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 회 사.
Ⅰ.초대교회.
A. 기독교 출발의 배경.(정치적배경:로마,문화적배경:헬레니즘,종교적배경:유대교)
1. 정치적 배경 : 로마.
1) 기독교 시작 당시의 로마의 배경 : Pax Romana
Pax Romana : B.C. 27 ~ A.D. 180년에 이르는 시기. 이민족의 침입이 그침으로 전쟁이 중단되고 국가적 부흥과 번영, 제국 전체의 평화가 유지되는 시기. A.D.64년 네로 황제의 기독교 박해, A.D.70년 티투스 장군의 예루살렘 성전파괴 등이 이 시기에 속함.
2) 기독교 시작 당시의 로마의 종교
(1) The cult of Emperor(황제숭배) : 황제는 현현신이고 법과 질서의 수호자.
지역의 번영, 국민생명의 보존자로 숭배. 황제를 거부하는 자는 반역자.
(2) The Mystry Religion.(밀의 종교) : 의식을 은밀히 행하기 때문에 의식을 공개치 않는 신비주의적 종교이다. 황소피로 목욕, 즉 성수로 목욕하고 구속적 성례식을 강조, 금욕주의 강조, 내세사상․죄씻는 의식이 강하다. 밀종교는 혼합종교로 Mithrasim이 대표적이다. 초대교회 당시 로마 종교(이집트, 시리아, 페르시아에서 성행). 혼합종교이다.
① Magna Mather(Great Mather) : Attis라는 목동을 처녀가 낳았는데, 그가 피살되자 Magna Mather가 그를 살려 영원히 죽지 않는 존재가 되었다. 그래서 그가 살아난 날을 기념하여 의식을 행한다.
② Taurobolism(소를 숭배) : 소의 피를 먹으면 영원히 산다고 함. 그래서 소의 피로 목욕하면 옛 사람이 새 사람이 된다는 의식 거행. 힌두교가 여기서 왔다.
③ Mithraism : 페르시아(이란)에서 기원. 광명의 신. 죽어가는 소에게서 세계를 향한 생명의 씨가 나온다고 하여 소의 피를 마시며 성찬식을 함. 죽음을 각오하고 군에 가는 자는 그 피를 먹고 간다. 이것은 남자만이 회원이 될 수 있다. 특징 : 모든 신자는 형제요, 근본적으로 동등하다는 사상(기독교와 유사함)
※ 로마의 법-3대 특징
1.Single Sovereignty-모든 법은 모법에 근거해서 나온다
2.Universality -모든 사람은 기본 성품에 있어서 공통성이 있다.
3.Equity - 법은 특정한 경우 융통성을 가져야 한다
3) 로마가 기독교에 끼친 영향
(1) 기독교 전파에 영향
① 넓은 영토 - 국경을 넘어 어려움 없이 구라파, 아프리카, 소아시아로 선교.
② 교통의 편리함 - 여행의 자유가 보장됨. 복음 전하기가 용이했다.
③ 통일된 언어(라틴어와 그리이스어)와 통일된 군사조직.- 안녕과 질서의 확립, 치안 유지를 가능케함.
④ 유대인의 디아스포라(Diaspora) - 교회를 세우는데 선교의 계기가 됨.
⑤ 로마의 도덕적․윤리적 타락과 종교의 범람 - 새로운 참 종교에 대한 갈구.
(2) 기독교 박해 원인
① 종교상의 이유 - 기독교의 배타성, 타종교 무시, 다신교의 문화적 배경 속에서 야훼 유일신만을 섬김,
타종교의 신은 우상으로 간주.
② 비밀 결사로 오해 : 심야 집회로 음란한 집단으로 오해
③ 사회 생활의 부조화 : 성찬식 오해(인육 먹는다고), 남자․여자가 형제․자매라고 함으로 음행 한다고 오해, 병역 의무의 기피.
④ 황제숭배거부 : 황제숭배거부는 반역죄로 사형
⑤ 사상의 부조화 : 로마 제국은 영원하다고 생각 - 기독교인의 종말론과 불일치(세상은 곧 멸망, 심판)
⑥ 자연재해 : 불행과 지진, 질병, 기근, 홍수 등은 기독교인이 신에게 제사하지 않아서 발생한다고 생각. (3) 박해에 대한 교회의 대책
① 고난과 죽음을 진리로 극복 - 그리스도를 향한 충성의 지조를 영웅적으로 지킴.
② 문서를 통한 변증 - 무신론과 정치적 목적에 반론, 이교도의 모순 지적, 부도덕․철학의 오류 지적.
③ 윤리적 도덕 생활 강화 - 성서에 입각한 지고의 도덕적 생활, 음란 반대, 사람의 생명을 귀히 여김.
* 변증가들의 활약 - 문필변호인
① 과드라투스 : 하드리안 황제에게 기독교 변증서 제출.
② Aristides(아리스티데스) : 안토니누스 피우스에게 기독교 변증서 제출.
③ Justin the Martyr(저스틴) : 안토니우스 피우스와 양아들에게 변증론 보냄. 중심 사상은 기독교가 모든 철학 중의 참된 철학이라고함. 복음을 새로운 율법으로 이해. 금욕적․도덕적 생활강조. 신로고스 강조. 역사적 예수 약화.
④ 멜리토와 아데나고라스 : 저스틴을 비롯한 변증가들은 기독교가 다른 종교 철학들에게 허용되는 관용을 동등하게 누려야 할 것을 주장하기 위해 기독교의 진리를 간단하게 서술하는데 그 목표를 두었다는 점을 고려해야한다. 변증문학이 그들의 신앙을 반영한다고 보지는 않는다.
(4) 로마제국의 기독교 박해 결과.
로마 제국의 이러한 박해에도 불구하고 ① 고난과 죽음을 진리로 이겨내며, 무력이나 폭력을 쓰지 않고 ② 문서를 통해 그들을 방어하였으며, ③ 순교를 각오함으로써 기독교가 생명의 종교임이 증명되었다.(노예 포로등 낮은 신분 전도→기독세력이 뻗어나감. 노예도 형제와 같다는 사상을 가지게 함) 또한 박해로 흩어진 기독교인들이 사도의 말을 듣기 어렵게 되자 정경형성을 서두름으로써 ④ 성경 형성이 촉진되었고, ⑤ 국가․교회의 구별이 확실하게 되었다. 결국은 313년에 콘스탄틴에 의해 기독교가 공인되고 A.D.392년 데오도시우스 황제에 의해 로마 국교로 인정된다.
2. 문화적 배경 : 헬레니즘. (기독교 당시 로마의 철학사상)
...
1) Stoicism : 아리스토텔레스에게 영향받은 고대 이교윤리 사상. 우주를 유기적 전체로 보는 범신론적 철학. 현명한 인간은 많이 아는 자가 아니라 이성에 의해 주관되는 우주법칙에 조화되고 화합된 신성을 갖는 자로 이런 경지에 도달하면 걱정한 사라지고 아파데이아 이상에 도달함. 엄격한 금욕주의, 로고스 교리, 전인류가 형제임. → 기독교 신학에 영향.
2) Epicurianism(342~270) : 사람의 최고의 목적은 정신적 쾌락. 번뇌 없는 수동적 상태에서 얻음. 인간의 죽음은 까닭 모르는 공포에서 오느데, 그 주요한 원인은 죽음과 신의 진노에 대한 불안이다. 우주는 영원한 원자의 변화, 결합이고 영혼과 신들도 물질이라고 하였다. → 결국은 쾌락주의로 흘렀고, 기독교에 아무런 영향도 끼치지 않았다.
3) Cynics(견유학파) : 제국의 도덕적 타락을 슬퍼하여 독립, 자족의 정신을 민간에 호소했다. 사치스런 도시 생활에 반대. 농촌 생활을 이상화하고 우주적, 내재적 신관에 근거한 세계적 조화와 참 경건을 강조, 대표학자는 Diogens. → 기독교 수도생활에 영향을 줌.
4) Platonism(B.C. 420~347) : 희랍철학의 절정, 이원론(현상세계는 악하고 이데아의 시계는 영혼의 참된 지식이라고 함) 육체와 영혼을 분리시킴으로써 히브리 사상과 대립, 최고의 가치는 진선미에 속하는데 이데아의 세계는 참된 세계이며 영혼은 이 세계와 교제 하는 데에 최고의 만족을 발견하며 구원은 영원한 선과 미의 세계를 회복하는 것이다. → 기독교에 영향을 끼쳤다.
5) Aristoteles : 이원론을 반대. 즉 현상계와 이데아 세계의 관계 속에서 한쪽이 없이는 다른 한쪽이 존재할 수 없다고 함. 신은 전적으로 비물질적인 것이며, 인간이 추구해야할 지식의 참된 대상이다. 세상에서 일어나는 변화는 제1원리에 의한 것이며, 인간이 동물과 다른 것은 육체적 감각 외에도 신적인 Logos가 존재한다.
3. 종교적 배경 : 유대교.(이스라엘의 3대 당파)
1) 엣세네파(B.C.2C~A.D.2C):금욕적인 신비주의적인 종말 사상을 가진 수도사들의 모임. 흰 옷을 입고 재산을 공유, 육식․피의 제사․맹세하는 것․노예 제도․무기 소유․결혼 등을 거부하고 검소한 생활을 하며 종말을 기다림. 구약성서를 은유적으로 해석- 성경이 여기서 많이 보존됨.
※ 열심당 : 혹독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계속 로마 통치에 반항하였던 이들.A.D.66년 반란 때에 중요한 역할.
2) 바리세파 : 분리된 자들이라는 뜻으로 모세의 율법을 존중하고 문자 그대로 법을 지키려는 자들. 대중에게 환심을 얻었으나 소수파, 선악의 정령을 믿었으며 사탄과 천사의 교리를 가지고 있었고 메시야에 대한 희망을 가지고 있었다. (니고데모, 가말리엘, 바울)
3) 사두개인(Saddocces) : 합리주의자, 현실주의자, 부유층이 많음. 부활․인간의 영혼불멸을 부인. 구약성서 가운데 오직 모세의 율법만 성서로 본다. 정치적 영향력은 있었으나 대중의 인기는 얻지 못함. (가야바)
B. 사도시대의 특징. (A.D. 30~100년)
1) 기독교 역사상 가장 강력한 성령의 역사시대로써 2) 기독교가 이스라엘 범위를 넘어 세계로 확산되며 3) 신약성경이 다 쓰여짐으로써 기독교의 기초가 놓여진 시기였다. 특히 4) 베드로, 요한, 바율을 중심으로 사도들의 활동이 왕성했으며 5) 신도의 삶 또한 성령이 충만한 창조의 시대였고 많은 사람들이 순교한 시기였다. 6) 지상의 예수그리스도를 하나님의 아들로 예배하였고 7) 신학의 중심은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이었으며 8) 예수 그리스도를 믿으면 구원을 얻는다는 교리가 결정되었다. 9) 교회는 그리스도의 몸으로 유대인이나 이방인의 교회가 하나라는 개념이 확립되었으며 10) 복음이 디아스포라에 의해 전파되어 11) 로마제국 아래 기독교의 박해가 시작된 시기였다. 또한 12) 기독교의 이단운동이 일어나기 시작하여 기독교를 변호하는 초대 교부들이 나타나는데 클리멘트, 이그나티우스, 폴리갑, 파피아스, 폴리갑, 헤르마스가 대표였다.
C. 초대 교회 교부들.(속사도 교부 : Apostolic Father)
1. Clement (로마교회의 감독) : 베드로의 제자, 베드로 후서․고린도 글.
베드로의 후계자로 고린도 교회 분쟁시 글로 화해를 종용시킨 사람. 그리스도의 몸과 피에 의한 속죄 방법을 강조.
2. Ignatius(이나시오:안디옥의 감독):로마에 7개 편지 씀. Catholic Church(우주적 교회) 언급. 드로아에서 폴리갑에게 교회의 통일, 감독의 권위, 순교의 영광에 관한 편지 씀.
3. Polycarp(서머나 감독) : 요한의 제자. 빌립보에 보낸 편지 1통이 전해진다.
바울 서신, 베드로, 요한 1서를 편지에 인용했다. 155년 화형을 당해 순교.
4 Papias : 요한의 제자로 150년경에 순교. 세례후 죄는 1회적 용서만 가능. 목자서(목회적 훈계서), 크리스챤의 원칙 설명(금욕, 도덕 강조 - 구원은 은혜보다 의무), 주의 교훈을 설명하는 책도 5권 저술.
5 Hermas : ~140년까지 양자론적 기독록은 가르친 초대교부이다. 모든 피조물을 창조하신 거룩한 선재 하는 영에 대한 바울의 교리와 고난받으시고 영광 받으시는 종의 교리를 다른 방법으로 결합시키려고 노력한 사람이다. 세례로서 이전의 지은 죄를 모두 사함 받았으나 세례 후 범한 죄 중에서 터툴리안이 규정한 죽음에 이르는 7가지 죄들(우상숭배, 신성모독, 살인, 간음, 사통, 거짓, 증거, 사기)는 죽음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고 이해했다. 그의 저서로는 Shephard라는 책이 있다.
D. 초대 교회 이단들.(특징, 악영향, 이단으로 규제된 표준).
1. 영지주의(Gnosticism) : 영적 신비, 지식이 구원.
- 이원론적, 혼합주의, 금욕주의, 구약성서배격, 예수의 육체고난, 부활부인.
- 최고의 신(Deity) : 사랑․자비 충만, 부활 부인. / - 최하의 신(Demiurge) : 물질창조, 구약의 신.
- Docestism(가현설) : 예수는 인간이 아니다. 영적으로만 이 세상에 왔다 감.
- 인간을 세 분류 : 물질적 인간, 심령적 인간, 영적인간.
- 기독교에 끼친 영향: 기독교의 역사성을 과소평가(예수의 생애부인),이원론(물질과 정신)에 영향, 구약가치약화.
2. 마르시오니즘.(Marcionism)
- 순복음 : 누가복음+바울서신(-구약내용) ; 순복음을 통한 구원.
- 문서편집자(초대교회)
- 구약의 하나님(악신)/신약의 하나님(사랑의 신)
- 물체 소유 부인, 부부 생활 금지, 순결 독신 강조.
3. 몬타니즘(Montanism):
- 성령 대변자, 성령 도구로 자기 표현, 이적 은사(성령 시위)강조
- 천년 왕국설 강조, 극단적 종말론자, Chiliasm, 금욕주의 강조.
- 감독권위 배격(만인제사장설), 계시연속성 주장.
♣ 초대교회 이단운동 3가지의 특징과 악영향과 이단으로 규제된 표준에 대하여 논하라.
1. 영지주의(Gnosticism) : 135년~160년 최대 영향력을 가졌고 초대 교회를 가장 괴롭힌 이단인 영지주의는 페르시아의 이원론, 동양의 신비주의 종교, 바벨론의 점성술과 헬라철학(플라톤의 이원론)등에 기독교 교회를 혼합 절충시킨 종교철학으로 영을 선한 것으로 물질을 악한 것으로 생각하였다. Gnosis는 영적이고 신비하고 초자연적인 지혜를 가리키는 말로써 이 지식을 전수 받은 사람은 우주의 올바른 이해에 도달하게 되고 악한 물질 세계로부터 구원 받게 되며 이 지식은 단순한 앎이 아니라 영원자의 계시로 말미암아 얻어지는 신비적 조명이다. 이들은 우주에 왜 죄가 있는가? 인간의 구원, 신․구약의 상충성에 의해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이원론에 따라 해결하고자 한다. 이들은 최고의 신에게서 다른 에온들(Aeons)이 하향적인 과정을 걸쳐서 생산되고, 마지막으로 가장 열등한 불완전한 하위신-데마우르고스 (Demiurgos)가 물질세계를 만들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주는 불완전하고 죄가 있으며 물질세계를 악하며, 세계를 창조한 구약의 하나님은 하위신에 불과하다. 또한 차선의 신인 예수 그리스도는 물질세계가 악하므로 육체를 가진 인간이 될 수 없고 영적으로만 이 세상에 왔다간 가현적 존재이다. 이들 중 반렌티누스 학파는 인간을 구원의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영적 인간, 어느 정도 구원이 가능한 정신적 인간, 구원의 가망이 없는 물질적인 인간으로 삼분했다.(Gnosticism은 기독교의 역사적인 요소를 과소평가함으로써 예수의 생애(탄생,삶,죽음,부활)을 부인했으며, 물질계와 정신계를 대립시킴으로써 기독교에 이원론 영향을 끼쳤으며 구약의 가치를 약화시킴으로써(신약만 성경으로 인정) 심각한 위험을 가하였다.
2. Marcionism : 영지주의에 강한 영향받음. 그러나 다른 이원론. 영지를 통해서가 아니라 복음을 통해 구원. 최고의 개혁자인 마르시온이 악과 고통의 문제에 충격을 받아 이 세상의 신과 그리스도에 의해 계시된 자비의 신을 대립시키는 극단적인 이원론을 주장하면서 유대교와 율법주의를 공격하며 바울만이 복음을 신앙적으로 이해했던 유일한 사도라 하며, 인간이 구원을 받기 위해서는 순복음(Primitive Gospel-바울서신과 누가복음: 구약의 글을 모두 배제한)을 알아야 한다고 했다. 이들은 구약의 신은 피흘리는 것을 좋아하는 전쟁의 신, 복수의 신, 무자비한 율법의 신이라고 했고, 진정한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감추어졌는데, 그리스도안에 가현적으로 나타났다고 주장한다. 이들은 문서수집으로 기독교에 큰 영향을 주었으나, 기독교를 역사적 배경에서 분리시키고, 성육신을 부인하고ㅡ 구약의 하나님을 비판함으로써 악영향을 끼치며 148년 교회에서 축출당하고 5세기 말까지 존재했다.
3. Montanism : 성령의 특별한 섭리에 대한 사상과 임박한 종말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몬타니즘은 교회에 증대하는 세속적인 영향에 대한 반발운동으로 2세기경 몬타누스에 의해 시작되었다. 그는 자신을 성령이 말씀하실 때 사용하는 성령의 대변자라 하며 프리기아(Phyrigia)에 비하여 극단적인 금욕주의를 강조하며 세속주의에 대항했다. 단시일 내에 상당한 세력을 확보했고 터툴리안도 이 운동에 가담하여 몬타누스주의자가 되었으나 160년 최초의 교회공회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Montanism은 성령, 예언, 신유 등의 이적의 은사를 강조하며, 왕국설을 주장함으로써 교회 조직을 거부, 약화시켰고 새로운 계시를 받았다고 함으로써 계시가 최종적으로 끝났다는 교회의 주장을 위협했다. 그러나 엄격한 금욕주의는 후세의 도원주의에 영향을 끼쳤다.
※ 정통교회의 표준
1) 정경의 조건 결정 - 사도(예수님의 12제자 + 바울)들, 속사들(사도들의 제자)의 저작.
2) 강한 감독체계 구축 - 사도적 승계(Apostolic Succession)만 정교회고 나머지는 이단.
3) 신조확정.
Ⅱ.고대교회.
A. 3세기의 분파 운동.: Novatianism, Donatism
300년동안 기독교의 박해가 황제에 따라 주기적으로 일어나는 상황에서 순교자도 있었지만 순교를 부인하는 배교자(Apostacy)들도 많이 배출된다. 노바티나이즘(교회의 순수성에 관하여)과 도나티즘(성례의 효율성에 관하여)은 배교자들에 관련된 문제들이다.
1. Novatianism : 3세기 Decius황제 박해 후 배교자들이 다시 교회로 돌아오려고 할 때 교회의 tndydans제로 의견이 갈라졌다. 로마 교회 Callitus는 진정한 회개는 용서받을 수 있다하여 일정한 참회기간 후 받아들일 것을 주장하여 Cornelius감독은 배반자들을 수용하려고 하였으나, 로마교회 장로인 노바티안은 교회의 순수성을 강조하면서 변절자에 대한 극단적 징계를 주장하였다. 노바티안은 살인, 간음, 거짓 증거 다른 모든 죄는 용서 받을 수 있으나 교회를 배반하는 자는 용서받을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Cornelius와 정면 대립 하지만 교회는 배교자들을 받아들일 것을 결정했고, 이에 노바티안은 성자들의 모임을 만들어 분리되어 나가 313년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노바티아니즘은 교회 순수성에 관한 문제로 교회 구성원들이 신앙적, 도덕적, 윤리적 순수함에 의해서 깨끗해지는 것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피로 깨끗해짐을 강조한 사건을 여겨서 눈에 보이지 않는-진정한 신도들만 모여있는-교회, 눈에 보이는 -진정한 신도와 그렇지 못한 자가 함께 있는 교회-교회 개념이 생겨났다.
2. Donatism(성례의 효율성의 문제)
: 배교자 감독의 성례집행효력 무효 주장. - Aries회의(314)에서 이단으로 정죄
4세기 디오클레티아누스 박해 후 북 아프리카 카르타고에 배교자였던 감독이 다시 감독으로 선출되자 도나투스는 배교자 감독이 세례를 집행했을 때, 효력이 없다고 주장함으로써 성례의 효율성에 관한 문제가 일어났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성례의 효율성은 감독의 신앙적, 도덕적 권위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고 성부, 성자, 성령 3위의 이름으로 교회 법을 따라 적법하게 시행하는데 그 효력이 있기 때문에, 이 두 가지가 충족되었다면 이단이나 분파교회에서 집행한 세례도 유효하다고 했다. 그러나 이단교회의 성례는 Validity는 있지만 Efficasy는 없다. 성례가 효력을 받으려면 이단을 떠나 기성교회에 와야 하는데, 그 이유는 이단교회들을 기성교회들을 비판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Ex opere operato - 사효론(아우구스티누스 교리)
Ex opere operantis - 인효론(도나티스 교리)
아프리카인들의 지역감정까지 편승해 많은 동조자들이 도나투스파를 형성했으나 314년 Arels회의에서 이단으로 정죄되었다.(- 그 후 콘스탄틴이 여러번 권유했으나 듣지 않자 군대를 데려가 기독교인이 기독교인을 죽임 ; 기독교인이 기독교인을 죽이는 역사의 시작.)
3. 차이점.:노바티아니즘은 3세기 로마 교회에서 교회 순수성에 관한 논쟁이었고, 도나티즘은 4세기 카르타고 교회에서 성례 효율성에 관한 논쟁이다.
4. 유사점.:둘 다 분파주의로 나갔으며 그 근본원인은 대다수의 도덕적 방종으로 생긴 불만이었으며 박해시기에 배교자들의 관대한 처사에 대한 반항운동이었다.
B. 고대교회의 3대 학파.
1. 알렉산드리아 학파 : 알렉산드리아시는 로마제국의 제2의 도시오, 상업도시로서 헬레니즘적 유다이즘의 본고장. 희랍․로마 문화의 집성지로 다신론적 경향이 있기 때문에 삼위일체 교리도 거부감없이 수용했다. 특히 이 도시의 지적생활은 출중해서 도서관은 가장 유명했다. 교리문답학교(Catechetical school)가 있었고 클레멘트, 오리겐, 아타나시우스등을 배출했다. 이들은 희랍의 철학을 기독교에 수용하여 철학적, 논리적으로 기독교를 입증하여 로마교회의 전통으로 남았다.
1) 클레멘트 : 교리문답학교(Catechetical school)의 교장역임. 계시와 철학은 상반되지 않는다고 하면서 철학의 진리와 기독교 계시와의 조화(철학+신학)에 노력했다.(부르너,틸리히,판넨베르그에 영향을 줌) Allegorical interpretation을 처음 시도했다. (어거스틴, 스피노자, 헤겔 등에 영향)
2) 오리겐 : 6천여권의 저서가 있고 클레멘트의 뒤를 이어 알렉산드리아에서 가르쳤다. 인간을 세가지로(영혼육-Trichotomy)로 분류한 최초의 조직신학자이다. 인간출생이전에 영혼의 선재설을 주장했고, 아버지와 아들 영원한 출생(Eternal generation)으로 보면서 삼위일체를 최초로 주장함.
저서-① Hexapla(헥사플라, 성서6가지 역) : 27년동안의 대작으로 구약 히브리어 원전과 LXX, 다른 번역서들을 대조하여 LXX의 정확성 규명을 위한 것.
② De principiis(제1원리) : 영지주의를 반대하기 위하여 쓴 최초의 조직 신학책. 사변적, 합리적, 논리적, 이성적인 기독교 신학의 기초를 놓았다. 총 4권으로 되었고, 1권은 영적인 것, 2권은 물질세계와 인간, 3권은 자유의지, 악마와 싸움, 선의 궁극적 승리, 4권은 성경.
2. 안디옥 학파 : 안디옥시는 로마 제3의 도시이며, 최초의 그리스도인이란 명칭이 여기서 불려졌고 문화적 언어적으로 예루살렘과 가까워 히브리 영향을 받았다. 대표자는 사모사타의 바울이다. 유일신을 강조하였으며 삼위일체를 반대했다. 말하자면 단인신론적(Monotheism)경향이었으며,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거룩한 창조물이다.”고 주장하여 결국 이단으로 정죄받았다.
ⓛ Dynamic mormachianism : 사모사타의 바울은 “예수님과 하나님은 동일하지 않다. 예수님은 단지 하나님의 힘을 부여받았을 뿐이다. 예수 그리스도는 하나님의 거룩한 창조물이다.”라고 주장했다.
② Modalistic mormachianism (Sabellianism = 양태론적 단신론) : Sabellus가 주장.
“하나님은 한분이 성자, 성령의 역할도 한다.”
태양설 주장 (태양은 태양빛과 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동시적 개념, 분열이 없다.).
성부 수난설-십자가에 달리신 분은 예수라는 또 다른 인격체가 아니라 하나님 자신이다.
(Patripassionism) 예수님의 실체, 역사성 부인.
3. 라틴학파 : 카르타고 중심. 라틴어 문화권, 기독교의 역사성 강조. “기독교는 역사적 사건에 근거하는 계시에 기인하여 역사적, 구체적 교회를 매개로 내려오고 있다.” 초대 교부 배출 - 터툴리안, 시프리안, 저스틴
1) 터툴리안 : 기독교의 진리를 헬라철학에 의해 입증할 수 없다. 나는 모순되는 고로 믿는다. 예루살렘과 아덴이 무슨 상관이 있느냐? 기독교와 모든 이단은 희랍철학으로부터 나온 것이다. 예수 그리스도 이후에는 사변이 필요없고, 복임?이후에는 탐구가 필요없다.
2) 시프리안 : 카르타고의 감독. ‘교회의 일체성에 관하여’에서 사도의 전승강조, 보편적 교회(공교회 Catholic church)강조하여 교회만이 세례를 베풀고 정결케 할 수 있다. 교회를 어머니라하지 않는 자는 하나님을 아버지라 할 수 없다. 교회밖에는 구원이 없다. 감독의 권위 강조하여 감독이 없는 교회는 교회라 할 수 없다.
3) 저스틴(Justin the Marty) : 기독교 신앙을 헬라 철학으로 입증.
C. 콘스탄틴
1. 콘스탄틴의 기독교 정책
(1) 기독교 공인 : 막센티우스와의 권력투쟁 과정 중 신앙의 도움으로 승리한 후 밀란 칙령으로 기독교를 로마 종교로 공인.
(2) 교회법 국가의 공인 : 교회간의 분쟁을 성직자가 판결했을 때 법률상 유효, 교회는 죄인의 도피처로 인정, 교회의 법률에 대한 불가침 선언, 감형의 요구권 성직자에게 부여.
(3) 교회를 위한 법률 제정 : 일요일을 법적으로 쉬게 함(관공서, 공관 등), 교회는 예배를 드릴 수 있게 함, 성직자들에게 병역과 세금의무 면제, 교회 출석 노예를 성직자 앞에서 해방 허용, 교회 박해 시 몰수한 재산을 반환할 것, 교회 재산 관리법 재정, 기부금 제도 공인, 교회 건축시 황실에서 보조, 파괴된 이교도 사원 신축 금지.
(4) 영향 : 이교도들의 영입으로 교회의 신앙의 순수성이 흐려짐. 성직자들의 세속적 타락, 교회가 공정성을 상실, 국가 권력으로 이단 종교 박해, 교회가 국가의 시녀로 전락.
2. 콘스탄틴의 313년 기독교 공인 이전과 이후의 기독교 모습의 차이점.
. (1) 이전 : 교회가 국가에 의해 억압과 박해를 받아 존립하기가 어려웠으나 그 가운데서도 믿음의 정열과 순교의 정신으로 살아있다. 외면적으로는 취약했으나 내면적으로는 성숙한 신앙을 가지고 있었다.
(2) 이후 : 제국의 안전을 위해 교회가 이용당하는 시대와 교회가 국가 위에 군림하여 국가 권력을 장악하는 시대가 되었으므로 교회의 대 타락을 야기했다. 신앙의 자유는 나태와 치부, 권력화를 초래캐 했다. 외면적으로는 조직의 발달로 교회가 확대 성장되었으나 내면적으로는 쇠퇴하여 영적인 힘을 상실하여 갔다.
D. 고대교회의 교리 논쟁과 에큐메니칼 회의.
313년까지는 박해 때문에 교리 논쟁이 없었으나, 313년 이후 회의가 시작되면서 교리논쟁 활발해짐.
■ 기독론 (예수 그리스도가 누구냐?)
1. 제 1차 기독교 에큐메니칼 회의(니케아 회의)
☞ 소집 : 325년 콘스탄틴 황제가 소집.
☞ 회의 소집이유 : ① 아리우스의 주장으로 극심한 논쟁 때문. (교회분열→제국분열)/ ② 부활절 일자의 문자.
☞ ‘기독론’에 관한 논쟁 내용
① 아리우스 주장 (알렉산드리아 장로): 예수의 신성을 약화시킴.
- 동정녀의 탄생과 십자가 사건, 부활을 인정하지만 하나님의 최초의 창조물이라고 주장 즉 예수는 무로부터 창조된 피조물이고 죄는 없었다고 주장.
- 예수는 시초가 있지만 성부는 시초가 없다.
즉 예수는 없었던 때가 있었다. (“There is when he was not)
- 따라서 그리스도는 본질과 영원성에 있어서 신이 아니고 제2의 신(Secondary God).
그러므로 그리스도는 영원한 신도, 완전한 인간도 아닌 중간적 존재이다.
아리우스는 알렉산드리아 장로였지만, 안디옥 학파에서 그를 많이 지지하고 따름.
② 알렉산더 주장 : 그리스도의 신성 강조
- 그리스도는 창세 전에 영원히 계신 아버지로부터 나온 아들이다.
- 아들도 본질적으로 아버지와 동일하며, 창조물이 아니다.
③ 아타나시우스 주장
- 그리스도는 본질에 있어서 성부와 동일하다.
* 그리스도와 성부와의 관계.
아타나시우스 : Homoousia (동일본질) 주장.
아리우스 : Homoiousia (유사본질) 주장.
☞ 결과
① 아타나시우스의 입장인 Homoousia (동일본질) 로 결의.
★ 예수 그리스도는 완전한 신이요 완전한 인간임이 결의됨.
② 부활절 날자 결정 : 춘분후 만월 다음 주일.
서방 교회 : 유월절 다음 일요일/ 동방 교회 : 니산월 14일(유대인의 유월절) → 춘분후 만월 다음 주일.
③ 감독 임명시 3명 이상의 감독이 안수해야 함.
④ 성탄절: 354년 최초 기록(정확한 결정은 모름) 그러나 로마감독 Liberius의 기록 남음.
“동지가 지나가고 태양이 다시 길어지는 그 때 다시 빛이 비치는 것으로 하는 것이 좋겠다.”
“397년 콘스탄티노플 시에서 12월 25일에 예수의 탄생을 축하했다.”
⑤ 사순절(Lant) 기간 40일 : 예수의 40일간 광야 금식, 무덤속의 40시간,...기타.
☞ 평가
① 예루살렘 회의 후 첫 회의./ ② 교회의 문제(특히 신학적 문제)를 회의를 통해서 결정.
③ 황제의 영향력이 교회에 들어옴./ ④ 니케아 신조가 교회의 정통 신앙으로 남아 있게 됨.
⑤ 기독교의 이단문제 중 하나가 극복됨./ ⑥ 교회의 토의는 다수에 의해서 결정한다.
2. 제 2차 기독교 에큐메니칼 회의(콘스탄티노플 회의)
☞ 소집 : 381년 데오시우스 황제가 소집함.
☞ Apollinarius 주장 (알렉산드리아의 장로)
그리스도를 Platon의 3등분설을 도입하여 설명.(그리스도 = 육체 + 마음 + 로고스)
그러나 인간 = 육체 + 마음 + 영혼.
따라서 “그리스도는 완전한 인간이 아니다. 완전한 인간이 아닌 그가 어떻게 인간의 죄를 대속할 수 있겠는가?”라는 문제 야기시킴.
☞ 결과 : Apollinarius 의 주장을 배격하고
★ “그리스도는 신성, 인성에 있어서 양성이 완전히 계시는 분이다.”라고 결의됨.
■ 마리아에 관한 문제
3. 제 3차 기독교 에큐메니칼 회의(에세소 회의)
☞ 소집 : 431년 데오도시우스 2세가 소집함.
☞ 회의 소집 이유 : 마리아에 대한 다른 주장.
① Nestorius : 마리아는 하나님의 어머니가 아니라 그리스도(인간)의 어머니이다.
Theotokos(= mother God)가 아니라 Christokos(= mother of christ).
- 인성과 신성의 명확한 구별을 통해서 예수님의 완전한 인성을 보전하려 했다. 신성이 인성을 완전히 압도하거나 흡수해 버리는 식의 신인 연합을 두려워했고, 이로써 참인간이신 예수그리스도의 상실을 두려워했다.
② 시릴의 반박 : 네스토리우스의 주장은 있을 수도 없고 그리스도의 신성을 제한하는 것이라고 주장.
☞ 회의의 결과
① 시릴파는 동방회원이 도착하기 전에 네스토리우스파의 출교를 결의.
② 네스토리우스파가 도착하여 시릴파를 이단이라고 결의.
③ 중재로 로마감독 Celestine이 다수파(C: 200, N:43)공회를 통해 네스토리우스파를 아라비아로 추방.
☆ Theotokos 즉 마리아는 하나님의 어머니라고 결의됨.
4. 도적 회의
☞ 소집 : 449년 에베소에서 개최, 데오도시우스 황제 소집
☞ 회의 소집 이유 :
Eutyches(콘스탄티노플근처 수도원 원장)의 Monophysitism(단성론)주장.
Monophysitism(단성론) : 그리스도는 이성(新人)으로 되어 있으나 연합(Incarnation) 후 인성은 신성에 흡수되어 신체가 우리와 같지 않다.
☞ 회의 결과 : 알렉산드리아의 감독 Dioscorus가 자기파의 세력을 확장시키기 위해 유티케스랄 지원하고 이 회의에 자신이 의장이 되었다. 그는 병사를 동원하여 안디옥파 수령을 쫓아내고 유티케스를 복직시킴.
∴ 이 회의를 도적회의라고 하고 정식 종교회의에는 계산하지 않는다.
5. 제 4차 기독교 에큐메니칼 회의(칼케톤 회의)
☞ 소집 : 451년 Marcianus황제가 소집, 600명 감독 참석.
☞ 회의 소집 이유 : Eutyches의 Monophysitism(단성론), 즉 인성이 신성에 흡수되어 신성만 나타나고 그리스도는 우리의 육체와 같지 않다는 것을 거부함.
☞ 회의 결과 : 칼케톤 신조.
① 예수 그리스도는 신성과 인성에 있어서 완전하여 참 하나님이고 참 인간이다.
신성은 성부와 같고 인성은 우리와 같으나 죄가 없다.
② 그리스도는 1인 2성(one person two nature) : 그리스도는 2개의 본질을 갖고 있으나 서로 혼동되지 아니하고(inconfusedly) 서로 변하지도 않으며(immutably) 서로 분열되지 않고(indivisibly) 서로 분리되지 않는다.(inseparately)
☞ 반응
- 서방 교회의 반응이 너무 강해서 동방 교회 지지 얻지 못함.
- 양성론을 거부하고 단성론을 받아 들인 지역
: 에집트(optic church), 시리아(jacobites church), 에디오피아(armenia church)
→ 이단으로 분리.
- 428년 Zeno황제가 Henoticom(단일론)발표.
단성론자들을 교회로 받아들이기 위한 신성, 인성에 대한 모호한 발표였다. 이것으로 인해 대다수의 단성론자들이 가담했으나 극 단성론자들은 거부했다.→남은 단성론자들은 계속 핍박 받음.
6. 제 5차 기독교 에큐메니칼 회의(콘스탄티노플 회의)
☞ 소집 : Justinian 황제 소집
☞ 회의 소집 이유 : Justinian 황제의 3장(Three chapters)령 관철시키려 함.
그는 세그룹의 작품들을 정죄했다. 하나는 네스토리우스의 기독론에 영향을 준 데오레르의 작품들(Theodore of Mopsuesta)이었고 두 번째는 시릴의 기독론에 반기를 들고 네스토리우스 편에 섰던 데오도렛 같은 이의 작품(Theoret of cyrus)이었고, 세 번째는 네스토리우스의 작품들(Ibas of Edessa)이었다. → 삼장력으로 동방교회가 많이 돌아왔으나 일부는 돌아오지 않음.
☞ 결과 : 칼케톤 신조에 대한 새로운 해석으로 정통교회를 삼음.
7. 제 6차 기독교 에큐메티칼 회의(콘스탄티노플 회의)
☞ 소집 : 680년 콘스탄틴 4세가 콘스탄티노플에서 소집.
☞ 회의 소집 이유 : 그리스도의 의지에 관한 문제 (단의론을 정죄하기 위함)
Monothelitism(단의론) :그리스도는 진실로 하나님이시고 진실로 인간이시기 때문에 이같이 두 가지 의지가 항상 있어야 한다는 말인데, 이 두 의지는 항상 일치를 보인다는 것이다. 즉그리스도는 두 의지(新人)가 있으나 서로 반대됨이 없고 인간의지는 신의지에 복종한다.
☞ 회의 결과 : 단의론을 정죄하고 ‘두 능력’,‘두 의지’를 재확인 하였는데, 이들은 인류의 구원을 위하여 그리스도 안에서 멋있게 일치한다는 것이다.
8. 제 7차 기독교 에큐메니칼 회의(니케아 회의) - 동서 분열전 마지막 회의.?
☞ 소집 : 787년 니케아에서 콘스탄틴 6세 소집.
☞ 회의 소집 이유 : 성상숭배 문제.(성상론 : Iconoclastic controversy)
- 동방교회 : 성화를 교회안에 비치하는 것은 무방하지만 손에 닿지 않는 높은 곳에 걸어라.(네로 3세 칙령) → 이 때 수도승은 반대한다.
- 서방교회 : 네로 5세는 교회안에 화상을 제거하라. 일제 걸지 못하게 함.
☞ 회의 결과 : 동서방 교회 모두 성상숭배 인정. 그러나 예수 그리스도, 마리아, 성자들의 화상만 인정.
“ 성자, 십자가, 복음서는 존경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그것이 독자적으로 신성을 가지지 못하므로 예배의 대상은 아니다. 성상에 드려지는 경의는 그것이 표현하고 있는 존재에게로 돌아가는 것이며, 성상에 경의를 표하는 자는 성상 속에 있는 주체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이다.”
9. 제 8차 에큐메니칼 회의(콘스탄티노플 회의)
☞ 소집 : 869년, 879년 콘스탄티노플에서 바실리우스가 소집하여 열림.
☞ 회의 소집 이유 : 이그나티우스와 포티우스, 성령의 출처 문제.
- 869년 : 이그나티우스와 포티우스의 논쟁으로 이그나티우스는 복직되고 포티우스는 파면됨.
- 879년 : 성령의 출처문제 논쟁(니케아 신조 재확인)
→ 서방측의 교리가 승리하고 동방교회는 이단으로 정죄되어 후대에 동서방 교회 분열을 초래하는 원인이 됨.
※ 교회의 이론 논쟁
초대 중세 종교개혁 현대
>
기독론 교회론 구원론 성령론
E. 고대 수도원 운동.
1. 배경 : 1) 금욕주의 이상과 기독교 도덕의 2중 표준(청빈, 독신)은 콘스탄틴시대 이전부터 오랫동안 교회 내에 성장해 오다가 고대 철학 속의 금욕주의 경향의 도움으로 더욱 발전하게 된다. 특히 기독교가 국교로 된 후 세속화 현상이 일어나면서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금욕생활, 경건생활, 도덕적 생활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또한 2) 교회가 조직적, 규칙적, 기구적으로 됨에 따라 개인의 영적 활력소의 부족된 생활에 대한 반발과 3) 동양 이원론 사상이 교회에 침투되어 물질을 떠나 만족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욕망이 작용함으로써 수도원 운동이 일어나게 되었다.
2. 방법 : 수도원 운동의 시조는 안토니였고, 이 운동을 개선한 사람은 파코마쿠스로 최초의 기독교 수도원을 설립함으로써 이성적인 기독교 공동체 개념을 발생시켰다. 후에 수녀원(Nunnery)도 설립하였다. 파코마우스를 계승하여 소아시아에서는 바질이 노동, 기도, 성경읽기를 중심으로 이 운동을 전개하였고, 아타나시우스에 의해 세상에 소개된다. 서방 수도원 운동의 개혁자는 베네딕트로 이는 예배, 노동, 독서 중심으로 극단적인 금욕주의가 아닌 엄격하지만 이성적인 신앙훈련을 할 수 있도록 수도원을 걸립하였다..
3. 고대 수도원이 교회에 끼친 영향
1) 긍정적 영향 : ① 최선의 신자들이 모여 신앙공동체를 형성함으로 선교사, 신학자들이 많이 배출되었고 ② 미개한 촌락 등에서 학교구실을 함으로써 문맹퇴치와 교회 학문 향상에 기여했으며 ③ 교부들의 결사본을 출판하는 출판사 역할을 했고 ④ 주민들의 병원․양로원․고아원․구호소 역할을 하였다. 또한 ⑤ 수도원 자체의 자영농업을 통한 농업기술이 개발 및 보급되었고 ⑥ 수도원 건축으로 건축기술이 향상되었다.
2) 부정적 영향 : ① Celibacy원칙대로 결혼기피로 수녀와 수사간의 문란한 관계로 도덕적 이중성을 갖게 하고(고아원의 시초), ② 금욕주의에 입각한 구원관(공덕 사상)을 강조함으로써 미신적인 신앙풍조를 조장했으며, ③ 세상 사람들을 경멸했고, ④ 수도원의 치부로 말미암아 본래의 목적을 상실하고 나태, 게으름, 성직매매, 수도원간 분파 형성을 야기시켰다.
F. Augustinus와 Pleagius의 논쟁.
1. Augustinus. : 초대교회에서 중세교회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활동하였던 신학자 어거스틴은 초대교회 신학을 집대성했고, 중세교회의 문을 열었으며, 바울 이래 가장 깊고 영속적인 영향을 끼쳤다. 그는 354년 북아프리카 타카스테에서 출생. 이교도 아버지와 독실한 기독교인 어머니 모니카. 18세에 사생아 낳음(신이 준 선물;Adeodatus). 마니교에서 9년간 탐구. 밀라노에서 신플라톤 주의자되어 수사학 교사가 됨. 밀라노의 암브로시우스 감독과의 만남. 집의 뜰에서 “들고 읽어라”라는 아이들의 소리를 듣고 옆에 있던 성경을 펴서 로마서 11:13~19절 보고 회심하게 됨.391년 신부됨.수도원 공동체 생활함. 430년 게르만족이 침공할 때 사망.
☞ 어거스틴의 말 :
“교회가 성서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면 나는 성서를 하나님의 말씀으로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교회의 권위가 성서보다 위에 있음을 강조.
“교회는 사도들로부터 전승된 세계도처에 산재해 있는 가시적 기관이다.”→교회 밖에서는 교회가 없다는 것 강조.
“하나님은 믿음을 통해서만 알 수 있고 믿음은 진리에 대한 인도자가 되는 것이다.”
“믿음은 성서와 교회가 가르치는 것을 믿는 것이다.”→믿음을 강조.
☞ 어거스틴의 저술 : [Confessions(참회록)]과 [신의 도성]저술.
① 참회록 : 인간의 영혼과 그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감동적이고 심오한 고백서.
② 신의 도성 : 기독교의 역사철학 처음으로 진술. - 인간의 도성과 하나님의 도성.
(De Civitate Dei) 지상의 나라는 망하고 하나님의 나라는 영원하다.
역사는 세속사와 구속사가 얽혀 가지만 결국 하나님의 뜻이 실현된다.
로마의 타락이 기독교를 공인하였기 때문이 아니라는 것을 반박하는 서적.
* 하늘의 도성(교회) :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 * 땅의 도성 (로마) : 자기를 사랑하는 것.
하늘의 도성이 성장함에 따라 땅의 도성이 쇠잔한다.
2. Augustinus와 Pleagius의 논쟁.
1) Augustinus : 어거스틴은 원죄는 유전되며 아담의 모든 후예는 선을 택할 자유가 없고 다만 인간은 자유의 죄를 짓는 데만 자유롭기 때문에 하나님의 선택에 의해서만 구원받을 수 있다고 보았다. 즉, 구원은 불가항력적인 하나님의 은총으로 하나님의 예정에 속한 것으로 인간은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하며 인간은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믿음을 통해서 구원을 얻을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죽음과 유아세례문제에 대하여서는 죽음은 인간의 타락의 결과이며 유아도 죄가 유전되기 때문에 세례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인간의 도덕적 노력을 제거시키고 인간이 선하게 되려고 노력하지 않게 함으로써 중세에 가서 이것을 보완하기 위해 공덕 사상이 나온다(인간의 책임성을 부인)
2) Pleagius : 영국의 수도사로 에베소의 장로가 된 펠라기우스는 원죄를 부인하며 ① 아담과 이브의 죄는 그들에게만 작용하고 후손에게는 유전되지 않는다고 주장하며 ② 인간에게는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자유의지가 있어서 개인의 노력과 의지에 의해서 구원 받을 수 있다고 한다. ③ 예수 없이 세례를 통하여 죄사함을 받을 수 있지만, 율법도 사람을 천국으로 인도한다고 주장하며 ④ 죽음은 죄와 관련 없는 자연적인 것으로 ⑤ 유아는 죄가 없기 때문에 유아 세례는 불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예수 그리스도는 단지 죄없는 삶의 본을 보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413년 제 3차 총회에서 이단으로 규정되었다.
3. 529년 Orange 회의
☞ 소집 : Aries 감독이 개최
☞ 회의 소집 이유 : Augustinus와 Pleagius의 논쟁
☞ 회의 결과.
* 결정사항
① 원죄 긍정.
② 인간이 하나님께 돌아갈 수 있는 능력을 상실했다.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를 통해서만 하나님께 돌아갈 수 있다.
③ 인간이 선을 행할 수 있는 능력. 예수를 믿고자 하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온다.
④ 불가항력적 은사(Irresistable Grace)에 대한 언급은 없다.
* 어거스틴의 주장을 받아들인 것 같으나 펠라기우스의 주장도 거부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 Semi - Pleagius, Semi - Augustinus.
※ 반펠라기우스 주의 ( Semi - Pleagius, Semi - Augustinus.) : 카톨릭교회에 의해 펠라기우스가 정죄를 받았지만 모든 카톨릭 교도들이 어거스틴의 의견에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는다. 제롬은 은총이 구원에 불가결하다는 것은 인정하였으나 하나님의 은총이 불가항력적이라는 생각은 없었고 인간의 의지가 회심에 한 몱의 역할을 담당한다고 생각했고 빈센트는 은총과 예정에 대한 어거스틴의 교리가 카톨릭 전통에 근거가 없는 새로운 주장임을 밝혀 공격하였다. 이 동조자들은 16세기에 와서 모든 점에서 어거스틴과 의견을 같이 하지만 예정설과 불가항력적인 은총을 부인하였기에 Semi - Pleagius, Semi - Augustinus.라 고 불렸다. 이에 529년 오렌지 회의가 소집되어 반 펠라기우스 논쟁이 끝을 맺는데, 그 결정사항은 원죄를 긍정하고 인간이 하나님께 돌아가려는 능력을 상실했기 때문에 전적으로 하나님의 능력을 통해서만 하나님께 돌아갈 수 있다고 했다. 또한 인간이 선을 행할 수 있는 능력은 예수를 믿고자 하는 것은 하나님의 은혜로 온다고 하였으나 예정과 불가항력적인 은총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 결과적으로 Augustinus의 주장을 받아들인 것 같지만 펠라기우스의 주장을 부인하지 않음을 보여주었고 무엇보다도 주목할 것은 은총의 전수를 세례에 국한 시켜 은총의 세례전적 특질과 선행의 공덕을 표면에 내세움으로써 어거스틴 사상은 승인하였으나 대중적인 카톨릭 종교 개념의 방향으로 수정을 겪었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있다 .이런 사상에서 중세 로마 카톨릭 신앙의 기초를 형성한 공덕 사상이 나왔으며 칼빈은 인간의 노력, 공적이 인간의 구원 사역에 동참할 가능성은 1%도 없다고 했다.
※ Calvinism의 5대교리.
① 전적타락(Total Depravity)/ ② 무조건적 은혜(Unconditional election)
③ 제한된 구원(Limited salvation)/ ④ 불가항력적 은혜(Irresistable Grace)
⑤ 성도의 인내(Perseverance of saints)
♣ 초대교회 말기의 어거스틴의 신학과 영향.
초대 교회에서 중세교회로 넘어가는 과도기에 활동했던 신학자 어거스틴은 초대 교회 신학을 집대성하여 중세 교회의 문을 열었으며 바울 이래 가장 깊고 영속적인 영향을 끼쳤다. 그의 신학은 카톨릭과 개신교의 원천이 되었다. 교회 중심의 신학은 전자에, 말씀 중심의 신학은 후자에 신학의 기틀을 마련해 주어 종교개혁에까지 이어졌다. 그는 하나님을 인격적 체험의 대상으로 믿음.
1) 삼위 일체 : 성자와 성령이 성부에 종속된다는 가르침에서 떠나 일체성을 강조하고 인격 사이에 완전한 동등성이 있다.
2) 기독론: 예수의 신성과 인성을 함께 강조. 하나님과 인간 사이의 중재자. 죄용서가 그를 통해서만 가능.
3) 예정론 : 하나님의 은총은 선택자들에게만 주어짐.
4) 인간 : 선하게 창조, 자유의지 부여, 죄로 인한 타락, 죄의 본질은 교만(원죄설)
5) 세례 강조 - 교회의 모든 거룩한 의식과 관례가 성례에 포함된다. 성례에 의해 교회 결속.
6) 무형교회와 내세관 : 신의 도성에서 교회가 그리스도의 왕국, 하늘의 왕국으로 표현됨.
7) 신정국이상 - 교회와 국가의 긴밀한 관계 강조. 기독교 국가는 경건한 아버지로서 역할 위해 존재. 예배를 장려해야 하고 교회와 이상 국가 사이에 상호 의존, 책임 관계 존재해야 함.
8) 교회 권위 강조 - 교회가 성서를 말씀으로 받아 들이지 않는다면 나도 성서를 말씀으로 받아 들이지 않겠다.
Ⅲ.중세교회.(A.D.590년~1517년)
A. 교황권의 성장과 선교.
1. 그레고리 대제 : 초대교황(서방)
1) 배경 : 서로마제국의 멸망(A.D. 476년)으로 서방교회의 권한이 강해지는 한편 동방교회는 이슬람의 침입으로 세력이 약화되었는데 이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590년 그레고리 대제가 로마 교황으로 취임했다. 이 시기는 초대 교회가 끝나고 중세교회가 시작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되었다.
2) 업적 : 수도원 확장에 노력, 교회의 요직에 수도사 채용, 성직의 매매 금지(Simony), 성직자의 결혼 금지(Celibacy), 연옥설(Purgatory), 성모와 성자예배 주장, 영국의 선교사 어거스틴을 파송하여 앵글로 색슨족의 개종시도, 예배 의식 통일, 찬송가 작곡, 소년 성가대 조직, 성만찬을 주의 희생으로 반복하는 것으로 이해하여 죽은 자들에게도 유효하다고 함. 그외 어거스틴의 신학으로부터 대중 기독교적 요소 개발하여 교황권을 강화.
3) 교회에 영향 : 그레고리는 모든 부분의 교회활동에서 당대에 가장 뛰어난 지도자였음. 중세 서방교회는 교리, 생활, 예배, 조직 등에 있어서 특징적인 면모를 갖게 됨.
※ 영국 선교
① 그레고리가 수도사 시절에 시장을 지나가는데 노예들이 많이 있었다. 그 중 3명의 노예 소년이 팔려가는 것을 보고 선교에 충동을 느꼈다. 그래서 베네딕트 수도사 어거스틴을 영국의 선교사로 보낸다. 영국에서 어거스틴은 Adthelberht왕에게 선교허락을 받음. 따라서 Canterbury(영국성공회의 중심지)에서 선교함.
② 597년에 Adthelberht왕이 세례를 받았는데 이때 국민들이 템즈강에 나와서 세례를 받았다.(1년만에 1만명이 세례 받음)
③ 601년에 어거스틴은 Canterbury의 대주교로 임명받고 그 곳을 로마의 한 교구로 함.
* 참고) 선교의 3가지 형태
ⓐ 그 문화를 완전히 몰수하고 기독교 문화로 변화시키는 것(급진).
ⓑ 그 문화를 인정하고 병행하는 것(혼합)
ⓒ 그 문화를 점진적으로 기독교 문화로 변화시키는 것.(변화)
④ 664년에 Synod of whitby에서 영국 교회는 정식으로 로마 교회에 속하기로 결정하고 1534년까지 약 1000년간 로마 교회에 속해 있었다. ★ 1534년 헨리 8세에 의해 로마교회와의 관계를 끊고 영국 성공회(England Eglican Church)로 자치 활동한다.
※ 선교사들
① Willbrord(657?~739) : Utrecht중심으로 네델란드 선교. ?홀랜드에 선교 본부를 두고 남쪽으로 선교함.
선교감독으로 안수 받음. → Utrecht 교구 생김.
② Winfrid(개명 : Boniface 680 ~751) :
- Willbrord를 도우러 갔다가 별 성과 없어 돌아와 북부 독일로 파송받음.
- 북부 독일 Hesse에서 게르만족의 기독교화에 결정적 역할함.
- Fulda수도원 세움 : 선교사 훈련시킴./ 마임쯔에서 대주교로 임명받음.
- 714년 프리지마에서 선교하다가 세례식 때 이교도들에게 피살됨.
③ Anscar
- 독일 북부 지방 Hamburg를 중심으로 선교함 → 스칸디나비아 선교./ - 함부르그 대주교로 임명받음.
* 1008년 스웨덴 왕이 세례 받음. 1160년에는 Eric왕이 스웨덴에 기독교를 국교로 선포함.
* 덴마크의 Canute왕이 국교로 선포함(1015~1035)/ * 노르웨이는 Olaf왕이 국교로 선포함(1014~1030)
⇒서유럽 개종의 특징: 왕이나 족장이 개종함으로 집단이 개종하고 기독교를 국교로 인정.
④ Patrick(396~493) - 첫 선교사 . 아일랜드 남부에 선교함(30년간). 각처에 학교 세움.
⑤ Columba (521~597)
- 아일랜드에 가서 여러 교회와 두 수도원 세움./
- 563년 동지 12명과 함께 스코틀랜드 lona섬에 수도원 세움.
⑥ Columban (541~615)
- Banger 수도원장. 595년에 12명의 동지와 독일 선교함. /
- 스위스 Suebi 야만족에게 선교하고 수도원 세움.
- 이탈리아 북쪽 Bobbio에 수도원을 세우고 선교하다가 순교.
러시아 선교
- Vladmir가 동로마 황제의 딸과 굘혼하고 987년에 세례를 백성과 함께 받음
- Vladmir이 987년에 러시아에 기독교를 정식으로 인정하였다.
2. Charlemagne(찰스the great)
1) 즉위배경 : 단구왕 피핀의 사후 두 아들 찰스와 카를로만에게 왕위가 계승되었으나 카를로만의 죽음으로 찰스가 실질적 통치자가 되었는데 그를 샤를마뉴(샤를레망)이라고 함.
2) 정복사업 : 768년에 왕에 즉위하여 46년간 다스리면서 영토확장에 주력.
서:스페인, 사라센족./ 남:이탈리아, 롬바르드족./ 동:색슨족 물리침.
3) 로마와의 관계 : 교황을 그의 지배 밑의 최고 성직으로 취급.
레오 3세가 신성로마 제국 황제 대관식 거행. → 이때부터 신성로마제국이라고 불렀다.(Otto 1세)
4) 업적
(1) 선교업적 : (작센)섹슨 정복은 기독교 확장의 전기를 이룸.(섹슨족 소년에게 선교사 훈련시켜 고국에 돌아가 전도하게 함). 무력에 의한 선교는 작센 전 지역에 감독구와 수도원 설치로 뿌리 내림. 게르만 종족의 개종, 프리지아도 기독교화, 오스트리아 대부분의 지역의 기독교 확장.
(2) 기독교 정책 :
- 교회 구조 개선 : 대주교 제도 강화. 감독권한 제한(자기 구역)․수도원장 제한 ; 타교구 침범 금지.
- 십일조 의무화, 주일 휴식. 평신도 신앙교육.
- 성직자 교육 : 성직자 결혼․첩․술집․사냥․무기휴대 금지; 세상일에 관여 금지.
- 수도원, 학교 교육, 궁정에 궁정학교(라틴어, 신학, 영가, 군사훈련들을 교육하여 교직자, 군관무사들을 배출함.
- 교회에 토지를 바친 자들을 자산으로부터 권리를 분리.
그러나 기독교적 삶의 현실보다 교육과 문명의 중심지로 삼기 위함.
(3) 방법 : 폭력 사용, 어떤 때는 하루에 4500녕을 참수형, 화형시킴.
(교회침입자, 성직을 헤치는 자(감독, 집사), 사순절 기간에 고기를 먹는 자, 이교의식을 행하는 자, 시체를 화장하는 자, 세례를 거부하는 자)
6) 신학부흥 : 문예 부흥으로 인한 학교 번창과 원본의 사본화 성행등으로 신학발전 및 신학논쟁 발생(펠릭스의 양자론 정죄, 샤를마뉴 포고문으로 화상숭배 거부, 필리오케 삽입 동의)
3. Otto the Great
- Otto Ⅰ은 951년에 이태리 야만족에게 시달리고 있는 교황을 도와줌.
- 요한 12세에 의해 962년 22세에 황제의 관을 받고 신성 로마제국의 황제가 됨.
- 이것은 독일과 이탈리아가 한 통치자 밑에서 통일을 의미함(962~1806)
이것은 나폴레옹 Ⅰ가 점령할 때까지 약 800년간 유지됨.
- 오토Ⅰ은 독일․영국․보헤미아․슬라브․헝가리․Magyasss․Arles․Burgundy 점령흡수.
B. 속권과 성직의 우위 다툼.
1. 평신도 서임권(Lay Inversiture)
1) 배경 : 초대교회와 중세교회까지는 성직자 회의에서 성직 임명. 9~10세기 바이킹의 유린으로부터 귀족․영주들이 수도원과 교회를 보호해 주면서 교회에 발언권을 갖게 되고 성직 임명을 직접 하게 됨.
2) 힐데브란트와 헨리 4세 : 1073년 힐데브란트가 교황 그레고리 7세로 되면서 평신도가 성직자 임명에 개입해서는 안 된다고 칙령 발표(“교황은 베드로의 후계자로 교회의 모든 권리, 소유, 제국, 왕국들에 최고의 권위를 가지며 모든 소유를 줄 수도 있고, 빼앗을 수도 있는 권리를 하나님께로부터 받았다.”). 독일 영주인 황제 헨리 4세가 반발하여 기존 성직자 축출하고 자기 마음에 맞는 성직자를 임명. 1076년 윔즈(worms) 회의에서 그레고리 7세는 교황도 아니고 거짓말쟁이 수도사라고 하면서 그를 교황으로 충성할 수 없다고 선언. 이에 교황은 헨리 4세를 파문시키고 그에게 충성하는 자들에게 까지 수찬 정지.(Excom -
munication interdict).
3) 카놋사의 굴욕 : 헨리 4세의 궁전에 있던 자들이 그에게 충성하지 않고 불복종함. 그는 더 이상 왕으로 있을 수 없다는 것을 생각하여 파문된 지 1년만에 처와 자식을 데리고 알프스 산을 넘어 산장 카놋사로 피신한 그레고리 7세에게 3일 동안 맨발로 서서 출교 철회 간청.→사면과 수찬 정지 철회.
4) 헨리4세의 보복 : 헨리 4세는 군사력을 기른 후 다시 알프스를 넘어 그레고리 7세 체포, 1077년에 교황이 황제를 파문했지만 효력 상실. 헨리 4세는 1084년에 그레고리 7세 파문하고 클레멘트(Clement) 3세를 교황으로 세움.
5) 윔즈(worms)협약 : 1122년에 worms회의에서 헨리 4세가 내어 놓은 중재안 -
① 성직 수여자는 성직자 회의에서 선출되되 황제 앞에서 수행.
② 성직 수여시 반지나 막대기 주는 대신 황제의 홀을 만지는 것으로 한다.
→ 이리하여 서임권 문제 일단락 됨.
♣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속권과 교회)
의의 : 기독교와 국가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하늘나라와 공동체(교회)의 위치를 설정하는데 필수적인 문제가 될 뿐 아니라 기독교 자기 이해의 한 요소가 된다. 교회사적으로 볼 때 다음과 같이 분류.
1) 초대교회 :
① 313년 까지는 박해와 억압의 시대로 교회가 국가에 의해 존립의 위협을 받았다.
② 313~590년 까지는 기독교 공인으로 국가와 교회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교회는 제국의 안정을 위한 이용관계가 형성(교회는 국고로 운영)
2) 중세 교회 시대 : 서로마 제국 멸망으로 왕권이 교황에 속하게 된 후부터 권력이 강화되었는데, 구라파 야만족의 개종으로 기독교가 확장됨으로 구라파 각국과 교회(교황청)의 우위 다툼에서 교회가 국가 위에 군림하게 되었다. 교회의 세속권력화는 교회의 영적 대 타락을 가져오게 되었다. 특히 평신도 서임권 문제.
3) 종교개혁 이후 : 직능상으로 분리되었다가 완전히 구별되고 다시 상호 독립성을 인정하면서 상호 보완하는 공존의 시대가 됨.
C. 화상논쟁 - 787년 제 7차 니케아 Ecumenical Concil.
1. 원인 : 기독교 예배가 이교화 됨에 따라 마호멧, 유대교 등이 비난함으로 시작.
2. 전개
- 동로마 황제 Leo Ⅲ가 726년에 교회당 내에 그림 상을 비치해도 무방하다. 그러나 접촉할 수 없는 높은 곳에 비치하라고 함.
- 황제의 교회 간섭에 대하여 헬라의 주민, 수도승은 반대함. 그래서 그들은 콘스탄티노플을 공격하여 “교회내의 모든 화상을 제거하라.”고 함.
- 그레고리 Ⅲ는 731년에 로마에서 공의회를 소집하고 “화상 반대자는 교회에서 축출한다.”고 명령함.
- 콘스탄틴 5세(Leo 3세의 아들)는 화상을 배격함. 754년에 그는 콘스탄티노플 회의를 소집하고 화상, 십자가, 휘장가지 교회, 수도원, 가정에서 완전히 제거하라고 함.(이 때 동방교회만 모임).
- 콘스탄틴의 어머니의 섭정 후 성상을 숭배함.→ 781년 서방교회와 타협.
3. 787년 제 7차 니케아 Ecumenical Concil결과.
- 예수 그리스도, 마리아, 천사, 성자들의 화상만 인정.
- 성화, 십자가, 복음서는 존경을 받아야 한다. 그러나 예배의 대상은 아니다. 성상에 드려지는 경의는 그것이 표현하고 있는 존재에게로 돌아가는 것이며 성상에 경의를 표하는 자는 성상속에 있는 주체에게 경의를 표하는 것이다.“라고 함. 따라서 동서방 교회가 우상적 요소를 포함- 합의는 했으나 감정이 상함(동서방 교회의 분열의 씨앗이 됨).
* 이것이 종교개혁때 루터와 쯔빙글리가 성상을 끌어내 파괴할 때까지 700~800년간 지속됨.
D. 동․서방교회 분열
1. 분열의 원인
1) 제국의 분열 : 395년 데오도시우스 황제가 죽은 후 제국은 동서로 나뉘었다.
2) 종족과 언어가 다름 : 동방은 헬라어 서방은 라틴어.
3) 필리오케(Filloque) 문제 : 니케아 회의에서 “성령은 아버지에게서 나온다.”로 되어 있는데 서방교회에서는 “성령은 아버지와 아들로부터 나온다.”고 함으로 아들(Filloque)가 첨가됨.
4) 여러 가지 교리적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