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한자의 자원오행을 배열한다!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에도 오행이 있는데요...
李는 木기운 또는 金은 金기운 같이 기운이 있는데 전문 성명학 서적을 보지 않고는 알 수가 없습니다.
한자를 배열하려면 먼저 성씨의 기운을 알아야합니다.
朴(목), 李(목), 金(金), 林(목), 崔(토)...
그 다음 오행의 상생에 맞게 木 → 火 → 土 → 金 → 水 → 木
배열합니다.
* 중요한 것은 목화기운으로 넣어주는 것!
李(목) → 火(화의 기운을 가진 한자를 사용해야함)
李(목) 映(화) 慈(화) 이렇게 한자의 기운을 찾아야 합니다.
3) 한자의 획수인 수리오행(81수)을 배열한다!
한자의 획수를 원,형,이,정 4격과 81수에 길한 수인지를 잘 검토한다.
이 또한 인터넷이나 전문서적을 참고해야만 가능함.
그리고 원형이정이 모두 길한 숫자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함.
李(7) 映(9) 慈(14)
원격: 23획 길수
형격: 16획 길수
이격: 21획 길수
정격: 30획 중길 (길흉상반)
종합하면
1) 사주를 분석해서 필요한 오행을 찾고
2) 한글의 발음오행을 상생으로 배열
3) 한글의 배열에 맞는 한자를 고르고
4) 그 한자의 오행이 상생이 되도록하고
5) 81수리는 길하게 맞추어 주어야 된다.
이 외에도 다양한 작명방법이 있지만 다수가 위의 방법을 따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