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효율적인 진로 지도를 위해서는 학생 이해 활동이 선행되어야 한다. 학생을 이해한다는 것은 학생 개개인의 특성인 적성, 인성, 흥미, 가치관, 신체적인 조건 등을 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특성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관찰이나 면접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도 있고, 각종 심리 검사를 활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방법 중 다음에서는 표준화된 심리 검사를 활용하여 학생을 이해하는 벙법에 초점을 두고, 심리 검사의 의미, 선정, 실시, 해석 및 활용에 대해 진술하고자 한다. |
Ⅰ. 심리 검사의 의미
개인의 고유한 행동 특성을 알아내고, 인간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고자 할 때, 인간의 내적·심리적 과정을 신뢰할 수 있고 타당하게 잴 수 있는 방법을 찾게 되었다. 이러한 기대에 가장 가까운 영역이 심리 측정이었고, 이를 측정하기 위해 심리 검사(psychological test)라는 측정 도구를 만들어 내게 되었다.
심리 검사(Anastasi, 1985)란 개인차를 알아내기 위하여 표준화된 조건에서 개인의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객관적이고 조직화된 절차 혹은 도구로 개인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개인의 지능, 학력, 적성, 성격, 흥미, 가치관 등과 같은 심리적 속성을 체계적으로 수량화하는 도구를 말한다.
Ⅱ. 심리 검사의 선정
개개인의 특성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는 검사를 잘 선정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어떤 검사가 좋은 검사인지 알아야 하며, 또 어떤 종류의 심리 검사가 있는지 알아야 한다. 그리하여 다음에서는 좋은 심리 검사의 선정 요건, 심리 검사의 종류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1. 심리 검사의 선정
심리 검사는 인간의 심리적 속성을 측정하는 것이므로, 무게나 길이, 온도와 같은 물리적인 속성을 측정하는 것에 비해 상황에 적절한 검사를 선정하고 실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심리 검사를 선택할 때에는 다음을 잘 고려하여야 한다(한국심리학회, 2002).
가. 사용 목적
(1) 검사의 선택은 검사 결과의 사용 목적에 적합해야 한다. 사용 목적에 적합한 검사인가의 판단은 검사의 타당도를 검토함으로써 가능하다. 타당도에 대해서는 아래의 '2. 타당도와 신뢰도'를 참고하기 바란다.
(2) 검사 목적에 따라 개인 검사와 집단 검사가 차별적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학교에서는 전체 학생을 대상으로 개인 검사를 실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개 집단 검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특수 학생을 선별하기 위한 목적이나 특별한 문제가 있는 학생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인 검사를 사용해야 보다 정확하고 신뢰로운 결과를 얻을 수 있다.
(3) 사용 목적에 따라 검사 유형이 달라져야 한다.
나. 검사의 양호도
(1) 검사의 타당도를 확인해야 한다. 지능이나 적성 검사의 경우는 구인 타당도, 공인 타당도, 예언 타당도를 확인해야 하며, 인성이나 태도 검사에서는 구인 타당도와 공인 타당도의 확인이 필요하다.
(2) 검사의 신뢰도가 충분히 높아야 한다.
(3) 표준화 검사의 경우 표준화 절차를 적법하게 밟아서 검사를 제작했는지 확인하고, 규준 설정시 사용된 표본의 크기와 대표성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4) 표준화 검사의 경우 규준이 얼마나 최근에 제작되었는가도 확인해야 한다.
2. 타당도와 신뢰도
가. 타당도(validity)
(1) 의미
타당도란 주어진 심리 검사가 어떤 목적으로 얼마나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검사인지를 말해 주는 정도라고 할 수 있다(AERA, APA, & NCME, 1985). 즉 어떤 심리 검사가 검사의 개발 목적과 부합되게 기능 하는 정도를 타당도라 하고 타당도는 검사의 목적과 관련된 근거에 의해 평가된다.
심리검 사를 단순히 "타당도가 있다" 또는 "타당도가 없다"라고 평가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며, 측정하고자 하는 특정한 목적에 비추어 예컨대 "둁둁 타당도가 높다 또는 "둁둁타당도가 낮다"와 같이 평가해야 한다.
가장 이상적인 타당화 과정은 다른 모든 조건이 같은 한 가능한 한 세 가지 범주의 타당도에 대한 증거를 모두 확보하는 것이다.
(2) 타당도의 종류
(가) 내용 타당도(Content related validity) : 내용 타당도는 한 심리 검사를 구성하고 있는 검사 문항들이 그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질 수 있는 문항 모집단(item universe)을 대표할 수 있도록 문항들이 표집되어 있는 정도를 말한다.
(나) 준거 관련 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 심리 검사 개발의 주요 목적 중의 하나는 심리 검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정보를 이용하여 한 개인의 다른 어떤 특정한 행동을 예언하는 정도를 말한다.
① 예언 타당도(predictive validity) : 얻어진 점수로부터 피험자의 현재 행동이 아닌 장차 어느 시점에서 관찰될 수 있는 행동을 예측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심리 검사를 사용하여 얻어진 점수로부터 장차 관찰될 수 있는 어떤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② 공인 타당도(concurrent validity) : 심리 검사 득점과 외적 준거 측정치간의 상관 계수를 공인 타당도 계수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인 타당도는 예언 타당도와 유사하다. 그러나 예언 타당도는 심리 검사 득점을 통하여 장차 어떤 행동의 수준을 예언하려는 반면에 공인 타당도는 예언에는 관심이 없고 어떤 심리 검사 점수가 '현재' 시점에서 다른 검사 점수와 어느 정도 일치되느냐를 따진다.
(다) 구인 타당도(construct validity) : 구인(構因 : construct)이란 지능, 동기, 태도, 학력 등과 같이 직접 관찰하거나 측정할 수 없는 특성 또는 현상을 이론적으로 개념화한 일종의 구성 개념이다. 그러므로 구인 타당도란 특정 심리 검사가 조작적으로 정의된 구인을 실제로 측정하고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나. 신뢰도(reliability)
(1) 의미
신뢰도(reliability)란 한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내용을 어느 정도 일관성(consistency) 있게 측정하고 있는지를 말해 주는 검사의 정확성을 뜻한다.
(2) 종류
(가)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 : 동일한 시험을 동일한 대상에게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두 번 실시했을 때 두 번 실시한 시험 점수가 일치되는 정도를 의미하며 동일한 시험 또는 검사를 두 번 실시한 점수가 일치되는 정도를 뜻하기 때문에 흔히 안정성 계수(coefficient of stability)라고 부르기도 한다.
(나) 동형 검사 신뢰도(equivalent form reliability) : 검사-재검사의 신뢰도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그 검사의 동형을 이용하는 것이다. 즉, 동일한 사람에게 첫 번째 시행한 종류의 검사와 동등한 유형의 검사로 두 번째 검사를 시행해서 그 두 검사의 점수들 간의 상관 정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다) 반분 신뢰도(split-half reliability) : 반분신뢰도는 한 검사 또는 시험을 한 개의 집단에 실시한 다음 그 검사의 문항을 동형이 되도록 두 개의 검사로 나눈 다음 두 부분에서 얻은 점수들이 어느 정도 일치하는가를 상관 계수를 통해 추정하는 방법이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에는 전·후절반법, 기·우절반법, 그리고 짝진 임의 배치법이 있다.
(라) 문항 내적 합치도(inter-item consistency) : 문항 내적 합치도는 한 검사 내(within test)에 있는 문항 하나 하나를 각각 독립된 별개의 검사로 간주하여 문항간 일관성 또는 합치성을 신뢰도로 규정한 것이다. 한 검사에 포함된 문항간 반응의 일관성은 문항의 동질성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문항내적 합치도를 흔히 동질성 계수(coefficient of homogeneity)라고 하기도 한다.
3. 심리 검사의 분류
가. 검사 내용에 따른 분류
⑴ 성능 검사 : 최대 수행 측정 검사라고 하며 능력을 재는 검사이다. 지능 검사, 적성 검사, 사고 능력 검사, 인지 능력 검사, 심리 언어 검사, 장애 진단 검사 등이 포함된다.
⑵ 성향 검사 : 일상 생활에서 나타나는 개개인의 전형적이거나 습관적인 행동을 사정하는 검사를 의미하는 전형적인 수행 측정 검사이다. 성격 검사, 흥미 검사, 적응 검사, 동기 검사, 인지 양식 검사, 가족 관계 검사, 작업 환경 검사, 도덕성 검사, 태도 검사, 학습 기술 검사 등이 있다.
나. 피검자 수에 따른 분류
⑴ 개인 검사 : 한 사람의 검사 실시자가 한번에 한 명의 피검사자를 상대로 실시할 수 있는 검사이다. 비네-시몬 지능 검사와 로르샤하 검사, 주제통각 검사 등이 이에 속한다.
⑵ 집단 검사 : 지필 검사 형태로 제작된 지능 검사나 설문지 형식의 성격 검사는 검사 실시자가 한꺼번에 두 명 이상의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검사이다.
다. 측정 단위에 따른 분류
⑴ 속도 검사 : 주어진 시간 안에 어느 정도의 바른 답을 많이 반응했는가를 재는 검사이다. 지능 검사 등이 포함되며 속도 제한 검사라고 한다.
⑵ 역량 검사 : 검사 시간 제한은 전혀 없으며, 어려운 문제를 어느 정도 풀 수 있는가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작업 제한 검사라고도 한다.
라. 표준화 여부에 따른 분류
⑴ 표준화 검사 : 표준화 검사란 언제, 어디서, 누가 실시하더라도 검사의 내용, 실시 방법이 동일하여 채점 결과 같은 점수가 나오며, 해석이 동일하도록 표준화된 절차를 거쳐 제작한 검사이다. 그러므로 검사를 실시할 때는 실시 요강에 따라 모든 과정을 엄격하게 통제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표준화 검사는 검사 제작 전문가에 의해서 제작되고 시판되며 검사의 규준(Norm), 신뢰도(Reliability), 타당도(Validity)와 같은 통계적인 자료가 제시되어 있다. 형식적 검사라고도 한다.
⑵ 비표준화 검사 : 엄격하고 체계적인 표준화 절차를 거쳐 제작되지 않고 연구자들이 비공식적으로 제작한 척도나 설문지 등을 지칭한다. 흔히 비형식적 검사라 한다. 로르샤하 잉크 반점 검사, 주제통각 검사 등이 있다.
마. 자료 수집의 방법에 따른 분류
⑴ 관찰 검사 : 일상 생활 장면에서 피검사자의 행동을 검사자가 직접 관찰하여 수집한 데이터를 근거로 피검사자의 심리적 특성을 측정, 진단하는 검사이다.
⑵ 면접 검사 : 검사 실시자가 직접 관찰하면서 문답을 통해 측정 또는 진단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 진단, 평가하는 검사이다.
⑶ 지필 검사 : 집단 지능 검사나 적성 검사와 같이 문제지를 주고 연필 또는 볼펜으로 답하게 하는 검사이다.
⑷ 기구 검사 : 특수한 장치나 도구, 장치 또는 기계를 이용하여 동작의 민첩성, 협응성, 배근력 등을 재는 검사로 도구 검사라고도 한다.
⑸ 컴퓨터 이용 검사 : 컴퓨터를 사용하여 화면에 문항을 하나씩 차례로 눌러 답하게 하며 채점과 해석 그리고 검사 결과도 컴퓨터로 통보하는 검사이다.
바. 측정 수단에 따른 분류
⑴ 언어성 검사 : 인쇄된 문자나 말로 자극 또는 문항을 제시하고 글이나 말로 대답하게 하는 검사이다.
⑵ 비언어성 검사 : 검사 문항을 추상적 도형 혹은 그림으로 제시하거나 토막 쌓기, 그림 맞추기 등과 같은 자료들을 주고 답도 문자나 말을 쓰지 않고 간단한 기호 또는 동작으로 반응하게 하는 검사이다.
4. 심리 검사의 예
학교에서 사용되는 검사는 주로 집단용 심리 검사이므로 여기서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용 심리 검사 중 일부를 예로 제시였다.
검사종류 |
검사명 |
연도 |
대상 |
시간 |
저자 및 출판사 |
적성검사 |
진로적성검사 |
1998 |
중·고 |
60분 |
임인재(중앙교육진흥연구소) |
적성검사 |
〃 |
중 고 |
160분 200분 |
한국교육개발원 (중앙교육진흥연구소) |
|
적성검사간편형 |
〃 |
〃 |
100분 |
〃 |
|
진로적성진단검사(20A) |
2000 |
중·고 |
45분 |
김재은(한국심리적성검사연구소) |
|
Strong 진로탐색검사 |
〃 |
중·고 |
45분 |
김정택, 심혜숙, 김명준 (한국심리검사연구소) |
|
KAT-M적성검사 |
2000 |
중 고 |
84분 94분 |
한국행동과학연구소 (한국가이던스) |
인성 검사 (성격 검사) |
인성검사 |
1998 |
중·고 |
55분 |
변창진(중앙교육진흥연구소) |
다차원인성검사 |
2000 |
중·고 |
50분 |
박병관(한국심리검사연구소) |
|
KPI인성검사 |
2000 |
중·고 |
40-50분 |
한국행동과학연구소 (한국가이던스) |
|
다요인인성검사 |
2000 |
중이상 |
40분 |
염태호·김정규(한국가이던스) |
|
특수인성검사A |
1996 |
초·중·고 |
40-50분 |
한국심리자문연구소 (한국가이던스) |
|
지능 검사 |
지능검사 |
1998 |
중·고 1년 |
60분 |
박도순(중앙교육진흥연구소) |
학습능력검사 21 A형 21 B형 |
2000 |
중·고 |
50분 |
박병관(한국심리검사연구소) |
|
KIT-M지능검사 |
2000 |
중·고 |
45분 |
한국행동과학연구소 (한국가이던스)2 |
|
기 타 |
직업흥미검사 |
〃 |
중·고 |
40분 |
임인재(중앙교육진흥연구소) |
직업가치관검사 |
〃 |
〃 |
〃 |
임인재(중앙교육진흥연구소) |
|
진로의식 발달검사 |
〃 |
〃 |
〃 |
임인재(중앙교육진흥연구소) |
|
학습기술검사 |
〃 |
〃 |
〃 |
변창진(중앙교육진흥연구소) |
|
학습능력검사 |
2000 |
고 |
50분 |
박병관(한국심리검사연구소) |
|
학습효율성검사 |
2000 |
전학년 |
50분 |
박병관(한국심리검사연구소) |
|
성신자기개념검사 |
1999 |
중이상 |
30분 |
한국행동과학연구소 (한국가이던스) |
|
KIB흥미검사 |
2000 |
중·고 |
40분 |
한국행동과학연구소 (한국가이던스) |
|
종합능력검사 |
2000 |
고 |
94분 |
한국행동과학연구소 (한국가이던스 |
|
자아개념진단검사 |
2000 |
중·고 |
45분 |
송인섭(한국심리적성검사연구소) |
|
진로성숙도검사 |
2000 |
중·고 |
50분 |
송인섭(한국심리적성검사연구소) |
5. 진로 관련 심리 검사를 제공하는 사이트명
각종 심리 검사를 인터넷상에서도 실시할 수 있다. 관련된 사이트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번호 |
관련 기관 |
인터넷 사이트명 |
내 용 |
1 |
노동부 |
work.go.kr |
직업 선호도 및 직업 흥미 검사 |
2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
carenet.krivet.re.kr |
직업흥미검사 |
3 |
서울시립문래청소년수련관 |
www.myway.or.kr |
직업 및 학과 선택을 위한 적성 탐색 게임 |
4 |
온라인 심리검사 |
psychtest.educyber. or.kr |
적성검사(무료) |
5 |
마이테스트 |
mytest.co.kr |
적성검사(무료) |
6 |
한국심리검사 |
testkorea.co.kr |
직업 흥미·직업 적성·잠재 능력·직업 성격 검사(유료) |
7 |
중앙교육진흥연구소 |
www.edutopia.com |
진로의식발달·직업흥미·직업가치관·학습기술 검사(유료) |
*자료 : 대구진로교육, 2000, 4, 63∼64.
Ⅲ. 심리 검사 실시
1. 실시자의 자격 요건
자격을 갖춘 검사자만이 부당한 검사 사용으로부터 피검자를 보호할 수 있다. 검사자는 선정된 검사에 관한 많은 지식을 갖추고 있어야 하고 규준, 신뢰도, 타당도 등에 관한 기술적 가치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학교의 경우 비록 심리학을 전공하지는 않았지만 실시되는 심리 검사는 방송 매체를 통해서 통제되기 때문에 실시자인 교사는 실시 요강을 잘 읽고, 그 요강을 잘 준수해야 한다.
2. 사전 준비
표준화된 심리 검사를 실시할 경우에는 반드시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실시하여야 한다. 대부분의 집단 심리 검사는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잡변인(시험 불안, 소음, 시간 등)을 통제하기 위하여 표준화된 절차를 명시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절차에 따라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규준(Norm)에 의해 해석해야만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가. 실시 요강 숙독
집단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 무엇보다 먼저 검사자는 실시 요강, 검사 도구, 답안지를 숙독하고 검사 절차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
나. 검사 실시일 공고
검사 일이 가까워지면 학생들에게 어떤 종류의 검사를 무슨 목적에서 어떻게 실시할 것인가를 알려서 학생들이 마음의 준비를 하도록 해야 한다.
다. 검사 실시자에 대한 준비 및 교육
학교의 경우 주로 교사들이 실시자가 된다. 따라서 미리 검사 실시 요령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을 하고, 검사 실시 요강을 숙독하여 절차를 익히도록 해야 한다.
라. 검사 장소 정비
안정된 분위기에서 마음놓고 편안히 검사를 받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하고, 너무 넓거나 좁지 않는 아늑한 곳이어야 한다. 채광과 통풍, 온도 등의 조건도 적당하여야 하며 소음이 차단된 곳이어야 한다. 탁자나 소파 등 너무 안락한 의자보다는 책상과 의자를 사용해야 한다.
마. 래포 형성과 검사 목적 설명
래포는 상호간에 신뢰하며 감정적으로 친밀감을 느끼는 인간 관계를 의미하며 흔히 심리적 융합, 감정적 유대, 작업 동맹 혹은 감정 동맹이라고도 하는데 심리 검사 실시에서도 검사자와 피검자 사이에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검사자는 피검자에게 무엇보다 편안한 마음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검사 과제에 계속 흥미를 가지고 집중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최선을 다해 진지하게 답하도록 세심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바. 검사지와 답안지 회수 및 보안 유지
검사의 내용은 재검사의 가능성이 있고 다음 피검사자들이 다시 사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특히 보안이 유지되어야 한다.
Ⅴ. 심리검사 해석
검사 점수의 해석은 검사 제작자의 목적을 분명히 알고 제작자가 제시하는 규준에 의거하여 해석을 하여야 한다.
1. 해석을 위해 알아두어야 할 개념
가. 원점수(raw score)
검사에 의해 직접 얻은 점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100점이 만점인 시험에서 75점을 받았다거나, 적성검사에서 16점 만점에 10점을 얻었다거나 할 때, 이 때 얻은 75점, 10점을 원점수라 한다.
나. 백분위 점수(percentile rank)
검사에 의해 얻어진 자료를 크기 순으로 늘어놓은 후 100등분한 값을 말한다. 백분위가 20이라는 것은 학생들의 점수를 낮은 점수에서 높은 점수까지 순서대로 배열했을 때 하위 20%에 위치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 표준 점수(standard score)
점수가 평균으로부터 떨어진 정도를 표준 편차의 단위로 재어 나타낸 점수로 대표적인 표준 점수로는 z점수, T점수 등이 있다.
⑴ Z점수(Z-score)
존재하는 모든 것의 속성이 정규 분포라는 가정 아래 원점수의 평균을 0으로 하고 표준편차를 1로 해서 개인이 얻은 점수가 평균으로부터 떨어진 거리(편차 : deviation)를 표준 편차로 나눈 값이다. Z점수는 대부분의 점수가 + 3 ∼ -3 사이에 분포되어 있고, -1∼+ 1점 사이에 전체 점수의 약 68%, 그리고 -2∼+2사이에 약 95%의 검사 점수가 분포되어 있다. Z점수는 모든 표준 점수의 기본이 된다.
⑵ T점수(T-score)
Z점수를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평균 50, 표준 편차 10인 단위로 변환한 점수를 말한다. T점수는 대부분의 점수가 최대 80점, 최소 20 사이에 분포되어 있고, 40 ∼ 60점 사이에 전체 점수의 약 68%가, 30 ∼ 70점 사이에 약 95%가 분포되어 있다.
⑶ IQ점수(IQ score)
평균 100, 표준 편차 15로 만든 표준 점수이다. 그러므로 IQ점수가 145이상일 확률은 0.14%이며, 130이상일 확률은 2.5%이고, 85점에서 115점 사이에 68%의 점수가 분포한다.
2. 해석의 예
요즈음의 심리 검사는 일반인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잘 안내되어 있다. 다음에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직업 흥미 검사를 예로 들어 해석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어느 중학교 남학생이 받은 직업 흥미 검사의 결과가 다음 <표 1>과 같다고 가정해 보자.
<표 1> 직업 흥미 검사 결과
각 직업 분야별 위쪽은 전체에서, 아래쪽은 남학생 중에서의 백분위 점수를 나타내고 있다. 즉 50%을 기준으로 하여 그 이상이면 적성이 높은 것이고, 이하이면 적성이 낮다고 해석하면 된다.
모든 검사를 해석할 경우 전체 총점도 중요하지만 각 검사의 하위 영역을 굿어하고 있는 하위 영역이 해석이 아주 중요하다. 이 학생의 경우 적성은 과학 분야 전문직(99%), 과학 분야 숙련직(99%), 공학 분야 전문직(96%), 공학 분야 숙련직(93%) 순으로 나타났다. 즉 이 학생은 경영 분야 숙련직(35%) 및 사무직(13%)을 제외한 나머지 분야에서 비교적 적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검사에서는 이 해석 조차도 다음 <표 2>와 같이 요약표로 제시하여 이해를 돕고 있다.
<표2> 흥미 검사 결과 요약표
그런 다음 적성이나 흥미 검사 심지어는 최근의 각종 인성 검사에서는 각 직업 영역에서 하는 구체적인 일에 대한 설명(<표 3>) 및 구체적인 직업의 종류까지도 명시하고 있으며, 그 직업을 클릭할 경우 직업사전과 링크되어 해당 직업에 대한 구체적인 직업정보까지 제공하고 있다. 궁금한 독자는 직접 사이트에 들어가 보기를 권장한다.
<표 3> 직업 흥미 검사의 직업 영역
Ⅵ. 심리 검사의 활용
1. 사생활 보호
지능 검사, 성격 검사, 적성 검사, 성취도 검사 등은 검사 특성상 의도적이든 비의도적이든 간에 피검자에게 검사의 본래 목적을 위장하거나 개인이 좀처럼 드러내고 싶지 않는 것들을 드러내야 하기 때문에 사생활을 침해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검사의 적합성과 확인된 동의가 있어야 한다. 적합성을 지키기 위해서는 검사자가 타당성이 확인된 검사를 선정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하며 확인된 동의를 위해서는 피검자에게 검사의 목적이나 그 검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자료의 종류 및 점수를 이용하게 될 용도에 대해 확실하게 알려줌으로써 검사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고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2. 비밀 보장
검사에서 얻어진 정보를 오용하거나 오해하지 않도록 적절한 보호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특히 앞으로는 점차 컴퓨터를 활용한 심리 검사가 증가 추세에 있음으로 법적으로 구체화되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검사 기록에 대한 비밀 보장은 기본적으로 검사를 받은 당사자와 검사자 외에는 제삼자의 접근 가능성을 제한해야 하며 수검자의 이해나 동의 없이는 공개해서는 안된다.
3. 검사 결과의 해석
개인의 심리적 특성은 고정된 특성이 아니라 경험·학습·성숙에 의해 변화되고 신장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심리 검사에 의해 나오는 점수는 일부분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도 있지만, 태어나서 성장해 오는 동안 습득된 개인의 경험, 동기, 시험을 치르는 기술, 인내력, 감정의 적응력 등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도 반영된다. 이들 중 많은 요인들은 연습과 경험에 의해 변화될 수 있는 것이므로 심리 검사 점수를 직접적이고 고정된 잠재력으로 해석하지 않아야 한다.
4. 검사 결과의 전달
검사 결과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그 검사결과를 전달받을 사람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피검자의 교육 정도에 맞게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설명하고, 심리 검사에 대해 알고 있는 지식 정도나 정서적 반응도 고려해야 한다. 비록 검사를 정확하게 채점하고 해석했다 할 지라도 곧이곧대로 검사 결과를 알려주는 것이 당사자에게는 해로운 영향을 줄 수도 있다.
5. 검사 결과의 활용
심리 검사를 실시하는 목적은 개인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는 데 있으므로 어떤 형태로든 심리 검사 결과는 반드시 활용되어야 한다. 일선 학교에서는 지능, 성격, 직업 적성, 흥미 검사를 실시한 후 학교 생활 기록부에 기록하고 그 결과를 주의 깊게 검토해 보거나 학습 지도와 진로 지도에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참 고 문 헌 이현림(2000). 진로 상담의 이해. 대구 : 영남대학교출판부. 임두순(2000). 진로상 담과 진로 교육. 서울 : 원미사. 임인재(1980). 심리 측정의 원리. 교육과학신서 5. 서울 : 교학사. 한국심리학회 편(2002). 심리 검사 : 제작 및 사용 지침서.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Anastasi, A.(1982). Psychological testing(5th ed.). New York : McMillan Publishing Co., Inc. NCME(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1985). Standars for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Testing. |
첫댓글 표1,2,3이 없어서 조금 아쉽지만,,, 그래도 좋은 논문 감사합니다.
귀한 자료 감사히 쓰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