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비수관(慈悲手觀)이란 무엇인가
3) 수행주체는 의식이다
수행은 지속적으로 해야 결과를 가져옵니다.
관찰대상을 꿰뚫어보고 진실을 분별해 내어야 합니다.
수행(사마타와 위빠사나관)의 동력은
보리심(菩提心)을 발(發)함으로써 시작됩니다.
보리심의 내용은 모든 생명을 이롭게 하고자 하는 열망과
위없는 깨달음을 이루고자하는 염원입니다.
즉, 생명을 이롭게 하고자 하는 열망은
바른 깨달음의 원을 버리지 않겠다는 것을 의지처로 삼고
또 머무를 곳으로 목표를 삼아서
사마타와 위빠사나를 닦아야 합니다.
따라서 수행단계가 진전이 있을 때마다
보리심을 일으키는 마음도 심도가 깊어집니다.
보리심을 발하는 마음이 견고하지도 못하고 지속적이지도 않는다면
수행을 끝까지 할 수 없습니다.
수행은 지속적으로 해야 결과를 가져옵니다.
관찰대상을 꿰뚫어보고 진실을 분별해 내어야 합니다.
수행의 동력인 보리심은
중생을 이롭게 하고자하는 열망과
위없는 깨달음을 이루고자하는 염원에서 비롯됩니다.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의 다섯 감각은 순간순간 바뀌므로
이 다섯 감각을 수행의 주체로 삼을 경우에는
대상을 아는 앎도 순간순간 바뀌게 됩니다.
그러므로 꿰뚫어 아는 힘이 생길 수도 없고
그 앎이 상속하는 힘도 없습니다.
그래서 보리심을 발하여 지속시킬 수 없습니다.
당연히 수행결과를 낼 수 있는 상속성의 인과(因果)도 없습니다.
한편 말라식(자아의식)과 아뢰야식(일체종자식)은 심층의 식이므로
현실에서 삶과 죽음의 괴로움에 대한 강한 자극을 일으키지 못합니다.
즉, 원인을 심어서 결과를 낼 수 없는 무기(無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보리심을 일으키지 못합니다.
그러나 의식은 대상인식이 분명하므로
생사의 괴로움에 강하게 반응하여
보리심을 일으키는 힘이 분명하고
계속 생각하는 지속적인 힘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의식의 관찰대상을 아는 이 앎은
모양과 색깔이 없는 대상들까지도 알 수 있습니다.
즉 눈앞에서 인식할 수 없는 대상인
무(無), 또는 공성(空性) 등을 알 수 있는 것이 의식의 특징입니다.
그러나 과거를 상기하고 미래를 추상함도 끊임없이 할 수 있으므로
인과(因果)의 성격도 가지고 있습니다.
또 의식의 작용 중에 사(思)라는 심리[思心所]가 있습니다.
선악의 44개 심리가 이 심리에 속할 정도로 왕성하게 작용합니다.1)
선이든 악이든 생각을 하게 되면
이 생각은 반드시 행위를 일으킵니다.
그래서 생사의 괴로움을 강하게 인식하고
마음에 새기고 지속시킬 뿐만 아니라
생사에 벗어나려는 보리심을 일으키고 실제로 행동에 옮깁니다.
그러므로 진여가 무명에 영향을 주어
삶과 죽음의 괴로움에서 벗어나게 하는 구체적인 작용은
의식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그리하여 의식은 주객이 상대하여 일어나는 삶과 죽음의 괴로움을 벗어나
주객이 없는 열반을 구하려는 마음을 강하게 일으키고 지속시킵니다.
그래서 수행의 길도 분명하게 알아서 나아갑니다.2)
그러므로 의식은 상속하기 때문에 지속성이 있습니다.
그래서 깨달음이라는 수행의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
┨註釋┠─────────────────────────────────────────
1)
대지법(大地法)인 수(受)와 상(想)을 제외한 44가지 심소가 행온에 속합니다.
즉, ① 사(思)·촉(觸)·욕(欲)·혜(慧)·염(念)·작의(作意)·승해(勝解)·삼마지(三摩地)
(8大地法 : 善·不善·無記 등 일체의 마음과 두루 함께 일어나는 의식작용),
② 믿음·방일하지 않음·경안(輕安)·평정· 자신에 대해 부끄럽게 여김·
타인에 대하여 수치스럽게 여김·탐욕 없음·성냄 없음·해(害)를 끼치지 않음·
정진하는 의지작용(10大善地法 : 선한 마음과 두루 함께 일어나는 10가지 의식작용),
③ 어리석음·방일·게으름·불신(不信)·혼침(昏沈)·들뜨는 마음
(6大煩惱地法 : 물든 마음과 두루 함께 일어나는 6가지 의식작용),
④ 스스로에게 부끄럽게 여기지 않음·타인에게 부끄럽게 여기지 않는 마음
(2大不善地法 : 착하지 않은 마음과 두루 함께 일어나는 2가지 의식작용),
⑤ 분노·은폐·인색·질투·나쁜 일에 집착하여 다른 이의 충고를 받아들이지 않음·
해를 줌·원한·아첨·타인을 속임·교만(10小煩惱地法 : 물든 일부의 마음과 두루 함께 일어나는 10가지 의식작용),
⑥ 거친 인식작용[尋]·미세한 인식작용[伺]·수면[잠]·나쁜 것을 지음·탐욕·성냄·교만·의심
(8不定地法 : 선·불선·무기의 어떠한 마음과도 함께 일어날 수 있는 8가지 의식작용). ☞ 본문으로...
2)
『大乘起信論』「진여훈습」편을 참조. ☞ 본문으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