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_ 문화연구와 중국연구, 1996~2016․45
서 장 21세기 문명전환시대 중국의 문화정치․15
1. 21세기 문명전환과 중국 | 2.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의 지정학과 지경학 | 3. 민주주의의 역설 | 4. 대동 유토피아와 체진(遞進)민주의 문화정치 | 5. 새로운 주체의 발명
제 1 부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의 비판적 사상과 문화연구
1장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의 비판적 사상의 흐름․15
1. 검열과 비판 그리고 논쟁 | 2. 첸리췬의 마오쩌둥 연구 | 3. 문제적인 왕후이를 문제화하기 | 4. 쑨거의 동아시아담론 | 5. ‘지식인 지형도’ 찰기(札記)
2장 리쩌허우의 문화심리구조와 역사본체론․15
1. 인지적 맹점 | 2. 근현대 시기구분 | 3. 문화심리구조, 역사적 실용이성, 서체중용 | 4. 인류학 역사본체론 | 5. 참조체계 : 역사적 문화기호학
3장 ‘문화에 대한 문화연구’와 ‘문화번역의 정치학’․15
1. 문화의 연구와 문화연구 | 2. ‘문화에 대한 문화연구’ | 3. ‘포스트식민 번역연구’ | 4. 문화번역의 정치학
4장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의 문화연구와 왕샤오밍의 비껴서기․15
1. 베이징의 비판적 문화연구 | 2. 상하이의 비판적/개입적 문화연구 | 3. 왕샤오밍의 문화연구와 비껴서기
제 2 부 소수민족 정체성과 문화정치
5장 문화중국의 타자, 중국 소수민족의 정체성
1. 국족 /네이션과 민족 /에스닉 | 2. 정체성 이론과 문화정치 | 3. 중국 소수민족의 정체성 | 4. 소수민족영화와 문화국족주의 | 5. 소수민족과 중국 국족
6장 장뤼(張律) 영화를 통해본 중국 소수민족 정체성과 문화정치
1. 조선족 중국 감독의 세계시민적 정체성 | 2. 상투성 배제의 영화 미학 | 3. 환대와 감사의 변증법적 절합 | 4. 횡단의 문화정치학
7장 소수자 문학 관점에서 고찰한 중국 내 ‘동남아 중어문학’ 연구
1. 중국문학, 중어(漢語/華文)문학, 중국인(漢人/華人)문학 | 2. 동남아 중어문학: 화교(華僑)문학―화인(華人)문학―화예(華裔)문학 | 3. 동남아 중국인과 홍콩인: 탈중국과 포스트식민 | 4. 화예(華裔)의 문화정체성 | 5. 동남아 중어문학의 쟁점과 전망
제 3 부 도시화와 문화정체성
8장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의 도시화와 도시영화의 정체성
1. 이행기의 감정구조 | 2.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의 도시화 | 3. 중국 도시영화의 지형도 | 4. 중국 독립영화의 정체성 | 5. 도시영화-도시 주체-도시화
9장 포스트냉전 도시 타이베이의 문화정체성
1. 에드워드 양의 타이베이 초상화 | 2. 타이베이의 ‘위험한 사람들’ | 3. 타이베이의 ‘인식적 매핑’ | 4. 도시 폭력의 우연성과 익명성
10장 지구적 이주와 뉴욕 중국인의 문화정체성
1. 이주와 이산 | 2. 중국인의 ‘지구적 이주’ | 3. ‘지역적 이주’와 관문 도시, 상하이와 홍콩 | 4. 지구적 이주의 도시 뉴욕과 뉴욕의 중국인 | 5. 국족 정체성의 환기와 이중적 디아스포라 | 6. 뉴욕 중국인의 문화정체성
제 4 부 중국의 자기 인식과 한국인의 중국 인식
11장 문화중국과 중국의 자기 인식
1. 올림픽과 문화중국 | 2. 문화국족주의의 양면성 | 3. 대국의 좌표와 부흥의 꿈―<대국굴기>와 <부흥의 길> | 4. 역사의 허구적 재현―<영웅>과 <한무대제> | 5. 민족(ethnic)과 국족(nation) 그리고 국가주의 | 6. 대국 굴기와 국가주의
12장 미국화와 한국 대학의 중국 인식
1. 중국위협론과 중국 혐오 | 2.한국 대학의 미국화 | 3. 한국 대학의 중국 인식 | 4. 문명사적 관점과 동아시아적 공감각
13장 중국 인식의 몇 가지 경로― 정글만리와 <슈퍼차이나>를 화두로 삼아
1. 한국인에게 중국은 무엇인가? | 2. 정글만리의 중국 인식과 문제점 | 3. <슈퍼차이나>의 중국 인식과 문제점 | 4. 중국 인식의 다른 경로 | 5. 안내자와 문화조정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