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른개의 수레바퀴 살이 몰려드는 수레 바퀴 통이 하나의 수레바퀴를 갖추려면 응당 그 속을 파내 없애 야지만 한다 그렇게 해서야만이 수레바퀴 의 用度(용도)로 使用(사용)할 수 있다
찱 흙 粘土(점토)로써 그릇을 만들더라도 그 본을 그릇처럼 겉 부분을 만들더라도 필경은 그 속을 파냄으로서 그 그릇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門戶(문호)의 窓(창)을 만들음으로서 집을 삼게되는데 응당 그 壁(벽)의 창틀 정도를 파내 없앰으로서 그 집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전 에는 땅에다가 그 굴을 파고선 居住(거주)處(처)를 삼았는데 그렇게 문호나 창호를 내어서 파고 들어가서만이 그 집을 만들게 되는 것이라 所謂(소위) 먼저 덜어냄으로서 그렇게 그 자기역할을 한다는 말을 한다는 것을 여기서는 강조해주는 말들이라 할 것이다
그러므로 有益(유익)함을 가져오려면 덜어 없앰으로써 用度(용도)를 삼게된다
* 本文 第十一章= 수레 바퀴 살이 서른 개라야 한바퀴 통을 이뤄 궁글대가 들어가게끔 적당하게 그 가운데를 비 게 해야 지만 수레에 사용할 수 있고 진흙으로 질그릇을 빚어 그릇을 만들더라도 그 속을 파내야 지만 그릇을 쓸 수 있게 되고 창호를 뚫어 집을 짓더라도 그 속이 비어 있어야 지만 사람이 살수 있게 된다 그런 까닭에 채워지는 것으로 잇속을 삼고 속이 비어 없음으로 사용함을 삼는다
* 共字(공자)를 其子(기자)로 본다면 '서른개의 바퀴 살로 이루어진 그 하나의 수레바퀴라도 그 응당 속 심이 비어야 지만 그 수레 굴대 축에 낑궈 사용할수 있고, 로 해석이 된다할 것이다
* 서른개의 수레바퀴 살이 하나의 수레바퀴통과 연결되어선 함께 하더라도 그 응당 그 바퀴 통의 속을 파내 없애치워야 지만 굴대 구멍이 생겨선 수레바퀴로써 써먹을 수 있다, 진흙을 갖고선 질그릇을 만들 더라로 응당 그 속을 파내야 지만 그래서 속을 없애야 지만 그릇으로 써먹을 수 있게된다 , 끌로서 창호를 파 재켜선 집을 만드는데 응당 그 속을 파내 없애 치워야 지만 집의 용도로 쓸수 있다, 그러므로 거기 效用(효용)이 존재할 수 있게 함으로 이로움을 삼는데, 그렇게 하려면 필이 먼저 차있던 것을 덜어내던가 파내 없어치워야만 그러한 용도로 쓸수 있다, 소위 먼저 덜어 내야지만 그 빈자리를 다른 것으로 유용하게 활용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야위고 마르면 담긴 물건이 다한 줄 알아서 그릇을 삼고 그릇의 사용은 늘 상 가운데 담긴걸 없앰에 있으니 담기지 아니하면 속이 비어 있는 것이요 속을 없앰으로써 그 사용함에 이르게 되나니 속을 없애지 아니하면 속이 알찬 것이라 그 잇속을 펼 수가 없는 것이다 그러니까 먼저 속에 들은 것을 비워 내야지만(*파내야 지만) 다시 다른걸 담을수 있는 그릇이 된다 할 것이다 *역자 부언= 교역 유통 이치가 다- 여기에 있는 것이니 항상 자기만 갖고 있다면 가득한 게 될 것이니 무슨 다른 잇속이 와서 담길 여지가 있을 것인가? 그러므로 남의 잇속을 채워주기 위하여 먼저 덜어내는 듯 하는 데에 나에 잇속도 와서 담긴다는 뜻이니 항상 저- 잇속만 생각지 말라는 뜻이다 그寶貨(보화)를 늘 상 저만 끌어안고 있다면 무슨 값어치 발휘를 크게 한다 하랴? 유통하는 가운데 自他(자타)의 실리가 있게 되는 것이니 그대의 잇속을 파낼려는 꼬득이는 말이라고만 생각할게 아닌 것이다(*물론 피치 못하게 내놓치 못할 사정이 있어서 내어 놔선 안될 그런 것도 많다할 것이나 여럿이 공유하고 유통되는 가운데 그 진가를 발휘하는 것을 여기선 주로 말한다 할 것이다 내가 조금 먼저 양보하면 나중은 바라지 않더라도 그 양보한 만큼의 몇 곱절이 돌아 돌아들게 될 것이라는 뜻이다 남에 잇속을 챙겨주기 위해 알고도 모르고도 속아주라는 것이니 그렇타고 作害(작해)를 짓는 奸怪(간괴)한 사기꾼 같은데 속아넘어가란 뜻은 아니다 그 한계가 있고 그 적절한 적용이 있는 것이니 어림짐작은 자기심중에 있다 할 것이다 =번역이 옆으로 새어 역자의 의중을 말한 것 같다 각설하고) 이래서 성인이 늘 상 없이 함으로써 그 묘용을 관찰하며 늘 상 차있는 것으로써 그 구해 맞을걸 관찰한다 함인 것이니 이 두 가지가 하나로 되어서 나눌 수 없는 줄 알면(* 불가분의 관계인 줄 알면 ) 지극한 경계에 다 달았다 할 것이다
* 여씨는 주석을 달대 서른개의 바퀴살이 그 하나의 바퀴가 되서 마땅하게 그 속을 비워 야지만 수레에 쓸 수 있고 (*바퀴굴대가 들어가는 중심부분이 뚫어져야만 된다는 뜻임) 수레란 내가 타는 것이며, 진흙으로 질그릇을 구워 그릇을 만들더라도 적당히 빚은 흙 속을 파내야 지만 그릇이 되어 쓸수 있게 된다 그릇은 내가 음식 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요, 창문을 내어 집을 만들더라도 구멍을 적당히 파내야 지만 집으로 쓸수 있다 (*역자言= 예전엔 토굴이나 옹기 굽는 굴처럼 해 갖곤(도요가마) 사람이 거처를 삼았다 한다 ) 집이란 내가 거처하는 곳이다 탐은 곧 수레에서 관찰하고 쓰는 건 곧 그릇에서 관찰하고 머무름은 곧 집에서 관찰함이니 그 써먹음이 일찍이 없이함에 있어 그 곧 멀지 아니하지 아니 함이 없다 (* 찬걸 비워 낸다는 뜻) (*쉽게 말해서 모든 사용은 속을 먼저 덜어내던가 해서 비워 내야지만 그 빈걸 갖고 그릇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몸에 이르러선 내 자신을 쓸 곳을 모른다는 것은 어째서인가? (故有)= 차게 함으로써 잇속을 삼고 없앰으로써(*비 게 함을 써) 사용을 삼는 것인데 찬 것으로만 잇속을 삼으려 들고 비우지 않는 것으로써(*속을 없앰을 없애지 않는 것으로써) 사용을 삼으면 이른바 잇속이란 게 역시 무너져(*폐단이 되어) 쓰지 못하게 되리라 없애지 않는 것으로써 사용을 삼고(*속을 비 게 하는 것으로 씀을 삼고), 차있는걸 없앰으로써 잇속을 삼으면 이른바 써먹음이 (*사용하는 것이) 역시 害(해)로워 져 서 이롭지 못하리라 (*譯者言= 소위 제 쪽으로 당길 줄만 알지 타인에게 줄줄(베풀줄) 잘 모른다 그래서 자기 자신을 비우질 못해 쓰질 못하는 것이다 허심탄회하게 나를 비우면 사방이 나를 사용할 수 있는 하나의 그릇이 되어 있으리라) 이러므로 성인이 들어가선 일찍이 物 事를 채우려(*有)들지 아니하여 없앰을 위하여서 써먹음을 삼고 나아가선 일찍이 物 事를 비 게 아니하여서(*채워서) 채움을 위하여 써 이 속을 뒀음이라 그런 까닭에 말하길 (*精)정신의 의로움이 귀신에 들어가서 써먹음에 이르름 이라 이익과 사용이 몸을 편안하게 하여서 덕을 숭상함을 쓴 것이 되리라
수레가 있어야 승차 할 수 있고 그릇이 있어야 풍성하게 담을수 있으며 집이 있어야 거처를 삼을 수 있는 것이니 이 세 가지 다- 그 있는걸 (*資)=유효 적절하게 써먹음으로써 이 속을 삼는 것이고 그 받아씀에 이르러선 다- 그 빈속을 (*賴)=널리 하여서 물건을 용납시킬 뿐이다 없앤 것이란 그 빈속을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빈속의 써먹음을 형용한다 함인 것이니 대저 말하길 골짜기라 하기도 하고 암 것이라 하기도 하는 게 다- 이런 뜻임이다,