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은 seed 즉 우리말의 씨앗과 관련된 어원이라 할 수가 있다.
농사일 식물 곡식등을 경작하는 주기를 가지는 시간을 뜻한다고 할 수가 있다.
다른 의미로는 우리말의 (농사를)짓다의 말로 이 모든 말을 포괄할 수가 있다.
씨뿌리기 좋은 농사짓기 좋은 타이밍이다.
1.일의 이치.
2.<불교>변화하는 현상과 그 배후에 있는 불변하는 진리.
유의어 : 도리10, 이치6, 철2
season은 불어로 saison
사리-->사이
사리분별
시간이 흘러가는 사물의 이치를 나타낸다.
시간의 흐름에 다라 계절이 바뀌는 것 역시 이와 같은 이치이다.
철이 들었다.시근이 들었다.사리분별을 할 줄 안다.
synchronize 에서
chron ch가 ㅅ발음으로도 날수가 있으니 r은 ㅎ<-->ㅋ 호환이니
결국 시간으로 소리가 날 수가 있는 것이다.
시근은 시간의 발음변형이지.
chronic 만성의
역시 시간과 관련된다.시간을 질질 끌듯이..
season에 해당하는 인도계열의 단어 중 인도 펀자브지방의 언어를 보자.
펀자브어 Sīzana
시의 과거 발음은 티 ㅅ대 때 우리말의 때가 時의 고대한국어 발음이다.
고대 한자발음이 남아있는 베트남어 한자발음을 볼까?
時 thì
1. 때.2. 시제.3. 적령기.4. …에 대해서.5. …는(강조하는 때의 말).
발음 [티]
또는 thời [時]
1. 시간2. 시대
발음 [터이]
24절기는 농사짓는 데 필요한 ‘농사달력’이라고 보면 된다. 우리 조상들이 농사를 짓는 데 씨 뿌리고 추수하기에 가장 좋은 때를 알아야 했기 때문에 만들어졌다.
24절기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절기로 세분된다. 각 절기는 1달에 2번 들어 있고 간격은 대략 15일이다. 절기 하나하나가 농사철을 알려 주는 역할을 한다. 청명-논밭 둑 손질, 곡우-못자리 만들기, 소만-보리 베기, 망종-모내기, 하지-감자 캐기, 한로-추수하기 등 과학기술이 고도로 발달된 지금도 24절기는 농사일에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
고대시대에는 우리 민족(동이족)이 중국대륙의 주인공이었다.
당연히 24절기는(책력, 달력) 우리 조상들이 만들었다.
대만의 서량지(徐亮之)는 중국사전사화(中國史前史話)에 “중국의 책력은 동이에서 시작됐고 만든 사람은 희화자(羲和子)다.
동이가 책력을 만든 사실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했다.
그렇다면 24절기는 음력(太陰曆; 달) 기준일까? 양력(太陽曆; 태양)기준일까?
옛날부터 우리나라는 음력을 사용했다. 그래서 24절기도 음력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24절기는 태양력을 적용했다.
고대사회 우리 선조들은 천문 즉 해와 달, 별의 움직임을 매우 중요시 여겼다. 그 이유는 농사짓는 단계와 배를 띄워야 할 때를 알기 위해서 천문을 관측하고 달력을 만들었던 것이다.
하늘의 움직임을 관측하고 예측하는 것은 하늘의 뜻을 땅에서 실현하는 왕의 권위를 상징하는 일이었다. 천문에 관한 사항은 왕 이외에는 알 수 없는 국가기밀사항이기도 했다.
첫댓글 곡식이든 과일이든 제철이 되면 아주 아주
맛있어집니다. 여기서 음식에 양념을 치다, 즉 음식에 '(씨를 뿌리듯) 양념을 쳐서 맛있게 하다'라는
의미가 탄생한 것이죠
sead 씨앋 -->씨앗 말하자면 앝-->앋-->앗
앝-->앋-->알 이렇게도 가기도 하지요.오늘날 받침ㄹ은 과거에 ㅌ이었으니까요.
ㅌ-->th번데기-->ㅅ 우리말의 ㅅ은 과거 ㅌ이나 ㄸ에서 변형된 것이지요.아기들한테 시간을 발음해보라면 혀짧은 발음으로 띠간이라고 발음합니다.그만큼 ㅅ발음은 진화를 거쳐 가장 나중에 정착된 발음이지요.
여러가지 정황으로 알고보니 season의 sea 는 우리말의 때 즉 시기를 뜻하는 말로
때-->th번데기-->sea 를 뜻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