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 |
飛者上有跨者 (비자상유과자) ▶ 나는 놈 위에 타는 놈 있다. (기는 놈 위에 나는 놈 있다. / 뛰는 놈이 있으면 나는 놈도 있다.) ☞ 비록 어려운 상황이 있다 하더라도 또한 이보다 더 어려운 상황도 있다.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나는 사람 위에 앉는 사람이 있다. [한자풀이] 飛(비) 날다 / 跨(과) 걸터앉다 |
재주 |
獐毛曰長 幾許其長 (장모왈장 기허기장) ▶ 노루 꼬리가 길면 얼마나 길까 ☞ 현명하지 못한 사람의 무능함을 비유하는 의미로 보잘 것 없는 재주를 믿고 너무 설치는 사람을 핀잔 줄 때 사용하는 말. [출전 - 耳談續纂(이담속찬)] [직역] 노루 털이 길다고 말해도 얼마나 그 긴 것을 허락하겠는가? [한자풀이] 獐(장) 노루 / 毛(모) 터럭 / 長(장) 길다 / 幾(기) 몇 / 許(허) 하락하다 |
능력 |
一馬之背 兩鞍難載 (일마지배 양안난재) ▶ 한 말 등에 두 길마{안장}를 지울까 (한 어깨에 두 지게 질까) ☞ 한 사람이 한 번에 두 가지 일을 못한다는 의미 [출전 - 耳談續纂(이담속찬)] [직역] 한 마리 말의 등에 두 안장은 싣기가 어렵다. [한자풀이] 背(배) 등, 등지다 / 鞍(안) 안장 / 難(난) 어렵다 / 載(재) 싣다 |
분수 |
小小食 放細尿 (소소식 방세뇨)
些些之食 可放纖矢 (사사지식 가방섬시) ▶ 작작 먹고 가는 똥 누지 (작게 먹고 가늘게 싼다) ☞ 천천히 여유있게 나아가야 잘 받아들일 수 있다는 의미로 너무 욕심을 부리지 말고 자신의 분수에 맞게 살아가는 것이 편안하다는 말. [출전 - 旬五志(순오지), 耳談續纂(이담속찬)] [직역] 조금씩 먹고 가는 오줌 눈다. 작고 작게 먹어야 가는 똥을 눌 수 있다. [한자풀이] 細(세) 가늘다,작다 / 尿(뇨) 오줌 / 些(사) 작다 / 纖(섬) 가늘다, 곱다 / 矢(시) 화살, 똥[=屎(시)와 통용] |
분수 |
無醬嗜羹 (무장기갱) ▶ 장 없는 놈이 국 즐긴다. (없는 놈이 자 두 치 떡 즐긴다.) ☞ 자신의 능력을 헤아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분수에 넘치는 사치를 좋아한다는 의미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장이 없으면서 국을 즐긴다. [한자풀이] 醬(장) 간장,된장 / 嗜(기) 즐기다 / 羹(갱) 국 |
능력 |
駟馬所載 難任蚤背 (사마소재 난임조배) ▶ 말에게 실었던 것을 벼룩 등에 실을까. ☞ 모기가 산을 짊어질 수 없는 것 같이 약하고 어리석은 사람에게 무거운 짐처럼 중대한 일을 맡길 수 없다는 의미 [출전 - 耳談續纂(이담속찬)] [직역] 사마[네 마리 말이 끄는 수레]가 실었던 것을 벼룩의 등에 맡기기는 어렵다 [한자풀이] 駟(사) 사마 / 載(재) 싣다 / 任(임) 맡다 / 蚤(조) 벼룩 / 背(배) 등 |
분수 |
侏儒參轎子擔 (주유참교자담) ▶ 난쟁이 교자꾼 참여하듯 (난쟁이 월천군(越川軍) 즐기듯) ☞ 감당할 수 없는 일을 한다는 뜻으로 자기 처지를 생각하지 않고 턱없는 일에 참가할 때를 비유하는 말 [출전 - 洌上方言(열상방언)] [직역] 난쟁이[주유]가 교자[관리가 타던 가마]가마 메는 것에 참여한다. [한자풀이] 侏(주) 난쟁이 {侏儒(주유)난쟁이} / 儒(유) 선비 / 參(참) 참여하다 / 轎(교) 가마 / 擔(담) 메다,맡다 |
무지 (無知) |
旣終夜哭 問誰不祿 (기종야곡 문수불록) ▶ 밤새도록 울다가 누가 죽었느냐고 (밤새도록 통곡해도 어느 마누라 초상인지 모르네) ☞ 일을 하면서도 그 일의 이유를 모른다는 뜻으로 영문도 모르고 그 일에 참여하고 있는 어리석은 사람을 비유하는 말. [출전 - 耳談續纂(이담속찬)] [직역] 이미 밤을 다해 곡을 하고는 누가 복되지 않았는지{죽음}를 묻는다. [한자풀이] 旣(기) 이미 / 終(종) 마치다 / 夜(야) 밤 / 哭(곡) 곡하다,울다 / 誰(수) 누구 / 祿(록) 복,녹 |
교훈 (敎訓) |
難上之木 勿仰 (난상지목 물앙) ▶ 오르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도 말아라. ☞ 될 수 없는 일이라면 처음부터 바라지도 말라는 의미 [출전 - 耳談續纂(이담속찬)] [직역] 올라가기 어려운 나무는 우러러보지 말라. [한자풀이] 勿(물) 말라 / 仰(앙) 우러르다 |
교훈 |
一歌達永夜 (일가달영야)
唱一謠達永宵 (창일요달영소) ▶ 한 노래로 긴 밤 새울까 ☞ ⑴ 한가지 일에 치우치지 말라는 뜻으로 한가지 일에만 매달려 세월을 허송해서는 안 된다는 의미 ⑵ 어떤 일이든 그만둘 때가 되면 빨리 치우고 새로운 일을 시작해야 한다는 의미 [출전 - 旬五志(순오지), 洌上方言(열상방언)] [직역] 한가지 노래로 온 밤을 다 새우랴. 한 노래를 부르면서 긴 밤을 다하랴. [한자풀이] 歌(가) 노래 / 達(달) 통하다 / 永(영) 길다,영원 / 唱(창) 노래하다 / 謠(요) 노래 / 宵(소) 밤 |
인상 |
對笑顔唾亦難 (대소안타역난) ▶ 웃는 낯에 침 뱉으랴. ☞ 좋은 얼굴 색에 함부로 하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상대에게 좋은 낯빛으로 대하는 사람에게는 나쁜 말이나 매정하게 대할 수 없다는 의미 [출전 - 洌上方言(열상방언)] [직역] 웃는 얼굴을 대해서는 침 뱉기가 또한 어렵다. [한자풀이] 對(대) 상대하다,대답 / 笑(소) 웃다 / 顔(안) 얼굴 / 唾(타) 침 / 亦(역) 또한,역시 / 難(난) 어렵다 |
무지
마이동풍 (馬耳東風) |
牛耳誦經 何能諦聽 (우이송경 하능체청) ▶ 쇠 귀에 경 읽기 ☞ 아무리 일러도 알아듣지 못하는 아둔한 사람이나 관심없는 사람에게 이르는 말 [출전 - 耳談續纂(이담속찬)] [직역] 소 귀에 경전을 읽는다 해도 어찌 살펴 들을 수 있겠는가? [한자풀이] 誦(송) 외다,읽다 / 經(경) 경전 / 諦(체) 살피다 / 聽(청) 듣다 |
교육
식자우환 (識字憂患) |
聞則是病 不聞是藥 (문즉시병 불문시약) ▶ 들으면 병이요 안 들으면 약이다. (모르면 약이요 아는 게 병) ☞ 들어서 마음에 근심이 될 만한 일이면 듣지 않는 것이 더 낫다는 의미. [출전 - 耳談續纂(이담속찬)] [직역] 들으면 병이고 듣지 않으면 약이다. [한자풀이] 聞(문) 듣다 / 病(병) 병 / 藥(약) 약 |
계획성 |
後見之木 高斫其根 (후견지목 고작기근) ▶ 뒤에 볼 나무는 그루를 돋우어라. ☞ 후에 일어날 일을 위해 현재를 생각해보라는 의미 [출전 - 旬五志(순오지)] [직역] 뒤에 볼 나무는 그 뿌리를 높이 쳐주어라. [한자풀이] 後(후) 뒤 / 斫(작) 찍다,치다 / 根(근) 뿌리 |
능력 |
生巫殺人 (생무살인) ▶ 선 무당이 사람 잡는다. ☞ 일에 능숙하지 못한 사람이 아는 체하고 일을 하다가 아주 망쳐 버리는 결과가 벌어졌을 때 사용하는 말 [출전 - 東言考略(동언고략)] [직역] 새 무당이 사람을 죽인다. [한자풀이] 巫(무) 무당 / 殺(살) 죽이다 |
습관 |
三歲之習 至于八十 (삼세지습 지우팔십) ▶ 세 살 적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 ☞ 어렸을 때 한 번 굳어진 버릇은 늙도록 고치기 여려움을 이르는 말. [출전 - 耳談續纂(이담속찬)] [직역] 세 살의 습관이 팔십에 이른다. [한자풀이] 歲(세) 해, 나이 / 習(습) 익히다, 습관 / 至(지) 이르다 / 于(우) 어조사[於와 동일] |
혐의 |
烏飛梨落 (오비이락) ▶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진다. ☞ 까마귀가 날아간 것과 배가 떨어진 것은 아무 관련이 없는데도 까마귀를 욕하는 것과 같이 어떤 일이 공교롭게도 어떤 다른 일과 때를 같이하여 무슨 관련이 있는 것 같이 혐의를 받는 것을 의미. [출전 - 旬五志(순오지), 宋南雜識(송남잡지)] [직역] 까마귀가 날아가니 배가 떨어졌다. [한자풀이] 烏(오) 까마귀 / 飛(비) 날다 / 梨(리) 배 / 落(락) 떨어지다 |
교훈
소탐대실 (小貪大失) |
他肉一點飯食 己肉十點下 (타육일점반식 기육십점하) ▶ 남의 고기 한 점 먹고 내 고기 열 점 준다. ☞ 다른 사람에게서 작은 이익을 보려다가 오히려 더 큰 손해를 보게 된다는 의미. [출전 - 東言考略(동언고략)] [직역] 남의 고기 한 점을 먹고 자기 고기 열 점을 준다. [한자풀이] 他(타) 다르다 / 肉(육) 고기 / 點(점) 점 / 飯(반) 밥, 먹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