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 자료
- 공식명칭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한자명칭 : 報恩 法住寺 雙獅子 石燈)
- 지정일 1962.12.20
- 테마 유적건조물, 종교신앙, 불교, 석등
- 시대 통일신라시대
- 주소 충북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사내리)
문화재청 설명
법주사 대웅전과 팔상전 사이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석등으로, 사자를 조각한 유물 가운데 가장 오래되었으며 매우 특수한 형태를 하고 있다. 넓다란 8각의 바닥돌 위에 올려진 사자 조각은 두 마리가 서로 가슴을 맞대고 뒷발로 아래돌을 디디고 서서 앞발과 주둥이로는 윗돌을 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아랫돌과 윗돌에는 각각 연꽃을 새겨 두었는데, 윗돌에 두 줄로 돌려진 연꽃무늬는 옛스러운 멋을 풍긴다. 사자는 현재 남아있는 사자조각들 가운데 가장 뛰어나 머리의 갈기, 다리와 몸의 근육까지도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다. 불을 밝혀두는 화사석(火舍石)은 8각으로 높직하며, 네 곳에 창을 내어 불빛이 새어나오도록 하였다. 지붕돌은 처마밑이 수평을 이루다가 여덟 귀퉁이에서 위로 살짝 들려 있는데, 꾸밈을 두지 않아서인지 소박하고 안정되어 보인다. 석등을 세운 시기는 성덕왕 19년(720)으로 추측되며, 조금 큰 듯한 지붕돌이 넓적한 바닥돌과 알맞은 비례를 이루어 장중한 품격이 넘친다. 신라의 석등이 8각 기둥을 주로 사용하던 것에 비해 두 마리의 사자가 이를 대신하고 있어 당시로서는 상당히 획기적인 시도였을 것으로 보이며, 통일신라는 물론 후대에 가서도 이를 모방하는 작품이 나타났다. 같은 절 안에 있는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보물 제15호)과 함께 신라 석등을 대표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보호각 속에 모셔진 국보 제5호 법주사 쌍사자 석등>
石燈(석등)
石燈(석등)은 불전 앞에서 불을 밝히기 위함이다. 불교에서 등불을 밝히는 공양을 으뜸으로 여겼기때문에 등불을 안치하는 공양구로 만든 듯하며 석등의 기본형태는 하대석과 중대석(간주석)에 상대석을 기대로 삼고, 그 위에 등불을 직접 넣는 화사석과 옥개석을 얹고 보주로 장식한다. 가장 중요한 화사석은 평면이 8각이고, 네 면에 화창을 낸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대부분의 석등은 팔각을 기본 모양으로 하여 받침부터 화사석, 지붕돌까지 일관된 모양으로 만들고 있으나 국보 제5호 법주사 쌍사자 석등은 특이하게도 사자 두마리가 일어선(立) 자세로 화사석을 받치는 중대석으로 조각되어 있어 눈길을 끈다.
석등을 받치는 부분은 하대석과 중대석, 상대석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중 중대석을 2마리의 사자를 세워 조각한 것이다.
뒷발을 딛고 일어서서 가슴을 맞댄 두마리의 사자는 앞발과 머리를 젖힌 상태의 주둥이 부분이 상대석을 받치고 있는 모습이다.
그런데 한마리는 입을 벌리고 한마리는 입을 다물고 있다. 금강역사 둘이 하나는 입을 벌리고 하나는 입을 다물어 아(阿), 흠(欠)이라고 하는데 그와는 무슨 연관이 있는지 모르겠다. 흥미로운 일이다.
<팔각지대석이 바닥에 깔리고 그위에 연꽃무늬 하대석과 쌍사자 기둥, 다시 연꽃무늬 상대석까지가 하나의 돌로 되어있다.
왼쪽 사자가 입을 벌리고 있고 오른쪽 사자는 입을 다물고 있으며 서로 가슴부분이 맞닿아 있다. 버티고 선 뒷다리 근육이 힘차다.>
<그위에 불을 켜는 화사석이 따로 하나의 돌이며, 위에 얹혀진 지붕돌이 또 하나의 다른 돌로 모두 세부분으로 이루어졌다.
화사석에는 네곳에 창을 만들었는데 창틀 군데군데 못자국을 보면 창문을 만들었던듯하다. 지붕위에는 보주가 얹혀있다.>
獅子(사자)와 불교
상식적으로 불교의 발생지인 인도나 크게 번성한 중국, 한국등에는 사자가 없다. 오히려 호랑이가 번식하고 있는 지역이다.
그런데 왜 석등이나 석탑에 사자를 새겨 넣었을까?
사실 호랑이는 도교, 사자는 불교와 인연이 깊다.
큰스님들이 법문을 說(설)하며 토해내는 말씀을 獅子吼(사자후)라고 하거나 부처님을 모시는 자리를 獅子座(사자좌)라고 하는 것을 보아도 그렇고 곳곳에 세워진 석탑이나 석등에서 사자 조각을 볼 수 있다거나 문수보살이 사자를 타고 있는 것이 그렇다.
또한 인체의 氣穴(기혈)을 인도 요가에서는 Chakra(차크라)라고 하며 모두 7개가 있다고 하는데 바로 척추끝 물라다라, 배꼽밑 스바디스타나, 배꼽근처 마니프라, 심장근처 아나하타, 목젖부근 비슈다, 양미간사이 아즈나, 정수리 사하스라라 이다.
이중 양미간 사이의 아즈나 차크라는 개발되면 天眼通(천안통)이 열린다고 하며 티벳이나 네팔 불교에서 말하는 제3의 눈(Third Eye)이 아즈나 차크라라고 한다. 이를 속성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외과적 수술로 송곳으로 뚫고 침을 박아 넣기도 한다는데 이 차크라를 뚫을때 내면에서 응축된 기가 천안을 열리게 하는 것이며, 천안이 열릴 때 내면에서 나오는 소리가 사자가 울부짖는 소리와 비슷하다는 것인데 이 사자 소리를 들어야 Ego(아상)이 완전히 소멸한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라는 說이 있다.
불상의 양미간 사이에 박힌 보석이 그것이다.
또다른 說중에는 사실은 사자가 아니라 용이라는 것이다.
즉, 위에서 들은대로 불교가 발생하고 전파되고 융성한 나라에는 사자가 없어서 사자를 모델로 조각 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동양 전체를 지배하는 龍의 사상에 그 기원이 있다는 것이며, 용에게는 아홉아들이 있다는 龍生九子說(용생구자설)에 따르면 아홉아들은 각각 그 이름을 비희(贔屓), 이문(螭吻), 포뢰(浦牢), 폐안(狴犴), 도철(饕餮), 공하(蚣蝦), 애자(睚眦), 산예(狻猊), 초도(椒圖)라고 하는데 그중 여덟째 산예(狻猊)는 모습이 사자를 닮았으며 이름부터가 ‘사자 산(狻)’에 ‘사자 예(猊)’이다. 문수보살이 타고 다니는 사자가 바로 이 산예라고 하며, 앉는 것을 좋아하고 등에 태우는 것도 좋아하여 절의 석탑이나 불화를 보면 석탑이나 부처, 보살을 태우고 있는 산예를 볼 수 있다. 특히 불상의 대좌에 새겨지는 경우에는 금예(金猊)라고 부른다.
향로등 문화재중에서 사자모습을 한 경우가 오히려 이 여덟째 산예인 경우가 많은데 그 비밀은 입에 여의주를 물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쌍사자 석탑이나 사사자 석탑등에 조각된 모습을 사자가 아니라고 주장할 생각은 없다.
다만 관련된 이야기중에 재미있는것들이 있어 잠깐 소개해 보았다.
사천왕석등
위 문화재청 설명중에서 같은 법주사 경내에 있어 신라시대의 석탑을 대표한다는 사천왕석탑은 보물 제15호이다.
석등의 기본형으로 하대석과 기둥돌, 상대석, 화사석, 지붕돌이 모두 팔각을 이룬 팔각석등의 대표작이다.
화사석의 여덟면은 네곳에 화창이 뚫려있고, 네곳에는 사천왕이 새겨져 있어 사천왕 석등이라 부른다.
지붕위 보주는 잃어버려 새로 만든것이며, 지금은 대웅보전 앞에 있으나 원래는 용화보전 앞에 있어 석등 앞에는 향로를 머리에 인 희견보살상이, 뒤에는 석연지가 있어 최상의 공양인 향과 등, 차를 용화보전에 계신 미륵불에게 올린다는 표현이었다고 한다.
<대웅보전 앞의 사천왕 석등, 보물 제15호.>
< 계 속 >
첫댓글 다양한 내용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아홉마리 용도 한번 더짚어보는 계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