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판한성부사(한성판윤) : 현 서울특별시장
한성판윤은 조선시대 한성부의 책임자로서 오늘날의 서울특별시장과 같다. 한성부의 행정을 담당하는 판윤은 정 2품의 관직으로서 초기에는 판한성부사, 한성부윤으로 불리다가 1469년(예종원년) 판윤으로 바뀌어 1894년 (고종 31)까지 425년간 호칭된 관직명이다. 1894년 한성부윤으로 명칭이 바뀐 이후 관찰사, 판윤, 윤, 부윤, (일제강점기)등으로 바뀌었고, 1946년 9월 28일 시장으로, 1949년 8월 15일 특별시장으로 개칭되었다.
우리순흥안씨는 4분의 선조가 조선시대 한성부의 행정을 책임졌다. 또한 네분 모두가 임금으로부터 시호까지 받으신 자랑스런 선조들이다.
판한성부사 안경공(安景恭) 태종 6년(1406)8월11일
판한성부사 안원(安瑗) 태종 7년(1407)12월 8일
한성부윤 안당 (安瑭) 중종 9년(1514) 1월 16일
한성부윤 안현 (安玹) 명종 3년(1548) 4월17일
서울시 한성판윤전에 의하면 양도공 휘 경공께서 제14대 판한성부사로 임명되었다고 기술되어 있는바 그러나 조선실록을 좀더 자세히 보면 14대가 아니라 13대임을 알수 있다.
(서울 600년의 발자취에는 10대로 되어있다)
제1대 : 성석린(成石璘)
제2대 : 정희계(鄭熙啓)
제3대 : 이거이(李居易)
시사(市史)에는 제3대 판한성부사로 조익수(조익수)로 되어 있으나 이는 잘못이다.
※. 태조 10권, 5년(1396 병자 / 명 홍무(洪武) 29년) 11월 23일(정축)
삼사 우복야 권화 등을 강원도에 보내어 왜구를 방비케 하다
삼사 우복야(三司右僕射) 권화(權和)와 상의중추원부사(商議中樞院副使) 장사정(張思靖)과 한성 윤(漢城尹) 조익수(曺益修)를 강원도로 보내어 왜구를 방비하게 하였다.
한성 윤을 판한성부사로 간주한다면 한성부 윤 정신의(鄭臣義)도 판한성부사로 기록하여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한성 윤 하윤(河崙)도 있다.
--------------------------------------------------------------------------------------
정종 1권, 1년(1399 기묘 / 명 건문(建文) 1년) 5월 1일(경오)
임금이 백관을 거느리고 태상전에 조회하고 연향을 베풀다.
......전 판한성부사 이거이(李居易)가 기록되어 있다.
--------------------------------------------------------------------------------------
제4대 조박(趙璞)
시사(市史)에는 조박(趙璞)이 태종2년(1402) 10월15일 판한성부사로 되어있으나 태종1년(1401) 8월10일이 옳다.
※. 태종 2권, 1년(1401 신사 / 명 건문(建文) 3년) 8월 10일(병인)
조박(趙璞)을 판한성부사로 삼다
제5대 정탁(鄭擢)
제6대 최유경(崔有慶)
제7대 강서(姜筮)
제8대 최유경(崔有慶)
시사(市史)에는 8월26일로 되어 있으나 8월6일이 옳다.
태종 8권, 4년(1404 갑신 / 명 영락(永樂) 2년) 8월 6일(을해) 2번째기사
최유경·이지·김영렬·이귀령·민무질·권홍·함부림 등에게 관직을 제수하다
제9대 이옥(李沃)
제10대 이행(李行)
제11대 유양(柳亮)
제12대 이귀령(李貴齡)
시사(市史)에는 누락이 되어있다.
태종 12권, 6년(1406 병술 / 명 영락(永樂) 4년) 윤7월 25일(임오) 2번째기사
이저를 탄핵한 대사헌 한상경 등을 순금사에 내려 조사하다
사헌부 대사헌 한상경(韓尙敬), 집의(執義) 이양(李楊), 장령(掌令) 한옹(韓雍)을 순금사(巡禁司)에 내리고 판한성부사(判漢城府事) 이귀령(李貴齡)을 위관(委官)으로 삼아 순금사와 함께 국문(鞫問)하게 하였다. 임금이 이귀령을 편전(便殿)에서 인견하고 친히 명하여 말하였다.
제13대 안경공(安景恭)
제14대 이원(李原)
핀한성부사(한성판윤:현 서울시장)/1대 - 20대까지
관직명 |
성명 |
就任年月日 |
離任年月日 |
관련기사 |
비 고 |
판한성부사 |
성석린 (成石璘) |
태조 4년(1395) 6월13일 |
|
|
제1대 |
판한성부사 |
정희계 (鄭熙啓) |
|
태조5년(1396) 7월12일 |
|
제2대 |
판한성부사 |
조익수 (曺益修) |
|
|
|
판한성부사 아니다 |
판한성부사 |
이거이 (李居易) |
|
|
정종 1년(1399) 5월 1일 |
제3대 |
판한성부사 |
조 박 (趙 璞) |
태종 1년(1401) 8월10일 |
|
|
제4대 |
판한성부사 |
정 탁 (鄭 擢) |
태종 3년(1403) 7월16일 |
|
|
제5대 |
판한성부사 |
최유경 (崔有慶) |
태종 3년(1403) 8월20일 |
태종3년(1403) 윤11월27일 |
|
제6대 |
판한성부사 |
강 서 (姜 筮) |
태종 3년(1403) 윤11월27일 |
|
|
제7대 |
판한성부사 |
최유경 (崔有慶) |
태종 4년(1404) 8월 6일 |
|
|
제8대 |
판한성부사 |
이 옥 (李 沃) |
태종 5년(1405) 7월 3일 |
|
|
제9대 |
판한성부사 |
이 행 (李 行) |
태종 5년(1405) 9월22일 |
|
|
제10대 |
판한성부사 |
유 량 (柳 亮) |
태종 5년(1405) 12월 6일 |
|
|
제11대 |
판한성부사 |
이귀령 (李龜齡) |
|
|
태종 6년(1406) 윤7월25일 |
시사누락 제12대 |
판한성부사 |
안경공 (安景恭) |
태종 6년(1406) 8월11일 |
|
|
제13대 |
판한성부사 |
이 원 (李 原) |
태종 6년(1406) 12월 8일 |
태종7년(1407) 1월 30일 파직 |
|
제14대 |
판한성부사 |
설미수 (??眉壽) |
|
|
태종 7년(1407) 4월19일 |
제15대 |
판한성부사 |
정 요 (鄭 曜) |
태종 7년(1407) 8월 3일 |
|
|
제16대 |
판한성부사 |
연사종 (延嗣宗) |
태종 7년(1407) 10월 3일 |
|
|
제17대 |
판한성부사 |
안 원 (安 瑗) |
태종 7년(1407) 12월 8일 |
|
|
제18대 |
판한성부사 |
정 구 (鄭 矩) |
태종 8년(1408) 2월11일 |
태종 8년(1408) 3월14일 |
|
제19대 |
판한성부사 |
김한로 (金漢老) |
태종 8년(1408) 5월27일 |
|
|
제20대 |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은 조선 시대 한성부를 다스리던 정2품의 관직으로서, 품계는 자헌대부 이상의 품계에 해당되었다. 행정과 사법 업무를 겸하였다. 육조의 판서, 좌참찬, 우참찬과 함께 9경으로도 부른다. 오늘날의 서울특별시장에 해당한다.
대수 | 명칭 | 이름 | 임기 |
---|---|---|---|
제1대 | 판한성부사 | 성석린(成石璘) | 1395년 음력 6월 13일 ~ ? |
제2대 | 판한성부사 | 정희계(鄭熙啓) | ? ~ ? |
제3대 | 판한성부사 | 조익수(曺益修) | ? ~ ? |
제4대 | 판한성부사 | 이거이(李居易) | ? ~ ? |
대수 | 명칭 | 이름 | 임기 |
---|---|---|---|
제5대 | 판한성부사 | 조박(趙璞) | 1401년 음력 8월 10일 ~ ? |
제6대 | 판한성부사 | 정탁(鄭擢) | 1402년 음력 7월 16일 ~ ? |
제7대 | 판한성부사 | 최유경(崔有慶) | 1403년 음력 8월 20일 ~ ? |
제8대 | 판한성부사 | 강서(姜筮) | 1403년 음력 윤11월 27일 ~ ? |
제9대 | 판한성부사 | 최유경(崔有慶) | 1404년 음력 8월 6일 ~ ? |
제10대 | 판한성부사 | 이옥(李沃) | 1405년 음력 7월 3일 ~ ? |
제11대 | 판한성부사 | 이행(李行) | 1405년 음력 9월 22일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