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환성사 대웅전 (慶山 環城寺 大雄殿)
경북 경산시 하양읍
조선시대
보물 제562호

창녕 영산 만년교 (昌寧 靈山 萬年橋)
경남 창녕군 영산면
보물 제564호
조선 정조 4년(1780)에 처음 쌓은 것을 고종 29년(1892)에 다시 쌓아 놓은 것으로,
지금도 마을 사람들이 통행할 만큼 튼튼하여 홍수 등에도 전혀 피해가 없다고 한다.

위 작품 등 26점
안중근의사 유묵 (安重根義士 遺墨)
대한제국시대
보물 제569호

융기문토기 (隆起紋土器)
선사시대
부산 동아대학교박물관
보물 제597호
부산광역시 영도구 영선동 패총에서 출토

고령 장기리 암각화 (高靈 場基里 岩刻?)
선사시대
경북 고령군 고령읍
보물 제605호

영양 화천리 삼층석탑 (英陽 化川里 三層石塔)
신라
경북 영양군 영양읍
보물 제609호

황남대총 남분 금제 관식 (皇南大塚南墳 金製冠飾)
신라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제630호


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 (慶州 皇南洞 象嵌琉璃玉)
신라
국립경주박물관
보물 제634호

차륜식토기 (車輪飾土器)
가야
국립진주박물관
보물 제637호

인천안목 (人天眼目)
조선시대
보물 제640호




자수 사계 분경도 (刺繡 四季 盆景圖)
고려시대
한국자수박물관
보물 제653호
이 분경도는 중국 송나라의 분경자수 병풍에 비할 때 한국적인 요소가 뚜렷하며,
특히 꼰사수를 많이 사용하는 것은 한국 자수의 특징이며 색감도 안정적이다.
( 그림이 아니라 수를 놓은 것.)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 (忠州 靑龍寺址 普覺國師塔 앞 獅子 石燈)
조선시대
보물 제656호
조선 전기인 태조 1년(1392)부터 그 이듬해인 1393년에 걸쳐 세워진 것으로 추측된다.

( 홍의장군 곽재우 유물 )
곽망우당 유물 (郭忘憂堂 遺物)
조선시대
보물 제671호
망우당 곽재우는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으로, 유물은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가 사용하였던 장검, 말갖춤(마구) 및 평소 사용했던 포도연, 사자철인, 화초문백자팔각대접 등 6점이다.
사진 및 문화재 소개글 출처 - 문화재청 홈페이지
http://www.cha.go.kr/korea/heritage/sub_heritage.jsp?mc=KS_01_00
()안은 퍼온이의 글입니다.
----------------------------------------
2004년도 대한민국 관광사진 공모전 수상작 중에서
첫댓글 오늘도 멋진 사진 잘 보고갑니다~^ ^*
사진멋집니다 감사^^
감상 잘하였습니다 ~~!!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