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신을 보하여 강정작용하는 산딸기
▶ 해열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 빈뇨, 유뇨증, 노점(癆漸), 목암(目暗), 시력증진, 야뇨증, 음위증, 간신이 허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 목예(目翳: 각막궤양), 유정(遺精)에 효험있는 복분자
복분자는 산기슭에서 자라는 장미과 산딸기속에 속하는 갈잎떨기나무이다. 산딸기속은 전세계에 수백종이 있으며 우리 나라에는 천도딸기(두메딸기, 함경딸기), 겨울딸기, 수리딸기, 청수리딸기, 복분자딸기, 청복분자딸기, 산딸기나무, 긴잎산딸기, 검은딸기, 장딸기, 제주장딸기, 노란장딸기, 가시딸기, 나무딸기, 멍덕딸기, 오엽딸기, 서양오엽딸기, 맥도딸기, 거제딸기, 덩굴딸기(줄딸기, 덤불딸기), 단풍딸기, 멍석딸기, 사슴딸기(사슨딸기), 붉은가시딸기(곰딸기), 섬딸기, 가시복분자딸기, 거지딸기, 섬나무딸기(섬산딸기), 거문딸기(꾸지딸기)가 자라고 있다.
높이는 2~3미터 까지 자라며 줄기는 비스듬히 휘어지며 끝이 땅에 닿으면 뿌리를 내린다. 가시가 있는 검붉은 줄기는 흰 가루로 덮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깃꼴겹잎이며 잎자루에 가시가 있다. 3~7개의 작은잎은 달걀형~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하고 예리한 톱니가 있다.
가지 끝의 산방꽃차례에 분홍색 꽃이 모여 핀다. 딸기 열매는 붉은색으로 익으며 점차 검은색으로 변한다.
개화기는 5~6월이고 결실기는 7~8월이다. 열매를 식용하며 약용으로 함께 사용한다.
복분자의 다른 이름은 복분자(覆盆子: 신농본초경집주), 복분(覆盆: 명의별록), 오표자(烏藨子: 본초강목), 소탁반(小托盤: 중약수책), 늑표자(竻藨子: 강서중약), 장엽복분자(掌葉覆盆子, 삽전포:揷田泡: 중약대사전), 산딸기 등으로 부른다.
산에서 자라는 나무딸기 및 덩굴딸기, 멍석딸기 등 종류에 관계없이 식용 및 약용이 가능하며 복분자라고 하여 모두 약용한다.
[채취]
입하(立夏) 이후 굵고 익지 않은 푸른 열매를 따서 자루와 잎을 뜯어 버리고 끓는 물에 1~2분간 담갔다가 햇볕에 말린다.
[성분]
중국의 장엽복분자(掌葉覆盆子)에는 유기산, 당류 및 소량의 비타민 C 등이 들어 있다.
[약리작용]
rat, 토끼의 질 도포 표본과 내막의 절편(切片)을 관찰한 결과 복분자는 자성 호르몬성 작용이 있는 듯하였다.
[복분자 법제법]
먼지나 흙은 체로 쳐서 제거하고 이물질은 골라낸 다음 꼭지를 떼어 낸다.
1, <뇌공포구론>: "복분자를 쓸 때에는 술로 하룻밤 찌고 물에 두 번 일어서 볕에 말린다."
2, <본초강목>: "복분자는 채취한 후 짓찧어서 얇은 떡 모양으로 만들어 볕에 말려서 밀봉하여 보관한다. 사용 당시 술에 찌면 특히 좋다."
3, <동약법제>: "복분자 딸기(복분자:覆盆子: Fructus Rubi Coreani)
장미과의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딸기나무(Rubus ideus var. concolor), 산딸기나무(Rubus crataegifolius)의 익기 시작하는 열매를 이른 여름에 따서 그대로 또는 증기에 쪄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주로 사과산, 레몬산, 살리찔산, 포도주산, 카프론산, 개미산 등의 유기산과 그의 염이 들어 있다. 그리고 비타민 C, 적은 양의 비타민 B군, 과당, 포도당, 사탕, 정유, 기름, 찌아니딘클로리드, 아세토인, 베타요논, 벤즈알데히드, 피토스테롤, 적은 양의 탄닌질, 펙틴 등이 들어 있다.
[가공법제]
문헌자료:
1, 약재에서 꼭지를 따 버리고 쓴다. [향약집성방]
2, 약재를 술에 담갔다가 말려 쓴다. [동의보감, 의방류취] 술로 처리하는 것은 혈맥을 잘 통하게 하고 약재의 작용을 돕기 위해서이다.
3, 약재를 술에 담갔다가 쪄서 말려 쓴다. [동의보감, 방약합편] 술에 담갔다가 찌면 약재의 품질이 좋아진다고 하였다.
4, 약재를 술에 감갔다가 볶아서 쓴다. [본초봉원] 또는 술에 넣고 끓여서 쓴다. [득배본초]
경험자료: 약재를 잘 골라 그대로 쓰거나 약재를 찌고 말려 쓴다고 하였다. 또는 술에 담갔다가 쪄서 쓰거나 술에 담갔다가 말려 쓴다고 하였다.
총괄: 술에 담갔다가 찌면 약재의 질이 좋아진다고 한 것은 참작하여야 할 점이나 그밖에 술로 처리하는 방법은 약재의 작용을 협력하는 데는 맞지 않는다.
우리나라 경험자료를 보면 약재를 대체로 그대로 써왔다. 그러므로 복분자 딸기의 가공법제는 다음과 같이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1, 약재에서 잡질과 이물을 골라 버리고 꼭지를 떼어 버린다. 다음 물로 깨끗하게 씻고 말린다. 이것을 생것대로 쓴다.
2, 고른 약재를 술에(술은 약재의 20% 양을 쓴다.) 담가서 술이 전부 약재에 잦아든 다음 꺼내어 밀폐 증기가마에 넣고 3시간 정도 찐다. 이것을 말려 쓴다.
[응용]
유뇨증, 오줌을 자주 누는 데, 간신이 허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 유정 등에 쓴다."
복분자로 쓰이는 두메딸기, 진들딸기, 산딸기나무, 멍석딸기, 멍덕딸기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두메딸기(Rubus arcticus L.)
다른 이름: 천도딸기
식물: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3개의 쪽잎으로 된 겹잎이다. 쪽잎은 둥근 달걀 모양이며 톱니가 있다.
북부(부전고원, 설령)의 높은 산에서 자란다.
성분: 전초에 플라보노이드와 흔적의 사포닌, 열매에 200mg%의 아스코르브산, 안토시안, 레몬산, 사과산, 잎에 많은 탄닌질이 있다.
응용: 열매는 비타민이 많아 괴혈병에 쓴다.
다른 나라 민간에서는 신선한 잎을 상처에 붙이거나 설사에 달여 먹는다. 또한 열매 우린액을 만들어 신석증과 통풍, 목구멍과 입 안의 염증에 먹거나 입가심한다. 또한 위장병에 쓰며 열내림약으로도 쓴다.
진들딸기(Rubus chamaemorus L.)
식물: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심장 모양인데 3~5개로 얕게 갈라졌고 톱니가 있다. 가지 끝에 한 개의 흰꽃이 핀다.
북부의 고원지대(부전고원, 개마고원)에서 자란다.
성분: 열매에 레몬산, 사과산, 펙틴, 아스코르브산, 카로티노이드인 리코핀, 제아크산틴, 여물지 않은 열매에 루미크산틴, 아테라크산틴이 있다.
응용: 다른 나라 민간에서 열매, 잎, 뿌리를 오줌내기약으로 부기, 방광질병에, 피멎이약으로 각혈에, 그리고 종양, 위염에 쓴다. 열매는 땀내기약 또는 괴혈병 치료약으로 쓴다.
산딸기나무(Rubus crataegifolius Bunge.)
식물: 높이 1~2m 되는 잎지는 떨기나무이다. 잎은 둥근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3~5mm로 얕게 갈라졌으며 톱날에움이 있다. 가지 끝에 1~4개의 흰 꽃이 모여 핀다.
각지의 산기슭, 들판에서 자란다.
성분: 전초에 플라보노이드, 뿌리에 트리테르펜사포닌이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덜익은 선열매(복분자)를 강장약으로 쓴다.
민간에서 잎을 진정약, 염증약으로 관절염, 전간에 쓴다.
멍석딸기(Rubus parvifolius L.)
식물: 높이 약 1.5m 되는 잎지는 떨기나무이다. 줄기는 덩굴지며 가시가 있다. 잎은 3~5개의 쪽잎으로 된 겹잎이다. 쪽잎은 둥근 달걀 모양이고 톱날에움이 있다. 연한 붉은색 꽃이 가지 끝에 모여 핀다.
각지의 산기슭과 들에서 자란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덜익은 선열매(복분자)를 강장약, 청량성 지갈약으로 쓴다.
민간에서 뿌리 팅크를 피멎이약, 류마티즘 치료약, 염증약으로 쓰며 잎을 달여 치질 치료에 쓴다.
멍덕딸기(Rubus sachalinensis Lev. {R. idaeus L. var. microphyllus Turcz})
다른 이름: 나무딸기
식물: 높이 약 1m 되는 잎지는 떨기나무이다. 주릭에 가시가 있다. 잎은 3개의 쪽잎을 된 겹잎이다.
쪽잎은 타원형이고 겹에움이 있다. 가지 끝에 흰 꽃이 모여 핀다.
북부와 중부의 산기슭에서 자란다.
덜익은 선열매(복분자): 여름철에 풀색의 선열매를 따서 햇볕에 말린다.
성분: 잎, 열매, 줄기에 플라보노이드, 뿌리에 트리테르펜사포닌, 열매에 사과산, 레몬산, 포도산, 살리실한, 포도당, 자당, 과당, 펙틴물질, 점액, 색소, 정유, 안토시안, 아스코르브산(여문 열매에 약 36mg%) 64~93mg%가 있다.
또한 메탄올, 이소아필알코올, 페닐에틸알코올과 아세토인, β-요논 그리고 시아닌이 있다. 이밖에 d-카테킨과 ι-에피갈로카테킨, P-시토스테롤이 있다.
R. idaeus의 열매에는 2.2%의 레몬산을 비롯한 유기산, 살리실산, 카프론산, 개미산과 그의 염, 많은 양의 펙틴, 카로틴(0.3mg%), 비타민 B군, 포도당 4.3%, 과당 8%, 자당 6.5%, 탄닌질 0.3%, 시아니딘클로리드 C27 H31 O6(녹는점 203~204℃, [α]D 258°), 아세토인(아세틸메틸카르비놀) C4 H8 02, β-요논(C13 H20 0, 녹는점 127~129℃), 벤즈알데히드가 있다. 씨에는 기름 14.6%, 피토스테롤 약 0.7% 있다.
작용: 선열매 달임약은 동물 실험에서 열내림작용과 강심이뇨작용을 한다. 잎, 줄기, 뿌리는 내분비선에 영향을 주며 항고나도트로핀 활성이 있고 자궁수축 진폭을 늘린다.
응용: 열매는 땀내기약으로 쓴다. 잎과 꽃의 우림약은 치질, 눈의 염증을 치료한다. 신경쇠약, 고혈압, 동맥경화에도 쓴다. 꽃은 질 좋은 꿀을 생산하는 점에서 중요하다.
동의치료에서 덜익은 선열매를 발한해열약으로 감기, 열성질병, 폐렴, 기침에 쓴다. 또한 유정, 유뇨에 머리가 어지럽고 눈앞이 흐릴 때에 강정강장약으로 쓴다.
민간에서는 뿌리를 알레르기 또는 감염성인 오래 된 기관지천식, 습진 등 알레르기성 질병에 달여 먹는다. 잎 우린액은 설사멎이약, 피멎이약으로 쓴다. 꽃 달인액은 자궁염증, 신경쇠약, 급성 및 만성 감염성 질병에 쓰며 뱀이나 벌레에 물렸을 때 독풀이약으로 쓴다.
멍덕딸기선열매 달임약(5~8g:200cc): 15~20분 동안 끓인 후 걸러서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피나무꽃, 관동화잎을 섞어서 달이면 감기에 좋다.]
복분자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복분자(覆盆子) //산딸기// [본초]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인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와 산딸기나무(Rubus crataegifolius Bge.)의 열매를 말린 것이다.
복분자 딸기는 우리 나라 중부 이남의 산에서 자라고 산딸기나무는 각지의 산에서 자란다. 이른 여름 익기 시작하는 열매를 따서 그대로 또는 증기에 쪄서 햇볕에 말린다. 맛을 달고 시며 성질은 따뜻하다. 신경, 간경에 작용한다. 간신(肝腎)을 보하고 정(精)을 불려주며 눈을 밝게 하고 소변량을 줄인다. 약리실험에서 탕약은 해열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밝혀졌다.
빈뇨, 유뇨증, 야뇨증, 음위증, 간신이 허하여 눈이 잘 보이지 않는 데, 유정(遺精)등에 쓴다. 하루 6~12g을 물로 달이거나 환을 짓거나 가루내거나 약술로 담그거나 약엿을 만들어 먹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