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보리(菩提) : 覺∙智∙知∙道라고 번역한다. 불∙연각∙성문이 각각 그 果에 따라 얻는 깨달음의 지혜를 말한다. 이 세 가지 보리 가운데 불타의 보리가 더할 나위 없는 최상 최고의 궁극적인 것이므로 이것을 阿耨多羅三藐三菩提라고 부르며, 번역하여 無上正等正覺∙無上菩提라고 한다. 지도론 53에는 불타의 보리에 대해서 (1)보살이 깨달음을 구하기 위해 발심하는 것을 그 마음은 보리의 果에 이르는 因이라는 뜻으로 發心菩提, (2)번뇌를 누르고 모든 바라밀을 행하는 것을 伏心菩提, (3)제법실상을 깨달은 반야바라밀의 相을 明心菩提, (4)반야바라밀에 의한 方便力을 얻었지만 반야바라밀에 잡히지 않고 번뇌를 끊어서 一切智(薩婆若)에 이르는 것을 出到菩提, (5)佛果의 覺智를 無上菩提라고 한다. 이를 합해 5종 보리라 한다. 또 법화경론 하에서는 불의 法∙報∙應의 삼신에 대해 法佛菩提(法身菩提)∙報佛菩提(報身菩提)∙應佛菩提(應身菩提)의 3종 보리를 주장하고 있다. 대승의장 18에서는 無上菩提에는 方便菩提와 性淨菩提의 두 가지 종류가 있다고 했다. 천태종에서는 십종보리의 三法 가운데 하나로 三菩提를 들어 (1)實相의 理를 깨달은 것을 眞性菩提(實相菩提∙無上菩提). (2)그 理에 계합한 지혜를 깨닫는 것을 實相菩提(淸淨菩提). (3)자유자재로 중생을 교화하는 기능을 깨닫는 것을 方便菩提(究竟菩提)라 하고, 이것은 법신∙반야∙해탈의 三德과 별개가 아니며, 三菩提가 곧 三軌라 했다. 정토론에서는 (1)自我에 집착하여 (2)온갖 중생을 안온하게 해 주려고 하지 않으며, (3)자기에게만 봉사한다고 하는, 보리에 위배되는 三種菩提門相違法을 멀리 여의는 것을 三遠離心∙三種離菩提障, 또 (1)자기만을 위한 樂을 구하지 않으며(無染淸淨心) (2)중생의 苦를 없애 안온하게 해 주고(安淸淨心), (3)중생을 깨달음으로 나아가도록 해서 영원한 樂을 준다(樂淸淨心)고 하는, 菩提를 따르는 三種隨順菩提門法의 心을 三淸淨心이라 한다고 했다. 이것은 지혜∙자비∙방편의 三門에 의해 여의기도 하고 일어나기도 한다고 한다. 無上菩提를 구하는 중생을 보리살타, 약해서 보살, 無上菩提를 구하는 마음을 無上菩提心∙無上道意 혹은 菩提心이라고 한다. 후세에는 祖上의 보리를 증진하는, 곧 성불되기를 빌고 명복을 비는 의식을 행하는 것을 增上菩提 또는 菩提를 애도(哀悼)한다고 하기도 했다. 菩提를 애도한다는 뜻에서 신도가 소속하는 절을 菩提寺 ∙菩提所라고 하는 수도 있다.
첫댓글 감사합니다.나무아미타불나무마이타불나무아미타불_()_
감사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 _()_ _()_ _()_
....()()()
고맙습니다 지심귀명 아미타불 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