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체언어 교육 참고문헌
김슬옹(2003), 청소년을 미디어 비평가로 키우기 위한 전략-대중매체 읽고 쓰고 생각하기의 기획에 관하여, <청소년출판> 북페뎀 3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pp.174∼184.
김슬옹(2008). 「교과서 중심 통합교과 논술 수업 모형 구성」. 돈암어문학 21집. 돈암어문학회. pp.311∼362.
김슬옹(2009). 『담론학과 언어분석-맥락·담론·의미』. 한국학술정보(주).
김영순 외(2004), 『문화, 미디어로 소통하기』, 논형.
김은성(2006), 「국어문법교육의 태도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정우(2003), 「국어과 교육과정에서의 정의교육범주에 대한 연구」, 문학교육학 제12호, 한국문학교육학회.
김창원(2001), 「국어교육과 문화론」,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전국학술대회,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혜숙(2004), 「사회언어학의 이론과 전개」, 사회언어학21-1, 한국사회언어학회.
노은희 외(2008),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연구 개발(연구 보고 CRC 2008-8), KICE.
박인기 외(2001), 「미디어문식성을 반영한 국어과 교육과정 개발연구」, 교과교육공동연구 학술보고서.
박인기 외(2001), 국어교육과 미디어 텍스트, 삼지원
박인기(2000), 「국어과 교육에서 정의교육의 향방과 재개념화」, 국어교육학연구11, 국어교육학회.
서명희(2006), 「시조교육에서 태도의 개념」, 국어교육119, 한국어교육학회.
설진아(2007), 『미디어교육의 이론과 실제』, 에피스테메.
송재희․김슬옹(1999). 『대중 매체 읽고 쓰고 생각하기』. 세종서적.
강길호․김현주(1995). 커뮤니케이션과 인간. 서울: 한나래.
강민경(1999). 컴퓨터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을 사용한 작문 과정에 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강상현(2000), 미디어 기술의 발전과 ‘정보사회’, 한국언론정보 학회,『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한울 아카데미.
강인애 외(1999). 구성주의와 교과교육. 서울: 문음사.
곽지순(1999). 국어교육 안에서 TV 광고 다시 읽기. 제12회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발표집.
교육부(1992). 제6차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1992). 제6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1992). 제6차 초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1993). 제6차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교육부(1997).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별책 5].
교육부(1997). 제 7차 교육 과정 개발 연구 보고서. 서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교육부(1999). 제7차 중학교 국어과 교육 과정 해설(Ⅱ). 서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교육부(1999). 제7차 초등학교 교육 과정 해설(Ⅲ). 서울: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권음미(1993). 미디어 읽기 능력을 위한 텍스트 접근법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경용(1994).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김대행(1997). 21세기를 대비하는 국어과 교육의 지향과 과제.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세미나 자료집. 한국교육개발원.
김대행(1998). 매체언어 교육론 서설. 국어교육. 한국국어교육연구회.
김대행(1997). 국어과 교육의 목표와 구조. 선청어문 25집.
김대행(1997). 영국의 문학교육-평가를 통한 언어와 문학의 투시. 국어교육연구 제4집. 서울대 국어교육 연구소.
김대행(1998). “미디어 언어과 국어교육”. 「다미디어 시대의 국어교육」. 한국국어교육연구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pp. 47-67
김대현․김석우(1996).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서울: 학지사.
김상욱(1997). 국어교육의 변모와 인터넷의 활용 방안. 한국초등국어교육 제13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성진(1998). “국어교육의 대중문화 수용을 위한 시론”. 국어교육연구 제 5집.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pp. 71-93.
김양은(1994). 미디어 교육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김용재(1997). 대중 매체 문화의 국어교육적 함의. 한국초등국어교육 제13집.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김우창․성완경 외(2000). 이미지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생각의 나무.
김태환(2000). 국어과 텔레비전 리터러시 교육 방안 연구. 서울대석사논문.
김택환 외 7인(2000), 세계 미디어 교육 모델, 한국언론재단.
김희수(1994). 메타인지와 하이퍼텍스트 구조가 저작체제 학습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 연구 32. 한국교육학회.
노대규(1996).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서울: 국학자료원.
노명완 외(1997). 국어과 교육론. 서울: 갑을출판사.
노명완(1988). 국어교육론. 서울: 한샘.
노명완․이차숙(1999). “문식성의 개념, 발달, 사회적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과교육공동연구소.
마광호(1992). 국어교육의 내용 설정을 위한 일연구. 서울대 석사 논문.
문종대(2000), 매스미디어 산업의 이해, 한국언론정보 학회,『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한울 아카데미.
문종대․전규찬․최영묵(2000)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한국언론정보 학회,『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한울 아카데미.
박도순․변영계(1992).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 문음사.
박명진(1989). 비판적 의사소통과 문화 이론. 나남출판사.
박수자(1996). 국어과 교육과정 영역 설정에 대한 시론. 어문학교육 제18집. 한국어문교육학회.
박수자(1998). 구성주의와 언어 학습 경험. 국어교육연구 제5집. 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
박수자(1998). 쓰기 영역 교육과정의 내용. 국어교육 96.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박수자(2000). “의사소통 매체와 언어 표현의 특징”. 국어교육학연구 제 10집.
박수진(1998). 청소년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 논문.
박은주(1999). 만화영화 다시보기. 제12회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발표집.
박인기 외(2000). 국어교육과 미디어 텍스트. 삼지원.
박인기(1989). 문학텍스트의 종합적 감상을 위한 교육 TV 프로그램 설계 방략. 국어교육 65호․66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박인기(1996). 독서와 매체 환경. 독서 연구.
박인기(1996).『문학교육과정의 구조와 이론』, 서울대학교출판부.
박인기(1999). 텔레비전 텍스트의 국어과 교재 변용. 제12회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발표집.
박정순(1995). 대중 매체의 기호학, 서울: 나남출판사.
박창균(1999). 만화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 제12회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발표집.
방송위원회(1994). 미디어교육 연구.
박창균(1999). 만화영화 텍스트를 활용한 말하기 수업. 제12회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발표집.
방송위원회(1994). 미디어교육연구. 방송위원회.
방송위원회(1996). TV 바로 보기. 서울: 뉴․우성 인쇄(주).
배능재(1999). 빠져보기와 따져보기. 제12회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발표집.
서덕현(1993), 국어과 교육과정 내용 영역에 관한 소고. 국어교육 81․8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서정숙(1983). 미디어 교육을 위한 시안연구.서강대학교석사학위논문.
손영애(1994). 국어과 교육의 목표와 내용. 국어교육학연구 4집. 국어교육학회.
송효섭(1999). 『설화의 기호학』, 민음사.
신영숙(1997). 교차-교육 과정으로서 미디어 교육과 독서 교육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논문.
신헌재 외(1997). 국어교육학 개론. 서울: 삼지사.
신헌재․이재승(1997). 국어과 교육에서의 통합의 범위와 방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수논총 제13권 제1호.
신헌재․이재승(1997).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서울: 박이정.
안정임(2000), 미디어 수용자와 미디어 교육, 한국언론정보 학회,『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한울 아카데미.
안정임․전경란(1999). 미디어 교육의 이해. 서울: 한나래.
엄서옥(1990). 한국 청소년을 위한 매스 미디어 교육. 경남대학교 석사논문.
염창권(1995). 열린 세계의 문학교육. 국어교육 90호.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오성삼․구병두(1996). 교육과정 및 평가의 이해. 서울: 양서원.
왕문용․이성영(1999). 신문, 방송을 활용한 국어과의 ‘이해’교육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우한용(1997). 국어과 교육의 기본 성격과 목표.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을 위한 세미나. 한국교육개발원.
우한용(1999). “지식정보화시대의 국어교육을 위하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심포지움 자료.
우한용(1999). 국어과 교육의 회고와 전망-지식정보화시대의 국어교육을 위하여.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심포지움 자료.
원진숙. 의사 소통의 개념과 성격. (http://web.seoul-e.ac.kr/~jinsook/)
유은희(1994). 텔레비전 리터러시 훈련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논문.
윤준수(1998). 인터넷과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대전환.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이경화(2000). 학교 교육으로 매체언어를 실행하는 방안. 한국어문연구 제9집.
이기우․임명진 옮김(1995).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서울: 문예출판사.
이도영(1998). 언어 사용 영역의 내용 체계에 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이미현(1995) 중․고등 학교에서의 미디어 교육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논문.
이상현(1999). 인터넷을 활용한 국어교육. 교과교육과 테크놀러지. 교원교육 제15권.
이성영(1998). 국어교육의 내용 구조.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이승정(1998). 한국 미디어 교육의 현황과 과제. 연세대 석사논문.
이영숙(1995). 외국의 미디어 교육의 현황. 교육연구.
이유기(1993). 국민학교 미디어 교육과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 제주교육대학 논문집 제37집.
이은희(1998). 텍스트 언어학의 국어교육적 의의. 국어교육학연구 제8집. 국어교육학회.
이익성․이은호 옮김(1997). TV 읽기. 서울: 현대미학사.
이자형(1995). 미디어 교육에 관한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이재승(1998). 국어교육의 원리와 방법. 서울: 박이정.
이정춘(1986). 매스미디어의 효과 이론. 나남출판사.
이종철(1998). “대중 매체의 언어 메시지 교육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8.
이주섭(2001). 상황맥락을 반영한 말하기․듣기 교육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 박사 학위 논문.
이주옥(1987). 국민학교 텔레비전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이지영(1999). 드라마 텍스트 다시 읽기. 제12회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발표집.
이채연(1998). 디지털 시대의 문학교육. 한국교육미디어.
이향숙(1999). 대중 매체 시대의 국어교육. 제12회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발표집.
이현복 옮김(1992). 포스트모던적 조건-정보 사회에서의 지식의 위상. 서울: 서광사.
이혜갑(1997). 멀티미디어 광고의 이해와 활용. 서울: 한국광고단체연합회.
이홍우(1992). 교육과정 탐구. 서울: 박영사.
이화진(1999). “정보화 시대의 독서전략”. 한국독서학회 제 7차 학술대회 자료집
전은주(1998). 말하기․듣기의 본질적 개념과 교육 과정 구성 방안 연구. 고려대 박사논문.
정유진(1999). 만화 영화를 활용한 문학수업. 제12회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발표집.
정현선(1996). 페미니스트들의 비판적 문식성 교육에 대한 고찰. 선청어문 제24집. 서울대 국어교육과.
정현선(1997). “문화 교육이라는 문제 설정Ⅱ”. 국어교육 4집. pp. 235-249.
조연주 외 공역(1998). 구성주의와 교육. 서울: 학지사.
주창윤(2000), 영상언어의 이해, 한국언론정보 학회,『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한울 아카데미.
차배근(1998). 커뮤니케이션학 개론(상). 세영사.
차배근(1998). 커뮤니케이션학 개론(상). 세영사.
최병우(1998). “다매체 시대와 문학 교육의 역동화”. 한국국어 교육연구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pp. 83-95.
최병우․이채현․최지현(2000). 매체언어의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 2000 국어교육연구소 학술발표회 자료집.
최소영(2000), 독립 교과로서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 연세대 석사논문.
최영환(1997). 기능과 전략 중심의 교육과정 설계 방안. 국어교육.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최영환(1998). “매체 변화와 언어 기능 교육의 역동화”. 「다매체 시대의 국어교육」.한국국어교육연구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최영환(1998). 매체 변화에 대응하는 국어교육. 국어교육. 한국국어교육연구회.
최인자(1995). 문학교육과 대중영상매체. 선청어문 제23집. 서울대 국어교육과.
최인자(1995). 문학교육과 대중영상매체. 선청어문 제23집. 서울대 국어교육과.
최인자(1998). “문학과 영화”, 『문학의 이해』, 문학과문학교육연구소, 삼지원
최정호․강현두․오택섭(1990). 매스미디어와 사회. 나남출판사.
최창섭(1980). 초, 중, 고교생을 위한 미디어교육 커리큘럼 개발연구. 신문연구.
최창섭(1985). 미디어교육론. 서울: 도서출판 나남.
최창섭(1987). 미디어 교육의 실제. 서강 커뮤니케이션 센터.
최창섭(1999). 미디어교육 개념 고찰. 한국 언론학 연구 창간호. 한국언론학회.
최현섭 외(1997). 국어교육학개론. 서울: 삼지원.
최호성(1998). 교육 과정 평가론. 마산: 경남대학교 출판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1996). 교육과정 2000 연구 개발 초․중등학교교육과정 체제 구조안.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1997).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1991).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국방송광고공사(1999), 매체 및 제품 이용 행태 연구 보고서. 서울: 영진문화.
한국사회언론연구회 매체비평분과 옮김(1990). 대중 매체 비평의 기초. 서울: 이론과 실천.
한국사회언론연구회 엮음(1996). 현대 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 서울: 한울 아카데미.
한철우(1995). 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체계 및 구조. 한국어문교육 제4집. 한국교원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함욱(1999). 뉴스 텍스트의 교재화 전략. 제12회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발표집.
허숙․유혜령(1997). 교육현상의 재개념화. 서울: 교육과학사.
Abbott, C., 1997, IT and Literacy,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education. Volume 2., pp. 181-188.
Andrew Goodwyn(1992). English Teaching and Media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Bailin, S. et al.(1999). Common Misconception of Critical Thinking. J. Curriculum Studies v31 n3 p269-302.
Baines, L. A.(1998). From tripod to cosmos: A new metaphor for Language arts. English Journal v87 n2 p24-35.(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J 562 359)
Beals, T. J.(1998). Betweens teachers and computers: Does text-checking software really improve student writing?. English Journal v87 n1 p67-72.
Bloom, D. (1987). Literacy and scholling. University of Michigan.
Brooks, J. (1998). Teenagers evaluating modern media. English Journal v87 n2 p24-35.
Brunner, C. & Tally, W.(1999). The New Media Literacy Handbook. NY: Anchor Books.
Cary, B.(1991). Media education. British Library Cataloguing in Publication Data.
Chaney, A. L. & Tamera L. B.(1998). Teaching Oral Communication in Grade K-8. Boston: Allyn & Bacon.
Considine, D.M., Haley, G.E.(1999), Visual messages, Teachers ideas press.
Cox, C. (1994). Media literacy. Purves, A. C., Papa, L. & Jordan, S. (eds). Encyclopedia of English Studies and Language Arts, 791-795.
Curriculum corporation(1994). English-a Curriculum Profile for Australian Schools.
Curriculum Council of Western Australia(2000). English curriculum framework.
Daniel A. Wagner, 1994, Literacy, Encyclopedia of English and Language Art, NCTE.
David W. J. & Rogers T. J.(1996). Meaningful and Manageable Assessment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MN: Interation Book Company.
David, M. C. & Gail, E, H.(1999). Visual Massages. Englewood, Colorado: Teachers Ideas Press, a division of Libraries Unlimited, Inc.
Dixon-Krauss, L.(1996). Vygotsky in the Classroom. NY: Longman.
Donna, L. K. & Kathleen, R. T.(1990). Media literacy education needs for elementary schools: A survey.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n Critical Thinking and Moral Reform.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24 370).
Donna, L. K., & Kathleen, R. T.(1991). Media & You. NJ: Englewood Cliffs.
Edwards, V. & Corson, D., 1997, Functional literacy,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education. Volume 2.
Fiske. J.(1990). 문화커뮤니케이션론. 강태완․김선남 옮김. 서울: 한뜻.
Flood, J., Lapp, D., Fisher, D.(1999). Intermediality: How the use of multifulmedia enhances learning. The reading teacher. Vol. 52, No.7. p.776-780.
Flood, J., Lapp, D., Wood, K.(1998). Viewing: The neglected communication process or "when what you see isn't what you get". The reading teacher. Vol. 52, No.3. p.300-304.
Flusser, V.(1998). 디지털시대의 글쓰기. 윤종석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
G.J. Posner(1996). 교육과정 이론과 분석. 김인식․박영무․최호성 역. 교육과학사. 1996.
Gontarsky, m. (1994). Visual literacy as it relates to picture book use by selected fifth-grade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Goodwyn, A. (1992). English teaching and media education. Open University Press.
Gottlieb, S. (1994). Genre in media. Purves, A. C., Papa, L. & Jordan, S. (eds).Encyclopedia of English Studies and Language Arts, 528-529.
Griffin, P. & Smith, P. G. & Burrill, L. E.(1995). The American Literacy Profile Scales. USA: Heinemann.
Griffin, P., Smith, P. G., & Burrill, L. E.(1995). The American literacy profile scales. USA: Heinemann
Gunderson, L.(2000), How will literacy be defined in the new millenium?. Reading Research Quarterly Vol.35 No.1 p65-67.
Hart, A.(1997), Teaching the media, LEA.
Hart, A.(1998). Teaching the Media.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Hillmann, P. J. (1993). Visual literac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Hobbs, R.(1998). The seven great debates in the media literacy movement. The Journal of Communication. Spring. (http://www.babson.edu/medialiteracyproject/6a.html)
Jacopson, J. M.(1998) Content Area Reading: Integration with the Language Arts. Delmar Publisher.
Jeffrey, G.(1993). Talking back to TV: Media literacy and writ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63 880).
Joice E. Many(2000). How will literacy be defined in the new millenium?. Reading Research Quarterly Vol.35 No.1 p65-67.
Koziol, R. V.(1988). English/Language arts teachers' views on mass media consumption education in maryland high school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ryland collage park.
Kozma, R. B.(1991). Learn with media.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1.
Kruger, E. (1998). Media literacy does work, trust me. English Journal v87 n2 p24-35.
Kubey, R. & Baker, F.(1999a). Media Education Framework in 48 States.
Kutz, E. (1997). Language and Literacy. NH: Heinemann.
Lankshear, C. et al.(1997). Changing Literacies. Open Univercity Press.
Lloyd-Kolkin, Donna; Tyner, Kathleen.(1990). Media literacy education needs for ementary schools: A survey. Paper presented at the Conference on Critical Thinking and Moral Reform.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24 370).
Luke, A., 1997, Critical approaches to literacy,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education. Volume 2, pp. 143-151.
Lund, D. J.(1998). Video production in the English language arts classroom. English Journal v87 n1 p78-82.
Lyman, H.(1998). The promise and problems of English on-line: A primer for high school teachers. English Journal v87 n1 p63-66.
MacLuhan, M.(1997). 미디어의 이해. 박정규 옮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MaMahon, S. I. & Raphael, T. E.(1997). The Book Club Connec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Many, J. E.(2000). How will literacy be defined in the new millenium?. Reading Research Quarterly Vol.35 No.1 p65-67.
Martial, J. D.(1992). Media in the classroom: A study of five of five teachers. Doctoral dissertation, Iowa University.
MeGee, M.(1997). Students need media literacy: The new basic: Teaching media literacy based on four basic tenets. educational digest, 63.
Merino, A. & Palmira, M. M.(1998). Using the News in the Classroom. Forum v36 n3.(http://e.usia.gov/forum/vols/vol36/no3/p16.htm)
Morris, B. S.(1998). Toward creating a TV research community in your classroom. English Journal v87 n2 p24-35.
Neilsen, A(1996). Media education: From practice to pedagogy. Doctoral dissertation, Dalhousie University.
Ong, W. J.(1995).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이기우․임명진 옮김. 서울: 문예출판사.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1997). The Ontario Curriculum, Grade 1 and 8: Language.(http://www.edu.gov.on.ca/eng/document/ curricul/curr971.html)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1997). The Ontario Curriculum, Grade 1 and 8: Language.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1999). The Ontario Curriculum, Grade 9 and 10: English.
Owen, D. B., Silet, Charles L. P., & Brown, S. E.(1998). Teaching television to empower students. English Journal v87 n1 p28-33.
Paul, M.(1994). Visual literacy-image, mind, and reality. Oxford: Westview Press, Inc.
Porter, Carole, Comp.(1996). Trend and issues in English instuction, 1998 summaries NCTE, Urbana, I11.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16 489).
Potter, J. W.(1998). Media Literacy. UK: Sage Publications, Inc.
Richard, N.(1999). Media literacy-What is it, and why do we need it?
Rogers, A., Adult literacy,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education. Volume 2,
Santos, M. G.(1997). Potfolio Assessment. Forum. v35 n2.
Severin, W. J. & Tankard, J. C. Jr.(1999). 현대 매스커뮤니케이션 개론. 김흥규․박천일․강형철․안민호 공역. 서울: 나남출판사.
Shepherd, R.(1992). Elementary media education: the perfect curriculum. English quarterly, v25, n2-3.(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J 463 707).
Silverblatt, A. Ferry, J. & Finan, B.(1999), Approches to media literacy, M.E. Sharp.
Suhor, Charles, Comp.(1996). Trend and issues in English instuction, 1996--six Summaries. NCTE, Urbana, I11.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95 331).
Tella, S.(1998). The concept of media education revised.
Thompson, G. (1997). Rhetoric through Media. Allyn and Bacon.
Tyner, K.(1998) Literacy in a Digital World.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Wagner, D. A.(1994). Literacy, Encyclopedia of English and Language Art, NCTE.
Winston G. E.(1987). A Canadian perspective on the teaching of media in English language arts. Paper presented at annual meeting of the NCTE.(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99 649)
Worsnop, C. M.(1996). Screening Images: So You've got some Media Work from Your Class: Then What?
(http://www.media-awareness.ca/eng/med/bigpict/evaluate.htm)
<관련 URL>
http://www.ca.gov/goldstandards/Drafts/~
http://www.capecod.ne.c3tv.medlit1.htm
http://www.dfee.gov.uk/nc/(국가 교육 과정 영어-영국)
http://www.edu.gov.on.ca/(온타리오 교육청 사이트)
http://www.edweek.org/ew/ewstory.cfm?slug=09ubey2.h19
http://www.med.sc.edu/(미디어 교육 사이트)
http://www.media-awareness.ca/eng/med/bigpict/billwal12.htm
http://www.media-awareness.ca/eng/med/bigpict/meinca.htm
http://www.media-awareness.ca/eng/med/bigpict/wtml.htm
http://www.sea.wa.edu.au/(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교육청 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