부산, 마산 지역을 중신으로 반전 의식 및 계급 의식 고취를 위한 선전 교양 활동에 주력하다 검거되어 부산지방법원에서 징역 4년을 언도받고 만기 출옥하게 된다.
당시 자신의 활동에 대해 이승엽은 후에 공판 과정에서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1926년 서대문형무소에 들어갔다 나와 다시 운동에 가담하여 인천에 와서 권오직 조일명과 같이 사업하다가 다시 발각되어 경상도로 피산하여 폐병을 앓다가 어장노동을 하면서 생활을 하였습니다. 1931년5월 박헌영의 지시에 의하여 중국에서 나온 김형선(金炯善)과 같이 경상남도당 재건에 노력하였습니다. 그리고 대구 등지에 가서 일제를 반대하는 투쟁으로서 농촌에 들어가 농촌 운동에 협력하였습니다. 1931년10월 혁명 삐라 사건으로 검거되었다가 만기 출옥되어 그 후 다시 사업을 계속하였습니다. 1937년에 다시 검거되어 함흥에서 형을 받고 복역한 후 1939년에 출옥되었습니다(《미제국주의 고용간첩 박헌영, 리승엽 도당의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정권 전복 음모와 간첩 사건 공판 문헌》, 256쪽).
전향한 사회주의자의 기회주의적 모습
중일전쟁이 본격화되자 일제는 조선인의 황민화 운동을 노골적으로 전개했고, 침략전쟁 수행을 위해 국민총동원체제를 편성해갔다. 일제는 조선인 애국 운동가들을 가미하기 위해 조선사상범 보호 관찰령을 실시했고, 전국 7개소의 보호 관찰소에서는 공산주의자, 민족주의자, 독립 운동가 중 전향하지 않은 사람을 사상범으로 감시했다. 1941년2월에는 일본에 앞서 비전향 사상범을 사회에서 격리 수용하기 위한 조선사상범 예방구금령이 제정, 실시되었고, 예방구금소(보호교도소)가 경성 서대문구치소 내에 설치되어 강제수용이 개시되었다 1940년 초반 일제가 작성한 요시찰, 요주의 인물명부에 의하면 7천 6백 여명 중 전향자는 1,280명이었고, 중일전쟁이 발발한 직후 2년간 1,786명이 전향했다. 한편 대화속(大和塾, 1938년7월에 사상 전향자들을 모아 결성된 시국대응전선사상보국연맹이 1941년1월에 확대되어 창설된 기관)에는 1943년10월 현대 91개소의 지부에 5,400여 명이 가담하고 있었다(《조선연감》, 390~391쪽).
이러한 일제의 탄압과 회유가 이승엽에게만 예외일 수는 없었다. 그는 1953년 진술에서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이야기하고 있다.
1940년에 다시 검거되었는데 일제경찰이 전향을 요구했습니다. 그래서 그를 반대했는데 화요파에 속한 조봉암이가 같이 있다가 하는 말이 지금 사회에 나가면 그렇지 않으니 너무 그러지 말라고 하면서 권고하였습니다. 그래 10일 후 변절을 선언하고 석방되어 박헌영을 만났습니다. 1940년 말까지 같이 사업하다가 당시 박헌영이가 지하로 들어가면서 같이 들어가자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시 저는 가정 살림을 처음 시작한 때이므로 후에 지하에 들어가겠다고 말하고 1941년5월부터 1945년6월까지 미곡상 조합사무원을 거쳐 식량배급조합 이사까지 하면서 일제 식량정책을 지지 협력하였습니다(《미제국주의 고용간첩 박헌영, 리승엽 도당의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정권 전복 음모와 간첩 사건 공판 문헌》, 256쪽).
그의 진술을 통해 볼 때 그는 전향을 하지 않으려고 했지만. 화요파 선배인 조봉암(曺奉岩)의 권유로 전향을 한 후 출감하여 박헌영과 만나 다시 당 재건 운동을 하다가 경성 콤그룹이 와해된 후 완전히 전향한 것으로 보인다. 그의 전향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문제는 간단하지 않다. 당시 많은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이 일제의 강요에 의해 어쩔 수 없이 보느이 아니게 전향을 표명한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더구나 이승엽은 1943년 홍남표, 정재철(鄭載鐵), 정재달(政在達) 등과 함께 '공산주의자 협의회'라는 조직을 결성하고 기관지인 『자유와 독립』을 발간하였다고 한다. 이 그룹은 건국동맹과 연계를 가지고 군사위원회를 조직하고 전국을 8개지구로 나누어 책임자 파견 및 인물규합에 나서고 있다(「연안행(延安行)」,『문학』,1946년 창간호, 188쪽).
그러나 본의 아니게 조봉암의 권유에 의해 '위장 전향'했다는 그의 변명이나 출감 이후의 활동에도 불구하고, 그가 일제의 정책에 적극 협력하는 위치에 있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왜냐하면 그는 이미 1934년 체포되었을 때도 전향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경남 적색교원 노조 사건'으로 1933년 경 부산형무소에 수감되어, 이미 수감되어 있던 이승엽을 만났던 신영갑(辛永甲)은 당시 형무소 안에 있던 이승엽의 모습을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당시 감옥에 들어가 보니 이미 이승엽이 들어와 있었습니다. 당시 그는 보통 잡역도 아닌 총잡역(죄수를 통제하는 이른바 보조간수를 잡역이라 하는데 잡역을 총괄하는 자를 총잡역이라 했다)으로 기결감 미결감을 마음대로 안방 드나들 듯이 감옥 안에서 자유로운 상태였습니다. 강병도(姜炳度), 신학우(申學雨), 김용찬, 박용규 등의 동지들이 이승엽을 이미 한물간 변절자라고 욕을 해댔지요. 당시 인텔리는 출역을 하지 않고 감방 안에서 손그물을 떴으므로 우리는 조금 편했습니다. 그 외의 정치범은 모두 벽돌공장, 농장 등에서 중노동을 하여 대우가 완전히 달랐는데, 이승엽은 정치범인데도 자기 마음대로였습니다. 따라서 이승엽은 이 당시에 돌지 않았나 생각됩니다(「적색교원 노조 사건과 부산지역 조선공산당, 사회당에서의 활동」,『역사비평』,1992년 봄호, 314쪽).
이 증언에 따르면 이승엽은 그 당시 일제에 전향해서 감옥 안에서 다른 정치범과 달리 특별한 대접을 받음녀서 편안한 생활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해방 직전까지 이승엽은 대화숙에 적을 두면서 사회주의 운동에 참가했다가 전향한 박남칠(朴南七)이 조합장으로 있던 미곡상조합의 상무이사로 지냈다. "이승엽은 일제 말기에 식량영단(食糧營團) 이사를 지낸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는 일제에 대단한 협력을 하지 않은 이상 곤란한 일입니다"라는 신영갑의 지적처럼 그의 친일활동은 피동적이라기보다는 자발적인 것이었다. 당시는 식량이 극도로 귀한 시대라 그 자체가 대단한 특권이었다.
그런데 이승엽은 친일활동을 하면서도 공산주의자들의 조직에 참여하고, 건국동맹과도 연계를 맺었다. 이것은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이것은 후에 공판 과정에서 그가 "1943년에 일제 패망이 뚜렷이 보이게 되자 저는 영웅주의 출세주의에서 1943년 화요파 계통 몇 사람과 공산주의자를 모집해 가지고 한편으로 여운형(呂運亨)과 연계를 가지고 건국준비 회의를 가졌는데 8.15해방 직전에 와서 발각되었습니다(《미제국주의 고용간첩 박헌영, 리승엽 도당의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정권 전복 음모와 간첩 사건 공판 문헌》, 256~257쪽0"라고 진술한 것처럼 정세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기회주의적으로 일제와 민족 해방 운동 세력 양자에 모두 관계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해방 직후 이런 이승엽의 문제점이 지적되어야 했으나 전혀 거론되지 낳은 채 재건된 조선공산당의 간부로 등용되었던 것이다.
조선공산당 재건에 참여
해방이 되자 제일 먼저 정치활동을 편 것은 공산주의자들이었다. 공산주의자들은 민족주의 운동가들과 함께 민족 해방 운동 세력으로서 그 일부가 해방 전까지 투쟁을 계속해 왔기 때문에 재빨리 파괴된 조직을 수습, 하나의 정치 세력으로 쉽게 등장할 수 있었다.
해방 전 서울에 있던 공산주의자들 중에는 이미 8월14일에 일본이 '포츠담 선언'을 수락했다는 사실을 입수하고 있었던 사람도 있었다. 해방 당일인 8월15일 밤부터 8월16일 새벽에 걸쳐서 서울 종로에 있는 장안빌딩 내에서 이영(李英), 최익한, 정백(鄭柏) 등 과거 사회주의 운동에 참여했던 50여 명이 모여 조선공산당 재건을 선포하였다(이들은 장안빌딩에서 당을 조직, 그 건물에다 당 간판을 내걸었던 데서 이 당을 세칭 장안당 또는 장안파 공산당, 혹은 '15일당'이라 했다). 이 조직에서 이승엽은 책임비서 이영에 이어 제2비서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이 당은 당의 강령규약도 없고 투쟁목표도 결성하지 못한 채 단지 중앙의 인적 구성을 정했을 뿐이었다. 또한 장안파 공산당을 조직한 사회주의자들은 대부분이 일본 제국주의하의 민족 해방 운동의 혁명전선에서 이탈하고 전향(일부는 위장전향이었다고도 한다)한 경력이 있었고, 당 재건에 필요한 기반인 하부 조직을 갖고 있지 않았다(《남로당사》,41쪽).
이러한 한계 때문에 이 조직은 박헌영을 중심으로 한 조선공산당 재건위원회가 결성되자 급격하게 와해되기 시작하였다. 장안파 공산당 내에는 이영, 최익한처럼 자기 파가 공산주의 운동의 주류임을 자부하고 끝까지 공산주의 운동을 리드해 보겠다는 사람이 있었는가 하면, 대부분은 당의 주도권이 박헌영계열에 넘어가는 한이 있더라도 간부직만 얻게 되는 것으로 만족하겠다는 층이 낳았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장안파 공산당에 참가한 '공산주의자들'이 얼마나 기회주의적인 행동가들이었으며 해방의 환호에 깜짝 놀라 우선 자기들의 지위를 확보하려는 데만 급급한 출세주의자들이었는가를 알 수 있다.
장안파 공산당에 참여했던 이승엽은 박헌영이 상경하여 김해균의 집에 거처를 정하자 여기에 드나들기 시작했다. 이승엽을 비롯해서 조일명, 조동백(趙東栢) 등 과거 화요파 인사들이 박헌영과 관계를 가지기 시작했다. 결국 박헌영이 8월20일 콤그룹과 화요회의 중심인 물을 모아 조선공산당 재건 준비위원회를 결성하자, 이승엽은 여기에 가담하였다.
장안파와 재건파의 대립을 해소하기 위해 서울소재 사회주의자들은 8월25일 서울 계동에서 공산주의 열성자 대회를 열고, 장안파 공산당과 조선공산당 재건 준비위원회의 통일 방법을 논의하였다. 여기서는 장안파 공산당의 해체에 의한 통일당의 재건이라는 의견이 다수를 이루었으나 이영, 최익한, 정백 등이 장안파 공산당의 무조건 해체에 반대했기 때문에 9월1일과 2일에 계동에서 열성자 대회를 속개하게 되었다. 이 이틀간의 대회에서 장안파 공산당의 해체가 결정되고, 당 재건 준비위원회와의 교섭은 이정윤(李廷允)과 장안파 공산당을 이탈하여 박헌영쪽으로 기운 이승엽, 안기성(安基成) 3인이 맡게 되었다. 이들은 재건당의 중앙기구에 포함시킬 사람들을 전형하는 임무를 맡았다. 그러나 박헌영 일파는 이승엽 등의 교섭위원이 제시한 당 중앙위원 후보자를 그대로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았다. 이리하녀 9월8일 제4차 계동 열성자 대회가 열렸다. 이날 회의에는 박헌영, 이승엽, 이정윤을 비롯해서 약 60여 명의 사회주의자들이 참가했다. 이날 회의 결과 당 중앙집행 위원의 선출이 박헌영에게 일임되었다. 이날 대회에서 박헌영이 당의 주도권을 잡는 데는 이승엽, 조일명, 권오직 등이 큰 역할을 수행했다. 조일명은 일제 말기에 대화숙에 가입해서 사상범을 대상으로 일본어 강사를 했던 인물이었다. 이들은 박헌영과 같은 '화요파'계열이란 점, 9월8일의 계동 열성자 대회에서의 역할이 인정되어 과거 경력에 대해 어떠한 비판도 받지 않고 9월11일 재건이 선포된 조선공산당의 중앙간부로 등용된다[박갑동에 의하면 조선공산당 간부 중 김삼룡(金三龍), 이주하(李舟河) 등 비전향파와 이승엽, 조일명 등 전향파 사이에는 친소 관계가 갈라져 있었다고 한다. 《통곡의 언덕에서》, 270쪽].
이승엽같은 친일 경력의 소유자가 조선공산당의 중앙간부로 등용될 수 있었던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 일제 시기에 국내에서 공산주의 운동을 전개한 대부분의 공산주의자들이 위장전향이든, 소극적 친일이든 완벽하게 지조를 지켜낸 사람이 많지 않았다는 것도 그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더욱 큰 이유는 해방 후에 공산주의 운동 내파벌들에 의한 ㅈ도권 싸움을 위해 지도적 공산주의자들의 수상쩍은 과거를 덮어둘 필요가 있었고, 과거의 친일행각에도 불구하고 두둔하고 감싸야 할 세력을 자기 주위에 형성할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들은 서로가 서로의 과거를 숨겨 주고 서로의 약점 때문에 서로에게 발목이 잡혀 있었던 것이다(김남식에 의하면 당시 사회주의자들의 상당수가 서로 약점을 가지고 있었고, 일제 시기에 대화숙에 가입했다 하더라도 과거 진보적 운동을 한 경력을 보아 할 수 없이 들어갔을 것이란 분위기가 강해 일제 시기 친일행위에 대한 상호비판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한다). 즉 일제 시기 이래의 파벌주의의 병폐가 공산주의자 내부의 친일이나 정향 문제에 대한 비판과 자기 비판을 기피하게 만든 이유였던 것이다.
이보다 앞선 9월6일 여운형이 중심이 되어 조직한 건국준비위원회는 서울에서 민족 해방 운동 경력자 1,300여 명을 소집하여 전국인민대표자회의를 개최하였다. 이 회의에서는 주권이 인민에게 있다는 것을 선언한 후 임시 정부 조직법안을 가결하고 중앙인민위원 55명, 후보위원 20명, 고문 12명을 선출하여 중앙인민위원회를 구성하고, 곧이어 조선인민공화국 정부를 수립했다. 이 회의에서 이승엽은 55명의 중앙인민위원 중의 1인으로 선출되었다/. 9월 14일 중앙인민위원회는 인민공화국의 부서를 발표했는데, 이승엽은 사법부장 대리로 발표되었다.
1945년11월24일 중앙인민위원회 제1회 확대집행위원회가 열렸다. 이 회의에는 각도 대표 35명과 중앙위원 중 17명 등 모두 52명이 참가했다. 이 회의에 이승엽은 중앙위원의 일원으로 참가했다. 또 이승엽은 12월8일부터 3일간 열린 전국농민조합총연맹(이하 전농) 결성 대회에도 참가하여 의장단의 일원으로 선출되었다(박갑동은 전농의 조직 과정에 이승엽이 깊이 관계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당시 이승엽의 활동에 대해 박갑동은 "일본군 병졸이 입었던 군복을 입고 맹렬히 활동해 그의 조직역량을 유감없이 발휘, 박헌영의 신임을 얻게 되었다"라고 묘사하고 있다. 《통곡의 언덕에서》, 162쪽).
이와 같이 이승엽은 조선공산당의 정치국원으로 등용된 후 당 내 활동뿐만 아니라 중앙인민위원회, 전농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이 과정에서 이승엽은 박헌영의 신임을 점차 획득해 갔던 것으로 보인다(박갑동은 "해방 직후 이승엽은 떠돌이 신세여서 권오직과 조두원이 박헌영에게 추천해 주었는데 뒤에는 이승엽이 권오직과 조두원을 뛰어넘어 박헌영의 다음 가는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163쪽).
또 한 번의 좌절
해방 이후 조선공산당과 중앙인민위원회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이승엽은 1946년에 들어와 그의 일생에서 새로운 전환을 맞게 된다. 1946년에 들어와 국내 정세는 조선 임시 정부 수립을 결의한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정을 지지하는 좌익 세력과 반탁을 외치는 우익 세력간의 충돌과 대립이 심화되고 있었다. 이승엽은 모스크바 삼상회의 결정을 찬성하는 정치 세력이 모두 참가하는 민주주의 민족전선 결성을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있었다. 바로 이러한 때인 1946년2월 이승엽은 조일명과 함께 '이승만 암살 음모 혐의'로 미군정에 체포되었다. 물론 터무니없는 혐의 내용으로 미군정의 노선공산당 탄압 정책의 일환이었다. 그는 처음 본정(중부)경찰서에 구금되어 있으면서 경찰의 신문을 받다가 미국 정보기관에 넘겨져다. 이때 이승엽은 미국 정보기관에 굴복하여 미국을 위한 간첩행위를 할 것을 서약하였다고 한다[1946년 하지 중장의 정치고문인 버치(Leonard Bertsch) 중위는 조선공산당내 분파들의 명단을 입수했고 그들을 분열시키는 작업에 착수했다고 한다. 이승엽, 조일명 등에 대한 회유공작이나 5월에 있었던 조봉암의 전향성명 등은 바로 이러한 공작의 일환으로 보인다. 《해방과 미군정》, 28쪽 참조]. 후에 이승엽은 당시 상황을 다음과 같이 진술했다.
미국놈들은 저에게 간첩행위를 하면 석방하겠다는 암시를 하였습니다. 그러나 저는 반대하니까 만일 미군정의 요구에 따르지 않으면 엄혹한 형벌에 처한다는 데서 본래의 소자산적 계급사상에서 또는 민족주의 사상에서 비겁한 본성이 나타나 우선 생명의 위험을 느끼고 그들의 요구를 수락하고 석방된 후 버치를 만나니 조일명과 연계를 가지고 사업하라는 지시를 주었습니다. 그 후 경기도당에서 조일명을 만나 앞으로 협력하여 간첩자료를 수집하기로 약속하였습니다.(《미제국주의 고용간첩 박헌영, 리승엽 도당의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정권 전복 음모와 간첩사건 공판 문헌》, 257=258쪽).
당시 미군정은 일제 시기에 전향한 경력이 있는 조선공산당 간부들을 회유, 위협하여 정보를 수집하였는데, 이승엽도 과거 친일 경력이 약점으로 잡혀 미군정에 굴복하였던 것이다. 주목해야 할 점은 미 정보기관이 이승엽의 협조를 강요하면서 그의 친일 경력을 교묘하세 이용했다는 점이다. 조선공산당의 중앙간부였던 이승엽 입장에서 미 정보기관의 친일 경력 폭로위협은 정치생명과 관계되는 치명적인 것이었다.
이후 이승엽은 주동적으로 자료를 모아 조일명이 정리하여 보고하게 하고, 2개월 내지 3개월에 한 번씩 버치와 조선 호텔 또는 민주주의 민족전선 앞에서 만나 세 번에 걸쳐 직접 간첩 자료를 주고 조일명에게 시켜서 두 번 제공하였다고 한다[이와 관련해서 입증되지는 않앗지만 전 同盟通信 기자였고 건국동맹에 관계했던 엄태석(嚴太석)은 "이승엽이 미군 CIC(육군 특무부대) 건물에서 나오는 것을 목격한 적이 있다"고 증언했다].
1947년5월 이승엽은 북한에서 온 문건을 가지고 박헌영의 수표를 받으러 가다가 경찰에 발각되어 체포된 적이 있다. 이때 하지(John R. Hodge) 중장의 정치고문인 노블(Harold J. Noble)과 수도경찰청장인 장택상(張澤相)이 찾아와서 "우익 및 중간측까지 포섭한 통일 정부를 구성하려고 하는데 북반부에서 적색분자가 반대하고 또 남조선 공산당이 이를 반대한다. 그런데 당신이 여기에 가담하여 통일정부를 구성하려고 한다면 미군은 환영하며 적극 협력해 주겠으니 해보라"고 회유했다고 한다. 이승엽은 이를 승인하였는데, 그 이유는 첫째로 일제 시대 혁명 운동에 가담은 하였으나 일제의 탄압에 굴복하고 혁명운동을 포기하고 변절하였다는 정치적 약점이 있다는 점과 둘째로는 정권에 야욕이 있었기 ㄸㅒ문이었다. 그후 이승엽은 1947년 7월까지 남로당의 당 내부 상황과 북조선의 경제형편, 인민생활형편 등을 세 차례 걸쳐 구두 또는 서면으로 전달하였다.
1946년 2월 이후 이러한 이승엽의 이중적 활동은 조선공산당이 활동하는 데 큰 제약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것은 1946년 9월 총파업과 3당합당 과정에서 분명하게 드러났다.
1946년 7월 남북공산당은 남쪽에서 조선공산당, 조선인민당, 남조선신민당 등 좌익 3당간의 합당을 통해 좌익 정치 세력을 강화하고, 이에 기초해서 10월달에 총파업과 농민항쟁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남쪽의 박헌영 세력은 자파 세력만을 중심으로 3당합당을 추진하여 남조선노동당(이하 남로당)을 결성하기 위해 10월달로 예정되어 있던 총파업을 9월달로 앞당겨 버렸다(《비록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237~238쪽).
9월 총파업과 관련해서 당시 조선공산당에서 활동했던 사람들은 이른바 '이승엽의 지시'에 대해 여러 가지 의문점을 토로한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출판노조의 파업이었다. 9월 총파업 과정에서 출판노조는 각 파업단의 행동을 통일하고, 파업투쟁 상황을 널리 알려 국민의 지지를 얻도록 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파업하기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출판노조는 당 지도부의 지시라고 하여 다른 노조와 함께 파업에 들어갔다. 파업이 확대되자 '남조선 총파업 투쟁위원회'는 각 신문으로부터 종업원들의 요구조건을 일단 수락한다는 약속을 받고 출판노조의 대책을 강구하려 했다. 그러나 이것마저 이승엽의 간섭으로 실패하였다. 이승엽은 '총파업 투쟁위원회'에 나와서 박헌영 체포령을 취소하게끔 하는 요구 조건을 총파업 선언에 반영시키지 않았다고 추궁하면서 각 신문사의 파업투쟁도 박헌영 체포령이 취소될 때까지 계속되어야 한다고 강요했던 것이다. 이 때문에 출판노조는 다시 파업을 계속하지 않을 수 없었다(《남로당 연구》,235`240쪽).
더욱 주목해야 할 점은 조선공산당의 9월 총파업 계획에 대해 미군정이 사전에 정보를 입수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미군정은 총파업 계획에 대해 두 가지 경로를 통해 확인했다고 하는데, 그 중의 하나는 '공산당 고위층 내의 스파이에 의한 것'이었다(이에 대해 미군정 관리였던 로빈슨은 다음과 같이 적고 있다. "1946년9월 하순, 소위 공산당 전략의 마스터플랜이 미군정에 의해 신문에 공개되었다. 마스터플랜의 진위 여부는 적어도 두 가지의 정확한 뉴스원에 의해 입증되었는데, 그 하나는 공산당 고위층 내의 스파이에 의한 것이었다" 《미국의 배반》,112쪽). '공산당 고위층 내의 스파이'가 누군지 확인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총파업 전후의 활동을 통해 볼 ㄸㅒ 이승엽을 지칭하고 있을 가능성은 높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승엽은 3당합당 과정에서도 큰 장애를 조성했다. 1946년8월부터 본격적으로 3당합당을 추진하던 좌익 3당은 남로당과 사회노동당(社會勞動堂)으로 분열되어 큰 혼란에 빠졌다. 이렇게 되자 박헌영, 김삼룡(金三龍), 이승엽 등을 비롯한 남북 좌익 정당 지도자들은 1946년11월 초 평양에서 비밀연석회의를 갖고 남쪽 좌익 정당의 무조건 합당을 재확인하였다. 그러나 이승엽은 연석회의의 결정사항을 무시하고 사회노동당의 무조건 해체만을 고집하여 합당의 원만한 진행을 방해하였다(3당합당에 대한 자시한 내용은 < 1946년 좌익 정치 세력의 3당합당 노선과 추진 과정 >,《한국사론》20참조).
그러나 이승엽의 이러한 문제점들은 당시에는 전혀 거론되지 않았다. 오히려 박헌영이 10월에 월북하자 이승엽은 박헌영을 대리해서 남로당의 실질적인 2인자로서 활동하게 된다. 박갑동의 증언에 의하면 박헌영을 대리해서 당의 지도권을 위임받은 이주하가 1946년9월에 체포되어 후임으로 기형선이 발탁될 것인데, 그가 고분고분한 성격이 아니고 박헌영의 특근 참모인 조일명과 소원한 관계였기 때문에 『조일명의 추천으로 이승엽이 이주하의 후임으로 발탁되었다고 한다(물론 1953년 공한 과정에서 진술한 것처럼 박헌영이 미군정의 요구에 의해 이승엽을 중용했을 가능성도 있다. 《통곡의 언덕에서》, 259쪽).
1947년에 들어와 남로당의 활동이 전반적으로 비합법, 폭력투쟁 편향으로 진행되었던 것은 미군정의 탄압이 강화되었다는 측면도 있지만, 당 내부적으로는 이승엽의 강경노선이 크게 작용했다. 1948년3월의 '3.1거점투쟁'이 그 대표적인 사례일 것이다('3.1거점투쟁'에 대해서는 《쓰여지지 않은 역사》,59~61쪽 참조).
월북 후 활동과 '박헌영·이승엽 사건'
1948년7월 이승엽은 '해주인민대표자 대회'를 앞두고 박헌영의 지시로 월북했다. 그는 월북할 때 북에서 자기를 더욱 신임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오대산 빨치산에 들렸다가 강릉, 양양 등을 거쳐 38선을 넘었다. 남한 정부의 수립에 대응하여 1948년9월2일부터 10일까지 열린 '조선 최고인민회의'를 통해 북한 지역에도 '조선인민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이승엽은 9월9일 발표된 내각명단에서 사법상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승엽은 여전히 박헌영을 대리해서 남쪽에서 활동하던 남로당을 통괄하는 최고지도자의 위치에 있으면서 미국 정보기관과의 관계를 유지했다. 이러한 사실은 전북한 최고검찰소 검사였던 김중종(「박헌영은 미국의 간첩이었다」,『말』,1991년5월호), 김진계(《조국-어느 북조선 인민의 수기》상·하) 등 몇 사람의 증언에서 확인된다. 월북한 이후 그는 주로 안영달을 통해 노블과 연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승엽은 남로당을 통괄하는 위치에 있으면서 남로당 세력의 붕괴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그 중의 몇 가지 사례를 살펴보다.
첫째는 국민보도연맹에 대한 대응문제이다. 1949년6월부터 서울에서는 남로당을 내부에서부터 와해하기 위해 국민보도연맹을 조직해 사상전향 공작을 전개하기 시작했다. 조선노동당(1949년6월 말 남북노동당이 합당)에서는 이에 대응해서 보도연맹을 남로당 조직보호막으로, 합법활동기구로 만들어 나가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결정하고, 이를 박헌영과 이승엽에게 위임했다. 이에 대해 박헌영과 이승엽은 "남로당 세력이 강하니까 보도연맹이 나와봐야 소용없다. 남로당원들 가운데 일부 변자들을 빼고는 거기 들어갈 사람은 없다"고 자신하면서 결정사항을 이행하지 않았다. 그러나 박헌영과 이승엽의 '호언장담'은 과장이었음이 드러났다. 국민보도연맹은 1949년10월1일부터 11월30일까지 2개월간을 자수기간으로 정하고 전향공작을 실시했는데, 당시 전국적으로 약 30만 명이 가입하여 남로당이 붕괴되는 데 큰 역할을 했던 것이다.
둘째는 유격투쟁 전술 문제이다. 1948년10월 '여수·순천 사건'이후 남로당은 제주도를 비롯한 호남 및 영남 일부 지역에서 무장투쟁, 즉 '유격투쟁'을 더욱 강화했다. 1949년 초 조선노동당 정치국에서는 남쪽에서 전개되던 빨치산활동과 관련, 소부대 생산유격대식 활동을 기본으로 한 활동전술을 채택했다. 그러나 박헌영과 이승엽은 산발적으로 진행되던 유격투쟁을 보다 조직적으로, 대규모로 전개하기 위해 유격대를 통합해 이른바 '인민유격대'를 편성했다. 이후 계속 대부대활동을 고집하고 진지전을 감행했다. 결국 수백 명으로 구성된 1~3병단을 오대산태백산지구에 남파해 별 활동도 못한 채 괴멸시키는 비극을 야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스영ㅂ을 비롯한 남로당 간불들은 유격투쟁이 계속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과장해서 허위보고했다(《남로당 연구》,423쪽. 이승엽의 보고에 대해서는 < 조국통일을 위한 남반부 인민유격투쟁 >,《남로당연구자료집》제2집 참조).
셋째는 '조선노동당 서울지도부'의 파괴 문제이다 1950년3월에 서울지도부의 핵심성원인 김상룡과 이주하가 전향한 안영달과 조용복을 이용한 치안국 사찰과의 공작에 의해 체포되었다(김상룡, 이주하 체포 과정에 대해서는 양한모, 《조국은 하나였다?》와 《思想檢事》참조). 문제는 1950년4월 김상룡 체포의 '일등공신'인 치안국 사찰과장 백형복(白亨福)과 안영달, 조용복(趙鏞福)이 의거입북 형식으로 월복했을 때 이들이 이승엽을 찾아갔다는 것이다. 이때 이승엽은 안영달을 통해 김상룡 체포 전말을 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김상룡의 비서인 김형육(金炯六)이 변절하여 서울시 지도부가 체포된 것으로 보고하도록 했다(이승엽은 안영달에게 무전기를 주어 다시 이남으로 보내는 한편, 조용복을 인민검열위원회에, 백형복은 남한 수사기관 근무를 참작해 월북간첩을 다루는 내무성 사회안전부 예심국에 배치했다). 또 그는 1950년6월 인민군이 서울을 점령했을 때 형무소에서 나온 남로당원들의 입에서 안영달이 김상룡을 잡아 주었다는 말이 나오자, 안영달을 남진하던 임종환 부대의 정치위원으로 배치해서 살해했다. 이승엽은 한국전쟁 때 서울시 임시인민위원회 위원장 자격으로 내려왔는데, 이때 경찰관과 미국 정보원을 색출 체포한다는 명목으로 토지조사위원회를 설체했다. 이것이 내무성에 의해 해체 지시를 받자 이승엽은 의용군 내에 특수부를 설치하고 박헌영의 처남인 윤대현을 책임자로 임명했다. 그러나 이 기관은 사실상 이승엽, 안영달 등의 비리를 아는 남로당원들을 감금하고 죽이는 장소였음이 드러나 곧 없어지게 된다(오제도에 의하면 안영달의 모든 죄상이 발각되어 일건 서류가 당 중앙으로 회부될 무렵, 국군의 인천상륙과 북한군의 후퇴로 말미암아 이 문제가 흐지부지되었다고 한다. 《추적자의 증언》, 203쪽).
이승엽은 전쟁 직전에도 한 번의 '위기'를 넘긴 적이 있었다. 1949년4월에 체코를 통해 망명했던 현애리스와 리사민이 1950년 4월에 '간첩행위'로 체포되었던 것이다(현애리스는 제2차 세계대전서부터 미군에 종사하였고, 해방 이후 미군에 배속되어 서울에 와서 미군 및 CIGK(시민 우전검열기관)에서 조선사람들의 편지와 통신연락을 검열하는 비밀사업에 종사하면서 박헌영, 여운형 등과도 접촉한 인물이다). 이들이 망명, 입북하는 과정에서는 사회안전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당시 외무상이었던 박헌영이 입국사증을 내주었다. 그런데 이들이 1950년4월 북한의 군대자료를 비롯한 비밀자료를 가지고 해외로 나가다가 모스크바 공항에서 체포되어 미 정보기관에서 정보원으로 침투했었다는 사실이 폭로되었던 것이다. 이들은 북한 지역에서 1년 동안 지내면서 주로 이승엽, 이강국 등과 접촉했기 때문에, 이들이 체포된 후 두 사람과 접촉했던 인물들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스영ㅂ은 관련 사실을 완강히 부인해 위기를 모면했다고 한다.
이승엽의 이러한 활동상의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사법상, 대남사업 담당 당비서라는 지위, 그리고 내각 부수상이자 외무상이었던 박헌영의 비호로 당시에는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다가 1953년에 들어와 과거 남로당의 핵심간부들이 '박헌영·이승엽 사건'으로 체포되면서 이러한 활동이 모두 드러나게 된다.
1951년8월에 대남사업을 담당하는 기구로 연락부가 조직되면서 박헌영의 직계 간부들은 이를 기반으로 활동을 하였다. 이승엽·배철(裵哲)·임화·박승원(朴勝援)·조일명·조용복·이강국(李康國)·설정식(薛貞植) 등이 중심인물이었다. 당시 이승엽을 비롯한 연락부 간부들은 남로당출신에게 'ㅏㄴ북로당 감정'과 '애향주의'를 고취시키는 선전교양을 하면서 박헌영 우상화에 힘쓰고 이썽ㅆ다. 그 결과 남로당북로당 출신간의 감정적 대립이 심화되어 남쪽 출신이 많은 일부 큰 기업소에서는 집단 패싸움이 벌어지기도 했다고 한다.
대남연락부 내의 이러한 분위기가 노동당에 알려진 것은 1951년 말이었다고 한다. 당시 연락부 내에는 연락부장 배철 밑에 여러 병의 부부장이 있었는데, 그 중에 한 사람이었던 이송운(李松雲, 1937년 발생한 갑산공작위 사건으로 체포되어 해방 이후 서대문형무소에서 출감한 인물로 1952년 10월 검사총장으로 임명되어 1953년에 발생한 '박헌영·이승엽 사건'을 담당하게 된다.)이 이승엽을 중심으로 남로당 출신 간부들이 모여 불평불만하는 연락부 내의 분위기를 당 중앙에 보고하였던 것이다. 그후 여러 가지 사건을 통해 노동다오가 사회안전성은 남로당 출신들이 끼리끼리 모여 분파활동을 하는 것에 의혹을 갖게 된다(그 중의 한 사건이 바로 조일명과 임화가 신불출과 다툰 사건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52년12월 노동당 제5차 전원회의가 소집되었다. 원래 전원회의는 1953년2월에 열릴 예정이었지만 남로당 출신일부 간부들의 심상치 않은 움직임, 김열(金列) 등 소련파 출신 간부를 중심으로 해서 당 전반에 만연되고 있던 관료주의를 비롯한 당 내 문제의 심각성 등으로 인해 12월 중순으로 앞당겨진 것이었다.
이 전원회의는 '노동당의 조직적 사상적 강화는 우리 승리의 기초'라는 김일성의 보고에서도 나차나듯이 전쟁이라는 위급한 상황에서 당 내에 나타나고 있는 자유주의적 경향과 종파주의적 경향, 그리고 개인영웅주의를 비판하고 당 대열을 강화하기 위해서 소집된 것이었다.
회의에서는 구체적으로 이름을 거명하지는 않았지만 박헌영·이승엽 등 남로당 출신 일부 간부들이 행동을 겨냥하면서 자기 비판을 요구하는 대목도 있었다. 회의가 끝난 후 노동당을 19453년1월부터 전원회의 보고서와 결정서 등 회의문헌을 토의하는 '문헌토의사업'에 들어갔다. 토의는 전원회의 결정문헌에 기초해 각 분야의 당 사업을 통화하는 것이었다. 이 과정에서 1953년2월15일자 『로동신문』은 지방주의적 경향이 있고, 과거 혁명생활이 깨끗치 못한 인물로 조일명, 임화, 김남천 등의 이름을 직접 거명했다. 그러나 이 단계까지만 하더라도 김중종의 증언처럼 "여러 가지 불미스러운 사건들을 적발했지만, 미국의 간첩활동이라고까지는 상상도 하지 못하고 그저 분파주의의 극단적인 폐단으로 알고 비한"했을 뿐이었다. 또한 '정부전복 무장폭동 음모'에 대한 것도 거론되지 않았다.
사건은 문헌토의가 한창 진행되고 있던 3월5일 새벽 임화, 조일명, 이승엽 등이 체포되면서 본격화되었다(김중종은 3월5일 최고검철소에 출근했을 때 이들의 치포소식을 들었다고 증언했다). 이날 이들 외에도 박승원, 조용복, 배철 등이 사회안전부 요원들에 의해 체포되었고, 뒤이어 윤순달(尹淳達), 이원조(李源朝), 맹종호, 설정식, 이강국, 박승원, 백형복 등이 체포되었다. 곧이어 금강정치학원과 대남연락부가 해체되었다. 이후 4월까지 약 40명 내외의 남로당 출신 간부들이 체포되었다(이때 체포된 사람으로는 연락부 부부장과 책임지도원인 윤병삼, 김점권, 유원식, 김영식, 길화영, 조영호, 정진원 등과 문예총의 이태준, 김남천 등이었다. 이들은 재판을 통해 8~10년형을 선고받았다고 한다). 이승엽은 체포와 함께 인민검열위원장직에서 해임되었다(《북한총람》,241쪽).
체포된 전향자들의 최후
이들이 체포된 결정적인 계기는 남로당 출신 간부들의 심상치 않은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던 내무성이 이승엽을 비롯한 10여 명의 간부들에게 운전수와 식모를 배치해서 '정부 전복 무장폭동계획'에 대한 확증을 얻어냈기 ㄸㅒ문이라고 한다. 1953년3.1절을 맞이해서 기념식 후 이들 이승엽을 비롯한 남로당 출신 간부들이 모여 술자리를 가졌는데, 이 자리에서 '폭동계획'에 대한 이야기들이 오갔고, 이것이 배치해 놓은 내무성 요원들에 의해 보고되어 이들에 대한 검거가 시작된 것이다(스칼라피노·이정식은 "망명자들의 증언에 따르면 박헌영추종자들이 어느 술자리에서 김일성 지도체제에 대해 '비방발언'을 한 데서 꼬투리를 잡혔다"고 하여 비교적 정확하게 지적하고 있다. 《한국공산주의 운동사》2,560쪽).
이들이 체포된 뒤 문헌토의사업은 이들의 과거 행적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 이승여브 조일명 등에 대한 예심을 진행하는 동시에 문헌토의사업도 이에 초점을 맞춰 진행하였던 것이다. 예심 과정에서 과거 남로당 간부였던 정태식(鄭泰植), 김형선, 권오직, 이주상(李胄相) 등이 참고인으로 나와 이들에게 비판적인 증언을 했다고 한다. 예심은 3~4개월 동안 집중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정전과 함께 7월 말 일단락되었다.
7월 말의 정치국회의에서는 '이승엽 일파'에 대한 심문과 문헌토의사업 결과가 토의되어, 이들에 대한 추궁 과정에서 "간첩행위와 반당반국가적 행위가 드러났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이 회의의 결정에 따라 이승엽 등은 7월30일에 기소되어 8월 3일부터 재판을 받게 된다. 기소장에 제시된 '죄상'은 ①미제국주의를 위해 감행한 간첩행위, ②남반부 민주역량 파괴, 약화, 음모와 테러, 학살행위, ③공화국 정권 전복을 위한 무장폭동 행위 등 세 가지 내용으로 되어 있다.
기소는 연락부 부부장을 하다 최고검찰소 검사총장으로 자리를 옮김 이송운에 의해 이루어졌다. 이 사건에서 가장 중요한 범죄사항으로 다루어진 것은 무장폭동에 의한 국가전복 음모였다고 한다. 간첩죄, 남조선 혁명 역량 파괴죄는 사건의 조사 과정에서 덧붙여졌다.
재판 과정에서 제시된 이승엽의 '범죄 사실'은 다음과 같다.
이승엽 : 본 사건의 두목 역할. 1946년2월부터 미군 정탐기관에 가담하여 간첩행위 자행. 좌익역량을 의식적으로 파괴시켰으며 안영달과 조용복을 시켜 김삼룡이 체포되도록 했다. 1950년7월 노블의 지령을 받고 1951년8월부터 인공(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전복 목적으로 무장 폭동 음모 본부를 조직, 그 총사령관으로 있었고, 1952년9월 '새 당' '새 정부'를 조직하는 데 있어서 두목으로 활동했다(《남로당 연구》,499쪽).
이승엽 등의 재판에는 남로당 출신 간부 일부가 방청에 참가했으며 새로 조직된 대남연락부 성원들과 중앙당 조직부, 최고검찰소, 사회안전성, 예심국 간부 등 1백여 명이 방청을 했다고 한다. 3일간의 재판이 끝나고 8월6일 오후 늦게 이들에 대한 언도가 있었다. 이승엽, 조일명 이하 10명이 사형언도를 받았고, 윤순달이 15년, 이원조가 12년을 언도받았다(윤순달과 이원조에게 사형이 언도되지 ㅇ낳은 것은 이들이 박헌영, 이승엽의 영향을 받아 종파적 행동과 전복 음모에는 가담했지만 국가전복간첩의 구체적 '행위'에는 가담하지 않은 점이 고려됐기 때문이라고 한다).
최후 진술에서 이승엽은 "우리들에게 어떠한 엄중한 판결이 내린다 하더라도 달게 받겠다. 생명이 둘이 있어 그것을 모두 바치더라도 부족하다고 생각한다"고 하여 기소사실을 시인했다. 재판이 끝난 지 얼마 후 8월 말경 이승엽은 사형이 집행되어 전향의 연속으로 점철된 그의 생애를 마감했다.
지금까지 살펴본 이승엽의 일생을 통해 일제 시기부터 해방정국까지 격동의 현대사 속에서 한 인물이 어떻게 변신할 수 있는가를 알 수 있다. 사회주의 운동, 전향과 일제에의 협력, 다시 조선공산당 간부로 사회주의 운동 참여, 미군정에 협조, 그리고 '반정부 폭동음모'의 실질적 주도자. 그의 경력은 한국현대사의 굴곡만큼이나 파란만장하다.
이승엽 개인적인 차원에서 보면 한국현대사의 좌절과 비극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하다. 그러나 전체 민족적 측면에서 보면 그가 행한 반민족적 행태는 해방 직후 자주적 통일국가 수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평가할 수 있다.
해방 직후 이런(일제 시기 변절행위를 말한-필자) 이승엽의 문제점이 지적되어야 했으나 전혀 없었으며, 10월 인민항쟁 때의 언론파업도 이승엽이 지시했다고 하는데 그는 문제가 많았던 인물로 생각됩니다. 이러한 이승엽이 남로당의 제2인자였던 것은 그를 기용한 당 중앙에도 문제가 없다고 할 수는 없겠지요.
위와 같은 신영갑의 증언처럼 일제 시기 친일활동에 대해서 해방이후 정당한 비판이 이루어졌더라면 이승여비 1953년 '반혁명 간첩행위'로 체포되어 사형당하지 않았을 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의 친일 문제가 공개적으로 처리되지 못함으로써 미군정에게 약점을 잡혀 결국은 비참한 최후를 마치게 되었던 것이다. 이승엽뿐만 아니라 '박헌영·이승엽 사건'에 관련된 주요인물이 대부분 친일 경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도 주못할 필요가 있다(이승엽, 조일명, 박승원 등이 대화숙 출신이고, 이원조, 임화, 설정식 등도 친일행적이 뚜렷하다. 대체로 윤순달을 제외하고는 일제 시기 경력이 불투명하다). 이것은 좌우익 세력을 막론하고 해방 이후 자주ㅈ적 통일국가를 수립하는 과정에서 친일파 처단문제가 얼마나 중요한 것이었는가를 단적으로 보여 주는 역사적 실례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