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임시정부의 이동 순서>
上海(1919. 4.)→杭州(32. 5.)→鎭江(35. 11.)→長沙(37. 12.)
→廣州(38. 7.)→柳州(38. 11.)→綦江(39. 5.)→重慶(40. 9)
→서울(45. 11.)
* 西安 (40. 11.-42. 9.) 광복군총사령부 주둔
(45. 5.-45. 8.) 광복군 제2지대 주둔
[北京]
東廠胡同 28호(옛주소, 동창호동 1호) 일본군 헌병대 감옥
[上海]
馬浪路 普慶里 4호 [현재 馬當路 306弄 4號]:
* 1926-1932 임정 마지막 청사
金神父路[현 瑞金路 2路 불란서풍 옛 주택들]: 임정 탄생지
霞飛路 321號 [현 淮海中路 651호(?)] : 초기 임정청사 사진
白爾部路[현 重慶中路] 38호: 백범의 상해 기착 첫 거주지 <철거>
貝勤路 永慶坊 10호[현 黃陂南路 356弄 5號 後門]: 김구 거주지 <철거>
愛仁里 골목 [현, 愛民里]: 박찬익 등 살던 동네
仁成學校 자리 [마당로 끝 協盛里 1號, 길가 첫 번째 집]
虹口區 규江支路 212弄- 해방 후 북한 계열이 다닌 곳
마당로 입구 보강리: 요인들의 주거지 <철거>
虹口肺醫院[현 上海市第一肺科醫院, 政民路 507號]: 최준례 사망 <철거>
虹口公園[현 魯迅공원]: * 윤봉길 의사가 폭탄 던진 곳
-4번째 가로수 앞이 단상이 있던 곳 * 진춘호 증언 (1991. 11.)
萬國公墓 [현 송경령능원]: 최준례, 노백린, 신규식, 박은식 무덤 자리
人民政府大禮堂 [黃浦區 九江路 201號]: 국민대표회의 개최지
興業路 160弄 18號 흥륭다원[長靑食品 2層]: 김구와 윤봉길이 만나 거사 를 논의한 곳
인민로 700호 침례교회당 [현, 황포구 제일소학교]: 삼일절 기념식장
프랑스공원 [현 復興公園]: 거류민단 운동회가 열리던 곳
[嘉興]
梅灣街 76-4: 김구 피난처
南灣街 [현 南門 日暉橋] 17號 (秀綸紗廠 본사 자리): 임정요인들의 처소
* 매만가 호수 건너편 수륜사창과는 다름
六號橋村 嚴家浜(빈) 24號: 孫榮寶(아들 孫桂榮) 댁
南湖 烟雨樓: 김구가 구경 다닌 곳
落帆亭 [東升中路 亭園弄]: 김구가 구경 다닌 곳
嘉興公墓- 褚輔成의 무덤
[浙江省 海鹽縣]
載靑別墅(서): 南北湖, 김구의 제2피난처
盧里堰(언)을 지나 서남 고갯길: 김구가 저보성의 며느리와
동행한 곳
[杭州] 저쟝성(浙江省)의 성도
淸泰第2旅社(32호) [仁和路 22호 群英飯店] : 항주 임정의 첫 임시판공처
(1932. 5. - 10.) * 1910 新泰여관으로 설립, 손문 숙박/ 1933 ‘청태제2 여사’로 명명. 1967 ‘군영여관’으로 개명
長生路 湖邊忖 23號: 임정 임시판공처 1932. 11. - 1934. 11.
板橋路 吳福里 2弄2號: 임정 임시판공처 1934. 11. - 1935. 11. <철거>
學士路 思금(金x3)坊 41號: 상해 한국독립당의 임시사무소
[鎭江] 쟝쑤성(江蘇省)의 성도, 남경에서 1시간 거리 75km. 60만 인구
지꽌 유아원 (진강시 市級 機關 幼儿園, 水陸寺 58호): 임정이 있던 곳으로 추정되는 곳
* 쩐쟝시 역사연구원 陸潮洪 증언, 당시 주소는 公益里
穆源小學校: 김구와 朴炳疆(강) 방문 연설
[南京] 江蘇省의 성도
南京煦園 內 孫中山臨時大總統辦公室: * 현재 난징총통부 접견실
1927-1937 장개석 총사령관 기거. 1933. 5. 장총통과 김구 주석 회담
淮淸橋: 주애보와 동거하던 동네
城內 柳葉街 56호: 곽 여사, 김신 (회청교와 같은 곳)
馬路街[현 馬道街]: 곽 여사가 살던 곳
光華門 안 藍旗街1호, 8號: 임정요인 가족 거주 <철거>
中華門 안 秦淮區(老南京) 東關頭 32號: 국민당 청년들 거주 <철거>
敎敷(부)營 16호: 의열단과 조선혁명당 청년들 거주 <철거>
湖家花園[鳴羊街에 위치]: 의열단이 머물렀던 곳 <일부 흔적만 남음>
水西門埠頭: 남경 탈출 부두 <시내를 통과하는 개천으로 변함>
秦淮 해안가: 김구가 김원봉과 밀회한 곳 <같은 곳>
本匠營 高安里 1號: 한국특무대독립군 자리 (1934. 12.)
남경대학: 남경대학 내 금릉(金陵)대학 건물에서 1935년 민족혁명당 결성
강소성 宣興縣 張州(張渚鎭) 龍池山 山麓 澄(징)光寺: 예비훈련소
* 남경에서 3시간 거리
[武漢] 후베이성(湖北省)의 성도
武昌 黃鶴樓(중국 3대정자, 51m) * 황학루 부근 강변: 장사행 일행 하선
武漢飯店 (현 航空路) <1997년 폐쇄> 이곳에서 하룻밤 자고
私立武昌大公中學(옛주소, 黃土坡上街 / 현주소, 紫陽路 湖北省總工會處
* 후신 학교는 현재 武漢市제9중학
* 대공중학 : 1932-1950 존립 (1938년 혁명활동지)
조선민족전선연맹 본부가 있었고, 조선의용대 창설지로 추정되는 곳
* 武漢市 第三十一中學 (掽留洋路 ?)
* 국사편찬위원회에서 보관중인 일제의 사상휘보(思想彙報. 일본 고등법원 검사국 극비문 서) 22호(1940년 3월 발간)에 조선의용대 창립지를 대공중학교로 언급.
[長沙] * 후난성(湖南省)의 성도
西園北里 6號: 임정 임시사무소 (조성환, 조소앙) (1937. 11. - 1938. 7.)
* 8호[꺾어진 코너 집]- 임정 청사 (신순호 증언), 13호- 광복진선 선전 부 (엄항섭, 박찬익, 신건식) * 1997년 철거되고, 그 자리에 아파트가 들 어섰음.
(현주소, 湖南省 长沙市 开福区 西园北里 2号 湖南省交通規劃勘察設計院
西園居住小區) : 1938년 5.7총격사건 현장. 현재 기념관으로 사용
湘雅醫院 [현 湖南醫科大學 附屬病院]: 백범이 입원한 곳.
岳麓山: 현익철 무덤은 貴陽 방향 철로변 산허리(악록산 西麓)에 위치)
[廣州] 광뚱성(廣東省)의 성도
東山栢園 [현, 광주 東山區 쉐꾸왠루(恤孤院路) 12호] 임시정부 청사가 있 던 건물
東山公園 [현, 노인 전용공원]: 임시정부 대가족이 머문 아세아여관이 있던 곳 * 東山湖公園 위 서전로(署前路)와 연돈로(烟墩路) 사이 모퉁이 觀音山 중턱 越秀공원 내: 손문 관저 터
中山大學: *김정숙 등 한인들 수학
黃埔軍官學校(육군군관학교) 유적지 [현, 長洲島 黃埔에 위치]
* 1927년 남경으로 이전, 중앙군관학교로 개칭
廣州起義烈士陵園 內 中朝人民血誼亭: 조선 혁명가 150명 기념탑
[柳州] 광시성(廣西省)의 성도
樂群社 임시정부 기념관 (항일투쟁활동진열관)
류후공원(柳候公園)
[貴陽] 꾸이쩌우성(貴州省)의 성도
검령산 弘福寺: 1672년 창건
[貴陽-綦江]
烏江대교:
遵義 회의장: 1935. 1. 15. - 17.
홍군전투기념탑:
九折羊腸의 72굽이 산길 (72拐弔死崖) *中国贵州省遵义市桐梓县凉风垭
[綦江] 쓰촨성(四川省) 치쟝(綦江)
臨江街 43호: 임정청사, 한국국민당이 있던 곳. (현재 7층 아파트 자리)
* 애국지사 여러 분이 신순호 증언
- 2층 목조주택은 임정 청사, 옆집 3층 계단식 주택(지상 2층)에는
독신 지사들과 김자동 가족이 거주.
* 입주 시 지명은 沱灣이었고, 머무는 동안에 임강가로 바뀌었다가
다시 타만으로 바뀌었음.
(현주소) 重慶市 綦江縣 古南鎭 沱灣 8호
上升街 107號: 조선혁명당 본부.
지청천 장군, 김붕준 가족, 조경한, 박영준 내외 등 거주
* 입주시 지명은 台子上이었고, 머무는 동안에 상승가로 바뀌었다.
<2006년 겨울부터 2007년 1월까지 완전 철거됨>
瀛山(영산)賓館[현, 中山路小學의 운동장]: 7당회의 개최지
[重慶]
첫 청사(楊柳街)와 두 번째 청사(石坂街)는 공습으로 파괴 전소.
和平路 吳師爺巷 1호[ 현, 渝中區 和平路 2巷 5,6,7호]: 3번째 임정 청사,
일부 가족 거주
渝中區 蓮花池 38號: 4번째(마지막) 청사 * 1944. 9.부터 1945. 11.까지
쪼우룽로(鄒容路) 37호 [현, 千里馬 잡화점] : 광복군총사령부 건물
嘉陵賓館[현, 가릉신로 18-1, 18-2. 아파트]: 광복군 성립 전례식장
南岸 鵝宮堡 [현 苗背沱(묘배타) 81호]: 조선민족전선계 사람들 거주
* 곽 여사 사망한 곳
南岸 大佛段 172號 孫家花園: 김규식, 김원봉, 김상덕 등 가족 거주
大佛段 720번지: 민족혁명당이 있던 곳.
京新小學校 [현, 대불단소학교]: 임정 가족들의 자녀가 다닌 곳.
南岸 彈子石 주(石+周)堡村 倪家院子: 광복군 제1지대가 있던 곳 <철거>
和尙山 共同墓地: 곽여사 등 묻힌 곳 <철거>
較場口 광장: 한독당 사무실, 의정원 사무실 있던 곳
중국국민당 중경市黨部 대강당: 임정, 3.1절 20주년 기념행사를 한 곳
[현, 중경시시정부 청사 자리. 정문 등 일부 보존]
중국국민당 중앙당부大禮堂 : 임정요인 환국에 대한 장개석의 환송연회
[현, 중경시시정부 청사 자리. 정문 등 일부 보존]
桂園 (중산서로 65호)- 1945. 9. 3. 임시정부 요인들이 이곳에서
마오쩌뚱을 만남, 중국공산당이 임정요인들에게 환송연 베푼 곳
[土橋]
洞坎 瀑布 위의 3채 집: 가족들 숙소 (옛주소, 신한촌)
*현재- 巴南區 李家沱土桥 重慶鋼鐵集團 鋼管責任有限公司 자리
花灘溪
李家沱 부두: 대가족이 토교로 들어갈 때 닿은곳.
重庆清华中学 (화탄계 반대편 소재): 김자동 등 다닌 곳
* 邮集 400054 重庆市 巴南区 李家沱土桥
[西安] 산시성(陝西省)의 성도
二府街 4호[현, 도로로 편입, 인근에 쌀가게]: 광복군 전방사령부 자리
이부가 29호[현 中級人民法院]: 한국청년전지공작대 본부 자리
서북대학 기숙사(현재): 한국청년특별반을 교육하던 제1전구 간부훈련단 막사
長安縣 杜曲鎭 杜曲糧站: 杜曲마을의 쌀수매창고가 전엔 관운장 사당(老爺 廟) 자리였는데, 이곳이 광복군제2지대兵舍, 훈련장이고, 인근에 있는 두 곡소학교 자리 (노야묘에서 400m쯤 떨어진 작은 절터)가 본부였다. * 본 부가 두곡소학교 자리에 있었음은 김준엽 자서전 ‘나와 중국’ (1997. 8. 나남출판) 화보 15쪽에 사진설명으로 나와 있다.
(終南山) 長安縣 南五臺山 국가삼림공원 안 미타고사(彌陀古寺) 근처:
광복군 제2지대 국내 침투 훈련장
종남산 至相寺 (隨文帝 초기 582년 창건): 의상대사 수학
金可紀 磨崖石刻: 종남산 子午鎭 七坪里
省主席 祝紹周의 官邸 (현 성정부 울안에 있는 黃樓) : 城內 西新街
흥교사 圓測塔- 청년전지공작대 주둔 (1940)
[洛陽]
중앙육군군관학교 낙양분교: 뤄양시 西工區 凱旋西路 로터리 주변
흰색 아파트 쪽. *凱旋西路 18號 주소는 없어졌다.
占將台: 장개석이 오면 머물던 숙소. * 일부 현존
한광반 관련 유적지
[徐州] * 북경서 서주까지 관광특급열차로 9시간 소요 (시민 850만명,
시내거주자 150만명)
쯔가다 부대
王座村 (서주 시내에서 북동쪽으로 40~50 km) 不老河
교외 北山 아래 輜重隊
銅山 (耿사령부 자리)
大許家역- 서주 시내서 동북쪽으로 50km
[過陽]
干老莊 (군단 휴게소)
서주 동남방 塚田부대
韓治隆사령부
不老河 강 * 시내서 동북 방향으로 40-50km 王座마을
津浦線 횡단
용(徿)海線 횡단
-숙현부대- 호남성 [沈邱]
[臨泉] 린첸 * 부양서 60km
중국 중앙군관학교 임천분교 내 ‘한국광복군간부훈련반’
[현재] 임천제1중학교
[阜陽] 安徽省
부양시 明侖巷: 광복군 제3지대 초모위원회가 있던 거리
三塔鎭 趙朋(짜오펑마을): 제3지대 본부 첫 주둔지 (1943. 3.부터)
[일명] 샤오자오쭈앙(외래인들이 이렇게 불렀음.), 싼타지 (小棗庄, 三塔集)
* 부양시내서 阜南쪽으로 20km 위치. (부양국제호텔에서 50분 소요)
明侖巷 (동서) : 1942. 4. 징모6분처 초모위원회가 있던 거리
九里溝: 제3지대 본부 두 번째 주둔지
蘆塞(루싸이): 제3지대 본부 마지막 주둔지 (1945. 7.초부터)
中央公園 호숫가 2층 부양劇場: 광복군 제3지대가 결성된 곳
[老河口] 후베이성- 제5전구사령부, 미14항공대, 광복군 제1지대 노하구 분유대
[巴蜀嶺(대파산맥)]-[興山]-[巴東]-[萬縣]-[중경]
[立煌]
吳家店 비행장 근처: 제3지대 OSS특공훈련장. 산속, 작은 강이 흐르고
(전시에 4개 성정부 임시 주재, 李品仙 장군도...)
* 하남성 信陽 옆에 吳家店이 있다.
※ 河南省 固始에서 서쪽으로 200리 가면 리황(立煌)이 나오고, 거기서 다시 서쪽으로 90리 가면 吳家店이 나온다. 吳家店은 信陽에서 조금 서쪽에 있다. 따라서 리황은 신양 근처로 추정된다.
<자료 작성자 : 이봉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