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득 채워지는 것을 지니는 것을 아예 고만둠만 못하나니 그 尖銳(첨예) 한 先鋒(선봉)을 분질러 버릴 것이요 오래도록 보전시키려드는 것이 옳치 않다 할 것이라 金玉(금옥)이 滿堂(만당)한 것을 잘 지켜 낼 수는 없는 것이다 교만한 마음에서 생기는 행동은 그 부귀 함으로 부터 시작되는 것이니 그 허물을 끼치는 것을 볼 것 같으면 功果(공과)를 이루고 揚名(양명)을 할 쯔음 이면 그 몸은 쇠퇴하여지는 것이 하늘의 이치인 것이다
*本文第九章= 차게(가득) 가지는 게 그만둠만 못하다 예봉을 꺽으려드는 게 차라리 자람(長=장)을 보전하지 않는 게 낳다 금옥 만당을 잘 지키지 못하는 것은 부귀해지면 교만해짐으로 인해 자기의 허물을 성찰 반성하려 들지 않고 공 이룸과 이름만 낼 려 하니 몸은 망가지게 되는 게 하늘 길인 것이다
* 지닌걸 채우려는 것이[ * 채워서 가지려는 것이] 그 고만둠만 못하다 , 예리한걸 꺾어야지[순을 질러야지] 그 자람을 보존하게 하는 것은 옳치 않다, 금옥이 산더미 같다 한들 잘 지킬 수는 없다 , 부귀하면 교만해지는데 이렇게되면 부귀라 하는 것은 자신에게 그 허물을 끼치는 것이다 , 성공을 하게 되면 名振四海(명진사해)는 할수 있을 것이나 그 名振四海(명진사해) 함과 동시 더불어 그 몸은 隱退(은퇴)하게된다 , 이것이 하늘이라 하는 것의 진리이다
* 소씨는 주석하대. 차면 필히 넘칠걸 앎에 굳게 지니려 든다 이런 것이 아예 차지 않는 편안함만 못하다 끝이 날카로우면 필히 꺽일 걸 알아서 남보다 앞장서서 꺾으려 든다 이런 것을 애초에 가졌지 않았으면 부러트릴걸 모르리라 이렇틋 성인이 두고 안두고 함에 있어서 오히려 가득 둬도 편안히 여기고 이치를 따른 뒤에 실천하는지라 오히려 날카로움을 둬도 편안히 여긴다 참(盈=영)이 없으면 잡아 쓸 게 없다 날카로움이 없음 꺽어 쓸게 없다 해가 정오가 되면 자리를 옮기게 되는 게 정한이치요 달이 차면 기우는 게 정한이치이니 사계절이 돌아가서 공(功)을 이룬 자가 가게되는 것이다 하늘땅도 오히려 그러하거늘 하물며 사람한텐 말할 나위 있을 건가?
* 여씨는 주석하대. 잡아가지는 게 가득한걸 넘치는걸 막아 재키는 게 차면 거듭 찬 것이 된다 (그러니까 아주 많이 높이 차게 된다는 뜻임) (*가질려 하는걸 못하게 막아 재킴이 지나치면 더욱 가질려 한다) 넘쳐지게 말고자 하는 게 차지 말게 하고자 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말하길 가득 가지는 게 그만둠만 못하다 한다 꺽으려 드는 건 잃을까 를 염려해서 함인 것인데 그에 또 날카로우면 거듭 잃게 됨인 것이다 잃치 말고자 하는 게 날카롭지 말고자 하는 것과 같다 그래서 말하길 날카로움을 꺽으려 드는 게 아예 자람을 보전 안 하는 것만 못하다한다 가득하게 해서 넘치지 않게 하는 게 오래도록 富(부)를 지키는 방법이다 지닌 게 가득 차면 金玉滿堂(금옥만당=황금과 구슬 등 보화가 마루에 가득함을 말함 한마디로 말해 부유함을 뜻함)도 잘 지키지 못한다 높아도 위태치 않는 것이 오래도록 귀를 지키는 방법을 씀에서 인 것이다 예봉을 꺽으려 드는 게 부귀해져 교만해짐으로 인해 자기의 허물을 버릴려 듦이라 그렇다면 무슨 이 근심을 면한다할 것인가? 하늘 길을 법할 따름이지..... 대저 공을 이루고 이름을 내면 몸은 망가지는 게 하늘의 길이다 이것을 갖다 사사로움이 없음으로써 그 사사로움을 성숙 시킨다는 뜻이다 (*즉 私的(사적)인게 깨우침 받아 고개 숙이게 한다는뜻) 封人(봉인=그어떤 한시대의 인물인 것 같다)이란자가 요임금님을 가르켜 말하길 몸을 망가트려 하늘 길을 법 한이다 했다
* 박씨는 새겨 풀대. 가짐이란 손을 갖고 물건을 잡음을 뜻한다 꺽음이란 손으로 물건을 훼절시켜 가늠함을 말한다 잡아 가진다는 것은 그 참에서 찾는 것이니 차면 반드시 넘치게 된다 가늠(*잼) 하여 꺽어 재키려 드는 것은 그 날카로움에서 찾는 것이니 날카로우면 필히 꺽어지 게 되 있는 것이다 [* 너무 예리하면 자타를 손상시키고 그 균형 감각을 잃게 된다는 것이라 이래서 그 대충 가늠하여서는 순을 질러 재키는 것이다 또 곡식에 있어서 순을 질러 재키는 것은 그 가닥 순을 많이 생성 시켜서는 수확을 많이 보기 위한 방법으로도 사용된다.] 금옥 만당을 지키지 못하면 차서 넘침에 이름이라 부귀하여 교만해져서 자기 허물을 버리면 (*자기만 이란 뜻을 갖어 독선과 아집으로 흘름) 날카로와져 꺽임에 이른다 (*즉 누가 가만히 내버려 둘 건가 어떻게든 헐뜯어 끌어 내릴려 하지 더 높이 되라고 덕 주진 않을 것이란 것이다= 그래서 혼자만 유아독존 격으로 잘난 체 하지 말라는 것이다) 흡족함을 알고 머물을대 머물을 줄 알면(*詩에 이르길 꾀꼬리는 幽谷에서 나와 울창한 喬木[좋은 삶의 터전]에 머문다 했음) 꺽이고 넘치는 근심이 없고, 공을 이뤄 이름을 남기고 몸이 망가지면 흡족함과 배부름을 잘 안다할 것이다 해가 가운데 온 즉 기울고 달이 찬즉 이지러진다 사계절의 차례가 공을 이룬 것이 감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말하길 하늘길이라 한다.
* 꾀꼬리가 幽谷(유곡)에서 나와선 그 喬木(교목) 울창한 잎새에 머무는 것은 자기의 아름다움을 그래 으시대어 드러내 놓고자 하는 것이 아니고 그 은근하게 숨기고 있으면서 미풍따라 일렁이는 잎들 사이로 살짝살짝 내 비춰선 그 미의 멋을 더 돋보이고자 함인 것이라 , 소위 너무 자태를 뽐내어선 보는 이로 하여금 시기하는 마음을 그래 일으키게 않는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